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618B1 -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618B1
KR100562618B1 KR1020040005725A KR20040005725A KR100562618B1 KR 100562618 B1 KR100562618 B1 KR 100562618B1 KR 1020040005725 A KR1020040005725 A KR 1020040005725A KR 20040005725 A KR20040005725 A KR 20040005725A KR 100562618 B1 KR100562618 B1 KR 10056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tube
leve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056A (ko
Inventor
오쿠보가쓰미
이시바시아키히코
곤도가즈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1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9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879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911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4007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ETS(Eye to the Sky) 방식에 의해 풀어도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보다 고속으로 감아풀 수 있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또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레벨 권선형 코일을 감아푸는 경우에는 보빈을 제거한 상태로,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권선 개시 단부가 윗방향이 되도록 탑재한다. 그리고 관통공을 갖는 추를 준비하고 이 추의 관통공에 구리관을 권선 개시 단부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이 관의 개시 단부를 잡아서 이것을 윗방향으로 인출한다. 이로써, 레벨 권선형 코일의 내면측의 코일(1층째 코일)이 풀리고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해 나간다. 이 때 추는 추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구리관에서의 풀린 직후의 부분에 위치하고, 따라서 추가 코일 내면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 존재한 상태에서 구리관이 풀린다.

Description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METHOD FOR SUPPLY OF PIPE FROM LEVEL WOUND COIL AND PACKED PRODUCT OF LEVEL WOUND COIL AND METHOD FOR SUPPLY OF PIPE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관한 레벨 권선형 코일(level wound coil; LWC(2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LWC(20)의 상반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LWC(20)의 감아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추의 형상의 예를 개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추의 형상의 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도 5a는 축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양태에 관한 LWC(3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이 LWC(30)의 감아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양태에 관한 LWC(4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LWC(40)의 감아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양태에 관한 LWC(11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LWC(110)의 감아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의 (a) 내지 (i)는 LWC 곤포체의 작성 방법을 공정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 내지 (c)는 도 12의 (i)의 다음 공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LWC(11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회전축이 수평인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회전축이 수직인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수송시의 LWC(1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b는 보빈(102)의 분해도이다.
도 18는 ETS 방식에 의한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복수 권선된 관이 집단으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ETS 방식에 의한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냉동기의 전열관, 및 건물용 급탕 및 급수 배관 등에 사용되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관 등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그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코일축을 수직으로 탑재하여 관을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코일을 감아 푸는 관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벨 권선형 코일 적층체를 구성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Level Wound Coil: 이하, LWC라 한다)은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금속 또는 합금관으로 구성되지만, 이하에서는 그 일례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구리 또는 구리 합금관(이하, 간단히 구리관이라고 할 때에는 구리 합금관도 포함한다)은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기기용 전열관(내면 홈 부착 관 및 평활관 등), 및 건축용 급탕 배관 및 급수 배관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구리관은 제조 공정에서 예컨대 코일 형상으로 권선된 후 어닐링되고, 소정의 조질이 되어, LWC의 상태로 보관, 반송 및 되감기된다.
도 14는 종래의 LWC(11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단, 도 14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관(101)의 단면을 원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5는 회전축이 수평인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회전축이 수직인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 측판(102b) 및 내통(102a)으로 구성되는 보빈(102)을, 그 축 방향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하여 회전 장치(103) 또는 (104)에 부착하고, 상기 회전 장치(103) 또는 (104)에 의해, 보빈(102)을 회전 방향(당겨감기)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구리관(101)이 보빈(102)에 당겨 감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도시된 좌측 단부의 위치를 개시 단부(111)로 하여, 구리관(101)을 보빈(102)의 내통(102a)의 외주면에 놓고 우측 방향으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한다. 이 경우의 정렬 방식의 권선이란 구리관(101)의 1회전과 인접하는 1회전이 서로 접촉하도록, 즉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밀접하게 구리관(101)을 휘감은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도시한 우측 단부까지 구리관(101)이 도달하여 1층째 감기가 종결된 후,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를 향해 2층째를 감는다. 2층째의 권선 개시 단부가 되는 구리관 부분(112)은 1층째 종단이 되는 구리관 부분과 측판(102b)과의 사이의 간극상에 위치하여, 순차적으로 좌측 방향을 향해서 1층째 코일에서 인접하는 구리관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감는다. 그 후, 3층째 코일을 2층째 코일 상에 적층한다. 이와 같이, 원통 형상의 1층의 코일을 형성한 후, 그 위에 2층째 원통 형상 코일을 관축 방향(반대 방향)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권선 방법을 트래버스 권선이라고 한다. 종래, 트래버스 권선되는 각 층의 코일의 권선 수는 각 층에서 동일하지만, 구리관(101)을 이러한 방법으로 감아서, 부피가 작은 LWC(110)를 제작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수송에 필요한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LWC(110)의 질량은 1코일당 100 내지 500kg이다. 또한, LWC(110)은 최외각 둘레에 구리 밴드 등으로 풀림 정지 처리를 실시한 후, 보빈(102)과 내통(102a)을 제거하여, 예컨대 롤러 노상로형의 연속 어닐링 화 로에 의해 소정의 조질로 어닐링된다.
어닐링한 LWC(110)를 수송할 때에는 예컨대 두 번째 보빈(102)을 장착하고, 또는 LWC(110)만 있는 상태로 LWC(110)의 코일축이 수직으로 되도록 펠렛상에 탑재한다. 그 때, 하나의 코일만을 펠렛상에 탑재하는 경우, 및 코일사이에 완충재를 장착하여 복수의 코일을 쌓아 올려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운반시의 충격으로 짐의 망가짐 또는 주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외면을 골판지 등으로 덮는 동시에, 펠렛의 4구석부 또는 펠렛 각 변의 중앙부에 고정을 위한 지주를 세워, 코일을 지주에 고정한 상태로 에어컨 조립 공장 등의 구리관 사용처로 수송한다.
도 17은 수송시에 있어서의 LWC(1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LWC(110)는 보빈(102)을 제거하고, 감긴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리 밴드 등의 끈(106)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코일(110)의 사이에 완충재로서 골판지로 제조된 라이너(105)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처까지 수송된 LWC(110)는, 곤포를 푼 후,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의 중심에 1코일씩 내통(102a)을 삽입하고, 또한 내통(102a)에 측판(102b)을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보빈(102)을 조립하고, 보빈(102)에 감긴 상태로 회전 장치(103) 또는 (104)에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 장치(103) 또는 (104)의 회전축을 회전 방향(감아 풀기)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도 14에 나타낸 종단(113)의 구리관 부분을 잡아서 인출함으로써 LWC(110)가 그 외주측으로부터 감아 풀린다
수송 및 보관시에 외관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코일을 감아풀면 코일의 중앙부 부근에 감겨 있는 구리관의 외면이 변색되는 경우가 있다. 이 변색은 산화막 의 형성에 의해 발생되고, 팥소 변색이라고 불리고 있다. 구리관(101)에 이러한 변색이 발생한 경우, 구리관(101)을 납땜할 때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동시에 외관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된다. 이 때문에 변색이 발생하면 수율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해된다.
또한, 상술한 공정에서는 LWC(110)를 회전 장치(103) 또는 (104)에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 LWC(110)의 질량이 크다는 점에서, 안전성 확보 및 코일(110)의 변형방지를 위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회전 장치(103)를 사용하여 코일(110)을 그 코일축을 수평으로 하여 감아 푸는 경우, 구리관(101)의 인발력이 크면 코일(110)을 감아 죄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감아 죔으로써 측판(102b)에 인접하는 구리관 부분은 측판(102b)과 구리관(101)과의 간극에 들어가, 빠지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변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것이 가공의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회전 장치(103)는 코일을 수평의 회전축으로부터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여 구리관을 이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 비용이 높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회전 장치(104)를 사용하여, 코일(110)을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코일 외면측에서 감아 푸는 경우, 이 경우도 구리관(101)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코일에 대해 코일이 감아 죄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구리관(101)이 서로 스쳐 찰과상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하시 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LWC(110)를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감아 푸는 경우에는 LWC(110)를 탑재하기 위한 턴테이블(107)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회전 장치(104)도 장치 비용이 높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감아 푸는 방법에서는 감아 풀기 위한 장치를 도입하기 위해서 막대한 투자가 필요했다. 특히, 감아 푸는 관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고자 하면 턴테이블(107)을 포함한 회전 장치(104)에 있어서, 턴테이블(107)의 회전 속도를 복잡하게 제어해야 하여, 장치 비용이 매우 높아진다.
