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703B1 -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703B1
KR100547703B1 KR1020000012990A KR20000012990A KR100547703B1 KR 100547703 B1 KR100547703 B1 KR 100547703B1 KR 1020000012990 A KR1020000012990 A KR 1020000012990A KR 20000012990 A KR20000012990 A KR 20000012990A KR 100547703 B1 KR100547703 B1 KR 10054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dispenser
initial position
elastic memb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661A (ko
Inventor
게레쟝루아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01002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45D2040/105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디스펜서(dispenser)는 퓨셔(pusher)가 이동 가능한 범위 내의 몸체와, 물체를 분배하도록 축방향의 이동으로 상기 퓨셔를 구동하는 클러치해제 가능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클러치해제될 때 최초위치로 퓨셔를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귀수단은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2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 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A DISPENSER INCLUDING A PUSHER RETURNED TO AN INITIAL POSITION BY A RESILIENT MEMBER WORKING IN TRAC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두 개략적인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디스펜서의 개략적이고, 부분적으로 잘라낸, 부품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4는 퓨셔와 슬라이딩 엘리먼트 사이의 커플링을 나타낸다.
도 5는 구동수단의 실행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6은 디스펜서 단독의 몸체의 제 2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디스펜서 단독의 슬라이딩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9는 이중 디스펜서의 도해이고; 또한
도 10은 슬라이딩 엘리먼트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펜서 2 : 몸체
3, 51 : 제 1부분 4, 34, 52 : 제 2부분
5, 53 : 플러그 6 : 벤트
7 : 리브 8 : 통로
9 : 뒤끝(rear end) 10 : 원뿔입(conical mouth)
12 : 루트면 14 : 슬롯
15, 55 : 퓨셔 16 : 로드
17 : 원통형부분 18, 59, 59' : 헤드
20, 22, 58 : 그루브 23 : 리브
26, 54 : 스프링 28 : 내부표면
29 : 돌출벽(end wall) 30 : 구동부재
31 : 탭 32 : 베이스
33 : 제 1부분 35 : 벤드
40, 60 : 슬라이딩 엘리먼트 41 : 컵
42, 69 : 조 43 : 자유단
50 : 디스펜서 56 : 외부나사
57 : 핀 60 : 중심보어
62 : 선단 65 : 구동부재
67 : 컵 68 : 탄성텅
70 : 폐쇄캡 71 : 폼패드
72 : 팁 90 : 이중 디스펜서
91 : 중심부분 93 : 구멍
94, 95 : 구획
본 발명은 퓨셔가 이동 가능한 범위 내의 몸체와, 물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축방향의 이동으로 상기 퓨셔를 구동하기 위한 클러치해체가 가능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클러치해체될 때 최초위치로 퓨셔를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디스펜서는 국제출원 WO 98/0954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형태의 디스펜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복귀수단이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장점적으로, 탄성부재는 적어도 푸셔 내부의 일부분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압축으로 움직이는 나선형의 스프링을 사용한 국제출원 WO 98/09548에 기재된 디스펜서에 비하여 디스펜서의 축방향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장점적으로, 탄성부재는 그의 최초위치로 퓨셔의 복귀운동을 약하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디스펜서의 구조가 출원 WO 98/09548에 기재된 것에 비하여 간단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는 디스펜서 몸체의 돌출벽에 대하여 한쪽 말단에서 고정되고 퓨셔에 대하여 다른 말단에서 고정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퓨셔는 로드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부분에 의해 한쪽 말단에서 연장된 노치되거나 나사에 홈을 낸 로드를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퓨셔가 그의 최초 위치에 있을 때 대개 상기 원통형 부분 내부에 수납된다.
