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127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127B1
KR100561127B1 KR1020040017210A KR20040017210A KR100561127B1 KR 100561127 B1 KR100561127 B1 KR 100561127B1 KR 1020040017210 A KR1020040017210 A KR 1020040017210A KR 20040017210 A KR20040017210 A KR 20040017210A KR 100561127 B1 KR100561127 B1 KR 10056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ed
state
work
actuato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473A (ko
Inventor
하마니시다다시
구마따니마사유끼
후꾸다미노루
마끼조노하루미쯔
오또무네다꾸야
후루노후미오
모또무라미네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6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40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6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531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01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주행 변속 장치(7)와, 상기 주행 변속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17)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37)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장치(2)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갖는 작업 클러치(14)와, 상기 위치 센서가 검출된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전동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액튜에이터(33)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 기구(1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저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장치(2)로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변속 장치(13)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저속측으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변속 장치(13)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고속측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튜에이터, 변속 조작구, 작업 클러치, 위치 센서, 작업 변속 장치

Description

작업차 {WORK VEHIC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일예로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콤바인의 전동계 및 조작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3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및 변속 레버 부근의 좌측면도.
도4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및 변속 레버 부근의 정면도.
도5는 조작 패널 부근의 평면도.
도6은 변속 레버의 중립 경로, 제1 및 제2 전진 경로, 후진 경로의 평면도.
도7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및 변속 레버 부근의 우측면도.
도8은 조작축 및 모터 부근의 평면도.
도9는 변속 레버의 아암부 및 조작 부재 부근의 정면도.
도10은 변속 레버의 아암부 및 조작 부재 부근의 횡단 평면도.
도11은 지지 부재의 볼록부 및 한계 스위치 부근의 측면도.
도12는 연계 로드의 융통부 및 예취 변속 장치의 아암부 부근의 정면도.
도13은 조작판 및 디텐트 기구 부근의 측면도.
도14는 조작판 및 디덴트 기구 부근의 평면도.
도15는 제1 위치에서의 조작축 부근의 측면도.
도16은 제2 위치에서의 조작축 부근의 측면도.
도17은 제3 위치에서의 조작축 부근의 측면도.
도18은 제4 위치에서의 조작축 부근의 측면도.
도19는 예취 상태(표준 모드)에서의 각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서의 각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비예취 상태에서의 각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작업 장치
7 : 주행 변속 장치
13 : 작업 변속 장치
14 : 작업 클러치
17 : 변속 조작구
32 : 조작 부재
33 : 액튜에이터
37 : 위치 센서
42 :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
43 :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
N : 중립 정지 위치
P4 : 축심
본 발명은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변속 장치와, 상기 주행 변속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갖는 작업 클러치와, 상기 위치 센서가 검출된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전동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의 조작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예인 콤바인 등의 수확 작업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7호 공보(도6 및 도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변속 조작구(상기 공보 도6 및 도7 중 부호 28)가 구비되고, 이 변속 조작구에 의해 주행 변속 장치가 조작된다. 이 수확 작업차에는, 또한 기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클러치(상기 공보 도6 및 도7 중 부호 29),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상기 공보 도6 및 도7 중 부호 46) 및 액튜에이터(상기 공보 도6 및 도7 중 부호 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조에서는 액튜에이터는 작업 클러치를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할 뿐이므로,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라는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차에 있어서, 그 조작 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가 저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변속 장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저속측으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가 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변속 장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고속측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통된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데다가, 작업 변속 장치도 저속측 및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따라서,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일시 정지하는 것이 많다. 이 점, 상기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면, 작업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작업 장치가 정지된다. 따라 서, 기기 본체가 정지되어 있는 데, 작업 장치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킨다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저속(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저속(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되면, 작업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작업 장치가 작동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어서, 기기 본체가 주행하고 있는 데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이상으로,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될 뿐만 아니라, 작업 변속 장치도 저속측 및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따라서,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어 작업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한 경우, 기기 본체가 정지되어 있는 데 작업 장치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는 일이 없는 점 및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저속(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한 경우, 운전자가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어서 기기 본체가 주행하고 있는 데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없는 점에 의해, 작업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상기 특징 구성에다가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작업 클러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작업 변속 장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변속 장치가 상기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저속측 및 고속측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액튜에이터에 의해 조작 부재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작업 클러치 및 작업 변속 장치가 조작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식의 조작 등을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비틀림 현상을 수반하는 일 없이 조작 부재 및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 및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를 거쳐서 작업 클러치 및 작업 변속 장치가 원활하게 조작되도록 된다.
