KR100574308B1 -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308B1
KR100574308B1 KR1020030097032A KR20030097032A KR100574308B1 KR 100574308 B1 KR100574308 B1 KR 100574308B1 KR 1020030097032 A KR1020030097032 A KR 1020030097032A KR 20030097032 A KR20030097032 A KR 20030097032A KR 100574308 B1 KR100574308 B1 KR 10057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oop
rotating body
straigh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71A (ko
Inventor
요시다마사히로
야기미끼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2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wheels on which the nozzle travels over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체에 브러시부를 형성한다. 이 브러시부는, 회전체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브러시부 및 제2 브러시부를 갖고 있다. 제1 브러시부는 스트레이트 브러시로 구성되고, 제2 브러시부는 루프 브러시와 그것을 끼움 지지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지지부는, 회전체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루프 브러시는,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회전체는, 그 회전시에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케이싱의 전방벽에 접촉하도록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있다.
흡입구체, 루프 브러시, 브러시사, 스트레이트 브러시, 블레이드, 회전체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SUCTION HEAD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상기 흡입구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상기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부가 갖는 루프 브러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체에 지지되고, 상기 루프 브러시를 끼움 지지하는 블레이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상기 블레이드에서 상기 루프 브러시를 끼움 결합한 상기 브러시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7은 상기 루프 브러시의 각 브러시사로 바닥면상의 유지(油脂)를 긁어내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8은 상기 브러시부가 가지는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각 브러시사의 전방벽에의 접촉량과, 그 때 전방벽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값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9는 상기 접촉량과 상기 정전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10은 상기 접촉량과 먼지 제거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상기 브러시부의 루프 브러시를 블레이드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상기 회전 브러시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청소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설명도.
도14는 상기 회전 브러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5의 (a) 및 도15의 (b)는 청소 대상이 플로어 및 융단인 경우의 루프 브러시의 내구성에 대한 결과를 각각 나타낸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17은 상기 브러시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18은 바닥면과 접촉한 상기 브러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9는 상기 브러시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1은 종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2는 상기 흡입구체에 수용되는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사로 바닥면의 유지를 쓸어내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2 : 연장관
3 : 흡입구체
4 : 케이싱
4a : 전방벽
5 : 흡입구
6 : 브러시열 부재
11 : 회전 브러시
12 : 브러시부
13 : 회전체
21 : 제1 브러시부
22 : 스트레이트 브러시
22a, 32a : 브러시사
22b, 32b : 기초 천
31, 51, 61, 71 : 제2 브러시부
32 : 루프 브러시
33 : 블레이드
33a, 33b : 지지부
41 : 지지부
41a, 41b : 지지부
52 : 블레이드(탄성체)
52a : 제1 지지부
52b : 제2 지지부
53 : 선단부
본 출원은, 2002년 12월 27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2-381953호 및 일본 특허 출원 2002-381986호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고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브러시를 가지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그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 또는 그에 이용되는 흡입구체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특허 문헌 1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2002-517호 공보(2002년 1월 8일 공개)』를 가리키고, 특허 문헌 2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H6-14853호 공보(1994년 1월 25일 공개)』를 가리키고, 특허 문헌 3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H10-57282호 공보(1998년 3월 3일 공개)』를 가리킨다.
특허 문헌 1에는 회전 로터를 구성하는 청소체에, 당해 청소체의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내에서에 루프를 형성한 루프 파일부를 설치함으로써, 청소체에의 섬유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청소기용 바닥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하나의 회전 브러시에, 융단 등의 먼지(塵埃)를 긁어 올리는 블레이드부와, 나무 바닥 등의 청소 및 마른 걸레질을 수행하는 브러시부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브러시를 교환하지 않고, 융단과 나무 바닥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바닥면의 이물질이나 미세 먼지를 미리 흡인하면서, 알칼리 이온수에 의해 바닥면상의 유지 얼룩을 분산시켜 롤러로 닦아 냄으로써, 주거 세제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예를 들면,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100)도 알려져 있다. 이 흡입구체(100)는 바닥면과 대향하는 바닥면 위치에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입구(101)를 구비하며, 그 흡입구(101)에 회전 브러시 (10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102)는 회전체(103)와, 이 회전체(103)에 지지되는 2개의 스트레이트 브러시(104) 및 2개의 블레이드(105)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브러시(104)는 각 브러시사의 일단이 기초 천에 고정되어 있다. 각 브러시사는 스트레이트 또는 권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특히, 플로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드러운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105)는 융단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긁 어 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105)는 통상 바닥면(예를 들면, 일본식 다다미 또는 플로어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회전체(103)에 지지되어 있으나, 바닥면이 융단인 경우에는, 융단의 모 높이가 있으므로, 융단 표면과 블레이드(105)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이 일본식 다다미와 플로어인 경우에 있어서, 블레이드(105)에 의한 바닥면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체(100)의 상기 저면에 있어서, 흡입구체(100)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회전 브러시(102)의 후방 위치에는, 브러시 소재사로 이루어진 브러시열 부재(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러시열 부재(106)는 흡입구체(100)가 바닥면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동시에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회전 브러시(102)에 의한 청소와 함께 바닥면의 보조 청소를 수행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 내장되는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면, 흡입구체(100)의 흡입구(101)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회전 브러시(102)의 회전체(103)의 회전에 따른 블레이드(105) 및 스트레이트 브러시(104)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101)에서 바닥면의 티끌, 먼지, 실밥, 머리카락, 모래 등의 이물질이 긁어 올려짐과 함께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이 행해진다. 그리고, 긁어올려진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인되어, 청소기 본체의 집진 장치에서 제거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의 회전 브러시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바닥면상의 이물질과 각 브러시사가 선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므로,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의 미끄러운 유지(121)가 바닥면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 브러시가 회전하더라도 각 브러시사(122)는 이 유지 (121)를 긁어 낼 수가 없으며, 유지(121)를 얇게 늘릴 뿐이다. 