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46B1 -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46B1
KR100553846B1 KR1020037016140A KR20037016140A KR100553846B1 KR 100553846 B1 KR100553846 B1 KR 100553846B1 KR 1020037016140 A KR1020037016140 A KR 1020037016140A KR 20037016140 A KR20037016140 A KR 20037016140A KR 100553846 B1 KR100553846 B1 KR 100553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extension
seat
extension ma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696A (ko
Inventor
마츠오카도시히데
고바야시다이스케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filed Critical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ublication of KR2004001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60R13/013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e.g. for access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3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002/36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enhancing the cargo floor surface, e.g. elements closing gaps or enlarging the back-res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시트 쿠션(6Lc, 6Rc)과 겹치게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할 수 있는 시트 백(6Lb, 6Rb)의 배면에, 그 시트 백(6Lb, 6Rb)을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뒷부분의 짐실(荷物室)(3)의 고바닥부(1b)에 부설(敷設)되는 짐실 매트(1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연장 매트(13)를 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매트(13)를 시트 백(6Lb, 6R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 매트(13)를, 이 연장 매트(13)에 의해 시트 쿠션(6Lc, 6Rc)의 하부로부터 그 앞부분의 발을 놓는 스페이스에 걸쳐서 탑승자실(2)의 저바닥부(1a)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탑승자실(2)의 저바닥부(1a)에, 그것을 더럽히기 쉬운 짐을 실을 경우에, 뒷부분 시트(6)의 시트 쿠션(6Lc, 6Rc) 배면의 연장 매트(13)를 합리적으로 이용해서 상기 바닥의 더럽힘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STRUCTURE FOR ARRANGING EXTENSION MA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시트 쿠션과 겹치게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할 수 있는 시트 백(seat back)의 배면에, 그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뒷부분의 짐실(荷物室)의 밑바닥에 부설되는 짐실 매트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연장 매트를 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제2001-187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알려져 있다.
자동차에서는, 일반으로, 탑승자실의 바닥에 카펫이 깔아져 있어, 그 바닥에, 그것을 더럽히기 쉬운 식목(植木)이나 접기식 자전거 등을 실을 경우에는, 응급적으로 상기 카펫 위에 신문지 등을 깔고, 그 더럽힘 방지를 도모하고 있지만, 그 더럽힘 방지를 도모하는 신문지 등을 가지지 않을 경우에는 막을 수 없어, 상기 카펫 위에 식목이나 접기식 자전거 등을 직접 싣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서 된 것으로, 탑승자실의 바닥에 더럽히기 쉬운 식목이나 접기식 자전거 등을 실을 경우에는, 상기 연장 매트를 합리적으로 이용해서 탑승자실 바닥의 더럽힘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상기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 쿠션과 겹치게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할 수 있는 시트 백의 배면에, 그 시트 백을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뒷부분의 짐실의 고바닥부에 부설되는 짐실 매트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연장 매트를 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매트를 상기 시트 백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 매트를, 이 연장 매트에 의해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로부터 그 앞부분의 발을 놓는 스페이스에 걸쳐서 탑승자실의 저바닥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각각 좌우로 분할된 상기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에 대응하여, 상기 연장 매트를 좌측 매트 반체(半體) 및 우측 매트 반체로 분할함과 동시에, 양 매트 반체를 파스너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이 제1특징에 의하면, 시트 쿠션을 뒤쪽으로 기립(起立)시킬지 혹은 떼어내어서, 탑승자실의 바닥 위에 짐을 싣는 스페이스를 만들 경우에는, 시트 백에서 연장 매트를 떼어내어서, 그 연장 매트를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바닥에 까는 것으로써,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바닥 전체를 연장 매트로 덮을 수 있으므로, 짐에 의한 바닥의 더럽힘을 막을 수 있다.
삭제
또, 제1특징에 의하면, 연장 매트가 좌측 및 우측 매트 반체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분할된 시트 쿠션의 한쪽만을 뒤쪽으로 기립시킬지 혹은 떼어내어서, 탑승자실의 한쪽의 바닥 위에 짐을 두는 스페이스를 만들 경우라도, 좌측 및 우측 매트 반체의 한쪽만을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바닥에 까는 것으로써,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비교적 좁은 바닥의 미관(美觀)을 손상하지 않고, 합리적으로 덮을 수 있다.
