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121B1 -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121B1
KR100572121B1 KR1020057022755A KR20057022755A KR100572121B1 KR 100572121 B1 KR100572121 B1 KR 100572121B1 KR 1020057022755 A KR1020057022755 A KR 1020057022755A KR 20057022755 A KR20057022755 A KR 20057022755A KR 100572121 B1 KR100572121 B1 KR 10057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rab rail
body cover
attachment
gr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218A (ko
Inventor
마사아키 야마구치
다카유키 야나기다
마모루 오츠보
쥰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8Passengers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자동 2륜차의 후방부 프레임(Fr)의 시트 레일(11)에 부착되는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로서, 그래브 레일(G′)은, 전방 개방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그래브 레일(G′)은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 프레임(Fr) 및 차체 커버(C)의 부착부(25)와 함께 체결하여 고정하고, 그 차체 커버(C)의 그래브 레일(G′)에의 부착부 위에는 그래브 레일측을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25a)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25a)는 그래브 레일(G′)이 차체 커버(C)의 도장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부착부(25)에 그래브 레일(G′)을 부착되도록 하여서 부착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게다가 그래브 레일을 차체 커버에 부착할 때에 그 차체 커버의 도장면을 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GRAB RAIL MOUNTING STRUCTURE OF MOTOR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그래브 레일 구조를 구비한 자동 2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부의 일부 파단(破斷) 측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르는 횡(橫)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르는 종(縱)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부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그래브 레일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와 동일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2는, 자동 2륜차의 후방부 프레임, 차체 커버 및 그래브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그래브 레일에 하물을 잡아 맨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 2륜차 후방부의 측면도.
도 14는, 그래브 레일에 하물을 잡아 맨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 2륜차 후방부의 평면도.
본 발명은, 자동 2륜차의 차체 프레임 후방부에 설치되는 그래브 레일(grab rail)의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2륜차에서는, 시트(seat)의 후방부에, 탑승자가 쥐는 그래브 레일(사이드 그립(side grip))이 설치된다(일본국 특개소 61-282176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와 같은 그래브 레일은,
① 탑승자, 특히 시트 위로 자리에 오르는 탑승자가, 쥐기 쉬울 것,
② 쥐는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
③ 재빠르게 쥘 수 있을 것,
④ 운전이나 타고 내림에 방해가 되지 않을 것,
⑤ 외관상의 체재(體裁)가 좋을 것,
⑥ 크지 않을 것,
⑦ 부착 구조가 간단해서, 그 부착 작업이 용이할 것,
⑧ 그래브 레일의 차체에의 부착에 관련하여 차체의 도장면을 더럽히지 않을 것,
⑨ 그래브 레일 상에 적재한 하물(荷物)을 잡아 매기 위한, 짐 걸이용의 로프, 끈 등의 줄이, 그래브 레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것, 등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그래브 레일을, 그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초부와, 이 기초부의 좌우에서 전방에 일체로 연장되는 좌우 양 측부로 인하여, 평면에서 보아 전방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한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에 있어서, 차체 커버의 후방부에는 그래브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그래브 레일의 좌우 양 측부는 전후 1쌍의 볼트로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 프레임 및 차체 커버의 상기 부착부와 함께 체결하여 고정되며, 그 차체 커버의 상기 부착부에는 그 차체 커버에 형성되어서 전후 1쌍의 볼트를 관통시키는 전후 1쌍의 부착구멍의 중간에서 그 부착구멍 주위의 차체 커버의 도장 외면 보다도 그래브 레일 측을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는, 그래브 레일이 차체 커버의 도장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부착부에 그래브 레일을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그래브 레일은, 후방부 프레임에, 차체 커버와 동시에 함께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그 부착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그 래브 레일을 차체 커버에 부착할 때에, 그 차체 커버의 도장면을 상하게 하는 것이 방지되며, 게다가 그래브 레일이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 부착할 때에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어려울 경우라도, 그 차체 커버에의 부착을 간단,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레일의, 차체 커버에의 부착부의 