따라서, 작업 클러치 및 작업 변속 장치의 조작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주차 브레이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가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통된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데다가, 주차 브레이크도 제동 상태 및 해제 상태로 조작된다. 따라서,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한 경우,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므로,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어서 기기 본체가 생각지도 않게 움직여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일시 정지하는 것이 많다. 이 점, 상기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면, 작업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작업 장치가 정지된다. 이에 의해, 기기 본체가 정지되어 있는 데 작업 장치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주행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므로,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어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상태로 남긴 상태로 기기 본체를 발진시켜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주행측으로 조작한 경우는,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 상기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주행측으로 조작되면, 작업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작업 장치가 작동된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고 기기 본체가 주행하고 있는 데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일도 없다.
이상으로,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데다가,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 및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된다. 따라서,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어 작업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정지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잊고 기기 본체가 의외로 움직여 버린다는 일이 없는 점 및 기기 본체가 정지되어 있는 데 작업 장치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는 일이 없어서, 작업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고자 하여 변속 조작구를 주행측으로 조작한 경우,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상태로 한 채로 기기 본체를 발진시키는 일이 없다는 점 및 기기 본체가 주행하고 있는 데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없다는 점에 의해, 작업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상기 특징 구성에다가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작업 클러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 및 주차 브레이크에 걸쳐 접속되는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상기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상기 제동 상태 및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이 구성에 따르면, 액튜에이터에 의해 조작 부재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 및 작업 클러치가 조작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식의 조작 등을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비틀림 현상을 수반하는 일 없이, 조작 부재,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 및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주차 브레이크 및 작업 클러치가 원활하게 조작되도록 된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 및 작업 클러치의 조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상기 제동 상태로 조작할 때에는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대해 조작 저항이 발생되고, 이 주차 브레이크를 상기 해제 상태로 조작할 때에는 상기 조작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할 때에는 상기 작업 클러치에 대해 조작 저항이 발생되고, 이 작업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할 때에는 상기 조작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면, 액튜에이터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로부터 액튜에이터로의 조작 저항은 가해지지만, 작업 클러치로부터 액튜에이터로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변속 조작구가 주행측으로 조작되면, 액튜에이터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로부터 액튜에이터로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지만, 작업 클러치로부터 액튜에이터로 조작 저항이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어도, 변속 조작구가 주행측으로 조작되어도, 주차 브레이크로부터의 조작 저항 및 작업 클러치로부터의 조작 저항의 양방이 액튜에이터에 동시에 걸리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액튜에이터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 액튜에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작업차의 일예로서 벼용의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기기 본체 전진 직진 방향을 기준으로 서술하고 있다.
[1] 콤바인(작업차)의 전체 구성
도1에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주행 장치의 일예)(1), 이 주행 장치(1)에 의해 지지된 기기 본체의 전방부의 좌측부의 예취부(작업 장치의 일예)(2), 기기 본체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구비된 운전부(3), 기기 본체의 후방부의 좌측부에 구비된 탈곡 장치(4), 기기 본체의 후방부의 우측부에 구비된 그레인 탱크(5)로 구성되어 있다. 포장의 곡간은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되고, 탈곡 장치(4)에 의해 탈곡 처리되어 탈곡 장치(4)로 회수된 곡식의 낱알이 그레인 탱크(5)로 공급된다.