한편, 좌우 양쪽의 시트 쿠션을 뒤쪽으로 기립시킬지 혹은 떼어내어서, 탑승자실의 좌우 전체 폭(幅)에 걸쳐서 짐을 싣는 스페이스를 만들 경우에는, 양 매트 반체를 파스너로 접속해서 1매의 대형 연장 매트를 구성하고, 이것을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바닥에 까는 것으로써, 상기 짐을 싣는 스페이스의 비교적 넓은 바닥을 빠짐없이, 합리적으로 덮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특징에 더해서, 상기 연장 매트를 방수성 소재로 구성한 것을 제3특징으로 한다.
이 제3의 특징에 의하면, 연장 매트가 더럽혀졌을 경우에는, 이것을 차밖으로 꺼내서 용이하게 수세(水洗)할 수 있어 청결적이다.
한편, 상기 탑승자실 바닥 및 짐실 바닥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저(底)바닥부(1a) 및 고(高)바닥부(1b)로 각각 대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 2는 상기 연장 매트 배설 구조의 뒤쪽 사시도.
도 3은 상기 연장 매트 배설 구조의 일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대응도.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뒤쪽 사시도.
도 5는 상기 연장 매트 배설 구조의 다른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대응도.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앞쪽 사시도.
도 7은 상기 연장 매트 배설 구조의 또 다른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도 6의 대응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도시의 자동차는, 왜건(wagon)이나 RV타입과 같이, 탑승자실(2)과, 그 뒷부분에 연속된 짐실(3)이 공통인 루프(roof)(4)로서 덮어져 있다.
이 자동차 바닥(1)은, 탑승자실(2)에 대응한 저바닥부(1a)와, 이 저바닥부(1a) 보다 일단(一段) 높고, 짐실(3)에 대응한 고바닥부(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바닥부(1a) 위에는 전후로 나란히 앞부분 시트(5) 및 뒷부분 시트(6)가 배설된다.
도 2,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짐실(3)에 인접하는 뒷부분 시트(6)는, 좌우측 폭이 6대 4로 분할되어서 개별(個別)로 기능하는 좌측 뒷부분 시트(6L) 및 우측 뒷부분 시트(6R)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시트 쿠션(6Lc, 6Rc)은, 전단(前端) 하부에 접기 가능한 지지다리(7)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상 사용시에는, 그 지지다리(7)를 일으켜 세워서, 저바닥부(1a)의 걸림부(8)에 맞물림과 동시에, 그 시트 쿠션(6Lc, 6Rc)의 후단부(後端部)를 고바닥부(1b)에 지지시킨다. 또한, 지지다리(7)의 접기시에는, 시트 쿠션(6Lc, 6Rc)은 개별로 저바닥부(1a) 위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시트 백(6Lb, 6Rb)은, 앞으로 쓰러뜨릴 수 있도록 지지팔(9)을 통해서 고바닥부(1b)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뒷부분 시트(6L, 6R)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백(6Lb, 6Rb)을 앞으로 쓰러뜨려서 시트 쿠션(6Lc, 6Rc)에 중첩함과 동시에, 시트 쿠션(6Lc, 6Rc)을 저바닥부(1a)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서, 그 상태에서는 수평으로 된 시트 백(6Lb, 6Rb)의 배면이 고바닥부(1b)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연속하게 된다. 이렇게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 방향을 접으면, 앞으로 쓰러뜨린 시트 백(6Lb, 6Rb)의 상부 스페이스는 짐실(3)을 전후방향으로 확장하는 연장부로서 기능하므로, 짐실(3)로부터 앞으로 쓰러뜨린 시트 백(6Lb, 6Rb) 위에 걸쳐서 대형의 짐(A')을 수용할 수가 있다.