다른 특별한 실시예에서, 퓨셔는 그의 최초 위치에 있을 때 탄성부재의 주요부분이 수납되는 범위 내에서 노치되거나 나사에 홈을 낸 중공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퓨셔는 디스펜서의 몸체 부분에서 그것을 이끌기 위하여 회전하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원통형 대칭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포함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의 몸체는 서로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부분을 가진다. 퓨셔는 나사를 가지고 몸체의 제 1부분에서 활주하는 능력은 있지만 상기 제 1부분에 관하여 회전하는 능력은 없이 설치된다. 디스펜서는 몸체의 제 2부분에 고정된 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구동수단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퓨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퓨셔의 나사를 맞물리는 구동위치와, 퓨셔의 나사로 맞물리는 것을 중지하고 탄성부재의 복귀작용 하에 퓨셔가 최초 위치까지 복귀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해체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점적으로, 몸체의 두 부분은 분리가능하고 다른 쪽에 하나가 맞물리도록 형태를 이루고, 구동부재는 다른 부분에서 한 부분의 삽입이 구동부재가 구동위치를 향하여 그의 클러치해체된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상기 위치가 분리될 때는 반대로 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장점적으로, 구동부재는 퓨셔로 맞물려질 때, 축방향으로 일정량의 탄성을 나타내도록 형태를 이룬 적어도 하나의 탄성태브에 의해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첫째로, 만일 사용자가 물체를 적용하는 동안 퓨셔에서 축방향의 미는 힘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최초 위치를 향하여 퓨셔가 약간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고, 둘째로 상기 나사가 미리 결정된 힘을 초과하면 퓨셔가 탈출(escape)하는 것을 허여한다.
장점적으로, 몸체의 제 2부분은 상기 제 2부분의 축방향의 통로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또는 컵 등의 슬라이딩 엘리먼트를 가지며, 슬라이딩 엘리먼트는 몸체의 제 1 및 제 2 부분이 서로 분리될 때 슬라이딩 엘리먼트가 퓨셔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링크수단에 의해 퓨셔에 배출 가능하게 연결된 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링크수단은 퓨셔의 한쪽과 슬라이딩 엘리먼트에 형성된 조(jaw)와, 퓨셔의 다른 쪽과 슬라이딩 엘리먼트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는 슬라이딩 엘리먼트가 상기 축방향의 통로 내부에 미리 결정된 스트로크 건너편에 맞물릴 때 헤드에 조이는 형태이다.
장점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두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중 디스펜서는 메이크업 엑세서리로서 사용됨에 모순이 없고, 특히 각 퓨셔가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와 연합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보다 컴펙트하게 만들 수 있는 사실 때문에 축방향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하의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한 도면을 고찰하는 중에 나타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디스펜서(1)는 일반적으로 세로축 X를 따르는 형태로 기다란 몸체(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두 실질상 관모양의 부분 (3 및 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부분(3)은 벤트(6)를 가지고 있는 플러그(5)에 의해 한쪽 말단에서 닫히고 이하에 기재된 기능을 가지는 내부의 환상의 리브(7)를 포함한다.
제 2부분(4)은 예컨대 스틱의 형태로 물체 P의 공급을 위하여 하우징을 한정하는 축방향의 관통로(8)를 가진다.
통로(8)는 기능이 이하에 설명된 원뿔입(10)을 거쳐 디스펜서의 몸체(2)의 제 1부분(3)을 향하여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2)의 제 2부분(4)은 제 1부분(3)에 삽입되며 제 1부분(3)의 선단이 교대(abutment)로 되는 것에 대항하여 외부 루트면(12)을 가진다.
제 1부분(3) 내부에 맞물린 제 2부분(4)의 뒤끝(9)은 축 X에 대하여 원형의 원통형이고 이하에 서술된 기능을 가지는 두 개의 정반대의 슬롯(14)(특히, 도 5에 나타낼 수 있슴)을 가지고 있다.
디스펜서(1)는 또한 나사에 홈을 낸 로드(16)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퓨셔(15)를 가진다.
퓨셔(15)의 뒤끝은 로드(16)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부분(17)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선단은 환상의 그루브(20)를 거쳐 로드(16)에 연결된 헤드(18)에 의해 구성된 맞물림부분을 가지고 있다.
퓨셔(15)는 몸체(2)의 제 1부분(3)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첫째는 제 1부분(3)이 플러그(5)와 환상의 리브(7)사이에 연장되는 내부표면에 적어도 두 정반대의 세로의 그루브(22)를 가지며, 둘째는 원통형부분(17)은 상기 그루브(22)에서 활주하는 형태의 두 리브(23)를 가지는 사실에 의해 거기에 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서, 원형으로 대칭인 아닌 단면의 형태,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섹션을 가지는 퓨셔를 사용함으로써 제 1부분(3)에서 퓨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코일스프링(26)에 의해 서술된 실시예에서 구성된 탄성부재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초의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퓨셔(15)를 몰아대기 위해 제공된다.