도2에는 콤바인의 전동계 및 조작계의 개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용의 미션 케이스(6)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주행 변속 장치의 일예)(7)가 연결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 엔진(8)의 출력축(8a)으로부터의 동력이 벨트 텐션형식의 메인 클러치(9)를 통해 전달되어 있다.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는 중립 정지 위치,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내부에는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기어 변속식의 부변속 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부변속 장치(10) 및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출력축(7b)의 동력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1)로 전달된다. 부변속 장치(10)와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 사이의 전동축(15)에는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1)를 제동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6)에는 출력축(12)이 구비되어 있고, 이 출력축(12)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 사이에 고저 2단(저속 위치 및 고속 위치)으로 변속 가능한 기어 변속식의 예취 변속 장치(작업 변속 장치의 일예)(13)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의 동력이 예취 변속 장치(13) 및 출력축(12) 및 벨트 텐션형식의 예취 클러치(작업 클러치의 일예)(14)를 통해, 예취부(2)의 입력축(2a)으로 전달된다. 또한, 엔진(8)의 출력축(8a)의 동력이 벨트 텐션형식의 탈곡 클러치(11)를 통해, 탈곡 장치(4)의 입력축(4a)으로 전달된다.
[2] 변속 레버(17)의 조작 구조
다음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 및 부변속 장치(10)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변속 조작구의 일예)(17)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도4,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3)의 좌측 횡측부에는 조작 패널(18)이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18)에는 변속 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8)의 하측에 구비된 고정부(19)의 좌우 축심(P1) 주위에는, 판재를 평면으로부터 보아 역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지지 부재(20)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20)의 전후 축심(P2) 주위에는, 변속 레버(17)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20)의 하부로부터는, 전방에 아암(20a)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20)의 아암부(20a)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이 축(7c)의 아암부(7d)에 걸쳐 연계 로드(21)가 접속되어 있다.
도3, 도4, 도7,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9)의 전후 축심(P3) 주위에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삼각형상의 조작 부재(22)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부변속 장치(10)에는 시프트 기어(10a)(도2 참조)와, 이 시프트 기어(10a)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아암부(10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22)와, 부변속 장치(10)의 아암부(10b)에 걸쳐 연계 로드(23)가 접속되어 있다. 변속 레버(17)의 하부에는 아암부(17a)가 구비되고, 이 아암부(17a)가 조작 부재(22)에 결합하고 있다. 변속 레버(17)의 아암부(17a)가 조작 부재(22)에 결합하는 부분은, 도7에 도시한 측면시에서 상기 좌우 축심(P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3,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9)에는 원호형의 긴 구멍(19a)이 개구되어 있고, 이 긴 구멍(19a)으로 지지 부재(20)에 구비된 보유 지 지축(24)이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25)에 의해 보유 지지축(24)이 도9의 지면 우측에서 압박되어 이 보유 지지축(24)에 의해, 지지 부재(20)가 고정부(19)로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25) 및 고정부(19)에 의해 지지 부재(20)가 마찰 보유 지지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8)에는 제1 전진 경로(26) 및 제2 전진 경로(27)가 평행하게 개구되어 있다. 조작 패널(18)에는 또한, 중립 경로(28)(중립 정지 위치 N)가 개구되고, 이 중립 경로(28)에 의해 제1 및 제2 전진 경로(26, 27)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 패널(18)에는 또한, 후진 경로(29)가 개구되고, 이 후진 경로(29)는 제1 전진 경로(26)에 접속되어 있다.