또한,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의 시트 쿠션(6Lc, 6Rc)을,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으로 일으켜서 대응하는 시트 백(6Lb, 6Rb)에 중첩함과 동시에, 지지다리(7)를 접으면, 저바닥부(1a) 위로는, 루프(4)까지의 높이가 고바닥부(1b) 보다도 큰 짐을 싣는 스페이스(S)를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스페이스(S)에는, 식목 등과 같이 신장이 큰 짐(B)을 수용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자실(2)에 대응한 저바닥부(1a)에는 카펫(10)이 부설(敷設)되어 짐실(3)에 대응한 고바닥부(1b)에는, 고무, 합성 수지 등의 방수성 소재로 된 짐실 매트(11)가 부설된다. 도면 중, 부호 12는, 짐실 매트(11)의 이동을 멈추기 위해서 고바닥부(1b)에 설치된 훅(hook)을 나타낸다.
한편, 뒷부분 시트(6)의 좌우측 시트 백(6Lb, 6Rb)의 각 배면에는, 상기 짐실 매트(11)와 마찬가지로 방수성 소재로 된 연장 매트(13)를 부착할 수 있다. 이 연장 매트(13)는, 좌우측 시트 백(6Lb, 6Rb)의 배면에 복수의 면파스너(14)를 통해서 개별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좌측 매트 반체(半體)(13L) 및 우측 매트 반체(13R)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매트 반체(13L, 13R)는, 대응하는 시트 백(6Lb, 6Rb) 배면의 대략 전체를 덮음과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짐실 매트(11)와 겹치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들 매트 반체(13L, 13R)의 후단부를 짐실 매트(11)와 중첩할 때에는, 각 매트 반체(13L, 13R)가 짐실 매트(11)의 아래쪽으로 그 짐실 매트(11)와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매트 반체(13L, 13R) 사이에는, 이들 양(兩) 매트 반체(13L, 13R)를 시트 백(6Lb, 6Rb)으로부터 떼어냈을 때, 그 양 매트 반체(13L, 13R)의 대향 가장자리를 서로 접속하는 슬라이드 파스너(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 매트 반체(13L, 13R)의 접속에 의해 구성되는 1매의 대형 연장 매트(1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시트 쿠션(6Lc, 6Rc)의 하부에서 그 앞부분의 발을 놓는 스페이스에 걸쳐서 저바닥부(1a)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장 매트(13)는, 통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각 시트 백(6Lb, 6Rb)의 배면에 면파스너(14)로 부착할 수 있게, 짐실(3)에 임하고 있다. 따라서, 짐실(3)에 수용된 짐(A)이 시트 백(6Lb, 6Rb)의 배면에 접촉해도, 각 매트 반체(13L, 13R)에 의해 시트 백(6Lb, 6Rb)의 더럽힘을 막을 수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을 접어서 저바닥부(1a)에 수납하면, 앞으로 쓰러뜨린 시트 백(6Lb, 6Rb) 배면의 각 매트 반체(13L, 13R)는 수평상태가 되어서, 짐실 매트(11)와 실질적으로 연속한다. 따라서, 짐실 매트(11)에서 연장 매트(13)에 걸쳐서 자전거 등의 대형의 짐(A')을 실을 수 있다. 그 때, 각 매트 반체(13L, 13R)는 짐(A')에 의한 시트 백(6Lb, 6Rb)의 더럽힘 방지에 기여한다.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접기 및 이동시에는, 각 매트 반체(13L, 13R)가 다소 전방으로 끌릴 수가 있지만, 각 매트 반체(13L, 13R) 및 짐실 매트(11)의 겹친 부분에서는 서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때라도 각 매트 반체(13L, 13R)에 무리하게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뒷부분 시트(6L, 6R)의 양쪽 시트 쿠션(6Lc, 6Rc)을 기립시킴과 동시에, 모든 지지다리(7)를 접어서, 저바닥부(1a) 위로 최고 또한 최대폭의 짐을 싣는 스페이스(S)를 만들 경우에는, 좌우 양쪽 시트 백(6Lb, 6Rb)에서 매트 반체(13L, 13R)를 떼어내어서, 이들 매트 반체(13L, 13R)를 슬라이드 파스너(15)에 의해 서로 접속해서 1매의 대형 연장 매트(13)를 구성하고, 이 연장 매트(13)를 상기 최대의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저바닥부(1a) 위에 깐다.