이 스프링(26)은 견인력으로 움직인다. 그의 뒤끝은 플러그(5)의 내부 표면(28)에 고정되며 그의 선단은 퓨셔(15)의 원통형 부분(17)의 돌출벽(29)에 고정된다.
받침대에서, 스프링(26)의 회전은 완전히 접할 필요는 없고 스프링(26)의 길이는 퓨셔(15)가 그의 최초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26)이 거기에 완전히 수납되지 않도록 원통형부분(17)의 것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는 첫째 디스펜서의 총길이는 비교적 짧고 둘째 스프링(26)으로부터 구동 하에 퓨셔의 회전운전이 약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디스펜서(1)는 몸체(2)의 제 1 및 제 2부분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퓨셔(15)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재(30)를 가진다.
도 5 및 서술된 실시예에서 이 구동부재(30)는 독립적으로 나타내어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부분(4)의 뒤끝에 맞물리도록 바깥쪽으로 배향된 루트면을 가지는 환상의 베이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정반대의 탄성의 변형 가능한 탭(31)을 가진다. 변형에서, 구동부재(30)는 제 2부분은 단지 하나의 대응 슬롯(14)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단지 단일 탭(31)을 가질 수 있다.
각 탭(31)은 환상의 베이스(32)에 대하여 한쪽 말단에서 고정된 제 1부분(33)을 가지며 축 X로부터 또한 연장되는 동시에 거기로부터 연장된다. 이 제 1부분(31)은 제 1부분과 함께 벤드(35)를 형성하고 축 X를 향하여 연장하는 동시에 거기로부터 연장하는 제 2부분(4)에 의해 연장된다.
탭(31)의 벤드(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부분(3)이 결여되는 동안 구동부재(30)가 제자리에 있을 때 제 2부분(4)의 슬롯(14)으로부터 연장된다.
탭(31)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그 때 로드(16)의 직경보다 크다.
환상의 리브(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제 2부분(4)의 뒤끝에 대항하여 가압된 환상의 베이스(32)를 수용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슬라이딩 엘리먼트(40)는 제 2부분(4)의 통로(8) 내부에 수납된다.
슬라이딩 엘리먼트(40)는 물체 P의 스틱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선단에서 컵(41)을 가지고, 그의 뒤끝에서 자유단(43)을 가지는 조(42)는 헤드(18)의 가장 큰 직경보다 큰 간격에 의해서 받침대에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변형에서, 조(42)는 퓨셔와 함께 완전하게 형성될 수 있고, 헤드(59')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엘리먼트와 함께 완전히 형성될 수 있다.
제 2부분(4)이 제 1부분(3)에 삽입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8)는 원뿔입(10)에 위치를 정한 조(42) 사이에 관통될 수 있다.
디스펜서의 몸체(2)의 제 1부분 및 제 2부분이 다른 쪽에 하나가 삽입되면, 퓨셔(15)는 스프링(26)의 존재 때문에 최초 위치에 수용된다.
상기 삽입동안, 구동부재(30)의 탭(31)은 안쪽으로 당겨지고 그들의 자유단 은 로드(16)를 맞물린다.
물체 P의 스틱의 길이는 퓨셔(15)가 최초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의 자유단은 제 2부분(4)의 돌출부 뒤에 약간 후부에 배치된다.
제 2부분이 주어진 방향으로 제 1부분(3)에 관하여 회전될 때, 슬라이딩 엘리먼트(40)는 출구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구동부재(30)는 퓨셔(15)를 나아가게 한다.
조(42)는 헤드(18)에서 닫히고, 그럼으로써 슬라이딩 엘리먼트(40)가 제 2부분(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후부에 복귀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부재의 탭(31)은 축방향으로 일정량의 유연성이 존재하고, 그럼으로써 물체 P의 스틱이 사용되어지는 동안 약간 밀고 들어오는 것을 허여한다.