즉, 종래의 회전 브러시에서는 바닥면의 유지(121)를 확실히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에 의해서만 바닥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므로, 특히 흡입구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기 쉬운 바닥면 부근의 먼지에 대해서는 그것을 빠져나가게 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회전 브러시를 구성하는 각 브러시사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바닥면상의 유지 얼룩을 확실히 닦아 낼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그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더하여, 더욱이 바닥면 부근의 먼지의 제거 효율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그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기초 천(基布)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가지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周面)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는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다. 이 지지부는 회전체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는, 예를 들면,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비틀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브러시부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브러시부는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루프 브러시에서는 지지부가 회전체 주위면에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지지부가 회전축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거나, 회전 방향으로 비틀려져 형성되어 있거나), 각 브러시사의 루프 부분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가로지르게 되므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각 브러시사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횡단하면서(회전 방향에 대해 경사하면서) 회전한다.
또한, 브러시부가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닥면에 유지가 부착하더라도, 그 유지를 루프 브러시의 루프면에서 긁어 내도록, 그 루프 부분에서 확실히 긁어낼 수 있으며, 바닥면상의 유지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는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당해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에 1㎜를 더한 값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케이싱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레에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한쪽 이동 방향측으로 회전하는 케이싱 벽부와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벽부까지의 거리에 1㎜를 더한 값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루프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벽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루프 브러시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번갈아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지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당해 회전체에 대해서 한쪽 이동 방향측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이며,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5㎜이고,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4㎜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상술한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더 갖고,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한쪽 이동 방향측(예를 들면,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시에 케이싱 벽부가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대전하므로, 케이싱 벽부 근방(예를 들면, 바닥면 부근)의 먼지가 케이싱 벽부에 정전 흡착한다. 따라서, 그 후는, 예를 들면, 케이싱 벽부에 흡착한 먼지를 전동 송풍기에 의해 모아서 흡인할 수가 있게 된다. 그 결과, 상술한 효과에 더하여 바닥면 부근의 먼지의 제거 효율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체에 대해서 한쪽 이동 방향측의 흡입구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이며,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회전체가 케이싱에 의해 피벗지지 되어 있으면, 먼지를 케이싱 벽부에 정전 흡착시키는데 충분한 양의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먼지의 제거 효율을 확실히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5㎜이고,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4㎜이면 그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는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측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끼움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루프 브러시는 상기 기초 천에 있어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임의의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서 상기 기초 천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루프 브러시에 대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로 상기 브러시부를 끼움 지지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서의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상기 제1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서의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루프 브러시 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상기 제2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서,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상기 루프 브러시의 기초 천에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은, 상기 탄성체에서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면을 당해 탄성체의 돌출선인 선단부를 통하여 덮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의 임의의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 기초 천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는, 상기 기초 천의 이면과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탄성체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서,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상기 탄성체에서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면에, 상기 루프 브러시의 기초 천에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는 상기 지지부에 의한 지지측보다도 당해 탄성체의 돌출선인 선단부 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휘어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루프 브러시를 그 기초 천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상술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더 갖고,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벽부까지의 거리에 1㎜를 더한 값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상술한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기술과 다음을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료해질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0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와, 연장관(2)과, 흡입구체(3)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1)는 도시되지 않은 전동 송풍기와 집진 장치를 구비한다. 전동 송풍기는 흡입구체(3)의 흡입구(5, 도3 참조)를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다. 집진 장치는, 예를 들면 종이 팩과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흡인된 공기중에 포함되는 먼지 및 모래, 그 밖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연장관(2)은, 흡입구체(3)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청소기 본체(1)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로이다.
흡입구체(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과, 흡입구(5)와, 브러시열 부재(6)를 갖고 있다.
케이싱(4)은 후술하는 회전 브러시(11)(회전체(13, 도1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체이며, 예를 들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 부타젠 스틸렌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4)은 회전 브러시(회전체(13))의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 방향(전방 및 후방)으로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브러시(11, 회전체(13))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케이싱(4)은 회전체(13)에 대해서 전방, 즉 케이싱(4)의 한쪽 이동 방 향측(의 흡입구(5))에 위치하는 전방벽(4a, 케이싱 벽부)을 갖고 있으며, 이 전방벽 (4a)에 후술하는 스트레이트 브러시(22, 도1 참조)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구(5)는 케이싱(4)에서의 바닥면과 대항하는 저면에 형성된 개구이며, 이 흡입구(5)로부터 바닥면상의 이물질과 함께 공기가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4)은 바닥면상을 이동시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11)는 흡입구(5)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과는, 예를 들면 융단, 일본식 다다미, 나무 바닥(플로어) 등의 표면을 총칭하여 가리킨다.