그렇게 하면, 상기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비교적 넓은 저바닥부(1a)의 카펫(10)은 물론, 모든 걸림부(8)를 상기 대형 연장 매트(13)에 의해 틈새 없이 덮을 수 있으므로, 그 위에 짐(B)을 실었을 때, 짐(B)에 의한 저바닥부(1a), 즉 카펫(10)의 더럽힘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짐(B)과 노출한 걸림부(8)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시트 쿠션(6Lc, 6Rc)의 어느 것인가 한쪽만을 후방으로 기립시킴과 동시에, 대응하는 지지다리(7)를 접고, 저바닥부(1a)의 좌우편쪽에 짐을 두는 스페이스(S)를 만들 경우에는, 좌우측 시트 매트(6Lb, 6Rb)의 한쪽으로부터 매트 반체(13L) 또는 (13R)을 떼어내어, 그것을 상기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저바닥부(1a) 위에 깐다. 그렇게 하면, 매트 반체(13L) 또는 (13R)에 의해, 상기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비교적 좁은 저바닥부(1a)의 카펫(10) 및 노출한 걸림부(8)를 기려(綺麗)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도, 그 위에 실은 짐(B)에 의한 저바닥부(1a), 즉 카펫(10)의 더럽힘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고, 또한 짐(B)과 노출한 걸림부(8)의 간섭을 피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사용상태의 다른편의 뒷부분 시트(6L) 또는 (6R)에는, 상기 짐(B)과 함께 탑승자가 앉을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거주(居住) 스페이스의 삭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자실(2)에 만들어지는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넓이에 따라서, 좌측 및 우측 매트 반체(13L, 13R)의 어느 것인가 한쪽만을 사용하거나, 양 매트 반체(13L, 13R)를 접속하여서 된 대형의 연장 매트(13)를 사용하거나 하므로써, 그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저바닥부(1a)를 합리적으로 덮을 수 있고, 그 짐을 두는 스페이스(S)의 미관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매트(13)는 방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더럽혀졌을 경우에는, 이것을 차밖으로 꺼내어서, 용이하게 수세(水洗) 할 수 있고, 지극히 청결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뒷부분 시트(6)의 좌우 분할 비율은, 5 대 5 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15)에 대신해서, 호크, 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뒷부분 시트(6L, 6R)의 각 시트 쿠션(6Lc, 6Rc)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이다.

Claims (3)

  1. 시트 쿠션(6Lc, 6Rc)과 겹치게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할 수 있는 시트 백(6Lb, 6Rb)의 배면에, 그 시트 백(6Lb, 6Rb)을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뒷부분의 짐실(3)의 고바닥부(1b)에 부설되는 짐실 매트(1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연장 매트(13)를 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매트(13)를 상기 시트 백(6Lb, 6R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 매트(13)를, 이 연장 매트(13)에 의해 상기 시트 쿠션(6Lc, 6Rc)의 하부로부터 그 앞부분의 발을 놓는 스페이스에 걸쳐서 탑승자실(2)의 저바닥부(1a)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각각 좌우로 분할된 상기 시트 쿠션(6Lc, 6Rc) 및 시트 백(6Lb, 6Rb)에 대응하여, 상기 연장 매트(13)를 좌측 매트 반체(13L) 및 우측 매트 반체(13R)로 분할함과 동시에, 양 매트 반체(13L, 13R)를 파스너(15)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매트(13)를 방수성 소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KR1020037016140A 2001-06-12 2001-09-21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KR100553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6860 2001-06-12
JP2001176860A JP3605578B2 (ja) 2001-06-12 2001-06-12 自動車の延長マット配設構造
PCT/JP2001/008259 WO2003008231A1 (fr) 2001-06-12 2001-09-21 Structure d'installation d'un tapis d'extension pour automob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696A KR20040010696A (ko) 2004-01-31
KR100553846B1 true KR100553846B1 (ko) 2006-02-24

Family

ID=1901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40A KR100553846B1 (ko) 2001-06-12 2001-09-21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07928B1 (ko)
JP (1) JP3605578B2 (ko)
KR (1) KR100553846B1 (ko)
CN (1) CN100364809C (ko)
DE (1) DE60141482D1 (ko)