언제나, 사용자는 물체의 새로운 보충이나 다른 물체에 의해, 새로운 보충으로부터 이동해 나가기 위해 물체의 스틱을 일으킬 필요 없이, 제 2부분(4)으로부터 제 1부분(3)을 분리함으로써, 제 2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동안, 슬라이딩 엘리먼트(40)의 조(42)는 원뿔입(10)에서 최초위치로 복귀되고, 그럼으로써 헤드(18)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구동부재(30)의 탭(31)은 슬롯(14)으로부터 배출됨으로써 떨어져 이동하고, 그럼으로써 그때 스프링(26)의 복귀효과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귀되는 퓨셔(15)의 로드(16)를 배출한다.
도 7은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스펜서(50)를 나타낸다.
이 디스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1)의 제 1부분(3) 및 제 2부분(4) 에 각각 유사한 제 1부분(51) 및 제 2부분(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나선형 스프링(54)의 한쪽 말단이 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 1부분(51)은 플러그(53)에 의해 한쪽 말단에서 닫힌다.
디스펜서(50)는 그의 길이부분 위에 외부나사(56)와 함께 퓨셔(55)를 가진다.
퓨셔(55)의 뒤끝은 제 1부분(51)의 세로 그루브(58)에서 활주하는 핀(57)을 가지며, 그의 선단은 상술한 디스펜서(1)의 헤드(18)에 유사한 헤드(59)를 가진다.
나사스프링(54)의 선단(62)은 퓨셔(55)의 중심보어(60)의 돌출벽에 고정된다.
퓨셔(55)가 최초위치에 있을 때, 핀(57)은 플러그(53)에 축으로 대항하여 견디게 되고, 스프링(54)은 중심보어(60) 범위 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디스펜서(50)는 상술한 디스펜서(1)의 구동부재(30)에 동등한 구동부재(65)를 가진다.
디스펜서(50)의 제 2부분(52)은 비교적 큰 직경의 물체의 스틱, 예를 들면 립스틱 R의 조각을 받도록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엘리먼트(66)의 정면은 컵(67)으로 받침대에서 방사상으로 주사하는 탄성텅(68)을 가진 컵(67)을 가지며, 상기 텅(tongues)은 물체 R의 스틱의 강화앵커를 의도한다.
뒤쪽에서, 슬라이딩 엘리먼트(66)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엘리먼트 (40)와 같은 조(69)를 가진다.
슬라이딩 엘리먼트(66)는 또한 물체가 활발한 동안 후방에서 캐스트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컵(67)의 돌출벽에 구멍을 가진다.
제 2부분(52)은 제 2부분(52)의 팁(72)이 견디게 되는 것에 반하여 폼패드 (71)를 가지고 있는 돌출벽으로 폐쇄캡(70)이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상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복귀스프링은 퓨셔에서 적어도 일부분 수용되고, 디스펜서가 축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두 디스펜서(50)의 제 1부분을 결합함으로써 얻어지게 되는 일반구조의 중심부분(91)을 가진 몸체의 이중 디스펜서(90)를 나타낸다.