그래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ETS(Eye to The Sky)라 불리는 코일의 감아 푸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8 및 도 20은 ETS 방식에 의한 감아 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방법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 중에 보빈(102)이 장착되는 경우, 보빈(102)의 측판(102b) 및 내통(102a)을 제거하고, 또한 보빈(102)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상태 그대로, LWC(110)를 대(114)에 탑재한다. 이 경우에 LWC(110)는 그 코일축을 수직이 되도록 하고,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내면측에 존재하는 코일을 휘감을 때의 개시 단부(111)가 상측이 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이 코일을 감을 때의 구리관 개시 단부(111)를 당겨올려, 대(114)의 윗방향에 설치된 만곡 통 형상의 가이드(115)에 구리관(101)을 삽입하고 그 진로를 변경하여 구리관(101)의 사용처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코일(110)이 회전하지 않고, 구리관(101)이 코일(110)으로부터 인출되어 코일(110)이 그 내면측으로부터 감아 풀리기 때문에, 코일(110)로부터 인출된 직후의 구리관(101)은 나선 형상으로 루프 를 형성하지만, 가이드(115)를 통과하여 인출되는 동안에, 서서히 그 권선 굴곡이 해소된다. 또한 0.2% 내력이 60 내지 70N/mm2 정도인 연질의 인탈산 구리관을 ETS 방식으로 감아 풀면 구리관에 소성 가공이 가해지기 때문에 0.2% 내력은 70 내지 105N/mm2 정도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푸는 경우에는 감아 풀 때의 내통 및 측판의 제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통상, LWC는 보빈이 없는 상태로 펠렛상에 복수개가 탑재되어 수송되어, 사용장소에서 곤포가 풀려 펠렛에 탑재된 상태로 상단의 LWC로부터 차례대로 감아 풀린다. 그 때문에 상기 ETS 방식을 채용하면 측판 및 내통이 불필요해져, 수송 비용이 저감되는 동시에 곤포 및 곤포의 개방 작업의 능률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감아 풀 때에 코일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코일 내면 측으로부터 인출된 구리관은 나선 형상으로 상승하여 소정의 구리관 가공 장소까지 인도되기 때문에, 종형 언코일러 또는 턴테이블 등의 특별한 설비가 불필요하다. 또한, 구리관의 사용처에서는 LWC 수납후에는 사용 장소로 운반하여 곤포된 것을 푸는 것만으로 다단으로 쌓인 상태라도 상측의 LWC로부터 차례대로 감아 풀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작업 능률의 문제가 대폭 경감된다. 또한, 코일이 내면측으로부터 감은 것이 풀리기 때문에, 인출되는 구리관에 작용하고 있는 장력은 코일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구리관의 장력에 의해 코일을 죄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종형 감아 풀기에 있어서의 관의 변형 또는 횡형 감아 풀기에 있어서의 관의 찰과상 및 변형이 방지되어, 관의 수율이 대폭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감긴 LWC를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푸는 경우, 짝수층에서 최초로 감아 풀리는 것이 최하단의 구리관이 된다. 이 위치의 구리관에는 상부의 구리관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어서, 감아 풀기 위해서는 이 가압력을 이기고 구리관을 인출해 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압력이 큰 경우, 관의 내력이 작은 경우, 또는 관의 늘어붙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감아 푸는 장력에 의해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상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들이 수율 향상의 장해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모든 권선층의 구리관이 원활하게 감아 풀리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아래로부터 위로 감아 풀리는 권선층에 있어서, 최하단의 관과 관 아래의 완충재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권선 방법, 또는 종래의 권선 방법에서도 권선층 수와 LWC의 질량과의 비를 특정값 이하로 하여, 최하단의 구리관이 감아 풀릴 때의 마찰력을 작게 하는 권선 방법을 제안했다.
LWC의 권선 방법을 상술한 선원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꾸거나, 종래의 권선 방법에서도 권선층 수와 LWC의 질량과의 비를 특정값 이하로 한 경우, ETS에 의한 감기를 1개의 LWC의 최초부터 최후까지 거의 원활하게 할 수 있어서,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 등에 의한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개선된 권선 방법을 채용해도 아래로부터 위로 감아 푸는 권선층에서는 감아 푸는 공정이 진행되어 그 층의 권선 수가 적어지면 상부의 관의 질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 권선의 관이 집단으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하 기도 한다(도 19 참조). 이 경우, 들어 올려진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감아 푸는 속도를 떨어뜨려 관을 억제함으로써 관이 집단으로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집단으로 상승된 관을 풀기 위해서 감아 푸는 것을 멈출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상술한 관의 집단 상승은 관의 되감기 속도가 클수록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되감기 속도를 일정치 이상으로 올리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풀어도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보다 고속으로 감아 풀 수 있는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또는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제 1 발명에 관한 LWC에서의 관의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순차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자연수이다)이라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 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탑재하고, 관통공이 있는 추에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2 발명에 관한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양옆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순차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자연수이다)라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적재하여,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3 발명에 관한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외측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순차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자연수이다)이라고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하여 적재하여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권선 개시 부위를 상측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를 하측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4 발명에 관한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층째 코일의 제 2 권선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그 이후 순차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 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순차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모두 n(n은 자연수이다)이며,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권선층 수를 m(m은 자연수이다)로 하고, m/2의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한 값을 m'로 하고, 코일의 질량을 W라 했을 때 W/m'가 18.0kg 이하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탑재하고,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5 발명에 관한 LWC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본원 제 1 내지 제 4 발명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서, 관을 공급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켜, 전회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WC의 관의 재질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도 있다.
상기 추의 형상은 그 축 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뿔대, 사각뿔대, 원뿔대 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사각뿔대의 바닥면에 사각 기둥을 결합한 형상 중 어떤 것을 선택한 것이라도 바람직하다.
본원 제 6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순차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n-1)이며,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기 펠렛과 최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에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상에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된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지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삽통한 후, 상기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홀 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7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양옆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 1)이며,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어, 상기 펠렛과 최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상에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된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을 수직이 되도록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삽통하여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있고 (n+1)인 것이 바 람직하다.
본원 제 8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외측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기 펠렛과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상에 완충재가 장착되어,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된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탑재하여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관통시켜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에는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는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에는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9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층째 코일의 제 2 권선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도록 하고, 그 이후 차례에서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2층째 코일상에 3층째 코일, 3층째 코일상에 4층째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모두 n(n은 자연수이다)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권선층 수를 m(m은 자연수이다)로 하고, m/2의 소수점 이하를 버려 정수로 한 값을 m'로 하고, 코일의 질량을 W라 했을 때 W/m'가 18.0kg 이하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기 펠렛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상에 완충재가 장착되어,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된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관통시켜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또한,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10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은 본원 제 6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에 있어서, 관의 공급 중에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의 완충재를 제거하여,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구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WC의 관의 재질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도 있다.
상기 추의 형상은 그 축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뿔대, 사각뿔대,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사각뿔대의 바닥면에 사각기둥을 결합한 형상 중 어떤 것을 선택한 것이라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LWC에서 관을 감아 풀 때 추를 사용하기 때 문에,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풀어도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고, 보다 고속으로 감아 풀 수 있다.