도3 내지 도7에서는, 변속 레버(17)가 중립 경로(28)(중립 정지 위치 N)의 좌단부에 위치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고, 부변속 장치(10)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변속 레버(17)로부터 손을 떼어도, 스프링(25) 및 고정부(19)에 의한 지지 부재(20)의 마찰 보유 지지에 의해, 변속 레버(17)가 중립 경로(28)(중립 정지 위치 N)의 좌단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로 조작해 가면, 부변속 장치(10)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의 최고속 위치(F1)까지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최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로 조작하여 변속 레버(17)로부터 손을 떼어도, 스프링(25) 및 고정부(19)에 의한 지지 부재(20)의 마찰 보유 지지에 의 해, 변속 레버(17)가 제1 전진 경로(26)의 손을 뗀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한편,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해 가면, 부변속 장치(10)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후진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의 최고속 위치(R1)까지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후진의 최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하여 변속 레버(17)로부터 손을 떼어도, 스프링(25) 및 고정부(19)에 의한 지지 부재(20)의 마찰 보유 지지에 의해, 변속 레버(17)가 후진 경로(29)의 손을 뗀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변속(17)에 의해 중립 경로(28)(중립 정지 위치 N)의 우측 단부로 조작하면, 이 변속 레버(17)에 의해 조작 부재(22)가 조작되어 부변속 장치(10)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여기서부터 변속 레버(17)를 제2 전진 경로(27)로 조작해 가면, 부변속 장치(10)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제2 전진 경로(27)의 최고속 위치(F2)까지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최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제2 전진 경로(27)로 조작하여 변속 레버(17)로부터 손을 떼어도, 스프링(25) 및 고정부(19)에 의한 지지 부재(20)의 마찰 보유 지지에 의해, 변속 레버(17)가 제2 전진 경로(27)의 손을 뗀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3] 주차 브레이크(16), 예취 클러치(145) 및 예취 변속 장치(13)의 조작 구조
도3,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8)의 하측에는 고정부(30, 31)가 구비되고, 이들 고정부(30, 31)에는 조작축(조작 부재의 일예)(32)이 좌우 축심(P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부(30)에는 또한, 모터(액튜에이터의 일예)(33) 및 기어 케이스(34)가 부착되어 있고, 제어 장치(35)(도2 참조)에 의해 모터(33)가 작동되어 모터(33) 및 기어 케이스(34)를 거쳐서 조작축(32)이 좌우 축심(P4)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고정부(31)에는 또한, 조작축(32)의 조작 위치(각도)를 검출하는 센서(36)가 부착되어 있어 센서(36)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35)(도2 참조)로 입력된다.
도2, 도3,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9)에는 변속 레버(17) 및 지지 부재(20)의 조작 위치(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위치 센서의 일예)(37)가 부착되어 있고, 센서(37)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35)로 입력되어 있다. 또한, 도2, 도3,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9)에는 한계 스위치(51) 및 판 스프링제의 조작판(52)이 구비되고, 지지 부재(20)의 상부에 볼록부(20b)가 구비되고, 한계 스위치(51)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35)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7)가 중립 정치 위치 N으로 조작되어 있으면, 지지 부재(20)의 볼록부(20b)가 조작판(52)에 접촉하여 밀어 올리고, 한계 스위치(51)가 온 조작된다. 한편,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7)가 중립 정치 위치 N 이외의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지지 부재(20)의 볼록부(20b)가 조작판(52)으로부터 떨어지고, 조작판(52)이 하방으로 변위하여 한계 스위치(51)가 오프 조작된다. 이와 같이 센서(37) 및 한계 스위치(51)에 의해, 변속 레버(17) 및 지지 부재(20)의 조작 위치(각도)가 검출 된다.