플러그(53)는 그때 각각 두 퓨셔 슬라이드의 뒤쪽부분에서 구획(94 및 95)을 통신하도록 구멍(93)에 의해 관통된 횡단벽에 의해 대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최초위치로 대응퓨셔가 복귀하도록 사용된 스프링은 상기 퓨셔에 대하여 한쪽 말단과 디스펜서의 몸체에 대하여 다른 말단에서 접합함으로써 고정된다. 스프링의 말단은 후크 형상이거나, 고정을 위해 적절한 중간조각에 의해 충족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코일스프링 이외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체의 스틱은 브러시, 펠트, 폼, 또는 털부스러기 물질 조각과 같은 다른 작은 주걱 형태로 대체될 수 있고, 물체는 예컨대 염료, 마스카라, 또는 아이새도우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서, 구동부재는 분할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출원 WO 98/09548의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엘리먼트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에 적절한 교대형성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복귀수단이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장점적으로, 탄성부재는 적어도 푸셔 내부의 일부분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압축력으로 작동하는 나선형의 스프링을 사용한 국제출원 WO 98/09548에 기재된 디스펜서에 비하여 디스펜서의 축방향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장점적으로, 탄성부재는 그의 최초위치로 퓨셔의 복귀운동을 약하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디스펜서의 구조가 출원 WO 98/09548에 기재된 것에 비하여 간단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4)

  1. 퓨셔가 이동 가능한 범위 내의 몸체와, 물체를 분배하도록 축방향의 이동으로 상기 퓨셔를 구동하는 클러치해제 가능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클러치해제될 때 최초위치로 퓨셔를 복귀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로서, 디스펜서는 상기 복귀수단이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26;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26;54)는 퓨셔(15;55)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26)는 최초위치로 퓨셔의 복귀운동을 약하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26;54)는 디스펜서 몸체(1;50)의 돌출벽에 대하여 한쪽 말단과 퓨셔(15;55)에 대하여 다른 말단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퓨셔는 로드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부분(17)에 의해 한쪽 말단에서 연장된 노치되거나 나사에 홈을 낸 로드(16)를 포함하고, 탄성부재(26)는 퓨셔가 최초위치에 있을 때 상기 원통형부분(17) 내부에 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 1 항에 있어서, 퓨셔가 최초 위치에 있을 때 수납되는 탄성부재(54)의 주요부분 범위 내에서 노치되거나 나사에 홈을 낸 중공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펜서의 몸체는 서로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부분(3;51;4;52)을 가지고, 퓨셔는 나사를 가지고 몸체의 제 1부분에서 활주하는 능력은 있지만 상기 제 1부분에 관하여 회전하는 능력은 없이 설치되고, 디스펜서는 몸체의 제 2부분에 고정된 구동수단(30;65)을 가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퓨셔를 축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퓨셔의 나사를 맞물리는 구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퓨셔의 나사로 맞물려지는 것을 중지하고 퓨셔가 탄성부재의 복귀작용 하에 최초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클러치해제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몸체의 두 부분은 분리가능하고 다른 쪽에서 하나가 맞물릴 수 있도록 형태를 이루며, 구동부재(30;65)는 다른 쪽 부분에서 한쪽 부분의 삽입이 구동부재가 구동위치를 향하여 클러치해제된 위치로부터 이동되고, 상기 부분 이 분리될 때는 반대로 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구동부재는 퓨셔로 맞물릴 때 축방향으로 일정량의 탄성이 존재하는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탄성탭(31)으로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첫째 만일 사용자가 물체를 적용하는 동안 퓨셔에서 축방향의 나사를 쓰는 경우에는 퓨셔가 최초위치를 향하여 약간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고, 둘째 상기 나사가 미리 결정된 힘을 초과하면 퓨셔가 탈출하도록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몸체의 제 2부분은 제 2부분의 축방향의 통로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이나 컵 등의 슬라이딩 엘리먼트(40;66)를 가지며, 슬라이딩 엘리먼트는 몸체의 제 1 및 제 2 부분이 서로 분리될 때 퓨셔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수단(42;18;69;59)에 의해 퓨셔에 배출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링크수단은 퓨셔와 슬라이딩 엘리먼트 중의 한쪽에 형성된 조(42;69)와 퓨셔와 슬라이딩 엘리먼트 중의 다른 쪽에 형성된 헤드(18;5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는 슬라이딩 엘리먼트가 상기 축방향의 통로(9) 내부에 미리 결정된 스트로크 건너편에 맞물릴 때 헤드에서 조이기 위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26;5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3. 제 1 항에 있어서, 퓨셔는 디스펜서의 몸체의 부분(3)에서 그것을 이끌기 위해 회전하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비원형적 원통형 섹션의 적어도 한 부분(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4. 제 1 항에 정의된 두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펜서(90).