본원 제 11 발명에 관한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는 펠렛과, 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된 레벨 권선형 코일과, 그의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를 싸는 자루와, 이 자루의 측부에 긴장 권선된 띠 형상의 수지 필름을 갖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로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동일하게 하여 2층째 코일상에 3층째 코일, 3층째 코일 상에 4층째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홀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레벨 권선형 코일이며, 이때 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1)이며,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으로 하여,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1)로 하고, 또한, 1층째(최내층)에 있어서의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레벨 권선형 코일을 탑재함으로써 이 곤포체에서 레벨 권선형 코일을 감아 풀 때 홀수층째의 코일에서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아 풀고, 짝수층째의 코일에서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서 감아 풀 수 있게 된다. 이 때, 짝수층째의 코일에서는 최하단의 관의 아랫방향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최하단의 관을 인출할 때 그것보다 상단의 관의 무게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레벨 권선형 코일을 홀수층의 코일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이 곤포체에서의 레벨 권선형 코일을 감아 풀 때, 최외층의 코일을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감아 풀 수 있다. 이에 의해, 관을 윗방향으로 인출할 때에, 이 인출된 관과 함께 복수개의 권선의 관이 인출되어 서로 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외층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함으로써 이 최외층의 코일에 의해 최외층보다도 하나 내측의 층의 코일이 윗방향 및 코일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외층보다도 하나 내측의 층의 코일을 정상적으로 감아 풀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LWC(110)에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ETS에 의해 LWC(110)로부터 관(101)을 인출하고자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또는 찰과상이 발생한다. 본원 발명자들이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즉, 도 14에 나타낸 LWC(110)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배치하면 감아 풀 때(감아 풀기)에, 홀수층의 코일에서의 최하단의 구리관 부분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한 후, 짝수층의 코일에서의 최하단의 구리관 부분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지만, 이 짝수층의 코일에서의 최하단의 구리관 부분은 이 층에서의 그 윗방향의 구리관 부분과 코일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재(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끼이게 되어, 윗방향의 구리관 부분으로부터 완충재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 때문에 인출이 이 짝수열의 최하단으로 옮겨졌을 때에, 구리관(101)의 인출에 큰 저항력이 작용하여 막혀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구리관(101)을 인출하기 위해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무리하게 인출하려고 하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원 제 11 발명에서는 코일축 방향을 수직이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를 윗방향으로 하여 LWC(레벨 권선형 코일)를 펠렛상에 탑재한 경우에, 2층째의 코일은 1층째의 코일의 마지막 부분이 당겨 올려진 후, 그 하측의 부위로부터 차례대로 당겨 올려진다. 이 경우에 2층째의 코일의 최하단의 관 부분은 코일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재 또는 펠렛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2층째의 코일의 최하단의 관 부분(최초에 인출되는 부분)은 그 위의 관부분과 완충재 또는 펠렛과의 사이에서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2층째의 코일의 개시 단부는 원활하게 인출되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에 있어서는 홀수층의 코일에서의 최하단의 관부분이 인출되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된 후, 짝수층의 코일에서의 최하단의 관부분이 인출되도록 할 때, 이 짝수층의 코일의 최하단의 관부분은 보빈의 측판에는 접촉되지 않고, 그 위의 관 부분과 펠렛과의 사이에서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최하단의 관 부분은 원활하게 인출되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문에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원 제 12 발명에 관한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는, 펠렛과, 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된 레벨 권선형 코일과, 이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를 싸는 자루와, 이 자루의 측부에 긴장 권선된 띠 형상의 수지 필름을 갖고,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양옆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2층째 코일 상에 3층째 코일, 3층째 코일 상에 4층째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짝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레벨 권선형 코일에 있어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1)이며,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최외층의 권선 수가 (n+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12 발명에서는 코일축 방향을 수직이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를 아랫방향으로 하여 LWC를 펠렛상에 탑재한 경우, 2층째의 코일은 그 최하단의 관 부분이 펠렛에 접촉하여 그 상단의 관부분과 펠렛과의 사이에서 구속되어 있지만, 관을 인출할 때, 1층째의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아랫방향에 배치되어 있다)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인출했을 때, 1층째의 코일의 최후의 인출 부분은 최상단의 관 부분이고, 따라서 2층째의 코일은 최상단의 관 부분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 2층째에서 마지막에 최하단의 관이 인출될 때에는 그 위에는 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2층째의 코일도 원활하게 인출된다. 3층째의 코일은 그 인출 개시 단부가 최하단의 관 부분이지만, 그 최하단의 관부분은 펠렛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3층째의 코일도 원활하게 인출된다. 이 때문에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원 제 13 발명에 관한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는 펠렛과, 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된 레벨 권선형 코일과, 이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를 싸는 자루와, 이 자루의 측부에 긴장 권선된 띠 형상의 수지 필름을 갖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곤포체로서, 이때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외측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2층째 코일 상에 3층째 코일, 3층째 코일 상에 4층째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레벨 권선형 코일이고, 이때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에는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거나, 또는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에는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제 13 발명에 있어서는 권선 개시 단부가 아랫방향이 되도록 하여 펠렛상에 LWC를 탑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홀수열 및 짝수열의 코일의 최하단의 관 부분에 있어서, 제 2 발명과 완전히 동일한 배열이 되도록, 제 2 발명과 마찬가지로 하여 관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제 11 내지 제 13 발명에 있어서, LWC가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푸 는 경우, 짝수층 또는 홀수층의 최하단의 관은 상부 관에 의한 가압력 또는 하부의 스페이서 또는 완충재와의 마찰력이 존재해도 이탈할 수 있지만, 상부 관에 의한 가압력 또는 하부의 스페이서 또는 완충재와의 마찰력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즉, 각 LWC의 짝수층과 홀수층을 합한 권선층 m 중, LWC의 과중을 지탱하는 것은 m/2이지만, 관의 재질이 구리인 경우, 각 LWC에서 그 질량을 m/2로 나눈 값이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제 11 내지 제 13 발명에서는 이 LWC를 곤포할 때 펠렛상의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전체를 자루로 싸고, 또한 그 외측이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권선되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 중에 습기가 코일 내부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어, 코일 내부의 산화에 의한 변색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관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관일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관에 의해 전열관을 제작하는 경우, 열 전도율이 우수한 전열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과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상호간에 완충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곤포체의 운송중 등에 있어서 레벨 권선형 코일이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표면이 완충재로 덮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 상기 펠렛은 상기 띠 형상의 수지 필름 상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루가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레벨 권선형 코일이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레벨 권선형 코 일이 변색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관이 구리관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원 제 1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 양태의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양태의 LWC 적층체를 구성하는 LWC(20)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관의 권선 방법을 나타내는 LWC(20)의 상반부의 모식도이고, 도 3은 LWC(20)의 감아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보빈(2)은 원통 형상의 내통(2b)과, 이 내통(2b)의 양단 부분에 부착된 측판(2a)을 갖는다. 그리고 보빈(2)은 도 15 또는 도 16의 회전 장치(103) 또는 (104)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본 실시 양태의 LWC에서는 우선 구리관(1)을 내통(2b)의 좌측 단부에 위치시키고, 이것을 권선 개시 단부(21)로 하고, 보빈(2)을 회전 장치(103) 또는 (104)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구리관(1)을 내통(2b)에, 도 1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감아 정렬 방식으로 권선한다(트래버스 권선). 즉, 구리관(1)을 내통(2b)에, 구리관 부분에 간극이 없이 항상 접촉하도록, 정렬 방식 권선으로 감는다. 본 실시 양태에서 1층째의 코일 감기가 종료되면 1층째의 종단의 구리관 부분은 측판(2a)에 접촉한다. 따라서, 내통(2b)의 축방향의 길이는 구리관(1)의 외경의 정수 배이고, 이 1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로 하고, 구리관(1)의 외경을 D라고 하면, 내통(2b)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nD가 된다. 1층째의 코일 감기가 종료되면 2층째는 그 개시 단부의 구리관 부분(22)을, 1층째의 코일의 종단(n회째)의 구리관 부분과 그 직전(n-1째)의 구리관 부분과의 사이의 오목부에 위치시켜, 차례대로, 도 1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정렬 방식 권선으로 감아 간다. 2층째 코일은 그 좌측 단부의 종단에서, 측판(2a)과의 사이에 또한 1코일이 들어갈 만큼의 여유가 없기 때문에, 측판(2a)과의 사이에 간극을 남긴 채로, 3층째 감기로 옮긴다. 따라서, 2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1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 n보다 1회 적어, n-1이 된다. 3층째의 코일은 1층째와 마찬가지로 n회이고, 도 1의 우측 방향으로 감는다. 이 경우에 3층째도 1층째와 마찬가지로 그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은 측판(2a)과 접촉한다. 4층째는 2층째와 마찬가지로 개시 단부의 구리관 부분(23)을 측판(2a)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배치하여, 도 1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구리관을 감아 간다.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 1)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이렇게 하여 홀수층의 권선층을 형성하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이 되도록 LWC(20)을 형성한다.
LWC(20)은 최외각 둘레에 구리 밴드 등으로 풀림 정지 처리를 한 후, 보빈(2)과 내통(2b)를 제거하고, 소정의 조질로 어닐링한다. 어닐링시에 LWC에 늘어붙음이 발생하면 ETS 방식에 의해 감아 풀 때에 꺾임, 긁힘 및 변형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닐링시에 관이 늘어붙지 않도록, 코일의 권선 장력 및 권선 방향, 적층 방향의 코일수, 관의 외면의 기름, 어닐링 온도, 어닐링 시간 및 어닐링 분위기 등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LWC에 늘어붙음이 발생하지 않으면, 예컨대, 재질이 인탈산 구리(JISH 3300-C1201 및 C1220)의 경우는 어닐링 후의 구리관의 0.2% 내력이 50 내지 150N/mm2이고, 신장률이 35 내지 55%이고, 이러한 내력 및 신장률을 갖는 LWC의 경우는, 관에 휨, 꺾임 및 긁힘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ETS 방식으로 감아 풀 수 있다. 단, 이것은 일례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LWC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LWC(20)을 감아 푸는 경우에는 보빈(2)을 제거한 상태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권선 개시 단부(21)가 윗방향이 되도록 하여 탑재한다. 그리고 관통공(91)을 갖는 추(90)를 준비하여, 이 추(90)의 관통공(91)에 구리관(1)을 권선 개시 단부(21)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이 권선 개시 단부(21)를 잡아서 이것을 윗방향으로 인출한다. 이에 의해, LWC(20)의 내면측의 코일(1층째 코일)이 감아 풀고,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해 나간다. 이 때 추(90)는 추(9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구리관(1)에서 감아 푼 직후의 부분에 위치하고, 따라서 추(90)가 코일 내면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 존재한 상태로 구리관(1)이 감아 풀린다. 1층째 코일은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아 풀리기 때문에, 감아 풀기가 진행됨에 따라서 추(90)도 하강한다. 그리고 1층째 코일의 최하단(도 1에서는 최우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하면 2층째 코일의 최하단(최우측 단부)의 권선 개시 단부의 구리관 부분(22)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지만, 본 실시 양태에서는 이 2층째 개시 단부의 구리관 부분(22)은 측판(2a)과 접촉하고 않고, 측판(2a)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기 때문에, 구리관 부분(22)은 그 상층(좌측 방향)의 구리관 부분과 측판(2a)과의 사이 에서 구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리관 부분(22)은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코일(20)로부터 원활하게 인출된다.