도3, 도7, 도8,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32)에는 아암부(32a)가 고정되고, 이 아암부(32a)에 조작판(44)이 고정되어 이 조작판(44)에는 접속 부재(38)가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38)와 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에 걸쳐, 융통용의 스프링(39) 및 연계 로드(40)가 접속되어 있다.[상기 접속 부재(38) 및 연계 로드(40)는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에 상당함.] 이에 의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16)를 제동 상태(도15 참조) 및 해제 상태(도16 내지 도18 참조)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6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해제 위치]로 조작될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16)로부터 모터(33)에는 조작 저항은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제동 위치]로 조작되면, 주차 브레이크(16)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진다[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로부터 조작축(32)을 도15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도2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4)는 벨트 텐션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취 클러치(14)의 좌우 축심(P5)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부(14a)에는 텐션 풀리(14b)가 구비되어 있다. 도3, 도7, 도8,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32)에는 아암부(32b)가 고정되어 있고, 이 아암부(32b)의 선단부에는 L자형의 접속 부재(41)가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 부재(41)와 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에 걸쳐, 연계용의 스프링(42)이 접속되어 있다.[상기 접속 부재(41) 및 스프링(42)은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에 상당함.] 따라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예취 클러치(14)를 전동 상태(도17 및 도18 참조) 및 차단 상태(도15 및 도16 참조)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차단 위치]로 조작될 때에는, 예취 클러치(14)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차단 상태로부터 전동 위치]로 조작되는 도중에 있어서는, 예취 클러치(14)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진다[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로부터, 조작축(32)을 도1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전동 위치]로 조작되면, 조작축(32)의 아암부(32b)와 접속 부재(41)와의 접속 부분이 조작축(32)의 상측을 넘는 상태가 되고(상사점을 넘는 상태가 되고), 조작축(32)의 도18의 지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스톱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멈춰져 예취 클러치(14)로부터 조작축(32)으로 조작 저항은 가해지지만, 예취 클러치(14)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3, 도7, 도8,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32)에는 아암부(32c)가 고정되고, 이 아암부(32c)의 선단부에는 핀(32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예취 변속 장치(13)에는 시프트 기어(13c)(도2 참조)와, 이 시프트 기어(13c)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예취 변속 장치(13)를 저속 위치 및 고속 위치로 변속하는 아암부(13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아암부(13a)에는 핀(13b)이 구비되어 있다. 이 예취 변속 장치(13)의 연계 부재로서, 둥근 막대가 절곡되어 연계 로드(43)가 구성되어 있다.[상기 연계 로드(43)는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에 상당] 이 연계 로드(43)의 양단부가 훅형으로 절곡되어 융통부(43a, 43b)가 구성되어 있다. 융통부(43a)에는 조작축(32)의 아암부(32c)의 핀(32d)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통부(43b)에는 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핀(13b)이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예취 변속 장치(13)를 저속 위치(도15, 도16, 도17 참조) 및 고속 위치(도18 참조)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취 변속 장치(13)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저속 위치로 압박되어 있고, 예취 변속 장치(13)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은 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행해진다.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저속 위치]로 조작되면, 예취 변속 장치(13)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변속 장치(13)가 고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고속 위치]로 조작되면, 예취 변속 장치(13)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진다[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에서 조작축(32)을 도18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4] 모터(33)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16), 예취 클러치(14) 및 예취 변속 장치(13)의 조작
도7, 도8, 도13,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2)의 아암부(32a)에는 보유 지지판(44)이 고정되어 있다. 이 보유 지지판(44)은, 후술하는 제1 내지 제4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에는 볼 및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디텐트 기구(4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내지 제4 위치로 회전 구동되었을 때,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예를 들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정밀도 좋게 회전 구동되지 않고 제2 위치 근방에서 정지했다고 해도, 디텐트 기구(45)의 볼이 보유 지지판(44)의 오목부(44a)으로 인입함으로써 조작축(32)이 제2 위치로 정밀도 좋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모터(33)의 정지 상태에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을 예를 들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할 때에는, 모터(33)의 보유 지지력이 부족한 기미가 있어도, 디텐트 기구(45)의 보유 지지력이 모터(33)의 보유 지지력이 가해져 모터(33) 및 디텐트 기구(45)의 양 보유 지지력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15는 조작축(32)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제동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차단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조작축(32)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주차 브레이크(16)(제동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진다[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로부터 