내면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모따기는, 상기 부착부가 차체 커버의 도장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 효과에 추가해서, 그래브 레일을 차체 커버에 부착할 때에, 그 부착 작업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그 차체 커버의 도장면을 상처내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는, 상기 그래브 레일의 부착측을 향해서 차체 커버의 외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의 발명 효과에 추가해서, 그래브 레일을 차체 프레임에, 차체 커버와 함께 부착할 때에, 그래브 레일의 부착면을, 차체 커버의 부착부에 장착하기 쉬워져서, 그 부착 조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차체 커버의 도장면을 상처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가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 조(條)의 안내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 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및 「전, 후」는, 자동 2륜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우선, 도 1∼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그래브 레일 구조 및 그 부착 구조를, 소형의 안장 승차형 자동 2륜차에 실시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그래브 레일 구조를 구비한 자동 2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그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부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자동 2륜차의 골격이 되는 차체 프레임 F는, 전방부 프레임 Ff와, 후방부 프레임 Fr을 일체로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부 프레임 Ff는, 헤드 파이프(1)와, 거기에서 후방으로 하향(下向)에 일체로 연장되는 2갈래 형상의 메인 파이프(main pipe)(2)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1)에는, 통상적인 것과 같이, 하단(下端)에 전륜 Wf를 축에 설치한 프론트 포크(front fork)(3)가 조향(操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프론트 포크(3)의 상단(上端)에는 조향 핸들(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파이프(1)의 하단 및 이 메인 파이프(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5)의 하단에는 엔진 유닛 Eu가 매 달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후방부 프레임 Fr은, 리어 파이프(rear pipe)(10)와, 그 윗쪽의 2갈래 형상의 시트 레일(seat rail)(11)로서 구성되어 있다. 리어 파이프(10)는, 그 전단(前端)이, 상기 전방부 프레임 Ff의 후단(後端)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끝이 올라가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트 레일(11)은, 리어 파이프(10)의 윗쪽을 후방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시트 레일(11)의 전방부는 크로스 파이프(cross pipe)(12)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그 후단은, 뒤에 설명하는 그래브 레일 G의 부착 프레임이 되는 테일 프레임(tail frame)(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엔진 유닛 Eu의 후방부에는, 스윙 암(swing arm)(15)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이 스윙 암(15)의 후단에는, 후륜 Wr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며, 스윙 암(15)과, 후륜 Wr과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1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 프레임 Ff와 후방부 프레임 Fr로서 구성되는 차체 프레임 F의 대부분은, 합성 수지판제 또는 금속판제의 차체 커버 C에 의해 덮혀진다.
시트 레일(11) 사이에는, 연료 탱크 T가 수용되고, 이 연료 탱크 T의 측면에서 외향(外向)으로 나온 플랜지부(16)가, 시트 레일(11)에 복수의 볼트(17)로써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프레임 Fr 상에는, 상기 연료 탱크 T를 덮도록 시트 S가 기복(起伏)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 Fr의 테일 프레임(13)은, 연료 탱크 T의 후방에 있어서, 후면 개방의 단면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좌우 하부(下部)가, 후방부 프레임 Fr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테일 프레임(13)의 좌우 측면에, 그 래브 레일 G가 부착된다. 이 그래브 레일 G는,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제로서, 사람의 체중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전방 개방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프레임 Fr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에 연장되는 기초부(20)와, 이 기초부(20)의 좌우 양측에서 후방부 프레임 Fr의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좌우 측부(21, 22)로서 구성되어 있고, 좌우 측부(21, 22)의 선단(先端), 즉 그 자유단(自由端)의 내측에는, 내부 쪽을 향해서 팽출한다, 팽대(膨大) 형상의 쌍을 이루는 스토퍼(stopper)부(21s, 22s)가 대칭적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21s, 22s)는, 훅(hook) 형상, 구(球)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의 내측에는, 쌍을 이루는 브래킷(21b, 22b)이 내부 쪽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들 브래킷(21b, 22b)은, 상기 테일 프레임, 즉 부착 프레임(11)의 좌우 측면에, 그래브 레일 G를 관통하는, 적어도 전후 2개의 볼트(24)를 가지고, 상기 차체 커버 C와 같이 체결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양 측부(21, 22)의 전반부는, 그 부착부(25) 보다도 