브러시열 부재(6)는 케이싱(4)의 상기 저면에 있어서, 흡입구(5)에 대해서 전방벽(4a)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브러시열 부재(6)는,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브러시 소재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구체(3)가 바닥면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동시에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회전 브러시(11)에 의한 청소와 함께, 바닥면의 보조 청소를 수행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1)에 내장되는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면, 흡입구체(3)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흡입구체(3) 내부의 회전 브러시(11)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5)에서 바닥면의 티끌, 먼지, 실 보프라기, 머리카락, 모래 등의 이물질이 긁어 올려져, 공기와 함게 흡인되어, 연장관(2)을 통해서 청소기 본체(1)의 집진 장치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 집진 장치에 의해서, 흡인된 공기중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다음에, 상기한 회전 브러시(1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회전 브러 시(1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회전 브러시(11)는 브러시부(12)와, 회전체(13)를 구비한다. 회전체(13)는 브러시부(12)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하, 우선, 브러시부 (1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브러시부(12)는 기초 천에 고정된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고, 회전체(13)의 회전에 따라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브러시부 (21)과 2개의 제2 브러시부(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브러시부(21) 및 제2 브러시부(31)의 수는 상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브러시부(21)는 각 브러시사(22a)의 일단만을 기초 천(22b)에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22)로 구성되어 있다. 각 브러시사(22a)는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면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드러운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회전체(13)의 회전시에, 스트레이트 브러시(22)가 전방벽(4a)과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전방벽(4a)까지의 거리 이상이 되도록,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음에 따라, 회전체(13)가 회전하면,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각 브러시사(22a)의 선단이 전방벽(4a)에 접촉하고, 이 때의 마찰에 의해 전방벽(4a)이, 예를 들면 마이너스로 대전된다. 그 결과, 전방벽(4a) 근방(예를 들면, 바닥면 부근)에 존재하 는 먼지가 전방벽(4a)의 표면에 정전 흡착한다.
따라서, 그 이후는 전방벽(4a)에 흡착한 먼지를 청소기 본체(1)내의 전동 송풍기에 의해, 모아서 흡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벽(4a)에서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흡입구체(3)의 하부의 먼지를 끌어당겨 포집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바닥면 부근의 먼지의 제거 효과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벽(4a)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량에 근거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 설정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2 브러시부(31)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브러시부(31)는 루프 브러시(32)와 블레이드(33)로 구성되어 있다.
루프 브러시(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루프 형으로 기초 천(32b)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기초 천(32b)상에서는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은 모두 일방향(도4에서는 횡방향)을 따르고 있다. 각 브러시사(32a)는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드러운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 천(32b)은, 예를 들면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33)는 루프 브러시(32)를 끼움 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33)가 회전체(13)의 후술하는 지지부(41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루프 브러시(32)가 회전체(13)에 지지된다. 또한, 블레이드(33)는, 예를 들면 융단 표면을 두드림으로써 융단상의 이물질을 긁어올리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33)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블레이드(33)에 의해 끼움 지지된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블레이드(33)에서 흡수할 수 있으며, 루프 브러시(32)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러시부(31)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므로, 그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회전체(1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체(13)는 바닥면과 평행으로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브러시부(12)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것이며, 그 브러시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41)를 갖고 있다. 즉, 회전체(13)는 소정의 길이의 브러시사를 갖고, 케이싱(4)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벗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41)는 제1 브러시부(21)를 지지하는 지지부(41a)와 제2 브러시부(31)를 지지하는 지지부(41b)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41a, 41b)는 제1 브러시부(21) 및 제2 브러시부(31)의 수에 대응한 수만큼 형성하면 되며,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지지부(41a)와 2개의 지지부(41b)가 회전체(13)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1)는 회전체(13)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원주상에서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된 홈이다. 제1 브러시부(21)는 그 기초 천(22b)이 지지부(41a)에 삽입됨으로써, 직접 지지부(41a)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제2 브러시부(31)는 루프 브러시(32)를 끼움 지지하는 블레이드(33)가 지지부(41b)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41b)에 지지된다.
