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991B1 -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991B1
KR100931991B1 KR1020080075853A KR20080075853A KR100931991B1 KR 100931991 B1 KR100931991 B1 KR 100931991B1 KR 1020080075853 A KR1020080075853 A KR 1020080075853A KR 20080075853 A KR20080075853 A KR 20080075853A KR 100931991 B1 KR100931991 B1 KR 10093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reinforcement
power source
reinforcemen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08007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내 장비 주행성 확보에 필요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토재 분산 포설을 위해 덤프트럭의 후방 또는 측방에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 또는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적재함을 후방덤핑 또는 측방덤핑하도록 하여 별도의 포설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덤프트럭에 지반보강재를 적재하여 포설하고자 하는 공법으로 연약지반에 후방덤핑 또는 측방덤핑하는 것만으로써 연약지반에 지반보강재를 포설할 수 있어 포설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비사용비용과 인건비 등의 포설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며, 후륜에 접지면적확대부재를 설치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지반보강재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후륜의 접지면적을 확대하여 차량주행으로 인한 연약지반 유동을 최소화하여 지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반보강재의 포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약지반, 지반보강재, 덤프트럭, 분산수단

Description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ground reinforcing materials}
본 발명은 연약지반 내 장비 주행성 확보에 필요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설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최소한의 장비로서 지반보강재를 효율적으로 포설할 수 있도록 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함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 구역의 후방에 지반보강재(RM)를 적재하고, 연약지반(SG)측에 광폭 무한궤도(2) 위에 각도조절이 되는 벨트 컨베이어(3)를 가지는 포설장치(1)를 설치하여 덤프트럭(4)에 의해 지반보강재(RM)를 포설장치(1)의 직후방에 운반 적하 야적한 다음 굴삭기(5)를 이용하여 지반보강재(RM)를 포설장치(1)의 후방호퍼(4)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3) 위에 적재하면 벨트 컨베이어(3)에 의해 지반보강재(RM)가 이송되어 연약지반(SG)에 포설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포설장치(1)와 덤프트럭(4) 및 굴삭기(5) 등 여러 장비의 조합이 필요하게 되고, 지반보강재(RM)를 운반장비에 적재하는 단 계와, 운반장비에 의거 운반하는 단계. 운반된 지반보강재(RM)를 벨트 컨베이어(3)에 적재하는 단계와, 벨트 컨베이어(3)에 의해 지반보강재(RM)를 포설하는 단계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약지반에 지반보강재(RM)에서 덤프트럭을 운행할 경우 적재함에 적재된 지반보강재(RM)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연약토층이 융기, 함몰되어 운행이 어렵고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덤프트럭을 개조하여 별도의 포설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약지반 위에 지반보강재를 신속하게 포설할 수 있도록 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설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에 적재된 지반보강재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후륜의 접지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연약토층의 융기, 함몰을 방지하여 지반보강재의 포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대와 운전실과 적재함과 전후 차륜을 가지는 덤프트럭과; 상기 차대와 적재함의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덤핑 실린더와; 상기 차대의 후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유압모터로 된 회전동력원과 이 회전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는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 및; 상기 후방덤핑 실린더와 회전동력원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대와 운전실과 적재함과 전후 차륜을 가지는 덤프트럭과; 상기 차대와 적재함의 사이에 설치되는 측방덤핑 실린더와; 상기 차대의 측단부 하방에 유압모터로 된 회전동력원과 이 회전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는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 및; 상기 측방덤핑 실 린더와 회전동력원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후륜에 씌워져 접지면적을 확대시키는 접지면적확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덤프트럭의 차대와 적재함의 사이에 후방덤핑 실린더가 설치되고 차대의 후단부 하단에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가지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의 후방에 적하 야적된 지반보강재 야적구역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지반보강재를 적재하는 단계와;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으로 이동시켜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작동시키면서 적재함을 후방덤핑시켜 지반보강재를 연약지반에 분산 포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덤프트럭의 차대와 적재함의 사이에 측방덤핑 실린더가 설치되고 차대의 후단부 하방에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가지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의 후방에 적하 야적된 지반보강재 야적구역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지반보강재를 적재하는 단계와;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 상에서 주행시키면서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적재함을 측방덤핑시켜 지반보강재를 연약지반에 