전방을 향해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차체 커버 C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커버 C의 측면 후방부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그 가로 폭이 좁아지고 있으며, 차체 커버 C와 상기 스토퍼부(21s, 21s)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그래브 레일 G를 쥐거나, 이것을 부착하기 위해서, 차체 커버 C를 일부러 움푹 패게 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차체 커버 C의 외관에 영향을 끼칠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일정한 간극은, 탑승자의 의복이 끼이기 어렵고, 게다가 짐 걸이용의 로프를 통과시키기 쉬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래브 레일 G의 캔틸레버 형상의 전반부와 차체 커버 C와의 사이에는, 손이 넣어질 정도의 쥐는 공극(空隙) D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기초부(20)를 포함하는 후반부는, 그 전반부에 대하여 끝이 올라가게 경사되어 있어서, 그 기초부(20)가 쥐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그래브 레일 G는, 탑승자가, 지상에서, 혹은 시트 S 위에 앉아 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서 쥘 수 있고, 그 때에,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전반부는, 그 부착부(25) 보다도 전방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차체 커버 C와의 사이에, 상하로 개방된 쥐는 공간 D가 형성되고, 게다가 그 부착부에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는 전반부의 주위는, 그 전체 주위에 걸쳐 개방되어 있어서, 장애물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탑승자는 그 쥐는 공간 D에 손을 넣기 쉽고, 순간의 경우에도, 재빠르게 그 전반부, 즉 그래브 레일 G를 쥘 수 있으며, 그 때, 상기 부착부(25)가, 쥐는 조작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21s, 22s)는, 그래브 레일 G를 쥔 손의 빠지는 방향, 즉 그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고, 그 쥠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쥐는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전방이 되는 일이 없고, 그래브 레일 G에 가해지는 휨 모멘트를 소정의 범위 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21s, 22s)의 내단면은, 차체 커버 C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이 스토퍼부(21s, 22s)와 차체 커버 C와의 사이에 탑승자의 의복 등이 끼이기 어렵고, 게다가, 그것들의 사이에, 그래브 레일 G 상에 적재한 하물을 잡아 매기 위한 짐 걸이용 로프 등을 통과시키기 쉽다.
또한, 그래브 레일 G는, 그 양 측부(21, 22)가 각각 1개소에서 차체 프레임 F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래브 레일 G 및 차체 프레임 F의 부착부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그 부착 조작도 용이해져,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브 레일 G는, 연료 탱크 T의 후방에서, 후방부 프레임 Fr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 그래브 레일 G의 부착에 의해, 자동 2륜차 자체의 차폭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는 일이 없고,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외측면은, 차체 커버 C의 최대폭의 외면에서, 종래의 것만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작게 되어, 외관상의 체재가 양호한 외에, 그래브 레일 G가 차체측 쪽의 다른 것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어서, 도 5∼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부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그래브 레일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와 동일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 화살표 에서 본 도면, 도 12는 자동 2륜차의 후방부 프레임, 차체 커버 및 그래브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그래브 레일에 하물을 잡아 맨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 2륜차 후방부의 측면도, 도 14는 그래브 레일에 하물을 잡아 맨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 2륜차 후방부의 평면도이다.
이 제2실시예는 그래브 레일의 구조, 그 후방부 프레임 및 차체 프레임에의 부착 구조가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상위(相違)하고 있다.
도 5, 도 6 및 도 12에 전체가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는 알루미늄 합금제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그래브 레일 G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선단, 즉 그것들의 자유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내부 쪽을 향해서 팽출하는 스토퍼부(21s, 22s)가 대칭적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도 6,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측부(21, 22)의 내측의 상반부에는, 그것들 스토퍼부(21s, 21s)의 후방에, 약간의 간격, 즉 로프, 끈 등의 짐 걸이용의 줄(31)을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열어서, 쌍을 이루는 클로 편(30)이 서로 내향에 대칭적으로 일체로 세워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클로 편(30)은,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상에 적재한 하물 L을 잡아 맸을 때에, 짐 걸이용의 로프, 끈 등의 줄(31)을 받아내고, 그 줄(31)이, 그래브 레일 G′를 따라 벗어나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다.
