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294B1 -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 Google Patents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294B1
KR100547294B1 KR1019990006666A KR19990006666A KR100547294B1 KR 100547294 B1 KR100547294 B1 KR 100547294B1 KR 1019990006666 A KR1019990006666 A KR 1019990006666A KR 19990006666 A KR19990006666 A KR 19990006666A KR 100547294 B1 KR100547294 B1 KR 10054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ackaging
packaging material
loading
packag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011A (ko
Inventor
야스히데노리
이나가키다츠오키
스가타하지메
마츠우라치아키
하세베가츠로
이자와류지
모리아키오
와타나베노부유키
우치야마신이치로
고토후미오
Original Assignee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820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48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821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3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820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15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821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458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51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9946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868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22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461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79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218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755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6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solely non-vibratory or non-percussive pressing or smoothing mean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02Feeding devices for pa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02Feeding devices for pavers
    • E01C2301/08Pushing devices for lor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14Extendable screeds
    • E01C2301/16Laterally slidable sc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30Cabi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재의 적재 피더(16)를, 그 적재 프레임의 하단이 수납 호퍼(17)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이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과의 중간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에 덮개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 피더(16)를, 상하로 세우거나 눕히는 것이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1)상에, 전방측 호퍼(2)와 후방측 호퍼(3)를 설치한 포장기계에도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재의 적재장치를, 적재 피더(16)의 배출구가 전방측 호퍼(2)의 상방에, 또한 적재 피더(16)의 배출단이 후방측 호퍼(3)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차량(1)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측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재 피더의 요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재 피더의 회전축과 구동 모터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출구와 덮개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재 피더와 수납 호퍼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축과 스크류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납 호퍼와 보조 호퍼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호퍼의 부착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납 호퍼와 보조 호퍼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운전장치의 측면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배면도,
도13은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종 레일과 상하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4는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평면도,
도15는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통부재와 지지봉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6은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승강장치의 정면도,
도17은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승강장치의 측면도,
도18은 도11에 도시하는 운전장치의 승강 실린더의 유압회로도,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방측 포장장치의 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의 프레임끼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포장재의 호퍼장치의 단면도,
도24는 회전 롤보다 후방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23에 도시하는 호퍼 장치의 단면도,
도25는 도23에 도시하는 호퍼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26은 도29의 X표시에서 본 도면,
도27은 전방측 크롤러의 측면도,
도28은 도29의 Y표시에서 본 도면,
도29는 전방측 크롤러의 평면도,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방측 크롤러의 측면도,
도31은 도32의 Z표시에서 본 도면,
도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방측 크롤러의 평면도,
도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방측 호퍼의 평면도,
도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포장기계의 일부 측면도,
도36은 도35에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일부 평면도,
도37은 도35에 도시하는 포장기계로 시공한 도로의 단면도,
도38은 종래의 포장기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방측 호퍼 3 : 후방측 호퍼
Hb : 포장재 4 : 바아 피더
5 :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 7 :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
8 : 전방측 포장장치 9 : 후방측 포장장치
T : 덤프 트럭 11, 12 : 크롤러
16 : 적재 피더 E1, E2 : 엔진
17, 49 : 수납 호퍼 17a : 받침부
19 : 적재 프레임 19b : 배출단
19c, 19d : 배출구 19e : 폭 확장부
22, 23 : 스프로킷 24 : 플라이트
25 : 무단체인 27 : 모터
28 : 기도용 실린더 31 : 고정통 실린더
32 : 가동축 A : 포장재의 적재장치
53 : 차륜 54 : 가압 부재
61, 62 : 유압펌프
본 발명은, 아스팔트 합재(合材)등의 포장재를 호퍼에 적재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그 적재장치를 탑재한 아스팔트 마감차등의 포장기계에 관한 것이다.
포장기계로서는, 도38에 도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표평9-505370호 공보). 이 포장기계는, 차량(81)에, 전방측 호퍼(82)와, 후방측 호퍼(83)와, 전방측 호퍼(82)에서 피더(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져 온 아스팔트 합재 등의 포 장재(Ha)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85)와, 후방측 호퍼(83)에서 피더(86)로 보내져 온 포장재(Hb)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87)와,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85)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Ha)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88)와,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87)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Hb)를 노면에 고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89)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포장장치(88)는 피더(86)의 아래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90)에 지지되며, 후방측 포장장치(89)는 축(91)에 의해 차량(81)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레벨링 아암(92)에 걸려있다.
또한, 피더(86)는, 2개의 회전축에 무단 형상의 벨트가 감겨 이루어지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반입측의 회전축에 부착되며 호퍼내의 재료를 컨베이어측에 모으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장기계에 의하면, 1회의 포장작업으로 2종류의 포장재(Ha, Hb)를 상하로 겹쳐 동시에 노면에 고르게 깔 수 있다.
그러나, 이 포장기계의 경우, 후방측 호퍼(83)에 포장재(Hb)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포장재(Hb)를, 전방측 호퍼(82)를 건너 후방측 호퍼(83)에 넣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적재기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포장기계가 호퍼(82, 83)와 포장장치(88, 89) 등을 각각 전후 2조(組) 장비하고 있으므로, 기계가 대형화되고, 차량 후부의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전방측 시계(視界)가 나빠지기 쉽다. 그래서, 운전석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전방측 시계를 넓게 하고 있는데, 운전석이 높으면, 포장기계를 트레일러에 실어 회송할 경우에, 천장이 낮은 터널 등을 통과할 수 없는 문제나 운전자의 타고내림이 불편한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전방측 포장장치(88)가, 레벨링 아암(92, 92)에 걸린 후방측 포장장치(89)와는 별도로, 아암(9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방측 포장장치(88)로 고르게 깔린 포장재(Ha)의 위에, 후방측 포장장치(89)로 포장재(Hb)를 고르게 깔 때에, 상층 포장재(Hb)의 포장두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방측 호퍼(82)와 후방측 호퍼(83)의 2개의 호퍼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이들 양 호퍼(82, 8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함에 따라, 포장기계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다. 포장기계를 소형화하기 위해, 상기 배치 스페이스를 좁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호퍼(82, 83)의 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호퍼(82, 83)로의 포장재의 적재작업을 빈번하게 행해야 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포장재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재의 적재 피더를, 그 적재 프레임의 하단이 수납 호퍼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과의 중간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에 덮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 피더를 상하로 세우거나 눕히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의 하중을 받는 차륜을 설치하거나, 상기 적재 피더에 상기 수납 호퍼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 피더를 상하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의 하중을 받는 차륜을 설치한 포장재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를 전후로 유동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적재 피더에 상기 적재 피더의 후퇴를 막는 정지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에 포장재를 보급하는 덤프트럭 등을 누르는 가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호퍼의 좌우에, 보조 호퍼를 상기 수납 호퍼의 위로 꺽어 접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재 피더를, 예를들면, 상기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플라이트를 부착한 무단 체인을 설치하여 형성해도 된다. 2개 이상의 상기 배출구를 상기 적재 피더의 포장재의 이송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상에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으로 배치되는 2개의 회전축에 무단 형상체가 감겨 이루어지는 적재 피더와, 적재 피더의 반입측에 설치되어 재료를 상기 적재 피더측에 모으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수납 호퍼에 조립되어 있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의 회전축을 상호 분리독립하여 설치하고, 그들 스크류의 구동원과 적재 피더의 구동원을 개별 독립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의 회전축을, 베어링을 통하여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도 된다. 