지지부(41a,41b)는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라서, 그 회전축 방향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면, 회전체(13)의 회전축을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41a, 41b)는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13)가 회전했을 때, 지지부(41a)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각 브러시사(22a)와, 지지부(41b)에서 블레이드(33)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가 번갈아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스트레이트 브러시(22)에 의한 상술한 대전과, 루프 브러시(32)에 의한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지지부(41)는 회전체(13)의 회전에 의해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루프 브러시(32)가 번갈아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브러시부(12)를 지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브러시부(31)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블레이드(33)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블레이드(33)를 회전체(13)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블레이드(33)의 단면도이다. 블레이드(33)는 제1 지지부(33a)와, 제2 지지부 (33b)와, 제3 지지부(33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33a) 및 제2 지지부(33b)는 루프 브러시(32, 도1 참조)를 끼움 지지하여 지지하는 것이며, 제1 지지부(33a)는 루프 브러시(32, 루프 브러시(32)의 끼움 지지 위치)에 대해서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한편, 제2 지지부(33b)는 루프 브러시(32, 루프 브러시(32)의 끼움 지지 위치)에 대해서 상기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지지부(33a) 및 제2 지지부(33b)는 그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에서 제3 지지부(33c)와 연결되어 있다. 제3 지지부(33c)는 제1 지지부(33a) 및 제2 지지부(33b)를 지지하는 것이며, 회전체(13)의 지지부(41b)의 내벽에 대략 따르는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 지지부(33c)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삽입에 의해서 블레이드(33) 전체가 지지부(41b)를 통하여 회전체(13)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제1 지지부(33a), 제2 지지부(33b) 및 제3 지지부(33c)는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른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지지부(33a) 및 제2 지지부(33b)에서의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제1 지지부(33a)에서의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제2 지지부(33b)의 최대 회전 반경 보다도 제1 지지부(33a)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3b)에서의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제2 지지부(33b)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전자의 설정에 의해, 회전체(13)의 회전과 함께 루프 브러시(32)가 회전하여, 루프의 선단이 바닥면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루프의 선단을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루프의 선단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여, 그 마모를 경감할 수 있어,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뿐만 아니라 상기 루프의 선단이 상기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빠져나감에 따라서, 루프 브러시(32)와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 효과를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자의 설정에 의해, 바닥면이, 예를 들면 평탄한 플로어와 일본식 다다미인 경우는,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과 접촉하고, 블레이드(33)는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바닥면이, 예를 들면, 융단인 경우는, 융단의 모 높이에 의해, 융단 표면과 블레이드(33)의 제2 지지부(33b)가 접촉하므로, 융단상의 이물질을 두드려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이 융단 이외의 경우는, 블레이드(33)의 접촉에 의해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바닥면이 융단인 경우에는, 블레이드(33)에 의해서 융단상의 청소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3b)의 선단부(제1 지지부(33a)와의 연결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의, 회전부(13)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표면은,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 거친면(粗面)으로 되어 있다. 회전체(13)가 회전했을 때에,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예를 들면, 융단)과 접촉하기 전에, 그 보다도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있는 블레이드(33)의 제2 지지부(33b)가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제2 지지부(33b)의 상기 표면이 거친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표면에서 융단상의 이물질을 확실히 두드려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가장 특징 부분인 루프 브러시(3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루프 브러시(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이 모든 일방향을 따라서 기초 천(32b)상에 고정됨으로써, 각 브러시사(32a)가 기초 천(32b)상에서 루프 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루프 브러시(32)는 블레이드(33)에 끼움 지지될 때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천(32b)에서의 각 브러시사(32a)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임의의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서 기초 천(32b)이 절곡된 상태로, 블레이드(33)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33)에서 확실히 지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브러시(32)와 블레이드(33)를 봉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33)로 끼움 지지하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른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한 방향으로 갖는 블레이드(33)의 제3 지지부(33c)의 상기 일방향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루프 브러시(32)를 끼움 지지한 채로, 블레이드(33)의 제3 지지부(33c)를 지지부(41b)에 삽입하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루프 브러시(32)는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기초 천(32b)에 고정함으로써 각 브러시사(32a)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체(13)의 주위면에 있어서, 지지부(41b)가 회전축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거나, 회전 방향으로 비틀려져 형성되어 있더라도, 각 브러시사(32a)의 루프 부분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회전체(13)를 회전시키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1a)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을 횡단한 채로(회전 방향에 대해서 경사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유지(14)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그 유지(14)를 루프 브러시(32)의 루프면에서 주걱(spatula)과 같이 긁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브러시(11)의 구성에 의하면, 루프 브러시(32)의 루프 부분에서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유지(14)를 긁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에 접촉하기 위해서는,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이, 최소한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보다 크면, 루프 브러시(32)와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한 루프 브러시(32)의 마모, 손상이 심해지게 되어,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이 열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의 높이는,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루프 브러시(32)에 의한 바닥면의 유지(14)를 긁어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전방벽(4a)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프 브러시(32)의 모끝이 전방벽(4a)과의 접촉에 의해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루프 브러시(32)를 바닥면의 유지(14) 긁어냄 전용의 브러시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모끝만을 전방벽(4a)에 닿게 하도록 회전체(13)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트 브러시(22)를 전방벽(4a)의 대전 전용의 브러시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의 쪽이 작아지므로, 루프 브러시(32)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융단상의 실과 머리카락이 루프 브러시(32)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브러시(22)는, 종래에는,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특히, 플로어의 마른 걸레질)에 적용되어 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 기능을 루프 브러시(32)에 갖도록 했으므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에 상술한 기능, 즉 전방벽(4a)을 대전시켜 전방벽(4a)에 먼지를 정전 흡착시키는 종래와는 다른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브러시(11)는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에 절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루프 브러시(32)를 갖고 있으므로, 종래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에 이용되었던 스트레이트 브러시(22)를 전방벽(4a)의 대전 전용 브러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루프 브러시(32)를 이용한 점에 제1 특징이 있으나, 그 루프 브러시(32)를 이용한 결과로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에 종래와는 다른 기능을 갖도록 한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그 결과,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의 효과와 먼지 제거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회전 브러시(11) 및 흡입구체(3)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 설정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①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모끝의 전방벽(4a)에 대한 접촉량(각 브러시사(22a)를 직선으로 가정한 경우의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전방벽(4a)과의 오버랩량)을 변화시켜서, 그 때 전방벽(4a)에서 발생하는 정전기(kV)가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 ②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모끝의 바닥면에 대한 접촉량(각 브러시사(22a)를 직선으로 가정한 경우의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바닥면과의 오버 랩량)을 변화시켜서, 그 때의 먼지 제거율(%)이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의 각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를 설정했다.