조작축(32)을 도15의 지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한편, 예취 클러치(14)(차단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고, 예취 변속 장치(13)(저속 위치)로부터 모터(33)로도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16은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해제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는 아직 전동 상태로 조작되지 않고[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가 전동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연계 로드(43)의 융통부(43b)에 의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주차 브레이크(16)(해제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고, 예취 클러치(14)(차단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고, 예취 변속 장치(13)(저속 위치)로부터 모터(33)로도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17은 조작축(32)이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해제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전동 위치]로 조작되고, 연계 로드(43)의 융통부(43b)에 의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조작축(32)이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주차 브레이크(16)(해제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고, 예취 클러치(14)(전동 상 태)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져[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로부터 조작축(32)을 도1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져], 예취 변속 장치(13)(저속 위치)로부터 모터(33)로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18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축(32)이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주차 브레이크(16)의 아암부(16a)의 해제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예취 클러치(14)의 아암부(14a)의 전동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 변속 장치(13)가 고속 위치[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의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조작축(32)이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주차 브레이크(16)(해제 상태)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예취 클러치(14)(전동 상태)로부터 모터(33)로도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즉, 조작축(32)의 아암부(32b)와 접속 부재(41)와의 접속 부분이 조작축(32)의 상측을 넘어(상사점을 넘어), 조작축(32)의 도18의 지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스톱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멈춰져 있으므로, 예취 클러치(14)로부터 조작축(32)으로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만, 예취 클러치(14)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예취 변속 장치(13)(저속 위치)로부터 모터(33)로는 조작 저항이 가해진다[즉, 예취 변속 장치(13)의 아암부(13a)로부터 조작축(32)을 도18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7)의 가로 주변에는 클러치 레버(46)가 구비되어 있다. 이 클러치 레버(46)는 탈곡 클러치(11)(도2 참조)에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레버 가이드(47)에 따라서 클러치 레버(46)를 전동 위치 및 차단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탈곡 클러치(11)를 전동 형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또, 이 클러치 레버(46)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46)가 전동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48)가 구비되어 있고, 센서(48)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35)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작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46)를 전동 위치로 조작하여 탈곡 장치(4)를 작동시키고(예취 상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로 조작한다. 한편, 예를 들어 노상 주행 등과 같은 예취 작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46)를 차단 위치로 조작하여 탈곡 장치(4)를 정지시키고(비예취 상태), 변속 레버(17)를 제1 또는 제2 전진 경로(26, 27)로 조작한다. 또한, 예취 상태의 표준 모드 및 도복 모드(예취 대상의 벼가 도복하고 있을 때에 선택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선택 스위치(49)가 구비되어 있고, 선택 스위치(49)의 조작 신호가 제어 장치(35)로 입력된다.
[5] 예취 상태(표준 모드)에 있어서의 전진 조작
다음에, 예취 상태(표준 모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49)에 의해 표준 모드를 선택하고, 클러치 레버(46)를 전동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예취 상태)에 있어서는 변속 레 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으로 조작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어 기기 본체가 정지하고(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된다(도15 참조). 조작축(32)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전진측의 소정의 저속 위치(F3) 사이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되고, 변속 레버(17)가 전진의 주행측으로 조작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어 기기 본체가 정지하고(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전진측의 소정의 저속 위치(F3)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3 위치로 조작된다(도17 참조). 조작축(32)이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의 전진측 소정의 저속 위치(F3)에 대응하는 속도로 기기 본체가 발진하여{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예취부(2)가 작동된다[예취 변속 장치(13)의 저속 위치].
변속 레버(17)를 전진측의 소정의 저속 위치(F3)와 전진측의 중간 위치(F4) 사이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3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전진측의 중간 위치(F4)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4 위치로 조작된다(도18 참조). 조작축(32)이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상태에서 예취 변속 장치(13)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17)를 전진측의 중간 위치(F4)와 제1 전진 경로(26)의 최고속 위치(F1) 사이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4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된다.