상기 스크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 회전축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그들 좌우의 스크류에 각각의 구동원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장치를 구비하는 포장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장치가, 차량에 세워 설치된 종 레일과, 종 레일에 따라 승강 자유롭게 부착된 바닥과, 바닥위에 설치된 운전석 및 운전기기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장치는, 예를들면, 승강 실린더와,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 운동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에 감겨 일단이 상기 차량 양측의 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바닥측의 부재에 고정된 밧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상기 운전석을 상기 바닥에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해도 되고, 상기 운전기기의 핸들을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와, 상기 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에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운전장치를 상기 후방측 호퍼의 후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 레일을 상기 후방측 호퍼의 후벽의 리프트 프레임에 부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와, 상기 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포장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에서 축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레벨링 아암에, 상호 전후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각각 걸어 매달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좌우로 신축 자유롭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측 호퍼를, 포장재의 낙하구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를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스프레딩 스크류와, 스프레딩 스크류로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 는 포장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포장기계에 있어서, 상기 호퍼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된 낙하구를 가지고, 상기 낙하구가 상기 스프레딩 스크류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퍼에, 상기 개폐수단이 각각 설치된 다수의 상기 낙하구를 설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낙하구를 상기 호퍼의 폭방향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에는, 예를들면, 액츄에이터로 이동시켜 낙하구를 개폐하는 셔터나,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낙하구에서 포장재를 낙하시키는 회전 롤을 이용한다. 상기 개폐수단을 동일 낙하구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한상의 차륜에 무단 형상의 크롤러 본체가 감겨 이루어지는 주행용 크롤러를 차체의 좌우 하부에 구비하는 포장기계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크롤러를, 상기 크롤러와 후방측 크롤러로 분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측 크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를 고정 봉(tie rod)으로 연결하고, 상호 일정관계를 가지는 각도만큼 선회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측 크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를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스프레딩 스크류와, 스프레딩 스크류로 펼쳐진 포장재를 포장포장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포장기계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호퍼를, 상방에서 봐서 적 어도 그들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하로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호퍼 중 상방측의 호퍼를 후방으로, 하방측의 호퍼를 전방으로 각각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상방측의 호퍼의 저면의 전방부를 개폐자유롭게 하고, 또한 상기 전방부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그 개구부의 하방에 상기 하방측의 호퍼가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상기 상방측 호퍼의 저면을 포장재의 배출구측으로 기울도록 회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전방측 호퍼 및 후방측 호퍼의 합계용량을, 적어도 이들 호퍼에 포장재를 공급하는 트럭의 탑재용량보다 크게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좌우에 엔진을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차량으로, 차량(1)은, 전방측 호퍼(2)와, 후방측 호퍼(3)와, 전방측 호퍼(2)에서 바아 피더(4)로 보내져 온 포장재(Ha)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와, 후방측 호퍼(3)에서 배출된 포장재(Hb)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와,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Ha)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Hb)를 노면에 노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9)와, 포장재의 적재장치(A)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측 포장장치(9)는 좌우 한쌍의 레벨링 아암(14)의 후단에 걸리며, 전방 측 포장장치(8)는 스프레딩 스크류(5, 7)사이에서 레벨링 아암(14)에, 그 위치를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걸려있다. 또한 차량(1)은 좌우 각 한쌍의 크롤러(11, 12)를 가지고, 그들 구동에 의해 주행한다,
차량(1)의 전부(후술하는 적재 피더(16)의 좌우 양측)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유압 펌프(61, 62)가 탑재되며, 이들 유압 펌프(61, 62)의 축상에는 각각 커플링을 통하여 엔진(E1, E2)이 탑재되어 있다. 유압 펌프(61, 62)는 크롤러(11, 12)를 통하여 차량(1)을 주행시키는 유압 모터를 비롯해, 실린더등의 다양한 기기의 구동원이 된다.
적재장치(A)는, 적재 피더(16)와 수납 호퍼(17)를 주체로 하고 있다. 적재 피더(16)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재 프레임(19)의 일단(하단)(19a)과 타단(배출단)(19b)에 각각 설치된 회전축(20, 21)의 스프로킷(22, 23)에, 다수의 플라이트(24)를 소정 간격으로 가설한 무단 체인(25)을 설치한 것이다. 무단 체인(25)은 회전축(21)의 일단에 연결된 모터(27)(도4 참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고, 그 결과 플라이트(24)에 퍼올려진 포장재(Ha, Hb)가 적재 프레임(19)의 하단(19a)에서 후방측 호퍼(3)의 바로 위에 배치된 배출단(19b)을 향해 이송된다.
적재 피더(16)는 축(29)에 지지되며, 기도(起倒:세워지고 눕혀짐)용 실린더(28)의 작동에 의해, 축(29)을 중심으로 상하로 서거나 눕혀진다. 축(29)은 가동축(32)에 부착되며, 가동축(32)은 차량(1)에 고정된 고정통(31)내에 전후(도3에서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적재 피더(16)는 차량(1)에 대해 가동축(32)의 이동범위에서 전후로 유동 가능하고 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적재 피더(16)가 눕혀졌을 시에는 후방측 호퍼(3)의 전판(3a)(도1 참조)이, 힌지를 지지지점으로 전방으로 눕혀진다.
적재 프레임(19)의 하단(19a)과 배출단(19b)의 중간부분, 상세하게는 전방측 호퍼(2)의 바로 위 부분에는, 2개의 배출구(19c, 19d)가 적재 피더(19)의 길이방향으로 그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배출구(19c, 19d)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실린더(34)에 의한 축(35a)을 중심으로 하는 덮개(35)의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각 배출구(19c, 19d)의 양측부(포장재(Ha, Hb)의 반송로에서 벗어난 부분)에는, 폭이 좁은 멈춤쇠(37)가 부착되어 덮개(35)의 상방으로의 과잉 회전을 저지하고 있다.
적재 프레임(19)의 하면에는, 볼트구조의 접촉부재(39)에 접촉하여 적재 피더(16)의 후퇴를 막는 정지부재(40)가 부착되어 있다. 접촉부재(39)는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1)에 고정된 너트(41)로 조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정지부재(40)의 접촉면이 넓으므로, 적재 피더(16)가 노면의 경사에 의해 전후로 유동하거나 좌우로 회전해도 접촉부재(39)는 항상 정지부재(40)에 접촉한다.
수납 호퍼(17)의 받침부(17a)의 하방에는, 좌우 한쌍의 차륜(53)이 설치되며, 수납 호퍼(17)( 및 후술하는 보조 호퍼(49))의 하중이 차륜(5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받침부(17a)의 전방에는, 롤러 구조를 이루는 좌우 한쌍의 가압부재(54)가,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안내축(55)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압부재(54)는 덤프 트럭(T)의 후차륜을 가압하는 것으로, 그 전후방향의 위치는 실린더(56)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실린더(56)의 작동에 의한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축(55)과 실린더(56)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 피더(16)의 회전축(20)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재 프레임(19)의 하단(19a)에서 연장되는 스테이(136)에 수평으로 지지된 통(137)내에, 베어링(137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수납 호퍼(17)는 적재 프레임(19)의 하단(19a)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폭 확장부(19e)의 통부(43)에, 볼트 베어링(44)을 통하여 지지되며, 또한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 한쌍의 실린더(45)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로 형성된 폭 확장부(19e)내에는 도7, 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크류(47)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스크류(47)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20)의 단부에 베어링(139a)을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크류(47)의 타단은 폭 확장부(19e)의 칸막이판(19f)에 베어링(139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우 스크류(47)의 회전축(47a)은 상기 통부(43)내에 수납된 모터(140)에 커플링(141)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회전축(47a)을 개별로 회전하고, 좌우의 스크류(47)를 상기 적재 피더(16)의 회전축(20)과 개별로 회전시켜, 폭 확장부(19e)내의 포장재를 무단 체인(25)으로 모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적재 피더(16) 및 스크류(47)는 수납 호퍼(17)내의 포장재를 전방측 호퍼(2) 혹은 후방측 호퍼(3)로 반송하는 컨베이어(C)를 구성한다. 또한, 전방측 호퍼(2) 및 후방측 호퍼(3)의 합계용량은 적어도 덤프 트럭(T)의 적재 용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납 호퍼(17)의 좌우 양측에는, 보조 호퍼(49)가 축(50)을 통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조 호퍼(49)는, 세로 폭이 넓은 덤프 트럭(T)으로부터의 포장재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 한쌍의 실린더(51)에 의해 수납 호퍼(17)상에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기계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1의 실선은 포장재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보조 호퍼(49)는 수납 호퍼(17)의 가로로 대략 수평으로 눕혀지며, 적재 피더(16)는 비스듬히 기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덤프 트럭(T)을 가압부재(54)로 가압하여 차량(1)과 함께 전진시키면서, 덤프 트럭(T)에서 포장재를 수납 호퍼(17)와 보조 호퍼(49)로 반입한다. 이 때,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적재 프레임(19)의 경사각도가 변화된 경우에는, 이 각도변화에 따라 적재 피더(16)가 고정통(31)으로 안내되어 전후로 자유 이동하거나, 또는 좌우로 자유 회전하며, 정지부재(40)가 차량(1)에 지지된 접촉 부재(39)의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덤프 트럭(T) 등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54)가 받는 반발력은 정지부재(40) 및 접촉부재(39)를 통하여 차량(1)에 걸리므로, 축(29)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는 않는다.