또한, 1층째 코일의 최하단(도 1에서는 최우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할 때에는 추(90)도 도 3의 하면 레벨의 위치 또는 그 근방까지 하강하여, 추(90)의 외면과 코일 내면이 접촉하고, 그 후, 2층째 코일 최하단(최우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22)이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할 때에는 구리관(1)을 윗방향으로 인출하는 힘이, 구리관(1)이 삽통하는 추(90)에 의해 코일의 중심측을 향하는 힘 성분과 윗방향을 향하는 힘 성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구리관(1)이 추(90)의 삽통 구멍(91)으로 삽통됨으로써 구리관(1)에는 코일의 중심측을 향하는 힘 성분, 즉 구리관(1)을 코일 내면으로부터 박리하는 힘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2층째 코일의 감아 풀기가 보다 원활해진다.
2층째 코일은 아래로부터 위로 감아 풀리기 때문에, 이 층의 감아 풀리지 않은 관에는 상향으로 힘이 작용한 상태가 된다. 종래와 같이 추(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감아 풀리지 않은 관의 권선 수가 적어지면 그 질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구리관(1)에 작용하는 상술한 상향으로의 힘에 의해, 2층째에서의 나머지 권선 부분이 집단적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어서(도 19 참조), 관의 꺾임, 패임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과 같이, 추(90)가 있으면 감아 푸는 관에는 추(90)에 의해 하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2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적어져도, 구리관(1)의 나머지 권선 부분의 집단적인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아랫방향으로부터 윗방향으로 관이 감아 풀리는 짝수층의 감아 풀기를 보다 원활하게 실 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TS에 의한 구리관(1)의 감아 푸는 공정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감아 푸는 방향이 그 반대 방향으로 감아 푸는 것보다도 감아 풀기가 용이하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된 LWC를 그 상단의 LWC로부터 차례대로 감아 푸는 경우, 1개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와 그 아래의 LWC의 권선 개시 단부가 접속하고, 계속해서 접속하여 되감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최외층이 위에서 아래로 감아 풀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권선 종결 단부가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 1 실시 양태의 관의 감아 풀기에서는 감긴 층의 수를 홀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층의 관이 위에서 아래까지 깔끔하게 감겨 있으면, 그것보다 1개 내측의 층의 관은 최외층의 관보다 상측 및 우측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되기 때문에, 흐트러지기 어렵고, 감아 풀기를 원활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외층의 권선 수는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각 층의 코일의 권선 수는 n으로 동일하지만, 본 실시 양태에서는 홀수층이 n이고, 짝수층이 n-1이다. 이러한 LWC(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변경은 트래버스 권선시, 감기 각의 제어 방법의 변경, 및 측판(2a)간의 간격의 변경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LWC(20)의 코일 권선층 수, 1층당 코일 권선 수 n(홀수층째) 및 LWC의 질량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권선층 수는 10 내지 200회 정도이고, 1층당 권선 수 n은 10 내지 100회 정도이고, LWC(20)의 질량은 50 내지 500kg 정도이다.
또한, 관의 재질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열관, 급탕 및 건축 배관 등에 사용하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관의 코일에 적용할 수 있지만, 그들로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강철, 철 합금 및 스테인레스 강 등,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LWC의 제작이 가능한 재질의 관이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의 치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 관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감아 풀 때에 비틀림력이 관에 작용하기 때문에 변형되기 쉬워진다. 일반적으로는 외경이 4 내지 25mm 정도이고, 두께가 0.15 내지 1.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의 조질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구리관의 경우는 연질재 또는 반경재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질재에도 적용가능하다. 경질재에 의해 LWC를 제작한 후, 어닐링하여 연질재 또는 반경재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1개의 LWC의 감아 풀기를 종결하고, 계속해서 다음의 LWC의 감아 풀기를 실시하는 경우는, 상기 1개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고 있을 때, 또는 상승하려 하고 있을 때, 일시적으로 관의 감아 풀기를 정지하거나, 또는 관의 공급 속도를 떨어뜨리고, 다음으로 감아 푸는 LWC의 권선 개시 부위를 추(90)에 삽통시킨 후, 감아 풀기가 종료된 LWC의 권선 종결 단부와, 이것으로부터 감아 푸는 LWC의 단부를 적당한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추(90)에 관(1)을 삽통시킨 상태로 관을 감아 풀어서, 복수의 LWC로부터 관(1)을 연속적으로 감아 풀 수 있다. 관 끼리를 접속하는 지그로서는 감아 푸는 장력에 의해서도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간단히 접속 및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고무 또는 수지 등의 수축성이 있는 재질로 된 튜브에서, 관이 감아 풀리기 위한 장력이 인가되더라도 그것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관을 소정의 위치까지 이끈 후, 접속 지그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방법에서 사용하는 추(90)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추(90)는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서 감긴 층으로부터 관을 박리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LWC에서 관이 아래로부터 위로 감아 풀릴 때에는 관의 집단적인 상승을 방지하여, 관을 변형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또한 보다 고속으로 감아 풀 수도 있다. 추의 형상의 예로서는 축 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기둥,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와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도 3은 원뿔과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각뿔 또는 사각뿔대와 사각 기둥을 조합한 형상, 장축 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회전 타원체, 또는 관통공을 갖는 구 등이 있고, 이러한 형상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이 원뿔대 형상의 추(92)의 예를 개시한다. 추(92)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이 원뿔대의 축방향으로 관통공(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리관(1)은 이 추(92)의 작은 원측으로부터 관통공(91)에 들어가고, 큰 원측에서 관통공(91)이 빠지도록, 관통공(91)을 통과하여 인상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나타낸 추(9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는 축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원 뿔대와 원기둥을 원뿔의 큰 원면에서 결합한 형상을 갖는다. 이 추(90)는 본체부(94)가 예컨대 나일론으로 제조되고, 이 본체의 외면에, 폴리우레탄, 발포고무, 또는 에어 팩 등의 피복부(95)가 피복되어 있다. 이 폴리우레탄 등의 피복부(95)에 의해, 나일론 본체부(94)에 상처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본체부(94)는 나일론으로 형성하고, 피복부(95)를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한 경우의 추(90)의 질량은 관통공(91)의 직경이 24mm이고, 본체부(94)의 원뿔대의 작은 원의 외경이 40mm인 경우, 대략 400g이 된다.
관의 공급 작업 중, 추(90, 92)는 LWC 내주면으로부터 관이 인출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까지 이동하고, LWC 내주면에 대하여 관의 인출 방향의 힘(박리력)을 부여하여 관의 인출을 원활하게 한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짝수층의 관은 아래로부터 위로 차례대로 감아 풀리지만, 추는 인출이 특히 어려운 최하단 및 최하단 근방의 관의 인출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추의 질량에 의해, 짝수층의 관(1)이 집단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추는 원뿔대 및 각뿔대 등과 같이, 상하 단면의 면적이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는 단면적이 작은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을 삽통시키면, 추에 의한 박리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켜, 관을 원활하게 감아 풀 수 있다. 원뿔, 원뿔대, 각뿔, 또는 각뿔대 형상을 이루는 추의 꼭지각은 LWC의 내주 직경 및 관의 외경에 맞게 적절히 정하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10 내지 9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뿔대의 꼭지각이란 그 중심을 지나는 단면에 있어서, 1쌍의 사변을 연장하여 교차하는 점에서 상기 사변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각뿔대의 꼭지각이란, 마찬가지 로 그 중심을 지나는 단면에 있어서, 1쌍의 사변을 연장하여 교차하는 점에서 상기 사변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각뿔 및 각뿔대의 꼭지각은 그 성질상, 하나로 정해지지 않고, 범위를 갖는다. 또한, 추의 관통공의 길이 및 직경도, 관의 감아 풀기가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LWC의 내주 직경이나 관의 외경 등에 맞춰 적당한 값을 선택하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는 관통공의 길이는 50 내지 200mm 정도이고, 관통공의 직경은 LWC의 관의 외경의 1.5 내지 4배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추의 관으로의 접촉에 의해, 관에 상처 또는 꺾임이 생기지 않도록, 추의 가장자리 부분을 둥글려 R 가공하거나, 가장자리 부분에 모따기 가공(도 5의 부호(96) 참조)를 해 두면 바람직하다.