KR1020000012990A 1999-03-16 2000-03-15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0547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3213 1999-03-16
FR9903213A FR2790924B1 (fr) 1999-03-16 1999-03-16 Distributeur comportant un poussoir ramene dans une position initiale par un organe elastique travaillant en 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61A KR20010020661A (ko) 2001-03-15
KR100547703B1 true KR100547703B1 (ko) 2006-02-01

Family

ID=954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90A KR100547703B1 (ko) 1999-03-16 2000-03-15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71673B1 (ko)
EP (1) EP1036519B1 (ko)
JP (1) JP3434483B2 (ko)
KR (1) KR100547703B1 (ko)
CN (1) CN1192731C (ko)
AR (1) AR022920A1 (ko)
AT (1) ATE255341T1 (ko)
BR (1) BR0001320A (ko)
CA (1) CA2301234C (ko)
DE (1) DE60006876T2 (ko)
ES (1) ES2209776T3 (ko)
FR (1) FR2790924B1 (ko)
TW (1) TW56471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96B1 (ko) * 2001-02-03 2004-02-11 안석두 립스틱 겸용 립오토펜슬
FR2845875B1 (fr) * 2002-10-16 2005-06-10 Oreal Dispositif comportant un mecanisme d'entrainement d'un stick ou d'un piston mobile dans une partie de base
US7350996B2 (en) * 2005-03-28 2008-04-01 Sanford, L.P. Retractable writing utensil
US7175358B1 (en) * 2005-08-29 2007-02-13 Spa De Soleil, Inc. Cosmetic applicator
US7785026B2 (en) * 2007-01-08 2010-08-31 Serena Eng Cosmetic applicator device
US7850382B2 (en) * 2007-01-18 2010-12-14 Sanford, L.P. Valve made from two materials and writing utensil with retractable tip incorporating same
US7488130B2 (en) * 2007-02-01 2009-02-10 Sanford, L.P. Seal assembly for retractable instrument
US8226312B2 (en) * 2008-03-28 2012-07-24 Sanford, L.P. Valve door having a force directing component and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same
FR2934129B1 (fr) * 2008-07-24 2014-05-0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FR2934493B1 (fr) * 2008-08-01 2010-09-17 Oreal Procede de t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JP4355753B1 (ja) * 2008-10-29 2009-11-04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US8221012B2 (en) * 2008-11-07 2012-07-17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a one-piece valve door actuating assembly
US8393814B2 (en) 2009-01-30 2013-03-12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 having a two stage protraction/retraction sequence
FR2960137B1 (fr) 2010-05-18 2015-11-13 Oreal Dispositif et procede d'application d 'un produit cosmetique
CN102134050B (zh) * 2010-12-10 2013-07-24 深圳市榜样通信有限公司 一种向高压容器内加注液体的加注器
CN102960936B (zh) * 2011-08-29 2015-10-28 株式会社常盘 棒状化妆品送出容器
DE102012208918A1 (de) * 2012-05-25 2013-11-28 H & M Gutberlet Gmbh Applikatoreinheit für eine Kosmetikeinheit sowie Kosmetikeinheit mit einer derartigen Applikatoreinheit
WO2014054433A1 (ja) * 2012-10-03 2014-04-10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JP5970323B2 (ja) * 2012-10-03 2016-08-17 鈴野化成株式会社 化粧材繰出容器
JP5452750B1 (ja) * 2013-05-20 2014-03-26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JP5452688B1 (ja) * 2012-10-03 2014-03-26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US20140126948A1 (en) * 2012-11-08 2014-05-08 Tyrone Haynes Double-headed deodorant dispenser
JP5452753B1 (ja) * 2013-05-27 2014-03-26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WO2017048244A1 (en) * 2015-09-16 2017-03-23 Colgate-Palmolive Company Consumable product packaging
MX2018003020A (es) * 2015-09-16 2018-05-02 Colgate Palmolive Co Empaque de productos consumibles.