이어서, 좌우 스크류(47)는 모터(140)에 의해 각각 회전하여, 수납 호퍼(17)내의 포장재를 적재 피더(16)의 반입측으로 모은다. 그 결과, 포장재가 능률적으로 적재 피더(16)에 반입되게 되고, 또한 수납 호퍼(17)내에 남겨진 포장재의 양이 감 소한다. 또한, 좌우 스크류(47)가 적재 피더(16)의 구동원인 모터(27)와는 별도로 설치된 모터(140)에 의해 각각 개별로 회전하므로, 개개의 스크류(47)의 회전을 적재 피더(16)의 반송속도와는 별도로 단독으로 제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우 스크류(47)를 개개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주행방향의 노면구배나 포장재의 점성 등의 모든 조건이 변화된 경우라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47)의 회전축(47a)과 적재 피더(16)의 반입측의 회전축(20)을, 베어링(139a)을 통하여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였으므로, 양 회전축을 간단한 구성으로 동일 축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양 회전축의 지지구조가 간소화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스크류(47)의 회전을 적재 피더(16)와 개별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스크류(47)의 회전축(47a)을 적재 피더(16)의 회전축(20)과 연결하고, 회전축(20, 47a)끼리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크류(47)는 적재 피더(16)의 회전축(20)에 의해 회전하여, 폭 확장부(19e)상의 포장재를 적재 피더(16)의 반입측에 모은다.
수납 호퍼(17)와 보조 호퍼(49)에 들어간 포장재는 적재 피더(16)에 의해 전방측 호퍼(2) 또는 후방측 호퍼(3)로 공급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통상의 포장재(Ha)를 전방측 호퍼(2)로 넣기 위해서는, 실린더(34)를 수축시켜서, 덮개(35)를 도5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배출구(19c, 19d)를 각각 연다. 이어서, 모터(27)를 작동시켜 무단 체인(25)을 회전시키고, 플라이트(24)에 퍼올려진 포장재(Ha)를 배출구(19c, 19d)에서 전방측 호 퍼(2)내로 낙하시킨다. 배출구(19c, 19d)는 전후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포장재의 낙하에 의해 전방측 호퍼(2)내에는 포장재 더미가 2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1개의 포장재 더미밖에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해 다수 포장재 더미의 꼭대기각(頂角)의 총합이 커지고, 그만큼 전방측 호퍼(2)에 다량의 포장재를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예를들면, 내마모성이 큰 포장재(Hb)를 후방측 호퍼(3)로 넣기 위해서는, 도5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각 배출구(19c, 19d)를 덮개(35)로 막고, 수납 호퍼(17)와 보조 호퍼(49)내의 포장재(Hb)를 적재 피더(16)에 의해 배출단(19b)으로 이송하여, 후방측 호퍼(3)내로 낙하시킨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덤프 트럭(T) 등에서 수납 호퍼(17)로 들어간 포장재(Ha, Hb)를, 배출구(19c, 19d)의 개폐절환에 의해 다른 2개의 위치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전용 덤프트럭(T) 등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전방측 호퍼(2) 및 후방측 호퍼(3)의 합계용량을 적어도 덤프 트럭(T)의 탑재용량보다 크게 설정하였으므로, 적어도 덤프 트럭(T)의 적하가 한번에 모두 전방측 호퍼(2) 및 후방측 호퍼(3)로 옮겨지며, 그 후는 덤프 트럭(T)을 분리하고, 포장기계 단독으로 고르게 까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덤프 트럭(T)의 회전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덤프 트럭(T)을 기다리는 시간에 의한 포장작업의 중단이 적어, 원활한 포장작업이 가능해지고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수납 호퍼(17)의 좌우에, 보조 호퍼(49)를 수납 호퍼 위에 격납 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보조 호퍼(49)의 용량만큼 포장재(Ha, Hb)의 수납량이 증대 하고, 가로폭이 큰 덤프 트럭(T)으로부터의 포장재(Ha, Hb)의 수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 호퍼(49)를 수납 호퍼(17)상에 격납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시의 적재 장치의 가로폭이 작아진다. 또한, 적재 프레임(19)의 하단(19a)과 배출단(19b)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22, 23)간에 플라이트(24)를 가지는 무단 체인(25)을 설치하여 적재 피더(16)를 형성하면, 포장재가 플라이트(24)에 의해 정확하게 이송될 뿐만 아니라, 적재 피더(16)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고장도 적어진다.
보조 호퍼(49)내에 남은 포장재의 양이 적어진 경우는, 보조 호퍼(49)를 실린더(51)에 의해 경사지게 하고, 폭 확장부(19e)로의 포장재의 낙하를 촉진한다. 수납 호퍼(17)를 실린더(45)에 의해 경사지게 하여, 적재 피더(16)측으로의 포장재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방측 호퍼(2)내로 공급된 포장재(Ha)는 바아 피더(4)에 의해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의 앞으로 이송되며,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에 의해 가로로 펼쳐진 후, 전방측 포장장치(8)에 의해 고르게 깔린다. 또한, 후방측 호퍼(3)내로 공급된 포장재(Hb)는 후방측 호퍼(3)의 낙하구에서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상에 낙하되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에 의해 가로로 펼쳐진 후, 후방측 포장장치(9)에 의해 포장재(Ha)상에 고르게 깔린다.
포장기계를 다른 포장현장 등으로 회송할 경우는, 실린더(51)에 의해 보조 호퍼(49)를 수납 호퍼(17)상에 겹쳐지게 하고, 수납 호퍼(17)를 실린더(45)에 의해 적재 피더(16)측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도1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적재 피더(16)를 요동용 실린더(28)로 대략 수평으로 눕힌다. 이에따라 포장기계의 전체길이가 짧아짐과 동시에 높이가 낮아진다. 또한, 수납 호퍼(17)에 수납 호퍼(17)의 하중을 받는 차륜(53)을 설치하였으므로, 수납 호퍼(17)를 차량(1)위 등에 탑재할 필요가 없어져, 차량(1)이 길어지거나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엔진(E1, E2)을 적재 피더(16)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한 것도 포장기계의 콤팩트화에 공헌하고 있다.
차량(1)의 운전을 비롯해, 포장재(Ha, Hb)의 포장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일체의 동작은, 후방측 호퍼(3)의 후단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운전장치(B)에서 제어된다. 운전장치(B)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도1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운전장치(B)를, 좌우 한쌍의 종 레일(222)과, 종 레일(222)에 승강 자유롭게 부착된 바닥(223)과, 바닥(223)상에 설치된 배전반(224), 콘트롤 박스(225), 계기 박스(226) 및 핸들(227) 등의 운전기기 및 좌우 한쌍의 운전석(228)과, 바닥(223)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29)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종 레일(222)은 도브테일(dovetail)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도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측 호퍼(3)의 후벽(3b)상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리프트 프레임(231)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상하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 레일(222)에는 도브테일홈을 가지는 상하부재(232)가 각각 끼워 맞춤되며, 상하부재(232)에는 도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바닥(223)이 브라켓(233)을 통하여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바닥(223)은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메시(mesh) 메탈로 형성된다. 바닥(223)의 전방부에 설치된 배선반(224)상에는, 콘트롤 박스(225)와 핸들(227)이 도브테일형상 단면을 가지는 횡 레일(235)을 따라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반(224)과 콘트롤 박스(225)나 핸들(227)을 연결하는 전선 등은 배선반(224)에 설치된 가로로 긴 구멍(224a)으로부터 위로 인출되어, 콘트롤 박스(225) 등에 접속된다.
운전석(228)은 도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바닥(223)에 수평으로 고정된 전후 한쌍의 통부재(236)에 운전석(228)이 지지되는 지지봉(237)을 각각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바닥(223)의 후부에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병설되어 있다. 운전석(228)은 도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봉(237)에 핀(238)을 장착함으로써 바닥(223)에 고정된다. 또한, 바닥(223)의 후부 중앙에는 난간(239)이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며, 오페레이터의 바닥(223)으로의 승강을 보조하고 있다.