분산 포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에 의하면 덤프트럭의 후방 또는 측방에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 또는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적재함을 후방덤핑 또는 측방덤핑하도록 한 것이므로 별도의 포설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덤프트럭에 지반보강재를 적재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에 후방덤핑 또는 측방덤핑하는 것만으로써 연약지반에 지반보강재를 포설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의 융기 및 함몰을 최소화하면서 포설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비사용비용과 인건비 등의 포설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에 의하면 후륜에 접지면적확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된 지반보강재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후륜의 접지면적을 확대하여 하중에 의한 연약지반의 융기 및 함몰을 방지하여 지반보강재의 포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의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주행상태를 보인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포설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유 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보인 시공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대(11)와 운전실(12)과 적재함(13)과 전후 차륜(14,15)을 가지는 통상적인 덤프트럭(10)과;
상기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덤핑 실린더(20)와;
상기 차대(11)의 후단부 하방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은 차대(11)의 후단부에 고정된 브래킷(30)과, 상기 브래킷(3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동력원(31)과, 상기 회전동력원(31)의 축(3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형 회전체(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동력원(31)은 전기모터나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지반보강재를 분산시키는 데 필요한 출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판형 회전체(33)는 원판형으로 지반보강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그 상면에 복수개의 방사상 엠보싱부(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덤핑 실린더(20)와 회전동력원(31)인 유압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제어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탱크(41)에 연결된 유압펌프(40)와, 상기 유압펌프(40)와 후방덤핑 실린더(20)의 사이에 설치된 후방덤핑제어밸브(42)와, 상기 유압펌프(40)와 회전동력원(31)인 유압모터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밸 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펌프(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덤프트럭을 구성하는 엔진(16)에 연결된 변속기(17)에서 취출된 PTO(Power Take Off)(18)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덤핑제어밸브(42)와 회전제어밸브(43)는 각각 조작레버(42a,43a) 및 스프링(42b,43b)을 가지는 4포드 3위치 밸브가 사용된다.
즉, 후방덤핑제어밸브(42)는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에 연결되는 2개의 입력포트와, 후방덤핑 실린더(20)의 후단과 선단에 연결되는 2개의 출력포트를 가지며, 정방향 제어위치와 정지위치 및 역방향 제어위치로 조작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제어밸브(43)는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에 연결되는 2개의 입력포트와, 회전동력원(31)인 유압모터와 유압탱크(41)에 연결되는 2개의 출력포트와, 정방향 제어위치와 정지위치 및 역방향 제어위치로 조작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44”는 압력게이지이다.
이하, 후방덤핑제어밸브(42)에 의한 후방덤핑 실린더(2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적재함(13)이 하강한 상태에서 조작레버(42a)에 의해 후방덤핑제어밸브(42)를 도 4의 (a)에 도시한 정지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정지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후방덤핑 실린더(20)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정지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후방덤핑 실린 더(20)에는 유압펌프(40)의 유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적재함(13)은 하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후방덤핑제어밸브(42)를 도 4의 (b)에 도시한 정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정방향 제어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후방덤핑 실린더(20)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정방향 제어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유압펌프(40)의 유압이 후방덤핑 실린더(20)의 후단부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덤핑 실린더(20)의 피스톤(21)과 피스톤로드(22)가 전진하게 되어 적재함(13)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적재함(13)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시 후방덤핑제어밸브(42)를 도 4의 (a)에 도시한 정지위치로 조작하면 후방덤핑 실린더(20)에는 유압펌프(40)의 유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적재함(13)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후방덤핑제어밸브(42)를 도 4의 (c)에 도시한 역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역방향 제어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후방덤핑 실린더(20)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의 역방향 제어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유압펌프(40)의 유압이 후방덤핑 실린더(20)의 선단부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덤핑 실린더(20)의 피스톤(21)과 피스톤로드(22)가 후진하게 되어 적재함(13)이 하강하게 된다.