또한, 상기 1쌍의 클로 편(30)이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의 상반부에 형성되는(도 12, 도 13 참조) 이유는, 그것들이 탑승자의 손에 닿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8, 도 9 및 도 12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쌍을 이루는 브래킷(21b, 22b)이 내부 쪽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브래킷(21b, 22b)은, 전후 방향의 장축(長軸)을 갖는 타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브래킷(21b, 22b)에는,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볼트 구멍(33)이 각각 뚫려 있다(도 8에 좌측의 볼트 구멍(33)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것들 볼트 구멍(33)의 외단부는,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그래브 레일 G′를, 후방부 프레임 Fr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4)의 두부(頭部)(24a)가 매입되어, 그래브 레일 G의 외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9, 도 10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좌우의 브래킷(21b, 22b)의 내면은, 평탄한 부착면(21c, 22c)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것들 부착면(21c, 22c)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그 전후 방향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모따기(21d, 2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 모따기(21d, 22d)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에 부착할 때에, 그 차체 커버 C의 외면의 도장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그래브 레일 G′의 좌우의 브래킷(21b, 22b)의 내면(21c, 21c)은, 후방부 프레임 Fr의 테일 프레임(부착 프레임)(11)의 좌우 측면에, 상기 2개의 볼트(24)를 가지고, 상기 차체 커버 C의 후방부에 동시에 각각 함께 체결하여 고정시킨 다. 그리고, 그 부착 상태에서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양 측부(21, 22)의 전반부가, 그 브래킷(21b, 22b) 보다도 전방이 캔틸레버 형상으로, 차체 커버 C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12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커버 C의 좌우 양측의 후방부 외면에는, 그래브 레일 G′의 좌우의 브래킷(21b, 22b)을 부착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좌우 부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부(25)의 외면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커버 C의 외면에서 바깥 쪽으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로서의 복수 조(條)(이 실시예에서는 3조)의 안내 리브(rib)(25a)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 안내 리브(25a)의 상부에는, 그 윗쪽을 향해서 점차 낮아지는 안내면(25b), 즉 윗쪽을 향해서 하강 구배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안내면(25b)은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에 붙일 때의,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체 커버 C의 부착부(25)의, 상기 팽출부(25a)의 양측에는, 1쌍의 부착 구멍(25c)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 프레임 Fr의 후단 좌우 양측에는, 상기 차체 커버 C의 좌우 부착부(25)에 대응해서, 좌우 부착 플레이트(13a)가 일체로 설치되며, 거기에 상기 1쌍의 볼트(24)가 각각 나사로 장착되는 1쌍의 너트(34)가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 너트(3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커버 C의 부착 구멍(25c)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리브(25a)의 높이는, 상기 너트(34) 보다 도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와 테일 프레임(13)에 함께 체결할 때, 이 안내 리브(25a)가 탄성 변형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차체 커버 C가, 그래브 레일 G′와 테일 프레임(13)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와 함께 후방부 프레임 Fr의 테일 프레임(13)에 함께 체결하여 고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의 후방부 윗쪽에 위치시켜, 그 좌우 브래킷(21b, 22b)을, 차체 커버 C의 부착부(25)의 부착 플레이트(13a)에, 그 윗쪽으로부터 끼워 맞춘다. 이 때, 좌우 브래킷(21b, 22b)의 내면, 즉 부착면(21c, 22c)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상기 모따기(21d, 22d)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좌우 브래킷(21b, 22b)은, 차체 커버 C의, 도장된 외면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즉, 그 도장면을 상처 입히는 일 없이, 좌우 브래킷(21b, 22b)의 내면(21c, 22c)을, 차체 커버 C의 좌우 안내 리브에 각각 끼워 맞출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을 끼워 맞출 때, 안내 리브(25a)의 상부에는, 윗쪽을 향해서 점차 낮아지는 경사 안내면(25b)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끼워 맞춤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고, 게다가, 차체 커버 C의 도장면인, 상기 팽출부도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해서, 차체 커버 C의 좌우 부착부(25)의 소정의 위치에,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브래킷(21b, 22b)이 각각 끼워 맞추어지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볼트(24)를, 좌우 브래킷(21b, 22b)의 볼트 구멍(33) 및 차체 커버 C의 부착 구멍(25c)을 관통시킨 후, 이것들의 볼트(24)를, 후방부 프레임 Fr의 테일 프레임(13)의 너트(34)에 나사로 끼워 맞추면, 이것들의 볼트(24)에 의해, 테일 프레임(13)에,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와 함께 같이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제2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그래브 레일 G′는, 탑승자가, 지상에서, 혹은 시트 S 위에 앉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서 쥘 수 있고, 그 때에,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전반부는, 그 부착부(25) 보다도 전방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차체 커버 C와의 사이에, 상하로 개방된 쥐는 공간 D가 형성되며, 게다가 그 부착부(25)로부터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는 전반부의 주위는, 그 전체 주위에 걸쳐 개방되어 있어서, 장애물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탑승자는 그 쥐는 공간 D에 손을 넣기 쉽고, 순간의 경우에도, 재빠르게 그 전반부, 즉 그래브 레일 G′를 쥘 수 있으며, 그 때, 상기 부착부(25)가, 쥠 조작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21s, 22s)는, 그래브 레일 G′를 쥔 손의 빠지는 방향, 즉 그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어, 그 쥠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쥐는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전방이 되는 일이 없고, 그래브 레일 G′에 가해지는 휨 모멘트를 소정의 범위 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21s, 22s)의 내단면은, 차체 커버 C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이 스토퍼부(21s, 22s)와 차체 커버 C와의 사이에 탑승자의 의복 등이 끼이기 어렵다.