CN108495574B (zh) 2016-01-25 2021-12-24 欧莱雅 用于双内容物的包装和分配装置
JP6393791B2 (ja) * 2017-02-28 2018-09-19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ホルダー、及び、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KR101842886B1 (ko) * 2017-07-03 2018-03-28 이종범 립스틱 용기
CN112932053B (zh) * 2021-01-25 2023-05-12 江苏仅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旋出后可定时自动回缩的管状口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005A (en) * 1992-12-29 1994-08-09 Schwan-Stabilo Schwanhaeusser Gmbh & Co. Applicator device
JPH09149813A (ja) * 1995-11-30 1997-06-10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及び押棒繰出機構
JPH10304932A (ja) * 1997-05-09 1998-11-17 Suzuno Kasei Kk 両軸繰出式棒状化粧材容器
JPH10512483A (ja) * 1996-09-02 1998-12-02 ロレアル 塗布器ホルダ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7727A (en) * 1920-12-01 1923-03-06 William G Kendall Cosmetic-stick holder
US1729240A (en) * 1928-09-04 1929-09-24 Augenstein Henry Pencil
US2130345A (en) * 1934-12-29 1938-09-20 Freeman Samuel Lipstick
US2526089A (en) * 1947-09-15 1950-10-17 Crest Silver Mfg Co Inc Lipstick case
FR2589696A1 (fr) * 1985-10-02 1987-05-15 Douaire Philippe Dispositif porte-mine pour le maquillage et les soins de beaute
CA2048038C (en) * 1990-11-13 1995-02-28 J. Richard Cox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US5230577A (en) * 1990-11-13 1993-07-27 Maybelline, Inc.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DE4222759C2 (de) * 1992-07-10 1995-04-27 Dieter Bakic Design S R I Kosmetikstift mit Austauschteil
US5547300A (en) 1993-12-20 1996-08-20 Powers; Ronald J. Cosmetic pencil with threads positioned on flexible ar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005A (en) * 1992-12-29 1994-08-09 Schwan-Stabilo Schwanhaeusser Gmbh & Co. Applicator device
JPH09149813A (ja) * 1995-11-30 1997-06-10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及び押棒繰出機構
JPH10512483A (ja) * 1996-09-02 1998-12-02 ロレアル 塗布器ホルダー装置
JPH10304932A (ja) * 1997-05-09 1998-11-17 Suzuno Kasei Kk 両軸繰出式棒状化粧材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1234C (fr) 2004-09-07
TW564715U (en) 2003-12-01
CN1266659A (zh) 2000-09-20
US6371673B1 (en) 2002-04-16
FR2790924A1 (fr) 2000-09-22
AR022920A1 (es) 2002-09-04
DE60006876D1 (de) 2004-01-15
KR20010020661A (ko) 2001-03-15
DE60006876T2 (de) 2004-10-14
ES2209776T3 (es) 2004-07-01
JP2000300335A (ja) 2000-10-31
CA2301234A1 (fr) 2000-09-16
EP1036519B1 (fr) 2003-12-03
BR0001320A (pt) 2000-10-17
FR2790924B1 (fr) 2001-05-25
JP3434483B2 (ja) 2003-08-11
ATE255341T1 (de) 2003-12-15
EP1036519A1 (fr) 2000-09-20
CN1192731C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703B1 (ko) 견인력으로 움직이는 탄성부재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푸셔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1244966B1 (ko) 후퇴 가능한 도포기를 포함하는, 액체, 고체, 페이스트 또는 분말 화장품을 위한 용기
US6089774A (en) Refillable container for applying a spreadable product, more particularly an adhesive compound
JP3636629B2 (ja) カートリッジ式繰出容器
JPH0356165A (ja) 分与装置
KR20000017291A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US6343886B2 (en) Semisolid substance container with movable bottom
JP2786592B2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加圧容器
JP2600292Y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品繰出容器
JP2980981B2 (ja) 軟質材料用アプリケーター
JP7136920B2 (ja) ドレッシング、キットおよび関連するドレッシング方法を有する化粧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3950394B2 (ja) 化粧料繰出容器
JP6318344B2 (ja) カートリッジ式内容物押出容器
JP3051635B2 (ja) 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6361011B2 (ja) カートリッジ式内容物押出容器
KR102045053B1 (ko) 스크류 분리 방지 기능을 구비한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JP2001037540A (ja) 引きバネ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式棒状繰出容器
EP0209361A2 (en) Material applicator
JP2000041734A (ja) カートリッジ式繰り出し容器
JPH0423444Y2 (ko)
JP3852813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繰出容器
KR102045054B1 (ko) 화장품 손상 방지구조를 가지는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JP3415750B2 (ja) 棒状化粧料カートリッジ
JP2999142B2 (ja) カートリッジ式繰出容器
MXPA00002425A (es) Distribuidor que comprende un boton pulsador restaurado a una posicion inicial mediante un organo elastico que trabaja por trac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01

Effective date: 200510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