이하, 후방덤핑제어밸브(42)에 의한 회전동력원(31)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회전제어밸브(43)를 조작레버(43a)에 의해 도 4의 (a)에 도시한 정지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회전제어밸브(43)의 정지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원(31)은 회전제어밸브(43)의 정지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원(31)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회전제어밸브(43)를 조작레버(43a)에 의해 도 4의 (b)에 도시한 정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회전제어밸브(43)의 정방향 제어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원(31)은 회전제어밸브(43)의 정방향 제어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원(3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제어밸브(43)를 조작레버(43a)에 의해 도 4의 (c)에 도시한 역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면,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는 회전제어밸브(43)의 역방향 제어위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원(31)은 회전제어밸브(43)의 역방향 제어위치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원(3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13)이 하강한 상태에서 도 5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의 후방에 적하 야적된 지반보강재(RM) 야적위치로 이동하여 그 적재함(13)에 지반보강재(RM)를 적재하고, 도 5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한 다음, 회전제어밸브(43)를 정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여 회전동력원(3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동력원(31)의 축(32)에 연결된 원판형 회전체(3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덤핑제어밸브(42)를 정방향 제어위치로 조작하면 후방덤핑 실린더(20)의 피스톤(21)과 피스톤로드(22)가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적재함(13)이 도 2 및 도 5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13)을 후방으로 기울여 적재된 지반보강재(RM)가 연약지반(SG)에 후방으로 덤핑됨과 아울러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원판형 회전체(33)에 의해 분산되면서 연약지반(SG)에 포설된다.
여기서 원판형 회전체(33)는 필요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적재함(13)에 적재된 지반보강재(RM)의 덤핑 및 포설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도 5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보강재(RM)가 야적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2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는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수차형 회전체로 구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은 차대(11)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래킷(35)과, 이 브래킷(35)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동력원(36)과, 상기 회전동력원(36)의 축(37)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차형 회전체(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동력원(36)은 그 축(37)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수차형 회전체(38) 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38)는 양측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원판(38a)을 가지며 한 쌍의 원판(38a)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38b)을 가진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38)는 적재함(13)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1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적재함(13)의 폭의 절반의 길이를 가지는 2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동력원(36)의 회전구동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38)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 덤핑되는 지반보강재(RM)을 분산 포설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주행상태를 보인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포설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유압회로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는 상기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설치되는 측방덤핑 실린더(50)와; 상기 차대(11)의 측단부 하방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유압제어수단에 측방덤핑제어밸브(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은 차대(11)의 측단부에 고정된 브래킷(60)과, 상기 브래킷(6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동력원(61)과, 상기 회전동력원(61)의 축(6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63)의 상면에는 지반보강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방사상 엠보싱부(6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덤핑제어밸브(45)는 조작레버(45a)와 스프링(45b)을 가지는 4포드 3위치 밸브가 사용된다.
즉, 측방덤핑제어밸브(45)는 유압펌프(40)와 유압탱크(41)에 연결되는 2개의 입력포트와, 측방덤핑 실린더(50)의 후단과 선단에 연결되는 2개의 출력포트를 가지며, 정방향 제어위치와 정지위치 및 역방향 제어위치로 조작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는 적재함(13)에 적재된 지반보강재(RM)를 측방으로 덤핑하여 연약지반(SG)에 포설하는 것으로,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적재함(13)이 측방으로 덤핑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주행하면서 덤핑과 분산 포설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지반보강재의 포설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4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는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수차형 회전체로 구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3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은 차대(11)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래킷(65)과, 이 브래킷(65)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동력원(66)과, 상기 회전동력원(66)의 축(67)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차형 회전체(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동력원(66)은 그 축(67)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수차형 회전체(68)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68)는 양측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원판(68a)을 가지며 한 쌍의 원판(68a)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68b)을 가진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68)는 