상기 ①의 실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전방벽(4a) 및 흡입구(5)를 제전 브러시로 제전한 후,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전방벽(4a)에 대한 접촉량을 3가지로 변화시켜, 그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1분간 회전 브러시(11)를 회전시켜, 전방벽(4a)오로부터 거리 5㎝인 위치에서 정전기 측정기에 의해 정전기를 측정했다. 도8은 각 브러시사(22a)의 전방벽(4a)과의 접촉량(㎜)과, 그 때 전방벽(4a)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값(kV)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9는 그들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양자의 관계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②의 실험에 대해서는, JIS(일본 공업 규격) C9802의 『가정용 전기 청소기의 성능 측정 방법』에서 규정된 방법으로 먼지 제거율(dust removal)을 측정했다. 또한, 먼지 제거율이란 지정된 클리닝 사이클 중에 제거되는 먼지의 양과, 테스트 범위상에 산포된 먼지의 양과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 즉, (규정 회수로 제거된 먼지의 양/산포된 먼지의 양)×100으로 나타내는 값이다. 도10은 각 브러시사(22a)의 바닥면과의 접촉량(㎜)과, 그 때의 먼지 제거율과의 관계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9의 결과로부터,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전방벽(4a)과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에서는 최저 0.4kV의 먼지를 흡착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정전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즉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전방벽(4a)까지의 거리에 1㎜를 더한 값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벽(4a)에 충분한 정전기를 발생시켜, 먼지의 제거 효과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량이 1.5㎜일 때는 도9의 결과로부터, 그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루프 브러시(32)는 전방벽(4a)과는 접촉하지 않고,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전방벽(4a)과의 접촉량이 최대 2㎜인 것을 고려하면,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와,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의 차는 1㎜ 이상 2㎜ 이하가 된다(단,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최대 회전 반경 >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
또한, 도10의 결과로부터,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바닥면과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에서는, 먼지 제거가 피크(73.5%)에 가까운 값이 얻어지며, 먼지의 제거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즉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에 1㎜를 더한 값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브러시(11) 전체에 의한 높은 먼지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량이 먼지 제거의 피크(73.5%)에 대응하는 1.4㎜일 때에는, 도10의 결과로부터, 그 결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전방벽(4a)과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바람직하게는 1.5㎜)이고, 또 바닥면과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바람직하게는 1.4㎜)가 되도록, 회전체(13, 또는 회전 브러시(11))가 케이싱(4)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으면, 먼지의 제거를 위한 정전기를 충분히 발생시켜, 바닥면의 먼지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의 사용 경과에 따라서,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바닥면과의 접촉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① 회전체(13, 또는 회전 브러시(11))의 회전축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고, 스트레이트 브러시(22)가 마모되었을 때, 상기 회전축을 바닥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접촉량을 상기한 적정 범위내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② 흡입구체(3)를 바닥면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차륜의 높이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고, 스트레이트 브러시(22)가 마모되었을 때에, 상기 차륜의 위치를 바닥면으로부터 높임으로써,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바닥면과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접촉량을 상기한 적정 범위로 수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루프 브러시(32)는 루프 브러시(32)를 끼움 지지한 블레이드(33)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했을 때,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나, 블레이드(33)를 지지부(41b)에 삽입했을 때,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루프 브러시(32)는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기초 천(32b)에 고정함으로써, 각 브러시사(32a)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루프 브러시(32)는, 예를 들면 기초 천(32b)의 노치가 지지부(41b)의 회전 방향의 비틀림을 고려한 정도만큼 도1 및 도6의 노치와는 기울어지도록 기초 천(32b)을 절곡하여, 블레이드(33)로 끼움 지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초 천(32b)을 절곡하여 블레이드(33)로 끼움 지지했을 때에는, 기초 천(32b)에서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에 대응하는 블레이드(33)의 길이 방향으로는 되어 있지 않으나,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으로 비틀린 지지부(41b)에 블레이드(33)를 삽입하고 나서, 기초 천(32b)에서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게 된다. 이 같은 구성의 루프 브러시(32)의 경우,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에서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완전히 수직으로 된 채로 회전하므로, 바닥면의 유지(14)의 긁어냄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브러시부(21)를 스트레이트 브러시(22)로 구성했으나, 스트레이트 브러시(22) 대신에, 융단상의 이물질을 두드려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스트레이트 브러시(22)에 의한 상술한 대전 효과보다도 융단상의 이물질의 긁어내는 효과가 강력히 요구되는 경우라면, 이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는 지름이 가늘어질수록 바닥면의 유지(14)를 긁어내는 성능은 향상되나, 그 내구성은 저하된다(바닥면과의 마찰에 따른 손상이 심해진다). 