승강장치(229)는 한쌍의 승강 실린더(241)와 스프로킷(242) 및 체인(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241)는 리프트 프레임(231)의 하부에 세워 설치되며, 스프로킷(242)은 승강 실린더(241)의 피스톤 로드(241a)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체인(243)은 스프로킷(242)에 감겨 상하로 접혀지며, 체인(243)의 한쪽의 하단은 리프트 프레임(231)의 하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체인(243)의 다른쪽 하단은 브라켓(233)에 고정되어 있다(도16, 도17 참조).
승강 실린더(241)로 스프로킷(242)을 상승시키면 바닥(223)이 체인(243)과 브라켓(233)을 통하여 상승하고, 스프로킷(242)을 하강시키면 바닥(223)도 하강한 다. 이 경우, 체인(243)이 스프로킷(242)에서 상하로 접혀지므로, 상하방향에 따른 바닥(223)의 이동거리는 스프로킷(242)의 상하 스트로크의 2배가 된다.
승강 실린더(241)의 유압회로에는, 도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파일럿(pilot) 체크밸브(2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체크 밸브(245)는, 통상시에는 승강 실린더(241)의 하실(下室)(241b)로부터의 작업유의 유출을 막고, 상실(上室)(241c)에 작동유가 공급된 경우에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하실(241b)로부터의 작동유의 유출을 자유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승강 실린더(241)는 동기 회로에 의해 상호 동기하여 신축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운전장치(B)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승강 실린더(241)를 수축하여 바닥(223)을 하강시키고, 포장작업에 적합한 운전석(228)에 운전자가 착석한다. 또한, 승강 실린더(241)는 통상 버턴 조작에 의해 신축시키는데, 그 조작 버턴은 바닥(223)과 차량(1)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228)에 앉은 운전자는 승강 실린더(241)를 신장시켜 바닥(223)을 상승시키고, 또한 원하는 위치에 콘트롤 박스(225)와 핸들(227)을 이동시켜 기계를 운전함으로써, 포장재(Ha, Hb)를 고르게 깐다. 이 경우, 운전석(228)이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양호하고, 그 결과, 전방의 상황, 예를들면, 작업원의 유무, 노면의 상태, 수납 호퍼(17)에 대한 덤프 트럭(T)에서 포장재의 수납 상황, 적재 피더(16)의 작동상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면, 운전석(228)이나 또는 콘트롤 박스(225)나 핸들(227)을 좌 우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예를들면, 적재 피더(16)가 시계를 차단해도, 이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몸을 옆으로 내밀어 차량측부의 상황이나 포장상황 등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포장작업을 끝내고 운전석(228)에서 운전자가 내릴 때는, 승강 실린더(241)를 수축시켜 바닥(223)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이 운전장치(B)에 의하면, 사다리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운전자의 타고 내림이 용이해, 운전자의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포장기계를 트레일러에 싣고 회송할 경우에는, 도1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운전장치(B)를 하강시켜, 운전장치(B)를 후방측 호퍼(3)의 후방에 수납한다. 이 때문에, 포장기계의 회송시에 운전장치(B)가 방해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223)을 상하 중간위치에 정지시키고 포장작업을 행해도 된다.
또한, 신축 스트로크가 짧은 승강 실린더(241)를 이용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코스트가 삭감된다. 운전장치(B)를 후방측 호퍼(3)의 후벽(3b)상에 배치하였으므로, 후방측 호퍼(3)의 후벽(3b)이 유효하고 합리적으로 활용되는 것도 코스트 삭감에 도움이 된다.
이 운전장치(B)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 이외에, 적재 피더(16)와 수납 호퍼(17)를 가지지 않는 상기 특표평9-505370호 공보에 기재한 포장기계나, 호퍼나 스크류 등을 1조만 가지는 종래의 대형 아스팔트 마감차등에도 장비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C)를 수납 호퍼(17)에 조립하는 것을 예 로 들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측 호퍼에서 후방측으로 이송하는 바아 피더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C)가 적용되는 기계는 특정 포장기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19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특히 전방측 포장장치(8) 및 후방측 포장장치(9)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부호(321)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으로, 프레임(321)의 각 아암(321a)(도19 참조)은 축(323)에 의해 좌우 한쌍의 레벨링 아암(14)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321)의 전방부는, 턴 버클(324)에 의해 레벨링 아암(14)에 각각 결합되며, 그 결과, 프레임(321)은 레벨링 아암(14)의 전후방향 중앙부, 상세하게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와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간에 걸려있다. 레벨렝 아암(14)의 선단은, 도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327)을 통하여 차량(1)에서 수하되는 실린더(326)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레벨링 아암(14)은 실린더(326)의 수축에 의해, 축(327)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321)은 도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연결축(329)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축(329)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경사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21)의 상부는 간격 조정기구(3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간격 조정기구(330)는 프레임(321)간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연결축(329)를 지지점으로 하는 프레임(321)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반대 나사로 된 나사축(330a, 330b)에 너트(330c)를 조여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턴 버클이 사용된다.
개개의 프레임(321)에는, 고정 가이드 부재(332)(도21 참조)가 상호 전후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며, 개개의 고정 가이드 부재(332)에는 하단에 스크리드(screed)(333)가 부착된 가동 가이드 부재(334)가, 스크리드(333)의 위치를 전후로 어긋나게 하여 각각 삽입되어 있다. 가동 가이드 부재(334)는 실린더(336)의 신축에 의해 고정 가이드 부재(332)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고, 그 결과 포장폭이 변화한다.
개개의 고정 가이드 부재(332)는 각각 좌우 한쌍의 상하이동 기구(337)에 의해, 프레임(2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하이동 기구(337)는 고정 가이드 부재(332)에 부착된 나사(337a)를 프레임(32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너트(337b)로 조여 형성되어 있다. 나사(337a)에는 스프로킷(338)이 각각 고정되며, 한쪽의 나사(337a)를 회전시키면 스프로킷(338)간에 감긴 체인(339)을 통하여 다른쪽 나사(337a)가 회전하고, 고정 가이드 부재(332)가 가동 가이드 부재(334) 및 스크리드(333)와 함께 상하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해 전방측 포장장치(8)가 구성되어 있다. 도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하이동 기구(337)를, 프레임(321)에 지지된 모터(366)에 의해 체인 등의 전동기구를 통하여 작동시켜도 된다.
부호(341)는 프레임(321)의 후방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프레임이고, 프레임(341)의 전방부는 프레임(321)과 마찬가지로 축(323)에 의해 레벨링 아암(14)에 지지됨과 동시에, 축(323)과 동축을 이루는 축(343)(도22 참조)에 의해 전방측 포장장치(8)의 프레임(32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41)의 상부는 턴 버클(344)에 의해 레벨링 아암(14)의 후단에 연결되며, 그 결과, 프레임(341)은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후방에 걸려 있다. 또한, 다른 구조는 전방측 포장장치(8)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해 후방측 포장장치(9)가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포장장치(9)에 있어서도, 전후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된 스크리드(353)를 신축시켜 포장폭을 변화시키거나, 스크리드(353)의 경사각을 바꾸거나, 또한 각 스크리드(353)를 프레임(341)에 대해 상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포장장치(9)의 프레임(321, 341)은, 축(323, 343)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포장장치(9)의 스크리드(333, 353)의, 연결축(329)을 축으로 하는 상하 크라운(crown) 회전이 상호 연동한다. 따라서,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포장장치(9)중 어느 한쪽(일반적으로는 전방측 포장장치(8)의 간격조정기구(330)를 생략하여, 포장장치(8,9)의 구조와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포장장치(9)의 양쪽에 간격조정기구(3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결합축(343)을 생략해도 지장없다.