추의 질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아래에서 위로 관이 감아 풀리는 경우의 관의 집단적인 상승을 방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ETS에 의한 감아 풀기에 있어서는 감아 푸는 LWC로부터 관이 멀어지는 위치 부근에 추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관의 감아 푸는 속도가 커진 경우, 추의 질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관과 함께 상승하여, 관에 박리력을 부여하기 어렵게 된다. 반대로, 그 질량이 지나치게 크면, 감아 푸는 관에 과대한 외력이 걸려 관에 휨, 꺾임, 패임 등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추의 질량은 관의 기계적 성질(재질 또는 조질),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바람직한데, 예컨대 두께가 0.2 내지 0.4mm 정도의 연질 인탈산 구리관으로 이루어지는 LWC를 감아 푸는 경우에는 관의 단위 중량(1m 당 질량)의 3 내지 20배 정도의 범위에서 적절히 정하면 바람직하다.
추의 재질은 감아 푸는 관에 손상주지 않으면서 가공성이 좋은 것으로 선택 하면 바람직한데, 예컨대 나일론 등의 수지, 목재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추의 외주 및 관통공의 주면을 우레탄 수지 등으로 피복하면 관으로의 충격의 방지 및 관과의 접촉에 의한 상처 방지 등에 더 한층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원 제 2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 양태의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제 2 실시 양태의 LWC(30)의 작성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7은 이 LWC(30)의 감아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1층째의 코일을 권선 개시 단부(31)(관과 측판(2a)과의 사이에 구리관의 외경의 1/2 정도의 간극을 마련한다)로부터 n회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그 후, 1층째의 최종 권선의 관 부분과 보빈의 측판(2a)과의 사이에 2층째의 개시 단부의 관부분을 배치하여, 2층째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다. 그리고 이 2층째의 코일의 종단의 관 부분을 1층째의 코일의 개시 단부의 관부분과 측판(2a)과의 사이에 배치하고, 그 후, 3층째의 코일을 2층째의 코일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한다. 다음으로 1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2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1이고, 홀수층은 n회이고, 짝수층은 n+1회의 정렬 방식으로 권선된다. 또한 측판(2a) 사이의 거리는 관의 외경의 (n+1)배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WC(30)에 대하여, 어닐링 등의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 후, 보빈(2)을 제거한 상태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선 개시 단부(31)를 아랫방향으로 하고,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펠렛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관통공이 있는 추에 관통시켜 권선 개시 단부(31)로부터 윗방향으로 인출하면 LWC(30)의 내 면측의 코일(1층째 코일)이 풀려서 코일내면으로부터 이탈해 나간다. 이 때 추는 추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감아 풀린 관의 코일 내면 또는 그 근방에 존재한 상태로서 풀린다. 1층째 코일은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감아 풀리지만, 관이 집단으로 상승하는 것이 추에 의해서 억제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감아 풀 수 있다. 1층째의 코일 최상단의 관 부분이 인출된 후, 2층째의 최상단의 관부분이 인출된다. 그리고 2층째의 코일은 윗방향으로부터 차례대로 아랫방향을 향해서 인출된다. 2층째 감아 풀기가 진행됨에 따라서 추도 하강한다. 2층째 코일의 최하단이 인출된 후, 3층째 코일의 최하단의 관부분이 인출되지만, 이 3층째의 코일의 최하단의 관부분은 펠렛 또는 완충재와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구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3층째의 코일도 원활하게 인출된다. 또한, 추에 의한 박리 작용에 의해 관을 보다 원활하게 인출하고, 감아 풀기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도, 위로부터 아래로 감아 푸는 편이 그 반대 방향으로 감아 푸는 것보다 관의 감아 풀기가 용이하고, 또한 다단으로 적층한 LWC를 그 상단의 LWC로부터 감아 푸는 경우, 1개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와 그 아래의 LWC의 권선 개시 단부를 이어서 되감기 위해서는 최외층이 위로부터 아래로 감아 풀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을 위해서는 감긴 층의 수를 짝수로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층보다 1개 내측의 층의 관은 최외층의 관보다 도 6의 상측 및 우측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면 정확하게 감아 풀리기 쉽다. 이 때문에 최외층의 권선은 코일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감겨 있는 것, 즉 최외층의 권선 수가 (n+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양태에서는 홀수층이 n이고, 짝수층이 n+1이지만, 이러한 LWC(3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변경은 트래버스 권선시, 감긴 각의 제어 방법의 변경, 및 측판(2a) 사이의 간격의 변경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양태의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제 3 실시 양태의 LWC(40)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9는 이 LWC(40)의 감아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층째의 코일을 n회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2층째의 코일의 개시 단부의 관부분을, 1층째의 코일의 최종 권선(n회째)의 관부분과, 그 직전의 권선(n-1회째)의 관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하고, 이후, 2층째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한다. 그리고, 2층째의 코일의 종단의 관부분을, 1층째의 코일의 개시 단부의 관부분과, 측판(2a)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2층째의 정렬 권선을 종결한다. 이어서 3층째, 4층째의 코일을, 개시 단부의 관부분이 하층의 코일의 개시 단부의 관 부분과 다음 권선의 관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n회 정렬 권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수단째 및 짝수단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모두 n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LWC(40)에 대하여, 어닐링 등의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 후, 보빈을 제거한 상태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선 개시 단부(41)을 윗방향으로 하고,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펠렛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관통공이 있는 추에 관통시켜 권선 개시 단부(41)로부터 윗방향으로 인출하면 LWC(40)의 내면측의 코일(1층째 코일)이 감아 풀려,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해 나간다. 이 때, 추는 추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감아 풀린 관의 코일 내면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 에 존재한 상태로 감아 풀린다. 1층째 코일은 위에서 아래를 향해 감아 풀려서, 최하단까지 1층째의 코일을 인출한 후, 2층째로 옮긴다. 2층째의 최하단의 관 부분은 펠렛과의 사이에 간격이 있고, 또한 추에 의해 관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탈하여 원활하게 인출된다. 2층째의 코일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감아 풀리지만, 감아 풀리는 코일의 수가 줄어도, 추의 질량에 의해 관이 집단으로 상승하는 것이, 추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감아 풀 수 있다. 이렇게 하여 LWC(4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원활하게 감아 풀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양태에서는 권선 개시 단부(41)를 아랫방향으로 하고,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펠렛 상에 탑재해도, LWC의 전체 길이에 걸쳐 원활하게 감아 풀 수 있다. 즉, 홀수층의 코일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감아 풀리지만, 추에 의해서 관의 집단적인 상승이 억제되고, 또한 짝수층의 코일은 윗방향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감아 풀리기 때문에 최하단의 코일이 감아 풀릴 때에는 그 위에는 관이 존재하지 않고, 관의 인출을 방해하는 저항이 없고, 또한 짝수층 최하단의 관과 그 아래의 펠렛 또는 완충재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서, 추에 의한 박리력에 의해 원활하게 코일의 인출이 실시되기 때문이다.