따라서, 각 브러시사(32a)의 지름은, 긁어내는 성능과 내구성과의 균형을 고려한 다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각 브러시사(32a)의 밀도에 대해서도, 각 브러시사(32a)의 내구성과 균형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흡입구체(3)의 저면에 형성되는 브러시열 부재(6, 도3 참조)는, 상술한 루프 브러시(32)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이 경우, 루프 브러시(32)의 루프면이 흡입구체(3)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즉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기초 천(32b)에 고정한 루프 브러시(32)를 흡입구체(3)의 저면에 결합하면 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1 내지 도15의 (a) 및 (b)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재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브러시부(31, 도1, 도6 참조)를 도11에 도시한 제2 브러시부(51)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2 브러시부(51)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루프 브러시(32)와 블레이드(52,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52)는 루프 브러시(32)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루프 브러시(32)가 부착되는 제1 지지부(52a)와, 제1 지지부(52a)에 연결됨과 동시에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 가능한 단면 형성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52b)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52)의 제2 지지부(52b)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함으로써, 블레이드(52) 전체가 지지부(41b)를 통하여 회전체(13)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는,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른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52)의 제2 지지부(52b)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했을 때에는, 블레이드(52)의 제1 지지부(52a)가 회전체(13)의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 회전체(13)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52)는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 회전체(13)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 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 브러시(32)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52)에서의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 면을 블레이드(52)의 돌출선인 선단부(53)를 통하여 덮도록, 루프 브러시(32)의 기초 천(32b)에서의 각 브러시사(32a)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이 블레이드(5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루프 브러시(32)는 임의의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서 기초 천(32b)이 절곡된 상태에서, 블레이드(5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은 봉제에 의한 부착으로 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브러시부(51)를 구성하더라도,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 (52)에 부착할 때에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른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한 방향으로 갖는 블레이드(52)의 제2 지지부(52b)의 상기 일방향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루프 브러시(32)를 제1 지지부(52a)에 부착한 블레이드(33)의 제2 지지부(52b)를 지지부(41b)에 삽입하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회전체(13)를 회전시키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1a)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을 횡단한 채 회전하게 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루프 브러시(32)의 루프 부분에서 바닥면상의 유지를 주걱과 같이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긁어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11)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바닥면의 청소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을 행했다. 도13은 회전 브러시(11)의 각 사양마다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로트 No. 1은 2개의 스트레이트 브러시와 2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회전 브러시와 동등한 것이며, 로트 No. 2 및 로트 No. 3은 2개의 제1 브러시부(21, 스트레이트 브러시(22))와 2개의 제2 브러시부(51, 루프 브러시(32)+블레이드(52))를 갖는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브러시(11)이다. 단, 로트 No. 2와 로트 No. 3에서는 루프 브러시(32) 및 블레이드(52)의 최대 회전 반경이 각각 다르다. 또한, 로트 No. 4는 2개의 블레이드와 2개의 제2 브러시부(51, 루프 브러시 32+블레이드(52))를 가지는 회전 브러시이다. 또한, 로트 No. 2∼No. 4의 루프 브러시(32)는 모 높이(각 브러시사(32a)의 기초 천(32b)으로부터의 높이) 4㎜인 것을 이용했다. 또한, 도면중의「Ø」는 회전 지름(㎜), 즉, 최대 회전 반경(㎜)×2를 나타낸다.
또한, 제거할 대상은 흑판에 붙여진 손자국(유분)과, 융단(모 높이 7㎜)상의 이물질이다. 실험 방법은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면서 흡입구체(3)를 흑판상 및 융단상에서 왕복 운동시켰다. 또한, 도면중의 전류치란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의 값이다. 먼지 제거율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조작력이란 흡입구체(3)를 융단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나타낸다.
도13의 결과로부터, 로트 No. 1에서는 융단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과(dust removal)가 높으나, 흑판상의 손자국의 제거 효과가 거의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로트 No. 1의 회전 브러시를 흑판상에서 2 왕복시킨 후, 2개의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2개의 루프 브러시(모 높이 6㎜이고, 로트 No. 2∼No. 4의 루프 브러시보다도 브러시사(32a)의 밀도가 큰 것)를 가지는 회전 브러시로 교환하여, 이를 흑판상에서 1 왕복시키면, 흑판상의 손자국을 완전히 닦아 낼 수 있다.