또한, 그래브 레일 G′의 후방에는, 짐 걸이용의 로프 등의 줄(31)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그 줄(31)의 변위 이동 방지용의 클로 편(30)을 내부 쪽을 향해서 일체로 세워 형성했으므로,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상에 적재한 하물 L을 로프, 끈 등의 짐 걸이용의 줄(31)에 의해 잡아 맬 때에, 그 줄(31)을 클로 편(30)에 의해 확실하게 걸리게 하여 그 줄(31)의 변위 이동을 방지하여, 하물 L을 확실하게 잡아 맬 수 있다. 또한, 그래브 레일 G′상에 적재한 하물 L을 잡아 매기 위한 짐 걸이용 로프 등의 줄(31)을 통과시키기 쉽다. 또한, 상기 클로 편(30)은, 그래브 레일 G′의 좌우 측부(21, 22)의 내면 상반부에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손에 닿기 어렵다.
또한, 그래브 레일 G′는, 그 양 측부(21, 22)가 각각 1개소에서 차체 프레임 F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래브 레일 G′ 및 차체 프레임 F의 부착부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그 부착 조작도 용이해져,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래브 레일 G′는, 후방부 프레임 Fr에, 차체 커버 C와 함께 같이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그 부착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그래브 레일 G′를 차체 커버 C에 부착할 때에, 그 차체 커버 C의 도장면에 상처내는 것이 방지되며, 게다가 그래브 레일 G′가 높은 강성을 갖고 있어서, 그 부착 시에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어려울 경우라도, 그 차체 커버에의 부착을 간단,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브 레일 G′는, 연료 탱크 T의 후방에서, 후방부 프레임 Fr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 그래브 레일 G′의 부착에 의해, 자동 2륜차 자체의 차폭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는 일은 없으며,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브 레일 G′의 외측면은, 차체 커버 C의 최대폭의 외면으로부터, 종래의 것만큼 바 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적게 되어, 외관상의 체재(體裁)가 좋은 외에, 그래브 레일 G′가 차체 옆쪽의 다른 것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래브 레일을 후방부 프레임의 시트 레일에 부착하고 있지만, 그것을 후방부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래브 레일은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것을 철 등의 다른 금속, 혹은 유리섬유 등의 강화재에 의해 강화된 강화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Claims (4)

  1. 그래브 레일(G′)을, 그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배치되는 기초부(20)와, 이 기초부(20)의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좌우 양 측부(21, 22)로 인하여, 평면에서 보아 전방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한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에 있어서,
    차체 커버(C)의 후방부에는 그래브 레일(G′)을 부착하기 위한 오목형상의 부착부(25)가 형성되고, 그래브 레일(G′)의 좌우 양 측부(21, 22)는 전후 1쌍의 볼트(24)로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 프레임(Fr) 및 차체 커버(C)의 상기 부착부(25)와 함께 체결하여 고정하고, 그 차체 커버(C)의 상기 부착부(25)에는 그 차체 커버(C)에 형성되어서 전후 1쌍의 볼트(24)를 관통시키는 전후 1쌍의 부착구멍(25c)의 중간에서 그 부착구멍(25c) 주위의 차체 커버(C)의 도장 외면 보다도 그래브 레일(G′)측을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25a)를 형성하고, 그 팽출부(25a)는, 그래브 레일(G′)이 차체 커버(C)의 도장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부착부(25)에 그래브 레일(G′)을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레일(G′)은, 차체 커버(C)에 부착되는 부착부(21b, 22b)의 내면(21c, 22c)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모따기(21d, 2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모따기(21d, 22d)는, 상기 부착부(21b, 22b)가 차체 커버(C)의 도장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25a)는, 상기 그래브 레일(G′)의 부착 측을 향해서 차체 커버(C)의 외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낮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25a)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 조의 안내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KR1020057022755A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KR100572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1320 2001-01-09
JP2001001320 2001-01-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940A Division KR100576965B1 (ko)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18A KR20050119218A (ko) 2005-12-20
KR100572121B1 true KR100572121B1 (ko) 2006-04-18

Family