제 3 실시 양태에 있어서도, 다른 실시 양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권선 개시 단부를 윗방향으로 하여 감아 푸는 경우에는 권선층의 수를 홀수로 하고, 최외층의 권선 수를 n으로 하고, 또한, 권선 개시 단부를 아랫방향으로 하여 감아 푸는 경우에는 권선층의 수를 짝수로 하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를 n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양태의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제 4 실시 양태의 LWC(110)의 작성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이 LWC(110)의 감아 푸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층째의 코일을 n회 정렬 방식으로 권선하면, 1층째의 종단의 구리관 부분과 측판(102a)과의 사이에는 관외 직경의 1/2과 동일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1층째의 코일의 감기가 종결되면 2층째에는 그 개시 단부의 구리관 부분(112)을, 1층째의 코일의 종단(n회째)의 구리관 부분과 측판(102a)과의 간극의 부분에 측판(102a)에 접촉하여 위치시키고, 차례대로 도 10의 좌측 방향으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한다. 2층째의 코일은 그 좌측 단부의 종단에 있어서, 측판(102a)과의 사이에 또한 추가로 1개의 코일이 들어갈 만큼의 여유가 없기 때문, 측판(102a)과의 사이에 관외 직경의 1/2과 동일한 간극을 남긴 채로, 3층째의 감기로 옮긴다. 따라서, 2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1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 n과 동일해진다. 3층째의 코일은 1층째와 동일하게 n회이고, 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감는다. 이 경우에, 3층째도 1층째와 마찬가지로 그 좌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은 측판(102a)과 접촉하고, 또한 우측 단부의 구리관 부분과 측판(102a)과의 사이에는 관외 직경의 1/2과 동일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홀수단째 및 짝수단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모두 n회이다. 이렇게 감아 어닐링되지만, 어닐링된 LWC를 ETS에 의해 원활하게 되감기 위해서는 후술한 이유에 의해 권선층 m 중, 코일의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짝수층의 수, 즉 m/2의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한 값을 m'로 하 고, LWC의 제작에 사용한 구리관의 질량을 W[kg]으로 하면, W/m'≤ 18.0kg이 되도록 감아야 한다. W/m'의 값이 18.0kg을 넘으면 LWC 어닐링시의 구리관의 늘어붙음에 의한 밀착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밀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권선 개시 단부가 상측이 되도록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ETS에 의해 감아 푸는 경우, 짝수층의 최하단의 구리관에 걸리는 가압력이 커져 구리관의 꺾임, 휨, 찰과상 등이 발생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ETS에 의한 감아 풀기를 보다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W/m'≤ 16.0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LWC(110)에 어닐링 등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 후, 보빈을 제거한 상태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선 개시 단부(111)를 윗방향으로 하고 그 코일축을 수직으로 하여 펠렛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관통공이 있는 추로 관통시켜 권선 개시 단부(111)로부터 윗방향으로 인출하면 LWC(110)의 내면측의 코일(1층째 코일)이 풀려서 코일 내면으로부터 이탈해 나간다. 이 때 추는 추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감아 푸는 관의 코일 내면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 존재한 상태로 감아 풀기가 실시된다. 1층째 코일은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아 풀려서 최하단까지 1층째의 코일을 인출한 후 2층째로 옮겨간다. 2층째 최하단의 관 부분은 펠렛 접촉한 상태이지만, 접촉부에 걸리는 질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또한 추에 의해 관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관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2층째의 코일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감아 풀리지만, 감아 푸는 수가 줄어도 추의 질량에 의해 관이 집단으로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짝수층의 코일도 원활하게 감아 풀 수 있다. 이렇게 하여 LWC(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원활하게 감아 풀기를 실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 양태에 있어서도, 다른 실시 양태와 마찬가지 이유에 의해 감긴 층의 수를 홀수로 하고, 또한 최외층의 권선 수를 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 양태에 관한 3개의 LWC로 이루어지는 곤포체의 제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리관(1)이 감긴 코일(20)은 그 후 측판(2a)을 내통(2b)으로부터 분해하고 보빈(2)을 코일(20)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어닐링 등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도 12의 (a) 내지 (i) 및 도 13의 (a) 내지 (c)에 나타낸 공정에 의해 LWC(20)를 곤포한다. LWC 곤포체를 형성하는 LWC가 3개인 경우를 예로 든다.
우선,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렛(11)을 준비하고,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수지 등으로 제조된 펠렛(11)상에 예컨대 50μm 막 두께의 폴리에틸렌 시트(12)를 탑재한다.
계속해서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폴리에틸렌 시트(12)상에 예컨대 두께 5mm의 폴리에틸렌 발포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재(13)를 탑재하고, 이 쿠션재(13)상에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이 제거된 LWC(20)(도 2)을 그 축방향을 수직이 되도록 하고, 또한 권선 개시 단부를 상측으로 하여 탑재한다.
그 후, 도 12의 (e) 내지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카톤 원판(15)을 끼워 LWC(20)을 3단으로 적재한다. 최상단의 LWC(20) 상에도 카톤 원판(15)을 적재한다. 이들 카톤 원판(15)은 LWC(20) 상호간의 쿠션이 되어 수송시에 LWC(20)을 보호한다.
다음으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50μm의 두께의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자루(17)를 3단 코일(16)에 씌워, 3단 코일(16)을 덮는다. 다음으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폭이 500mm이고, 두께가 25μm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수지 필름(14)을 준비하고 이 수지 필름(14)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3단 코일(16)의 주위를 그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감으면서 덮고, 또한 펠렛(11)까지 덮는다.
다음으로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3단 코일(16)의 주위를 그 하부에서 상부까지, 신장된 상태의 수지 필름(14)으로 감는다. 이에 의해 3단 코일(16)은 펠렛(11)과 함께 2중 수지 필름(14)에 의해 스트래치 포장된다. 이 경우, 수지 필름(14)은 예컨대 길이가 약 2배가 되도록 장력을 걸어 늘리면서 감는다. 그렇게 하면 수지 필름(14)은 폭이 원래의 약 7 내지 8할 정도로 가늘어진다.
이와 같이, 3단 코일(16)을 펠렛(11)과 함께 폴리에틸렌 자루(17) 및 수지 필름(14)에 의해 스트래치 포장하기 때문에, 3단 코일(16)을 거의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트래치 포장(긴장 권선)에 의해 코일의 외주면은 수지 필름으로부터 구속력을 받고 있고, 코일 외주면의 스트래치 포장을 유지한 상태로 감아 풀어서 코일 외주측에서의 관의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곤포체의 개방시에 수지 필름(14)은 카톤 원판(15)상에서 커터 등에 의해 절단되지만, 이 카톤(15)에 의해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3단 코일(16)을 실수로 상처입힐 우려가 없다. 3단 코일(16)의 외면을 피복하는 자루(17) 및 수지 필름(14)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는 약간의 투습성을 갖지만, 다층 권선함으로써 코일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내지 100μm 정도인 것으로 선택하면 바람직하다. 통상 30 내지 70μm 정도인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밀봉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층 권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펠렛(11)과 코일(20)과의 사이에 장착하는 쿠션재(13) 및 복수단으로 코일(20)을 적재할 때에 코일(20) 사이에 장착하는 완충재로서의 카톤 원판(15)은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코일 내부의 변색의 우려가 없는 경우는 이들 완충재로서 골판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WC 곤포체로부터 관을 공급하는 경우, 카톤 중앙부에 구멍이 있으면 이 구멍 부분에 추가 떨어져 관의 굽기가 발생하여, 원활하게 감아 풀기를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구멍이 없는 카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WC(20)를 곤포할 때의 분위기의 이슬점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고, 이 곤포시의 노점은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송시에 LWC(20)이 움직이지 않도록, LWC(20)을 펠렛(11)에 고정한다. 예컨대, 펠렛(11)의 네 변의 각 중앙부에 그 높이가 최상단의 LWC(20)의 상면에 대략 동일한 LWC 고정용 목재로 제조된 지주를 고정하고, 또 한 대향하는 상기 지주끼리의 상단부를 목재로 제조된 판재로 십자 형상으로 고정하여 보강하여, 펠렛의 저부에서 최상단의 LWC의 상면까지, 지주 및 널빤지에 철 밴드를 걸어 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WC(20)(3단 코일(16))을 수지 필름(14)에 의해 스트래치 포장함으로써, 보관 및 반송중에 코일(20)의 내부에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코일에 변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작성한 LWC 곤포체로부터 ETS에 의해 관을 공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LWC(20)를 풀어서 구리관(1)을 사용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는, 우선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포된 3단 코일(16)을 그대로 사용 장소에 탑재하고, 카톤(15)을 뒤에 적재하여, 최상단의 LWC를 덮는 수지 필름(14)과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자루를 커터 등에 의해 절단하고, 또한, 이 카톤(15)을 제거하여 LWC의 상면의 곤포재만 제거하여 수지 필름에 의한 LWC 최외각 둘레면을 덮는 측면의 긴장 권선은 해제하지 않는 채로 한다.
그 후, 도 18과 마찬가지로 하여, 최상단의 LWC(20)의 권선 개시 단부(21)를 잡아서 윗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관에 추를 관통시킨 상태로 가이드(115) 등을 거쳐 관(1)을 사용 장소에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제 1 실시 양태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구에 의해, 목적하는 장소까지 연속적으로 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서는 LWC의 최외층이 긴장 권선된 수지 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LWC 최외층부는 긴장 권선된 수지 필름 보다 그 횡방향 및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흐트러 짐 없이 순차적으로 감아 풀린다
LWC가 다단으로 적재되어 곤포되어 있는 경우, 상단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에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리고 하단의 LWC를 덮는 카톤 원판을 제거하여 하단의 LWC의 권선 개시 단부에 추를 관통시키고, 또한 상단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와 그 하단에 위치하는 LWC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적당한 접속 지그로 연결하여 관의 공급을 재개하면 다단 적재된 LWC 곤포체보다 연속적으로 관을 공급할 수 있어서 작업 능률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실시 양태의 LWC를 사용하여 LWC 곤포체를 구성했지만, 이것 대신에 상술한 제 2 내지 제 4 실시 양태의 LWC를 사용하여 LWC 곤포체를 구성할 수 있어서, 이들 LWC 곤포체로부터 동일하게 ETS 방식에 의해 관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그 효과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는 ETS 방식으로 1개의 LWC로부터 푸는 실시예이다. LWC를 구성하는 구리관은 인탈산 구리 연질재로 제조되고, 외경이 9.52mm의 평활관(두께가 0.36mm)이다.