한편, 로트 No. 2 및 로트 No. 3에서는 융단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로트 No. 1과 비교하면 값으로서는 낮으나,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흑판상의 손자국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닦음 회수에 다소 편차가 있으나, 로트 No. 1에 비하여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트 No. 4에서는 흑판의 손자국의 제거 효과가 로트 No. 2 및 로트 No. 3과 동등하며, 융단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로트 No. 1과 동등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루프 브러시(32)를 이용하는 로트 No. 2∼No. 4는, 루프 브러시(32)를 이용하지 않는 로트 No. 1보다도, 유분 제거 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로트 No. 4에서는 회전 브러시(11)의 구동 전류를 낮게하면서, 유분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권취하여, 제2 브러시부(51)를 형성할 경우,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브러시(32)의 기초 천(32b)의 이면과 블레이드(52)의 선단부(53)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에 닿을 때의 충격을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흡수할 수 있어, 루프 브러시(32)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루프 브러시(32)가 회전했을 때, 루프 브러시(32)에서의 바닥면과의 접촉부가,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루프 브러시(32)를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루프 브러시(32)가 이와 같이 변형된 경우에는,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루프 브러시(32)에 의한 바닥면의 마른 걸레질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1에 도시한 제2 브러시부(51)과, 도14에 도시한 제2 브러시부(51)에서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 도15의 (a) 및 (b)는 청소 대상이 플로어 및 융단인 경우의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로트 No. 5는 기초 천(32b)의 이면과 블레이드(52)의 선단부(53)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부착한 제2 브러시(51, 도11 참조)를 가지는 회전 브러시(11)이다. 또한, 로트 No. 6 및 로트 No. 7은, 기초 천(32b)의 이면과 블레이드(52)의 선단부(53)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부착한 제2 브러시부(51, 도14 참조)를 가지는 회전 브러시(11)이다. 단, 로트 No. 6과 로트 No. 7에서는 제2 브러시부(51)의 회전수가 약간 다르나, 오차의 범위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로트 No. 5 및 로트 No. 6에서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부(31a)는 같은 섬유(예를 들면, 나일론)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 천(32b)은 늘어나기 쉬운 섬유(예를 들면, 나일론+폴리 우레탄)로 구성되어 있다. 로트 No. 7에서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부(31a) 및 기초 천(32b)은 모두 나일론 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트 No. 5∼No. 7의 블레이드(52)는 모두 두께 0.6㎜로 했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이하와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① 루프 브러시(32)와 블레이드(52)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는, 바닥면에 대한 루프 브러시(32)의 저항이 커지게 되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내구성이 열화된다. 한편, 상기 공간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저항이 감소하므로, 각 브러시사(32a)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② 로트 No. 5는 회전에 의해 섬유가 늘어나고, 바닥면과의 접촉이 강해짐에 따라, 각 브러시사(32a)의 마모가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
③ 로트 No. 5 및 로트 No. 6은 로트 No. 7에 비하여 루프 부분이 약간 흩어진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소 마모되어도 겉보기에는 잘 구분되지 않았다.
④ 마모의 진행은 모두 바닥면과의 접촉부로부터 시작된다.
⑤ 마모 이외에 모의 빠짐, 풀림 등은 없었다.
즉, 루프 브러시(32)와 블레이드(52)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편이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이 좋으며, 또 기초 천(32b)으로서 늘어나는 섬유를 이용하는 편이 루프 브러시(32)의 내구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6 내지 도19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재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브러시부(31, 도1, 도6 참조)를 도16에 도시하는 제2 브러시부(61)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2 브러시부(61)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루프 브러시(32)와, 제2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블레이드(52,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 브러시(32)의 블레이드(52)에의 부착법이,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 브러시(32)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52)에서의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면에만, 루프 브러시(32)의 기초 천(32b)에서의 각 브러시사(32a)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이 부착되어 있다. 도17은, 이와 같이 하여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부착한 제2 브러시부(6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2 브러시부(61)를 형성할 때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주위면을 따른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 전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한 방향으로 갖는 블레이드(52)의 제2 지지부(52b)의 상기 한 방향을 따르도록, 루프 브러시(32)를 블레이드(52)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52)의 제2 지지부(52b)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하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회전체(13)의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게 된다.
한편, 루프 브러시(32)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루프 브러시(32)의 최대 회전 반경이, 회전체(13)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제2 브러시부(61)를 장착한 회전체(13)를 회전시키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52)가 휘어지면서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과의 접촉부에서 면접촉한다. 그리고, 이 접촉부에 있어서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1a)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을 횡단한 채 회전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제2 브러시부(61)를 이용한 경우에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루프 브러시(32)의 루프 부분에서 바닥면상의 유지를 주걱과 같이 효율적이고, 확실히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루프 브러시(32)는 바닥면과 면으로 접촉하므로, 접촉 면적이 증대함으로써 바닥면의 오물을 긁어내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체(13)의 주위면으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52)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1b, 도1 참조)에 의한 지지측보다도 블레이드(52)의 돌출선인 선단부(53)의 쪽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휘어져 있는 블레이드(52)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 브러시(32)가 회전했을 때에는,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과 처음부터 면으로 접촉하므로, 루프 브러시(32)가 바닥면에 닿을 때의 충격이, 블레이드(52)가 회전체(13)의 주위면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도16의 구성인 경우보다도 다소 완화된다. 따라서, 루프 브러시(32)의 손상 및 마모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19와 같이, 블레이드(52)를 처음부터 휘어지게 하는 구성은 블레이 드(52)에 루프 브러시(32)를 부착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물론 제2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20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제1∼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재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브러시부(31, 도1, 도6 참조)를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브러시부(71)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2 브러시부(71)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제3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루프 브러시(32)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제3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블레이드(33, 52)를 사용하지 않고, 루프 브러시(32)의 기초 천(32b)을 직접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체(13)의 지지부(41b)가 루프 브러시(32)를 그 기초 천(32b)에 의해 직접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브러시부(71)를 회전체(13)의 지지부(41b)에 의해 지지했을 때, 즉, 루프 브러시(32)의 기초 천(32b)을 지지부(41b)에 삽입했을 때에는,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을 잇는 선이 지지부(41b)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각 브러시사(32a)의 양단이 기초 천(32b)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브러시사(32a)가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13)를 회전시키면, 루프 브러시(32)의 각 브러시사(31a)의 루프를 형성한 면이, 회전체(13)의 회전 방향을 횡단한 채 회전하게 되므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루프 