도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측 호퍼(3)의 포장재의 낙하구(3c)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상방에 위치하고, 포장재는 스스로의 무게로 낙하구(3c)에서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상에 낙하한다. 또한, 각 스프레딩 스크류(5, 7)에는 그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61, 362)가 체인 등의 전동수단(363, 364)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19에 부호(321b)로 표시하는 것은 아암(321a)에 설치된 횡 요동 방지 핀이다. 이 핀(321b)은 레벨링 아암(14)의 긴구멍(14a)에 삽입되어, 전방측 포장장치(8)의 횡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기계의 동작에 대하여, 전방측 포장장치(8)와 후방측 포장장치(9)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포장재의 포장작업에서는 차량(1)을 전진시키면서 전방측 호퍼(2)내의, 예를들면 통상의 포장재(Ha)를, 바아 피더(4)에 의해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의 앞으로 보내고, 스프레딩 스크류(5)의 회전에 의해 가로로 펼치고, 전방측 포장장치(8)의 스크리드(333)에 의해 고르게 깐다. 동시에, 후방측 호퍼(3)내의, 예를들면 내마모성이 우수한 포장재(Hb)를,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회전에 의해 가로로 펼치고, 후방측 포장장치(9)의 스크리드(353)에 의해 포장재(Ha)상에 고르게 깐다. 이 때, 양 포장장치(8, 9)는 축(327)을 지지점으로 상하로 이동되므로, 상호 고저차이가 거의 변하지 않게 되어, 포장재(Hb)의 포장두께는 일정해진다.
또한,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에 대한 포장재(Hb)의 공급은 후방측 호퍼(3)의 낙하구(3c)에서 포장재(Hb)를 중력으로 단순히 낙하시킬 뿐이다. 따라서, 피더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해지며, 운전비도 삭감된다.
포장작업에 있어서, 포장재(Hb)의 포장 두께를 바꿀 경우에는, 2쌍(합계 4개)의 상하기구(337)에 의해 전방측 포장장치(8)를 후방측 포장장치(9)에 대해 상 하로 이동시키던지, 혹은 후방측 포장장치(9)의 상하기구(상하기구(337)와 동일 구조를 가진다)에 의해 후방측 포장장치(9)를 전방측 포장장치(8)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켜, 양 포장장치(8, 9)의 스크리드(333, 353)의 고저차이를 조정한다. 이 경우, 한쪽의 포장장치를 위로, 다른쪽 포장장치를 아래로 움직여 포장재(Hb)의 포장두께를 변화시키는 것도, 또한 양 포장장치(8, 9)의 상하 이동량을 바꾸어 포장재(Hb)의 포장두께를 바꿀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층 포장재(Hb)의 포장두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여 양호한 포장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포장재(Ha)의 포장두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포장장치의 어택각을 바꾸어 변화시킨다.
또한, 포장재의 포장폭을 바꿀 경우는, 양 포장장치(8, 9)의 스크리드(333, 353)를 실린더(전방측 포장장치(8)의 경우에는 실린더(336))로 신축시켜 행한다. 포장의 크라운각도의 조정은 스크리드(333, 353)의 경사각도를 간격 조정기구(전방측 포장장치(8)의 경우에는 간격조정기구(330))로 변화시켜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장폭의 조정 및 포장의 크라운 각도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 이외에, 예를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1) 포장장치(8, 9)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신축할 수 없는 구조로 한다. 이 경우, 포장폭은 그 포장장치에 대한 보조 스크리드의 탈착에 의해 변화된다.
(2) 후방측 포장장치(9)의 전방에 위치하는 스크리드(353)를 각 프레임(341)에 일체로 구성된 고정 스크리드로 하고, 그 후방에는 각 프레임(341)에 지지된 좌우 한쌍의 신축 스크리드(353)를 설치하고, 신축 스크리드(353)를 폭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한다.
(3) 후방측 호퍼(3)의 포장재(Hb)를 전방측 호퍼(2)와 마찬가지로 바아 피더에 의해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로 이송한다.
(4) 2종류의 포장재(Ha, Hb)를 상하로 겹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접해 펼친다. 이 경우, 양 포장장치(8, 9)를 동일 높이로 하여 포장재(Ha, Hb)를 고르게 깐다.
(5) 상하기구(337)를 턴 버클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한쌍의 턴 버클을 각각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특히 후방측 호퍼(3)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후방측 호퍼(3)는 포장재(Hb)를 낙하시키는 좌우 한쌍의 후부 낙하구(3d) 및 저부 낙하구(3e)를 가지고 있다. 이들 낙하구(3d, 3e)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상방에 차량(1)상에 고정되어 있다. 후부 낙하구(3d)끼리 및 저부 낙하구(3e)끼리는 후방측 호퍼(3)의 폭방향(도24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또한 저부 낙하구(3e)와 후부 낙하구(3d)는 상호 연통된 상태로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후부 낙하구(3d)에는 개폐용 실린더(액츄에이터)(42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후부 낙하구(3d)를 개폐하는 셔터(개폐수단)(4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개의 저부 낙하구(3e)에는 가변속의 개폐용 모터(424)에 의해 회전하여, 포장재를 저부 낙하구(3e)에서 배출시키는 회전 롤(개폐수단)(4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셔터(422)는 가이드(427)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회전 롤(425)은 외주면에 다수(도시하는 것은 8매)의 날개(425a)를 등간격으로 구비하고, 베이링(428)에 지지된 축(425b)을 중심으로 도25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방측 호퍼(3)중, 저부 낙하구(3e)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는, 원호상의 덮개판(3f)이 회전 롤(425)의 전반부분을 덮어 설치되며, 회전 롤(425)의 회전중에 저부 낙하구(3e)의 전부에서의 포장재(Hb)의 낙하를 방지한다.
후방측 호퍼(3)의 전판(3a)은 포장기계의 회송시의 적재 피더(16)의 눕혀진 상태(도1의 2점 쇄선 참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힌지(429)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적재 피더(16)에서 포장재를 후방측 호퍼(3)로 투입할 시에는, 포장재의 공급량을 가능한한 많은 양으로 하기 위해, 좌우 한쌍의 실린더(431)에 의해 전판(3a)을 도23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간위치까지 세운다. 포장재는 통상 50도 이상의 안식각(安息角)으로 되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낙하하는데, 도23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상태까지 세워지면 전판(3a)의 안식각이 50도 이상으로 되어, 후방측 호퍼(3)내의 포장재는 각 후부 낙하구(3d, 3e)로 미끄러져 낙하한다. 또한, 전판(3a)의 양측 가장자리부(3g)는 수직으로 접혀진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기계의 동작을, 후방측 호퍼(3)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포장재의 포장작업에 있어서, 후방측 호퍼(3)내의 포장재(Hb)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회전에 의해 가로로 펼쳐진다. 이 경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에 대한 포장재(Hb)의 공급방법에는 다음 3가지가 있다.즉,
(a) 개폐용 실린더(421)에 의해 셔터(422)를 상승시켜 후부 낙하구(3d)를 연다.
(b) 개폐용 모터(424)에 의해 회전 롤(425)을 회전시킨다.
(c) (a)와 (b)의 조작을 동시에 행한다.
(a)의 경우는 후부 낙하구(3d)의 개구량에 알맞은 양의 포장재(Hb)가 후부 낙하구(3d)에서 후부 스프레딩 스크류(7)상에 낙하한다. 또한, 후부 낙하구(3d)의 개폐수단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적어지고, 운전비도 억제된다.
(b)의 경우는 회전 롤(425)의 회전으로 날개(425a)가 포장재(Hb)를 저부 낙하구(3c)에서 배출하여, 후부 스프레딩 스크류(7)상에 낙하시킨다. 이 경우, 포장재의 낙하량은 회전 롤(425)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므로, 포장재의 공급량을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c)의 방법은 비교적 다량의 포장재를 낙하시킬 때에 사용한다. 또한, 노면의 폭방향의 포장두께를 바꾸는 경우는, 옆으로 나란히 각 2개의 낙하구(3d, 3e)에서의 포장재의 낙하량을 상대적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a), (b), (c)중 어떠한 경우도, 포장재가 중력에 의해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의 위에 낙하 공급되므로 피더가 불필요하다. 또한, 운전에 필요한 동력은 셔터(422)의 개폐 및/또는 회전 롤(425)의 회전만으로 되므로, 운전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낙하구(3d, 3e)를 후방측 호퍼(3)에 형성하고 개개의 낙하구(3d, 3e)에 개폐수단을 각각 설치하였으므로, 포장재의 공급제어폭이 확대되고, 다양한 포장조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다수의 낙하구(3d, 3e)를 후방측 호퍼(3)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였으므로, 후방측 호퍼(3)의 폭방향에 따른 포장재의 공급량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 것도 다양한 포장조건에의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 이외에, 예를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낙하구의 수는 도면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된다.