적재함(13)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1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적재함(13)의 폭의 1/4의 길이를 가지는 4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동력원(66)의 회전구동은 상술한 제2 실시례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차형 회전체(68)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측방 덤핑되는 지반보강재(RM)을 분산 포설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5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적재함(13)에 적재된 지반보강재(RM)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후륜에 접지면적확대부재(7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70)는 상기 후륜(15)의 외주면에 감기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러그(71)가 형성된 링형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70)의 내주면에는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타이어(T) 사이에 끼워지는 링형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접지면적확대부재(70)와 양측 후륜(15)의 타이어(T)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됨과 아울러 접지면적확대부재(70)의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70)는 통상적인 타이어(T)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는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타이어(T)에 접지면적확대부재(70)를 씌워 후륜(15)의 접지면적을 확대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연약지반(SG)에 지반보강재(RM)를 포설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연약지반(SG)이 융기 및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포설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6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전후 두 쌍의 타이어(T)에 무한궤도형으로 씌워지는 접지면적확대부재(80)를 구비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8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러그(81)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80)의 내주면에는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타이어(T) 사이에 끼워지는 무한궤도형 돌출부(82)가 형성되어 접지면적확대부재(80)와 양측 후륜(15)의 타이어(T)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됨과 아울러 접지면적확대부재(80)의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7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접지면적확대부재를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전후 두 쌍의 타이어(T)의 바깥쪽에 추가로 결합되는 추가 타이어(Tx)로 구성되는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통상적인 덤프 트럭에 비해 후륜(15)이 좌우 각각 두 쌍의 타이어(T)와 접지면적확대부재인 추가 타이어(Tx)로 구성된 것으로, 후륜(15)의 접지면적이 크게 확대되어 연약지반(SG)에 지반보강재(RM)를 포설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연약지반(SG)이 융기 및 함몰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포설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재함(13)을 덤핑작동시키지 않고, 적재함(13)에 적재된 지반보강재(RM)을 후방 또는 측방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밀판을 설치하고, 이 밀판은 전후 또는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할 수 있는 직선구동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직선구동수단으로서는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모터와 스프로킷 및 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의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주행상태를 보인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포설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보인 시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2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주행상태를 보인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포설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4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5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6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제7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의 저면도,
도 17은 종래 지반보강재 포설과정을 보인 시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덤프트럭 11 : 차대
13 : 적재함 15 : 후륜
20 : 후방덤핑 실린더 31,36 : 회전동력원
33,38 : 회전체 40 : 유압펌프
42 : 후방덤핑제어밸브 43 : 회전제어밸브
45 : 측방덤핑제어밸브 50 : 측방덤핑 실린더
61,66 : 회전동력원 63,68 : 회전체
70,80,90 : 접지면적확대부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차대(11)와 운전실(12)과 적재함(13)과 전후 차륜(14,15)을 가지는 덤프트럭(10)과;
    상기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덤핑 실린더(20)가 구비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대(11)의 후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유압모터로 된 회전동력원(31)과 이 회전동력원(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33)를 가지는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 및;
    상기 후방덤핑 실린더(20)와 회전동력원(31)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수단과;
    상기 회전동력원은 그 축(32)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동력원(31)이고, 상기 회전체는 그 상면에 복수개의 방사상 엠보싱부(34)가 형성된 원판형 회전체(33)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4. 차대(11)와 운전실(12)과 적재함(13)과 전후 차륜(14,15)을 가지는 덤프트럭(10)과;
    상기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덤핑 실린더(20)가 구비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대(11)의 측단부 하방에 설치되는 유압모터로 된 회전동력원(61)과 이 회전동력원(6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63)를 가지는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 및;
    상기 후방덤핑 실린더(20)와 회전동력원(61)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수단과; 상기 회전동력원(61)은 그 축(62)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동력원(61)이고, 상기 회전체(63)는 그 상면에 복수개의 방사상 엠보싱부(64)가 형성된 원판형 회전체(63)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원은 그 축(37,67)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동력원(36,66)이고, 상기 회전체는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원판(38a,68a)과 이들 한 쌍의 원판(38a,68a)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38b,68b)을 가지는 수차형 회전체(38,68)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수단은