[6]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 있어서의 전진 조작 및 예취 상태(표준 모드 및 도복 모드)에 있어서의 후퇴 조작
다음에,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로 조작한 경우, 예취 상태(표준 모드) 및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 있어서 후진 경로(29)로 조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49)에 의해 도복 모드를 선택하고, 클러치 레버(46)를 전동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예취 상태)에 있어서는, 변속 레버(117)를 중립 정지 위치 N으로 조작하면, 전항 [5]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어 기기 본체가 정지하고(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된다(도15 참조).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전진측의 소정의 저속 위치(F3) 사이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전항 [5]와 같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되고, 변속 레버(17)가 전진의 주행측으로 조작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어 기기 본체가 정지하고(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는 변속 레버(17)를 전진측의 소정의 저속 위치(F3)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4 위치로 조작된다(도18 참조). 조작축(32)이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변속 장치(13)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의 전진측 소정의 저속 위치(F3)에 대응하는 속도로 기기 본체가 발진하여{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예취부(2)가 작동된다[예취 변속 장치(13)의 고속 위치].
변속 레버(17)를 전진측 소정의 저속 위치(F3)와 제1 전진 경로(26)의 최고속 위치(F1) 사이로 조작하면{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4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상태(표준 모드) 및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하면[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즉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2 위치로 조작된다(도16 참조).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후진 경로(29)의 최고속 위치(R1) 사이로 조작한 경우[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되고, 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O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후진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또한, 예취 상태(표준 모드) 및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제2 전진 경로(27)로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러한 조작은 실제로는 행해지지 않는다.
[7] 비예취 상태에 있어서의 전후진 조작
다음에, 비예취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제1 및 제2 전진 경로(26, 27) 및 후진 경로(29)로 조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46)를 차단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비예취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으로 조작하면, 전항 [5]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되어 기기 본체가 정지하고(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된다(도15 참조).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로 조작하면[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도21의 일점 쇄선 참조), 즉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2 위치로 조작된다(도16 참조).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제1 전진 경로(26)의 최고속 위치(F1) 사이로 조작한 경우에는[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되어 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O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한편, 변속 레버(17)를 제2 전진 경로(27)로 조작하면[부변속 장치(10)의 고속 위치](도21의 이점 쇄선 참조), 즉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2 위치로 조작된다(도16 참조).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제2 전진 경로(27)의 최고속 위치(F2) 사이로 조작한 경우에는[부변속 장치(10)의 고속 위치],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되어 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0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전진의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또한,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하면[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도21의 실선 참조), 즉시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2 위치로 조작된다(도16 참조). 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16)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7)를 중립 정지 위치 N과 후진 경로(29)의 최고속 위치(R1) 사이로 조작한 경우에는[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 변속 레버(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조작되어 기기 본체의 주행 속도가 O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후진 고속측으로 조작된다.
[8] 엔진(8) 정지시의 조작
다음에, 도2에 도시한 메인 스위치(50)를 절단 조작하여 엔진(8)이 정지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메인 스위치(50)는 엔진(8)을 시동 및 정지 조작하는 키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50)의 조작 위치는 제어 장치(35)로 입력된다.
전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취 상태(표준 모드)에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로 조작한 상태 및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한 상태[조작축(32)이 제2, 제3,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스위치(50)가 절단 조작되어 엔진(8)이 정지되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되어[배터리(도시하지 않음)의 전력 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전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취 상태(도복 모드)에서 변속 레버(17)를 제1 전진 경로(26)[부변속 장치(10)의 저속 위치]로 조작한 상태 및 변속 레버(17)를 후진 경로(29)로 조작한 상태[조작축(32)이 제2,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50)가 절단 조작되어 엔진(8)이 정지되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되어[배터리(도시하지 않음)의 전력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전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예취 상태에서 변속 레버(17)를 제1 또는 제2 전진 경로(26, 27), 후진 경로(29)로 조작한 상태[조작축(32)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60)가 절단 조작되어 엔진(8)이 정지되면, 모터(33)에 의해 조작축(32)이 제1 위치로 조작되어[배터리(도시하지 않음)의 전력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 변속 장치(13)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
(1)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취 변속 장치(13)가 고저 2단(저속 위치 및 고속 위치)으로 변속 가능한 기어 변속식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나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를 예취 변속 장치(13)로서 사용해도 된다.