(2) 셔터(422)와 회전 롤(425)중 어느 하나를 없앤다.
(3) 후부 낙하구(3d)와 저부 낙하구(3e)를 상호 전후로 연통시키지 않고 설치한다.
(4) 후부 낙하구(3d)를 저부 낙하구(3e)의 앞에 설치한다.
(5) 노면의 폭방향으로 상호 직선상으로 인접하는 2개의 낙하구의 한쪽에 셔터(422)를, 다른쪽에 회전 롤(425)을 설치한다.
(6) 회전 롤(425)의 회전에 의해 포장재를 후부 낙하구(3d)에서 낙하시킨다. 이 예에서는, 낙하구(3d)를 셔터(422)로 닫음으로써, 회전 롤(425)의 회전에 의해 인접한 날개(425a)사이에 남은 포장재만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후부 낙하구(3d)의 상단에 힌지부를 설치하고, 이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셔터(422)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를, 포장재의 호퍼가 1개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금까지의 포장기계에도 실시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예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26 내지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의, 특히 크롤러(11, 12)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전방측 크롤러(11)의 경우, 차체 프레임의 좌우로 연장되는 빔(520)의 선단이, 도2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그 들어올려진 부분(520a)에는 회전체(522)가 베어링(521)을 통하여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522)에는 수평인 축(523)을 통하여 동륜(動輪; 이동바퀴) 지지부(524)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동륜 지지부(524)에는 한쌍의 동륜(525a, 525b)이 도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후로 떨어져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동륜(525a, 525b)에는 무단형상의 크롤러 본체(526)가 감겨있다. 동륜 지지부(524)에는 브라켓(527)이 부착되며, 브라켓(527)에는 후방측 동륜(525b)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528)가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동륜 지지부(524)에는, 다수의 전륜(轉輪)(530)이 전후의 동륜(525a, 525b)간에 위치하도록 지지되며, 이들 전륜(530)은 크롤러 본체(526)의 내측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동륜 지지부(524)에는 2개의 스프링(531)이 도28 및 도2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로 나란히 수납되며, 이 스프링(531)에 의해 전방측 동륜(525a)이 동륜 지지용의 브라켓(532)(도29 참조)을 통하여 동륜 지지부(524)의 장공(524b)(도27 참조)만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체(522)에는 아암(522a)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도27 참조), 이 아암(522a)과 아암(520)에 일체로 형성된 스테이(533)간에는 실린더(534)가 장착되어 있다(도29 참조). 그리고, 실린더(534)를 유압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등을 이용하여 신축시킴으로써 전방측 크롤러(11)가 회전체(522)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한다.
아암부(522a)에는 아암부(52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11)는 아암부(522b)에 설치된 고정 봉(535)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좌우 전방측 크롤러(11)는 상호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각도만큼 선회한다. 또한,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11)가 고정 봉(53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측 크롤러(11)를 선회시키기 위한 실린더(534)는, 좌우 어느 한쪽의 크롤러(11)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큰 출력으로 전방측 크롤러(11)를 선회시킬 경우에는 좌우 양쪽의 크롤러(11)에 실린더(534)를 설치해도 된다.
후방측 크롤러(12)의 경우를 도30 내지 도32에 도시한다. 후방측 크롤러(12)의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설명한 전방측 크롤러(11)와 같은 구조인데, 이하에 설명하는 대로 미세부분의 구조가 일부 다르다.
후방측 크롤러(12)의 경우, 중앙에서 약간 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구동용 유압 모터(540)가 동륜 지지부(5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유압 모터(540)의 출력축(540a)에서 후방측의 동륜(544b)으로의 동력전달은 스프로킷(542, 543) 및 그들 사이에 감긴 체인(544)에 의해 행해진다. 후방측의 동륜(544b)과 전방측의 동륜(544a)간에 크롤러 본체(526)가 감겨 있는 점은 전방측 크롤러(11)와 같다. 또한, 후방측 크롤러(12)의 선회 허용각도는 전방측 크롤러(11)의 그것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좌우 후방측 크롤러(12)끼리 연결하는 고정 봉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기계의 동작을, 크롤러(11, 12)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포장 작업중 혹은 포장작업 전후의 현장으로의 주행시에 있어서, 차량(1)이 좌우로 선회할 시에는, 실린더(534)를 신축시키고, 도29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방측 크롤러(11)를 회전체(522)와 함께 좌측 혹은 우측으로 선회시킨다. 이어서, 좌우 전방측 크롤러(11)가 구비하는 유압 모터(528)를 회전시키면, 크롤러 본체(526)가 동륜(525a, 525b)간에서 회전하고, 전방측 크롤러(11)가 진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외륜측에 위치하는 유압 모터가 내륜측에 위치하는 유압 모터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11)를 진행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선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전방측 크롤러(11)가 고정 봉(53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측 크롤러(11)의 좌우 어느 한쪽이 선회할 때에, 다른 전방측 크롤러(11)도 동방향으로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각도만큼 선회한다. 이와같이, 선회하고 싶은 방향으로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11)를 반드시 일정 관계를 가지는 각도만큼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선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전방측 크롤러(11)가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장치가 낮은 가격으로 된다.
또한, 차량(1)을 선회시킬 시에 후방측 크롤러(12)도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들면 전방측 크롤러(11)와는 반대방향으로 후방측 크롤러(12)를 선회하도록 하면, 회전 반경이 작은 콤팩트한 선회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후의 크롤러(11, 12)를 이동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도로변에 바짝 붙일 수 있다.
추가하여, 좌우의 클로러(11, 12)가 전후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크롤러 1개당 길이가 짧아진다. 크롤러의 선회시의 저항력은 크롤러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크롤러를 짧게 한 만큼 크롤러에 필요한 견인력도 작아지고, 그 결과, 선회시에 외륜측의 크롤러에 요구되는 견인력도 작아진다. 따라서, 유압 모터(528, 540)나 실린더(534) 등을 작은 출력으로 할 수 있고, 포장기계의 둘레 구조가 소형이고 낮은 가격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크롤러(11, 12)를, 다른 포장재를 상하로 동시에 고르게 까는 포장기계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크롤러(11, 12)는 크롤러식의 주행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면 모든 포장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좌우의 크롤러를 분리할 경우에는 전후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와 중간 3개로 분리하여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33 내지 도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1에 도시하는 포장기계를 소형화하기 위한, 특히 호퍼(2, 3)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측 호퍼(2) 및 후방측 호퍼(3)가, 후방측 호퍼(3)가 전방측 호퍼(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어긋남과 동시에, 전후로도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측 호퍼(2)는 후방으로, 후방측 호퍼(3)는 전방으로 각각 밀려 있다. 또한, 전방측 호퍼(2)와 후방측 호퍼(3)는 상방에서 본 경우 그들 적어도 일부가,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측 호퍼(2)의 후부와 후방측 호퍼(3)의 전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도33 및 도35 참조).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각 호퍼(2, 3)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차량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방측 호퍼(2)는 경사진 전판(2a), 좌우 전측판(2b), 기립판(2cc)을 가지는 좌우 후측판(2c) 및 후판(2d)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호퍼(3)는 저판(3h), 좌우 측판(3i) 및 후벽(3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호퍼(3)의 저판(3h)을 구성하는 가동저부(63)는 축(6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저부(63)는 프레임(65)간에 끼워 장착된 실린더(66)에 의해, 도33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후측 호퍼(3)의 포장재 배출구(67)측으로 하강하도록 회전된다.
가동저부(63)의 전방부(63a)는 가동 저부(63)에 지지된 축(68)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부(63a)는 다른 가동저부(63)간에 끼워 장착된 실린더(69)에 의해 회전되며, 또한 도3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방부(63a)의 폭은 적재 피더(16)의 폭보다 충분히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호퍼(2)와 후방측 호퍼(3)의 상대적인 위치는, 전부(63a)가 열려 있을 때, 그 개구부(70)의 하방에 전방측 호퍼(2)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포장기계의 동작을, 전방측 호퍼(2) 및 후방측 호퍼(3)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포장재(Ha)를 적재 피더(16)의 상측 배출구(19d)에서 전방측 호퍼(2)로 공급할 경우에는, 미리 실린더(69)를 신장시켜, 도33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가동 저부(63)의 전방부(63a)를 열어 둔다. 그 결과, 포장재(Ha)가 전방부(63a)에 형성된 개구부(70)를 통과하여 전방측 호퍼(2)로 공급된다.