브러시(32)의 루프 부분에서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바닥면의 유지를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 브러시(32)를 직접 지지부(41b)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필요했던 블레이드(33, 52)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2 브러시부(7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식과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기술에 한정되지 않고, 부기한 크레임의 범위내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브러시를 구성하는 각 브러시사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바닥면상의 유지 얼룩을 확실히 닦아 낼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부근의 먼지의 제거 효율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기초 천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끼움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루프 브러시는 상기 기초 천에 있어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임의의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 상기 기초 천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루프 브러시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회 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로 상기 브러시부를 끼움 지지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서의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상기 제1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서의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루프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상기 제2 지지부의 최대 회전 반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서,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상기 루프 브러시의 기초 천에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은, 상기 탄성체에서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 면을 당해 탄성체의 돌출선인 선단부를 통하여 덮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의 임의의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을 따라 기초 천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는, 상기 기초 천의 이면과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탄성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 전역에 걸쳐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루프 브러시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갖고,
    상기 탄성체에서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면에, 상기 루프 브러시의 기초 천에서의 각 브러시사의 고정면과는 반대측 이면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부에 의한 지지측보다도 당해 탄성체의 돌출선인 선단부의 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루프 브러시를 그 기초 천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이상이며, 또 상기 거리에 2㎜를 더한 값 이하 가 되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1. 기초 천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이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2. 기초 천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갖고,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한쪽의 이동 방향측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 상기 케이싱 벽부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루프 브러시의 최대 회전 반경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벽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루프 브러시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번갈아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루프 브러시 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6. 기초 천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이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와,
    상기 회전체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갖고,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의 회전 반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한쪽 이동 방향측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7. 기초 천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러시사를 갖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주위면을 사이에 두는 양단면의 각 원주상의 점을 상기 주위면상에서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잇는 선이 상기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각 브러시사의 양단을 상기 기초 천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브러시사를 루프 형으로 형성한 루프 브러시이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초 천에 각 브러시사의 일단부만을 고정한 스트레이트 브러시를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케이싱의 한쪽 이동 방향측의 흡입구에 위치하는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이고,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케이싱 벽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5㎜이고, 또 바닥면과 상기 스트레이트 브러시와의 접촉량이 1.4㎜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30097032A 2002-12-27 2003-12-26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KR100574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81986 2002-12-27
JPJP-P-2002-00381986 2002-12-27
JP2002381953 2002-12-27
JPJP-P-2002-00381953 200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71A KR20040060771A (ko) 2004-07-06
KR100574308B1 true KR100574308B1 (ko) 2006-04-27

Family

ID=3427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032A KR100574308B1 (ko) 2002-12-27 2003-12-26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4308B1 (ko)
CN (1) CN1003616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6960B2 (en) 2017-11-13 2021-12-2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4836877B (zh) * 2022-06-14 2024-01-30 浙江力佳隆毛刷有限公司 一种立体闭端条刷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156A (en) * 1988-04-20 1991-10-08 Hitachi, Ltd. Suction nozzle with rotary brush for vacuum cleaner
JP3270248B2 (ja) * 1993-10-22 2002-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A2192882C (en) * 1996-01-23 2002-04-16 Shigenori Hato Suction tool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0217753A (ja) * 1999-02-02 2000-08-08 Sharp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JP2001120472A (ja) * 1999-10-25 2001-05-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01120473A (ja) * 1999-10-25 2001-05-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6625845B2 (en) * 2000-03-24 2003-09-30 Sharp Kabushiki Kaisha Cyclonic vacuum cleaner
JP4485663B2 (ja) * 2000-06-20 2010-06-23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床ノズル
JP3604004B2 (ja) * 2000-09-29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掃除機のブラシ組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1616C (zh) 2008-01-16
CN1513413A (zh) 2004-07-21
KR20040060771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069B2 (ja) 面を清掃するための清掃装置
KR101465713B1 (ko) 청소기 헤드
JPH07265240A (ja) 床面掃除機における壁際用清掃体
KR20120027357A (ko) 청소기 헤드
CN208799168U (zh) 清洁机器人
JPH10513389A (ja) クリーナ・ヘッド
CN113171032B (zh) 扫拖一体分离式洗地机及扫拖方法
CN209018627U (zh) 一种自动清洁清洗系统
KR20150101857A (ko) 원심브러쉬를 가진 청소기
JP4115382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147187B2 (ja) 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4841B1 (ko) 청소기 및 그 청소방법
KR100574308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5171518A (ja) 回転清掃体、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JP4115303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362488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075968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3803331B2 (ja)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35288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CN216724403U (zh) 滚刷组件及具有该滚刷组件的吸尘器
JP4776456B2 (ja) 回転ロータ、掃除機用床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JP409987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3754140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589781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0589790B1 (ko) 물걸레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