LWC의 제작은 내통에 측판을 부착하고, 내통에 구리관을 트래버스 권선하여 각 실시 양태에 대응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코일을 복수개 제작했다. 트래버스 권선된 LWC로부터 내통 및 보빈을 제거한 후, 풀리지 않도록 구리 밴드로 결속한 LWC를 롤러 노상형 로에 의해 어닐링하여 연질 코일로 만들었다(0.2% 내력: 63N/mm2, 평균 결정 입경: 25μm). 이 연질 코일을, 코일축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단부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펠렛상에 탑재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코일의 질량은 권선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1코일당 270 내지 300kg 정도이다.
Figure 112004003692008-pat00001
LWC No.1 내지 8은 대략 270kg/ℓ 코일이고, LWC No.9는 약 300kg·1 코일이고, LWC No.8은 w/m'=16.9이고, LWC No.9는 w/m'=18.8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LWC를 ETS 방식에 의해 풀었다. 풀기 전에 코일 내주면과 상부 부분의 구리 밴드를 절단 제거했다. 권선 개시된 구리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인출하여, 도 5의 추를 단면적이 작은 단면이 하측이 되도록 구리관을 삽통시키거나(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삽통시키지 않고서(비교예), 구리관을 LWC의 상면보다 약 1.7m 위에 설치한 파이프 형상 가이드에 통과시키고, 또한 수 개 소에 설치한 내경 약 100mm의 염화 비닐로 제조된 가이드파이프를 통과시킴으로써, 약 10m 떨어진 위치까지 이끌었다. 이와 같이 인도된 파이프를 헤어 핀 벤더(교정기-절단기-휨 장치로 이루어짐)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헤어 핀 관으로 가공했다(휨 피치는 관의 직경의 약 3배임). 구리관의 인출 속도는 1 내지 1.8m/초로 했다. 감아 풀 때의 걸림 또는 구리관의 변형 등이 발생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구리관의 공급을 중지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비고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2 및 3에서, 분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분류 B는 비교예, 분류 C는 종래 예이다.
Figure 112004003692008-pat00002
Figure 112004003692008-pat00003
상기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1, 3, 4, 7, 9, 및 11은 마지막까지 걸림, 휨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구리관을 공급할 수 있었다. 한편, 그 밖의 예에서는 관의 인출 속도 및 코일의 탑재법에 의해,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떠한 불량이 생겨, 구리관을 최후까지 공급할 수 없었다. 또한 No.1, 3, 4, 7, 9 및 11의 구리관은 헤어 핀 벤더의 위치에서 0.2% 내력이 10 내지 20N/mm2 상승하여 73 내지 83N/mm2가 되었지만, 교정, 절단 및 헤어 핀 굽임은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ETS 방식으로 2개의 LWC로부터 연속적으로 푸는 실시예이다. LWC를 구성하는 구리관은 인탈산 구리 연질재로 제조되고, 외경이 8.0mm의 내면 홈 부착 관(밑바닥 두께: 0.27mm, 핀 높이: 0.22mm, 리드 각: 35°)이다.
내통에 측판을 부착하여, 내통에 구리관을 트래버스 권선하여 제 1 실시 양태에 대응하는 권선 방법의 LWC를 2개 제작했다(권선층 수: 41, 홀수층: 42 권선, 짝수층: 41 권선). 트래버스 권선된 2개의 LWC로부터 내통 및 보빈을 제거한 후, 풀리지 않도록 구리 밴드로 결속한 LWC를 롤러 노상형로에 의해 어닐링하여, 연질 코일로 만들었다(0.2% 내력: 60N/mm2, 평균 결정 입경: 25μm). 이들 연질 LWC를, 코일축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단부가 상측이 되도록 각기 펠렛상에 탑재하여, 각 LWC가 상부의 통 형상의 가이드로부터 거의 등거리가 되도록 이들 펠렛을 인접하여 설치했다(도 20 참조).
다음으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ETS 방식에 의해 풀었다. 도 20에 있어서는 좌측의 LWC-A의 내주면과 상부의 부분의 구리 밴드를 절단 제거하고 그 권선 개시 단부를 도 4b에 나타낸 원뿔 형상의 추(수지로 제조됨, 질량 약 350g)에, 그 첨단을 하향으로 한 상태로 삽통시켜 구리관을 윗방향으로 인출하여 LWC-A의 상면보다 약 1.7m 윗방향에 설치한 파이프 형상 가이드에 통과시키고, 또한 수 개소에 설치한 내경 약 100mm의 염화 비닐로 제조된 가이드 파이프를 통과시킴으로써 약 10m 떨어진 위치까지 2.0m/초의 속도로 인도했다. 이와 같이 인도된 파이프를 헤어 핀 벤더(교정기­절단기-휨 장치로 이루어짐)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헤어 핀 관으로 가공했다(휨 피치는 관의 직경의 약 3배).
앞서 감아 푸는 LWC-A는 최후까지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로 이끌 수 있고, 또한 인도된 내면 홈 부착 관으로 헤어 핀 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최초에 감아 풀린 LWC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관의 공급 및 헤어 핀 벤더의 작동을 일단 정지하고, 도 20의 좌측의 LWC-B의 내주면과 상부 부분의 구리 밴드를 빠르게 절단 제거하고, 그 권선 개시 단부에 추의 첨단을 하향으로 관통시킨 후 LWC-A의 권선 종결 단부와 LWC-B의 권선 개시 단부를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 튜브로 접속했다. 그 후, 관의 공급 및 헤어 핀 벤더의 작동을 재개했다. 이렇게 하여 LWC-B에 관해서도 권선 종결 단부까지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로 이끌고, 또한 인도된 내면 홈 부착 관으로부터 헤어 핀 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가 헤어 핀 벤더에 도달했을 때에는 관의 공급 및 헤어 핀 벤더의 운전을 정지하여 접속 부재를 제거한 후 운전을 재개했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는 ETS 방식으로 3단 적재된 LWC 곤포체로부터 푸는 실시예이다. LWC에는 제 1 실시예의 No.1 코일(외경 9.52mm의 평활관, 권선층 수 33, 홀수층: 35 권선, 짝수층: 34 권선, 어닐링 종료)를 사용했다.
상기 LWC를 권선 개시 단부를 위로 한 상태로 펠렛상에 3단 적재하고, 그 외층을 폭 600mm, 두께 30μm의 띠 형상 수지 필름으로 4회 긴장 권선하여 LWC 곤포체로 했다. 또한 LWC 곤포체의 그 밖의 제작 방법은 발명의 실시 형태에 상술한 바와 같다.
이 LWC 곤포체를 푸는 장소로 이송하여, 최상단의 LWC의 표면에 형성된 긴장 권선,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자루, 완충재 등을 제거한다. 이 경우, LWC의 최외층은 긴장 권선이 형성된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최상단의 LWC의 내주면과 상부의 부분의 구리 밴드를 절단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추(90)에, 그 첨단을 아랫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최상단의 LWC의 권선 개시 단부를 삽통시켜, 구리관을 윗방향으로 인출하여 LWC의 상면보다 약 1m 윗방향에 설치한 파이프 형상 가이드에 통과시키고, 또한 수 개소에 설치한 것으로 내경이 약 100mm인 염화비닐로 제조된 가이드 파이프를 통과시킴으로써 약 10m 떨어진 위치까지 1.8m/초의 속도로 인도했다. 이렇게 인도된 파이프를 헤어 핀 벤더(교정기-절단기-휨 장치로 이루어짐)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헤어 핀 관으로 가공했다(휨 피치는 관의 직경의 약 3배임).