한편, 전방측 호퍼(2)중, 후방측 호퍼(3)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전방부)에서만 포장재(Ha)의 적재가 가능한 경우에는, 포장재(Ha)가 전방측 호퍼(2)의 전방부에 편중되어 적재되며, 포장재의 충분한 배출이 곤란해 지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후방측 호퍼(3)에 형성된 개구부(70)를 통과하여, 전방측 호퍼(2)로의 포장재(Ha)의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공급된 포장재(Ha) 더미가 전방측 호퍼(2)의 중앙부분에도 형성되므로, 충분한 포장재(Ha)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들면, 내마모성이 큰 포장재(Hb)를 후방측 호퍼(3)에 공급할 경우에는, 배출구(19c, 19d)를 덮개(35)로 닫고(도3 참조), 수납 호퍼(17)와 보조 호퍼(49)내의 포장재(Hb)를 배출단(19b)에서 후방측 호퍼(3)내로 낙하시킨다.
이 때, 실린더(69)를 수축시켜 가동 저부(63)의 전방부(63a)를 닫아 둠으로 써, 상측 호퍼(3)내로의 포장재(Hb)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후방측 호퍼(3)내의 포장재가 작아진 경우에는, 실린더(66)를 신장시켜, 가동 저부(63)를 축(64)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가동 저부(63)는 포장재 배출구(67)측이 상대적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지고, 가동 저면부(63)에 남기쉬운 포장재가 마지막까지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후방측 호퍼(3)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포장재(Hb)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포장재를 상하로 2층을 이루도록 동시에 포장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했는데, 다수의 호퍼(2, 3)를 구비하는 포장기계는 한종류의 포장재만을 고르게 까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 스프레딩 스크류(5, 7) 및 포장장치(8, 9)는 각각 한개면 족하다. 예를들면 전방측 호퍼(2)에서 배출되는 포장재를 바아 피더(4)에 의해 직접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로 공급하는 구조로 하면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 및 전방측 포장장치(8)는 불필요해진다.
다수의 호퍼(2, 3)를 구비하는 포장기계를 이용하여, 도3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노면의 좌우방향으로 다른 포장재를 고르게 깔 수도 있다. 이 경우, 도35 및 도3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방측 호퍼(2)에서 바아 피더(4)에 의해 차량(1)의 좌우방향 중앙부로 배출되는 포장재(Hc)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5)로 좌우로 펼쳐지며, 중앙의 평면 덮개판(70)의 외측과 좌우 칸막이판(71, 72)으로 둘러싸인 구역(Za, Za)으로 공급된다. 한편, 후방측 호퍼(3)에서 공급되는 포장재(Hd)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7)에 의해 중앙 및 좌우로 펼쳐지며, 중앙 구역(Zb) 및 평면 덮개판(75)의 외측의 구역(Zc)으로 공급된다. 이들 포장재(Hc, Hd)를 포장장치(9)에 의해 고르게 깔면, 도3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로 중, 웅덩이가 생길 것같은 곳을 마모성이 우수한 포장재(Hc)로 포장하고, 다른 부분은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마모에 그다지 강하지 않은 포장재(Hd)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측 호퍼(2)와 후방측 호퍼(3)의 2개의 호퍼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했는데, 호퍼를 3개 이상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적재 피더(16)를, 포장기계에 1개가 아닌, 각 호퍼에 대응하여 각각 1개씩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린더(28, 34, 45, 51, 56, 66, 69, 326, 336, 421, 431, 534)에는 통상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는데,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27, 140, 361, 362, 366, 424)에는 유압 모터 또는 전기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수납 호퍼에 수납 호퍼의 하중을 받는 차륜을 설치함으로써, 수납 호퍼를 차량 등 위에 탑재할 필요가 없어져 차량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엔진을 적재 피더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함으로써 포장기계를 소형화 할 수 있는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43)

  1. 포장재의 적재 피더를, 그 적재 프레임의 하단이 수납 호퍼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의 중간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이 배출구에 덮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를 상하로 세우거나 눕히는 것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의 하중을 받는 차륜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에, 상기 수납 호퍼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5. 포장재의 적재 피더를, 그 적재 프레임의 하단이 수납 호퍼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의 중간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이 배출구에 덮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적재 피더를 상하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의 하중을 받는 차륜을 설치한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를 전후로 유동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적재 피더에 상기 적재 피더의 후퇴를 막는 정지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호퍼에, 상기 수납 호퍼에 포장재를 보급하는 덤프트럭 등을 누르는 가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호퍼의 좌우에, 보조 호퍼를 상기 수납 호퍼의 위로 접을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를, 상기 적재 프레임의 하단과 배출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플라이트를 부착한 무단 체인이 설치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배출구를 상기 적재 피더의 포장재의 이송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의 적재장치.
  9.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0.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륜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1.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3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2.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4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3.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5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4.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6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5.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7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6. 차량상에, 포장재를 수용하는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설치한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8항에 기재된 포장재의 적재 장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구가 상기 전방측 호퍼의 상방에 또한 상기 적재 피더의 배출단이 상기 후방측 호퍼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가 평행으로 배치되는 2개의 회전축과, 이들 회전축에 감긴 무단 형상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포장기계가,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으로 모으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의 회전축을 상호 분리 독립하여 설치하며, 상기 스크류의 구동원과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원을 개별 독립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의 회전축을, 베어링을 통하여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상기 적재 피더의 반입측 회전축의 좌우 양 측에 설치하고, 그들 좌우의 스크류가 개개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0. 제9항에 있어서, 차량에 세워 설치된 종 레일과, 종 레일에 따라 승강 자유롭게 부착된 바닥과, 바닥위에 설치된 운전석 및 운전기기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하는 운전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승강 실린더와,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에 감겨서 일단이 상기 차량양측의 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바닥측의 부재에 고정된 밧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2. 제20항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상기 운전석을 상기 바닥에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기기의 핸들을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에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운전장치를 상기 후방측 호퍼의 후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종 레일을 상기 후방측 호퍼의 후벽의 리프트 프레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전방측 포장장치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후방측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에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의 축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레벨링 아암에, 상호 전후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각각 걸어 매달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포장장치와 후방측 포장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좌우로 신축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호퍼가, 포장재의 낙하구를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호퍼에서 보내져 온 포장재를 좌우로 펼치는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에 의해 펼쳐진 포장재를 고르게 까는 포장장치를 상기 차량에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측 호퍼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된 낙하구를 가지고, 상기 낙하구가 상기 후방측 스프레딩 스크류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호퍼가, 상기 개폐수단이 각각 설치된 다수의 상기 낙하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낙하구를 상기 후방측 호퍼의 폭방향에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구를 개폐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낙하구에서 포장재를 낙하시키는 회전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4. 제29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낙하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낙하구에서 포장재를 낙하시키는 회전 롤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을 동일 낙하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의 좌우 하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한쌍의 동륜에 무단형상의 크롤러 본체가 감아 걸려 이루어지는 주행용 크롤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의 크롤러를 전방측 크롤러와 후방측 크롤러로 분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크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전방측 크롤러가 고정 봉로 연결되고, 상호 동일 각도만큼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크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3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호퍼와 후방측 호퍼를, 상방에서 봐서 적어도 그들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하로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퍼 중 상측의 호퍼를 후방으로, 하측의 호퍼를 전방으로 각각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상측 호퍼의 저면의 전방부를 개폐자유롭게 하고, 이 전방부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그 개구부의 하방에 상기 하측의 호퍼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중 상측 호퍼의 저면을 포장재의 배출구측으로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4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호퍼 및 후방측 호퍼의 합계용량을, 적어도 이들 호퍼에 포장재를 공급하는 트럭의 탑재용량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4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피더의 좌우에 엔진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계.