(2)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수확 작업차뿐만 아니라, 기기 본체의 후방부에 작업 장치를 승강 구동 가능하게 구비한 트랙터나, 승용형 모내기 및 건설 작업차 등 다른 작업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차의 조작 구조에 있어서 이에 사용되는 액튜에이터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주행 변속 장치(7)와,
    상기 주행 변속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17)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37)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장치(2)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갖는 작업 클러치(14)와,
    상기 위치 센서가 검출한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전동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액튜에이터(33)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저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장치(2)로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변속 장치(13)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저속측으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고속의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변속 장치(13)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고속측 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조작 부재(32)와, 상기 조작 부재와 작업 클러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41, 42)와, 상기 조작 부재와 및 작업 변속 장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43)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작업 변속 장치가 상기 작업 변속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저속측 및 고속측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주차 브레이크(16)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16)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주행 변속 장치(7)와,
    상기 주행 변속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17)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37)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장치(2)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갖는 작업 클러치(14)와,
    상기 위치 센서가 검출한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전동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액튜에이터(33)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주차 브레이크(16)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구(17)가 주행측으로 조작된 것이 상기 위치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14)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상기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16)가 상기 액튜에이터(33)에 의해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조작 부재(32)와, 상기 조작 부재와 작업 클러치에 걸쳐 접속되는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41, 42)와, 상기 조작 부재와 주차 브레이크에 걸쳐 접속되는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38, 4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클러치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상기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작용 연계 부재를 통해 상기 제동 상태 및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6. 삭제
KR1020040017210A 2003-07-18 2004-03-15 작업차 KR100561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6710 2003-07-18
JPJP-P-2003-00276714 2003-07-18
JP2003276710A JP2005034094A (ja) 2003-07-18 2003-07-18 作業車の操作構造
JP2003276714A JP3865313B2 (ja) 2003-07-18 2003-07-18 作業車の操作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473A KR20050010473A (ko) 2005-01-27
KR100561127B1 true KR100561127B1 (ko) 2006-03-17

Family

ID=3459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10A KR100561127B1 (ko) 2003-07-18 2004-03-15 작업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1127B1 (ko)
CN (1) CN131297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6587A (zh) * 2010-08-19 2011-01-19 大同农机(安徽)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
JP2015223110A (ja) *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4996072A (zh) * 2015-07-30 2015-10-28 四川刚毅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小型半喂入联合收割机行走驱动变速装置
CN109379972A (zh) * 2017-08-09 2019-02-26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068B2 (ja) * 1992-03-13 1998-03-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車速制御装置
JP2944356B2 (ja) * 1993-04-05 1999-09-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アクセル制御装置
JP3696716B2 (ja) * 1997-05-29 2005-09-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機構
JP3611451B2 (ja) * 1998-06-17 2005-01-19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走行伝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2972C (zh) 2007-05-02
KR20050010473A (ko) 2005-01-27
CN1575629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793A1 (en) Speed shift arrangement for work vehicle
KR100561127B1 (ko) 작업차
JP5346317B2 (ja) 水田作業機
JP4634972B2 (ja) 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JP4479325B2 (ja) トラクタのpto制御装置
JP5313975B2 (ja) 切換操作装置
JP3935868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4101136B2 (ja) 刈取収穫機
US5038885A (en) Four-wheel drive work vehicle
GB2358049A (en) Tractor transmission with super-reduction and overdrive operated by a single switching device
JP4014544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3865313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3865312B2 (ja) 刈取収穫機
JP3530731B2 (ja) 歩行型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JP5027366B2 (ja) 水田作業機
JP3973609B2 (ja) 刈取収穫機
JP2005034095A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2001054314A (ja) コンバインの走行伝動構造
JP4176265B2 (ja) 動力耕耘機の運転操作装置
JP2005265051A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S6230506Y2 (ko)
JP2005034094A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5391161B2 (ja) 切換操作装置
JP2777007B2 (ja) 作業車のアクセル操作構造
JP2945538B2 (ja)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