WO (1) WO2003008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8176B1 (fr) * 2005-07-06 2008-11-21 Faurecia Automotive Ind Snc Ensemble de revet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FR2920718A1 (fr) * 2007-09-10 2009-03-13 Renault Sas Agencement d'un element de plancher mobile a l'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FR2946589B1 (fr) * 2009-06-11 2012-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une partie d'interieur de vehicule
DE102012221018B4 (de) * 2012-11-19 2017-09-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tfernt lösbarer sitz mit gedämpfter vorwärtsklappbewegung
FR3006657B1 (fr) * 2013-06-11 2016-08-05 Renault Sa Dispositif de protection formant bac de rangement destine a equiper une zone de chargement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JP6068412B2 (ja) * 2014-10-17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CN106274595A (zh) * 2016-09-07 2017-01-0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备箱地毯
CN107284300B (zh) * 2017-06-26 2019-06-11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座垫电动翻折机构
JP7025708B2 (ja) * 2017-12-14 2022-02-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デッキボードの支持構造
JP6763905B2 (ja) * 2018-03-29 2020-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20200108745A1 (en) * 2018-10-09 2020-04-09 Tachi-S Engineering U.S.A., Incorporated Vehicle seat
JP2021155003A (ja) * 2020-03-30 2021-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CN113184062A (zh) * 2021-05-06 2021-07-3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可变容积的客货运一体化运输车辆
KR102656080B1 (ko) * 2024-01-30 2024-04-11 주식회사 승화 부착용 원단을 이용한 차량 트렁크용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2939A (ja) 1985-04-05 1986-10-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ラゲツジル−ムカ−ペツト
JPH0530980Y2 (ko) * 1986-06-25 1993-08-09
JPH0539955Y2 (ko) * 1988-07-30 1993-10-12
JPH02139127U (ko) * 1989-04-24 1990-11-20
US5011210A (en) 1990-04-10 1991-04-30 Tachi-S Co. Ltd. Structure for fixing the terminal end of carpet in automotive seat
DE29906449U1 (de) 1999-04-12 1999-07-29 Uhl Verkleidungssatz für Laderäume von Kombi-Pkws
JP3164566B2 (ja) 1999-07-02 2001-05-0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のトランク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41482D1 (de) 2010-04-15
EP1407928A1 (en) 2004-04-14
CN100364809C (zh) 2008-01-30
WO2003008231A1 (fr) 2003-01-30
KR20040010696A (ko) 2004-01-31
CN1516654A (zh) 2004-07-28
JP2002362211A (ja) 2002-12-18
EP1407928A4 (en) 2008-07-02
JP3605578B2 (ja) 2004-12-22
EP1407928B1 (en)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846B1 (ko) 자동차의 연장 매트 배설 구조
US6997500B2 (en) Motor vehicle seating
US8657371B2 (en) Car seat
CN104245413A (zh) 具有包括座椅的多功能床的车辆
US6845531B2 (en) Combination for chair and bed
SE530121C2 (sv) Sätes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förändra antalet säten i en bil
US8596317B1 (en) Portable utility blanket for use in the cargo area of a vehicle
JP5427223B2 (ja) 車室内構造
US6921129B2 (en) Vehicle, especially a multipurpose vehicle
WO2001005620A1 (en) Motor vehicle rear seat with container well and two-sided lid
JPH078305Y2 (ja) 車両用補助シート
JPS6326255Y2 (ko)
JP4144263B2 (ja) 車両の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6599499B2 (ja) フロアマットの敷設構造
JPH0357548Y2 (ko)
JP2004136773A (ja) 荷物の車両固定構造
JPH0433139Y2 (ko)
JP2004254770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H031303Y2 (ko)
KR0115634Y1 (ko) 스페어 타이어 은폐 구조를 가지는 레저용 자동차의 제3시트
JPS61138731U (ko)
JPH07315093A (ja) 車両用折りたたみ座席の支持構造
GB2406510A (en) Motor vehicle seating
JPH03118241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H08119015A (ja) 車両用折畳み式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