KR1019990006666A 1998-02-27 1999-02-27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KR100547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820998A JP3494876B2 (ja) 1998-02-27 1998-02-27 敷均機械
JP98-048209 1998-02-27
JP98-048211 1998-02-27
JP04821198A JP3553358B2 (ja) 1998-02-27 1998-02-27 コンベア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敷均機械
JP98-048212 1998-02-27
JP98-048208 1998-02-27
JP04820898A JP3471597B2 (ja) 1998-02-27 1998-02-27 舗装材の積込装置及び敷均機械
JP4821298A JPH11245858A (ja) 1998-02-27 1998-02-27 クローラ式走行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敷均機械
JP98-051128 1998-03-03
JP10051128A JP2994617B2 (ja) 1998-03-03 1998-03-03 敷均機械
JP05868498A JP3222829B2 (ja) 1998-03-10 1998-03-10 敷均機械
JP98-058684 1998-03-10
JP21461098A JP3587990B2 (ja) 1998-07-29 1998-07-29 敷均機械
JP98-214610 1998-07-29
JP37218398A JP3457556B2 (ja) 1998-12-28 1998-12-28 敷均機械
JP98-372183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011A KR19990073011A (ko) 1999-09-27
KR100547294B1 true KR100547294B1 (ko) 2006-01-26

Family

ID=2757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66A KR100547294B1 (ko) 1998-02-27 1999-02-27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35671A (ko)
EP (1) EP0939166A3 (ko)
KR (1) KR100547294B1 (ko)
CN (1) CN120016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1B1 (ko) * 2008-08-04 2009-12-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RU216057U1 (ru) * 2022-02-07 2023-01-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ПО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Асфальтоукладчик гусеничны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5671A (en) * 1998-02-27 2000-10-24 Niigata Engineering Co., Ltd. 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US6332736B1 (en) * 1999-04-08 2001-12-25 James Cape And Son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ing paving materials
AU2003207091A1 (en) * 2003-02-19 2004-09-09 Nippo Corporation Asphalt uniformly paving equipment
US20070065230A1 (en) * 2003-09-17 2007-03-22 Cedarapids, Inc. Self Propelled Remix Machine with Conveyor
US20080292398A1 (en) * 2007-05-23 2008-11-27 Caterpillar Inc. Transfer machine, system and paving material transfer method
US7785034B2 (en) 2008-06-26 2010-08-31 Weiler, Inc. Desegregation system
PL2377994T3 (pl) * 2010-04-16 2016-06-30 Voegele Ag J System przenoszenia materiału dla wykańczarki i zasilacza
CA2869679C (en) * 2012-04-04 2020-10-20 Elmich Pte Ltd Chock for paver support
DE202012003695U1 (de) * 2012-04-12 2013-07-15 Joseph Vögele AG Straßenfertiger mit einem bewegbaren Bedienpult
CN104532723B (zh) * 2014-12-24 2016-09-28 戴纳派克(中国)压实摊铺设备有限公司 摊铺机料位监测系统及监测方法
EP3091125B1 (de) * 2015-05-06 2017-07-12 Joseph Vögele AG Baumaschine mit einer hebevorrichtung für einen beschickungsvorgang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r heckklappe
CN105109868A (zh) * 2015-07-16 2015-12-02 长治清华机械厂 带举升式横移平台的前进料垃圾压缩设备
CN105178144A (zh) * 2015-10-08 2015-12-23 江苏奥新科技有限公司 一种就地热再生双层摊铺一体机及其工作过程
US10683176B2 (en) 2017-07-05 2020-06-16 Racehorse Investments, L.L.C. Material placer
CN107572180A (zh) * 2017-09-29 2018-01-12 安徽恒兴镀锌有限公司 管状镀锌件的自动化供料装置
DE102017223126A1 (de) 2017-12-18 2019-06-19 Wirtgen Gmbh Bodenbearbeitungsmaschine mit Bedienpult mit verbessertem Vandalismusschutz
CN111648202B (zh) * 2020-06-16 2021-11-26 西安公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路面热再生的旧料收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412A (ja) * 1993-09-01 1995-03-17 Fuji Xerox Co Ltd 光偏向器
JPH07109705A (ja) * 1993-10-15 1995-04-25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高締固め施工機
JPH09184106A (ja) * 1995-12-12 1997-07-15 Joseph Voegele Ag 舗装装置及び舗装材供給装置
EP0939166A2 (en) * 1998-02-27 1999-09-01 Niigata Engineering Co., Ltd. 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KR101233692B1 (ko) * 2006-08-16 2013-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4334A (en) * 1959-09-04 1962-09-18 Barber Greene Co Road finishing machine
US4379653A (en) * 1981-06-01 1983-04-1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sphalt paver with telescoping screed
JPS59107613A (ja) * 1982-12-13 1984-06-21 Hitachi Ltd 演算増幅回路
US5015120A (en) * 1987-08-25 1991-05-14 Barber-Green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sphalt-aggregate pavement
US5035534A (en) * 1987-08-25 1991-07-30 Barber-Greene Compan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 asphalt-aggregate mixture
US4818139A (en) * 1987-08-25 1989-04-04 Barber-Green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sphalt-aggregate pavement
US5114267A (en) * 1989-02-10 1992-05-19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Integrated paver with windrow pick-up capability
EP0385017A1 (en) * 1989-02-10 1990-09-05 Barber-Greene Company Integrated paver with windrow pick-up capability
US5100277A (en) * 1989-12-08 1992-03-31 Cedarapid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s
US5073063A (en) * 1990-08-20 1991-12-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indrow paving machine and method of paving
US5529434A (en) * 1993-04-08 1996-06-25 Swisher, Jr.; George W. Paving material machine having hopper capacity and compensating tunnel capacity
EP0730694B1 (de) * 1993-11-27 1997-04-16 Elk Richt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rtigers und fertiger zum einbauen und verdichten von asphaltschichten
US5553968A (en) * 1994-09-29 1996-09-10 Astec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nd desegregating aggregate
DE29510058U1 (de) * 1995-06-21 1995-11-02 Voegele Ag J Deckenfertig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412A (ja) * 1993-09-01 1995-03-17 Fuji Xerox Co Ltd 光偏向器
JPH07109705A (ja) * 1993-10-15 1995-04-25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高締固め施工機
JPH09184106A (ja) * 1995-12-12 1997-07-15 Joseph Voegele Ag 舗装装置及び舗装材供給装置
EP0939166A2 (en) * 1998-02-27 1999-09-01 Niigata Engineering Co., Ltd. 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US6135671A (en) * 1998-02-27 2000-10-24 Niigata Engineering Co., Ltd. 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KR101233692B1 (ko) * 2006-08-16 2013-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1B1 (ko) * 2008-08-04 2009-12-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RU216057U1 (ru) * 2022-02-07 2023-01-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ПО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Асфальтоукладчик гусеничны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169C (zh) 2005-05-04
KR19990073011A (ko) 1999-09-27
CN1233692A (zh) 1999-11-03
EP0939166A2 (en) 1999-09-01
US6135671A (en) 2000-10-24
EP0939166A3 (en)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294B1 (ko)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US4162584A (en) Excavating wheel with cam assisted bucket wall ejector
US5120433A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US5430962A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with rotary feeder
US3453939A (en) Bituminous paver
CN105113371B (zh) 用于道路摊铺机的附加整平板单元以及具有这种附加整平板单元的道路摊铺机
US5195260A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US4183158A (en) Conveyor folding and deflector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JPH09184106A (ja) 舗装装置及び舗装材供給装置
CA1068962A (en) Slip form paving machine
JPH11336013A (ja) 舗装機械とそのための装填機
US5531542A (en) Dual auger/conveyor drive for a paver
US5363574A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US3550511A (en) Road carpeting machine
JP4486067B2 (ja) 道路舗装機械におけるスクリード調整機構
JP4705666B2 (ja) 自走式舗装機械
JP3587990B2 (ja) 敷均機械
US5215403A (en) Machine for transferring paving material
RU21936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JP3548129B2 (ja) アスファルト敷均装置及びアスファルト敷均方法
US4462747A (en) Material conveyor for use with a backhoe
JP4881281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路面舗装システム
JP2994617B2 (ja) 敷均機械
JP3457556B2 (ja) 敷均機械
JP4985988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におけるレーン引きユニット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