최상단의 LWC는 최후까지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에 인도되고, 또한 인도된 관으로부터 헤어 핀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최상단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관의 공급 및 헤어 핀 벤더의 작동을 일단 정지하여, 최상단과 2단째 LWC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카톤 원판을 제거하고, 또한 2단째 LWC의 내주면과 상부 부분의 구리 밴드를 절단 제거하여, 그 권선 개시 단부에 추의 첨단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관통시킨 후, 최상단의 LWC의 권선 종결 단부와 2단째의 LWC의 권선 개시 단부를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 튜브로 접속했다. 그 후, 관의 공급 및 헤어 핀 벤더의 운전을 재개했다(2단째 LWC와 가이드 파이프와의 간격은 약 1.4m임). 이렇게 하여 2단째 LWC에 대해서도 권선 종결 단부까지 문제없 이 헤어 핀 벤더에 인도하고, 또한 인도된 관으로부터 헤어 핀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이 후, 3단째(최하단)의 LWC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권선 종결 단부까지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에 인도하고, 또한 인도된 관으로부터 헤어 핀 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도 ETS 방식으로 3단 적재된 LWC 곤포체로부터 푸는 실시예이다. LWC에는 제 1 실시예의 No.3 코일(외경 9.52mm의 평활관, 권선층 수: 34, 홀수층: 35 권선, 짝수층: 36권선, 권선 개시 단부 하, 어닐링 종료)를 사용했다.
이 LWC를 권선 개시 단부를 아래로 한 상태로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LWC 곤포체를 제작하고, 이 LWC로부터 감아 푼 결과, 3개의 LWC와도 전체 길이에 걸쳐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에 인도되고, 또한 인도된 관으로부터 헤어 핀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제 5 실시예
본 실시예도 ETS 방식으로 3단 적재된 LWC 곤포체로부터 푸는 실시예이다. LWC에는 제 1 실시예의 No.5의 LWC(외경 9.52mm의 평활관, 권선층 수: 33, 홀수층: 35 권선, 짝수층: 35 권선, 권선 개시 단부 하, 어닐링 종료)를 사용했다.
이 LWC를 권선 개시 단부를 아래로 한 상태로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LWC 곤포체를 제작하고, 이 LWC로부터 감아 푼 결과, 3개의 LWC와도 전체 길이에 걸쳐 문제없이 헤어 핀 벤더에 인도하고, 또한 인도된 관으로부터 헤어 핀관을 소정 수량 가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관통공이 있는 추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문제점으로 지적된 관의 꺾임, 변형, 패임 및 찰과상의 발생 없이 고속으로 풀어낼 수 있는 LWC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또는 LWC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37)

  1.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차례대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이라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level wound coil)을, 코일 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탑재하여 관통공이 있는 추에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양옆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차례대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자연수이다)라고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적재하고,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5.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외측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차례대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자연수이다)이라고 했을 때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하여 적재하여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개시 부위를 상측으로 하여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를 하측으로 하여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7.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층째 코일의 제 2 권선이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고, 그 이후 차례에서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차례대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모두 n(n은 자연수이다)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권선층 수를 m(m은 자연수이다)로 하고, m/2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 버려 정수로 한 값을 m'로 하고, 코일의 질량을 W로 했을 때 W/m'가 18.0kg 이하인 레벨 권선형 코일을,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고, 또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탑재하여, 관통공이 있는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공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관을 공급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켜, 전회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 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관을 공급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켜, 전회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 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5. 제 5 항에 있어서,
    관을 공급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켜 전회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다음 순서의 공급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 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 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18.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차례대로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서 그 코일축 방향을 수직이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어, 상기 펠렛과 최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위에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에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된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삽통한 후, 상기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은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0.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양옆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n+1)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어 상기 펠렛과 최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상에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시킨,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삽통하여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구성하는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에 있어서, 또한,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2.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하고, 그 후, 이 1층째 코일 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와 그 외측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3층째 코일 이상의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를 n이라고 하면,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는 n이고,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과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 또는 하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기 펠렛과 한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상에 완충재가 장착되어,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시킨,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에 관통시켜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에는 그 권선층 수가 홀수이거나, 또는 권선 개시 부위가 하측이 되도록 탑재될 때는 그 권선층 수가 짝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4. 관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켜 1층째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1층째 코일상에 2층째 코일을 그 권선 개시 단부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층째 코일의 제 2 권선은 상기 1층째 코일의 최종 권선 및 그 직전 권선의 관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하고, 그 이후 차례대로 상기 1층째 코일의 외면과 관 사이의 오목부에 배치하여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키고, 2층째 코일상에 3층째 코일, 3층째 코일상에 4층째 코일을 정렬 방식으로 권선시킨 복수층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홀수층째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수가 모두 n(n은 자연수이다)이고, 또한 홀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 및 짝수층째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권선층 수를 m(m은 자연수이다)로 하고, m/2의 소수점 이하를 버림하여 정수로 한 값을 m'로 하고, 코일의 질량을 W라 했을 때 W/m'가 18.0kg 이하인 레벨 권선형 코일이, 펠렛상에 그 코일축 방향이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권선 개시 부위가 상측이 되도록 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기 펠렛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상호간 및 최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 상에 완충재가 장착되고, 상기 1단 또는 다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전체가 수지로 제조된 자루로 싸이고 또한 그 외측을 띠 형상의 수지 필름에 의해 긴장 권선시킨,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를 코일축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탑재하고, 레벨 권선형 코일 최외각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지로 제조된 필름에 의한 긴장 권선을 남긴 채로 상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 그 권선 개시 부위의 관 단부를 추의 관통공으로 관통시켜, 관 단부를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 공급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권선층 수가 홀수이고, 또한 그 최외층의 권선 수가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의 완충재를 제거하여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 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 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 중 어느 한가지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29. 제 20 항에 있어서,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의 완충재를 제거하여,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 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가 상승하거나, 또는 상승하고자 할 때 관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과의 사이의 완충재를 제거하여,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부위에 상기 추를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관의 공급 중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종결 단부와 상기 하단의 레벨 권선형 코일의 권선 개시 단부를 접속 지그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추에 상기 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관의 공급을 재개하여 관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재질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의 형상이 그 축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원뿔 또는 원뿔대의 바닥면에 원기둥을 결합한 형상, 또는 각뿔 또는 각뿔대의 바닥면에 각기둥을 결합한 형상 중 어느 한가지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권선형 코일 곤포체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040005725A 2003-01-29 2004-01-29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KR100562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1229 2003-01-29
JP2003021229A JP3599110B2 (ja) 2003-01-29 2003-01-29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の供給方法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梱包体からの管の供給方法
JP2003087978A JP3599111B2 (ja) 2003-03-27 2003-03-27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それからの管供給方法
JPJP-P-2003-00087978 2003-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56A KR20040070056A (ko) 2004-08-06
KR100562618B1 true KR100562618B1 (ko) 2006-03-17

Family

ID=3431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725A KR100562618B1 (ko) 2003-01-29 2004-01-29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2618B1 (ko)
CN (1) CN1319836C (ko)
MY (1) MY1366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179B2 (ja) * 2005-12-21 2007-10-31 日立電線株式会社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包装体
JP5901536B2 (ja) * 2010-11-15 2016-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金属管供給方法
CN104276446A (zh) * 2014-08-12 2015-01-14 河南华东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不依赖收卷张力的收卷控制方法
CN109127770A (zh) * 2018-08-21 2019-01-04 佛山市顺德区精艺万希铜业有限公司 蚊香型大散盘生产方法及系统
CN108950165A (zh) * 2018-08-21 2018-12-07 冯境铭 一种蚊香型大散盘退火、冷却、包装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2917U (zh) * 1988-03-02 1989-02-22 兰州通用机器厂 塔式螺旋盘管器
JP3599105B2 (ja) * 2001-03-30 2004-1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供給方法
MY130658A (en) * 2002-03-28 2007-07-31 Kobe Steel Ltd Level wound coil, packed product of the level wound coil, and method for the supply of pipe from the level wound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9171A (zh) 2004-08-11
KR20040070056A (ko) 2004-08-06
CN1319836C (zh) 2007-06-06
MY136663A (en) 200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835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巻解方法
JP359910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供給方法
KR100562618B1 (ko) 레벨 권선형 코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및 레벨권선형 코일 곤포체와 그것으로부터의 관의 공급 방법
JP442422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供給方法
JP404613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パレット載置体およ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包装体
JP5213820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
JP2010253483A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装置および巻き取り方法
JP4133733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の供給方法、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からの管の供給方法及び管巻き解き装置
JP4001167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包装体
JP3599110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の供給方法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梱包体からの管の供給方法
JP4311962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供給方法、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からの管供給方法
JP5353260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設備および巻き取り方法
JP4390610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の供給方法
JPH06181137A (ja) 鉄心窓を包囲したアモルファス鋼片からなる変圧器鉄心を製造する方法
JP3599111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それからの管供給方法
JP522591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
JP2004142854A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積層体、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からの管供給方法
JP4804850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管供給方法
JP5260374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梱包体
CN1276809C (zh) 水平缠绕盘管、其包装体以及水平缠绕盘管的管供应方法
JP4001179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包装体
JP5353259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き取り装置
JP4211835B2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包装体
KR20040012708A (ko) 코일 제품용 스페이서
JP2002361422A (ja) 溶接用ワイヤー引出し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