ID=18869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940A KR100576965B1 (ko)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KR1020057022755A KR100572121B1 (ko)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940A KR100576965B1 (ko)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573427B2 (ko)
KR (2) KR100576965B1 (ko)
CN (1) CN1235762C (ko)
BR (1) BR0116668A (ko)
GR (1) GR1004793B (ko)
TW (1) TW589265B (ko)
WO (1) WO2002055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8375B2 (ja) * 2003-03-31 2007-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グラブレール
JP4559197B2 (ja) * 2004-11-22 2010-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グラブレール取付構造
JP2009107564A (ja) * 2007-10-31 2009-05-2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09161013A (ja) * 2007-12-28 2009-07-23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150279B2 (ja) * 2008-01-25 2013-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09214626A (ja) * 2008-03-07 2009-09-24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CN101559796B (zh) * 2008-04-16 2010-12-08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头盔防盗装置
JP5593123B2 (ja) * 2010-05-28 2014-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6180484B2 (ja) * 2015-09-30 2017-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グラブレール構造
CN109050759A (zh) * 2018-07-28 2018-12-21 重庆隆鑫机车有限公司 摩托车尾部安装结构及其摩托车
JP6837464B2 (ja) * 2018-11-28 2021-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グラブレ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681U (ja) * 1982-01-13 1983-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S61282177A (ja) * 1985-06-06 1986-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等のシ−ト装置
JPH0741850B2 (ja) 1985-06-06 1995-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自動三輪車のシート支持部開口構造
JPS62113668A (ja) * 1985-11-12 1987-05-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荷掛け装置
JPH01104882U (ko) * 1987-12-30 1989-07-14
JPH10236358A (ja) * 1997-02-27 1998-09-08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ヤグラブレールの取付構造
JPH11263261A (ja) * 1998-03-18 1999-09-28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荷台装置
JP2000001189A (ja) * 1998-06-16 2000-01-07 Suzuki Motor Corp バックレスト装置
JP2002193161A (ja) * 2000-12-22 2002-07-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ヤキャ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73427B2 (ja) 2004-10-06
TW589265B (en) 2004-06-01
JPWO2002055367A1 (ja) 2004-05-13
KR20050119218A (ko) 2005-12-20
WO2002055367A1 (fr) 2002-07-18
KR20030066793A (ko) 2003-08-09
CN1486260A (zh) 2004-03-31
CN1235762C (zh) 2006-01-11
KR100576965B1 (ko) 2006-05-10
GR1004793B (el) 2005-01-31
GR20010100594A (el) 2003-09-09
BR0116668A (pt) 200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7557B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KR100572121B1 (ko) 자동 2륜차의 그래브 레일 부착 구조
JPH058757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JPH02169380A (ja) 自動二輪車
JPH0723629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727723B1 (ko) 자동 2륜차의 그랩 레일
JP4539269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3629999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H0655953U (ja) 後部車体構造
JP6590873B2 (ja) シート構造
JPS6328708Y2 (ko)
JPH06312677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350701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テザーアンカ取付構造
EP2500247B1 (en) Saddlebag attachmen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3421928B2 (ja) 自動二輪車のグラブバー取付構造
JP3334737B2 (ja) 車体後部構造
JPS6224630Y2 (ko)
KR100350058B1 (ko) 안장식 차량용 짐받이
JP3811249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係留フック取付構造
JPS6226299Y2 (ko)
JPH0627443U (ja) 後部車体構造
JPH10287277A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補強構造
JPS627032B2 (ko)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JPS6397478A (ja) 自動二輪車の荷物載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