    유압탱크(41)에 연결된 유압펌프(40)와, 상기 유압펌프(40)와 후방덤핑 실린더(20) 및 측방덤핑 실린더(5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후방덤핑제어밸브(42) 및 측방덤핑제어밸브(45)와, 상기 유압펌프(40)와 회전동력원(31,61)인 유압모터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밸브(43,6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덤핑제어밸브(42)와 측방덤핑제어밸브(45)와 회전제어밸브(43,63)는 각각 조작레버(42a,45a,43a,63a) 및 스프링(42b,45b,43b,63b)을 가지는 4포드 3위치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15)에 씌워져 접지면적을 확대시키는 접지면적확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는 상기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타이어(T)의 외주면에 공통으로 감기는 링형 접지면적확대부재(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70)는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러그(71)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타이어(T) 사이에 끼워지는 링형 돌출부(72)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는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전후 두 쌍의 타이어(T)에 씌워지는 무한궤도형 접지면적확대부재(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적확대부재는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러그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양측 후륜(15)를 구성하는 두 쌍의 타이어(T) 사이에 끼워지는 무한궤도형 돌출부(82)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후륜(15)을 구성하는 전후 두 쌍의 타이어(T)의 바깥쪽에 추가로 결합되는 추가 타이어(Tx)로 구성되는 접지면적확대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14. 덤프트럭(10)의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후방덤핑 실린더(20)가 설치되고 차대(11)의 후단부 하방에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가지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의 후방에 적하 야적된 지반보강재(RM) 야적구역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지반보강재(RM)를 적재하는 단계와;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으로 이동시켜 지반보강재 후방분산수단을 작동시키면서 적재함(13)을 후방덤핑시켜 지반보강재(RM)를 연약지반(SG)에 분산 포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5. 덤프트럭(10)의 차대(11)와 적재함(13)의 사이에 측방덤핑 실린더(50)가 설치되고 차대(11)의 측단부 하방에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가지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의 후방에 적하 야적된 지반보강재(RM) 야적구역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지반보강재(RM)를 적재하는 단계와;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SG) 상에서 주행시키면서 지반보강재 측방분산수단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적재함(13)을 측방덤핑시켜 지반보강재(RM)를 연약지반(SG)에 분산 포설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1020080075853A 2008-08-04 2008-08-04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093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53A KR100931991B1 (ko) 2008-08-04 2008-08-04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53A KR100931991B1 (ko) 2008-08-04 2008-08-04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991B1 true KR100931991B1 (ko) 2009-12-15

Family

ID=4168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53A KR100931991B1 (ko) 2008-08-04 2008-08-04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2U (ko) * 1996-07-08 1998-04-30 라병렬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200325150Y1 (ko) * 2003-05-16 2003-09-02 최귀봉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100547294B1 (ko) * 1998-02-27 2006-01-26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2U (ko) * 1996-07-08 1998-04-30 라병렬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00547294B1 (ko) * 1998-02-27 2006-01-26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포장재의 적재장치 및 포장기계
KR200325150Y1 (ko) * 2003-05-16 2003-09-02 최귀봉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7547A (en) Conveyor folding and moldboard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US5988937A (en) Crawler type soil improving machine
US5542814A (en) Method of lifting a skid steer loader bucket
US4183158A (en) Conveyor folding and deflector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JP2011505028A (ja) ペイロード制御用の機械間通信システム
US4069605A (en) Conveyor folding and moldboard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KR100931991B1 (ko)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US3897109A (en) Multi-wheeled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
JP5199078B2 (ja) 貨物用車両の改良
US3896571A (en) Multi-wheeled excavator and conveying system
EP3719221B1 (en) A control method for actuating a shake movement of a bucket connected to a boom in a work vehicle powered by a motor,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EP2785630B1 (en) Device for locking a slewable arm of a crane or mowing machine on a vehicle
EP3851587A1 (en) An undercarriage for a working machine
US4207022A (en) Powered vehicle for loading, transportation and unloading of heaped materials
RU64993U1 (ru) Гусеничный карьерный транспортировщик
US2527928A (en) Power shovel and loader
KR102187738B1 (ko) 건설기계의 견인력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견인력 제어방법
KR200167202Y1 (ko) 적재함이 구비된 스키드스티어 로우더
JP4227936B2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US20220227423A1 (en) Undercarriage
EP3719220B1 (en) A control method of actuating a movement of at least one of a boom and an implement connected to the boom in a work vehicle powered by a motor,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KR20230132220A (ko) 건설 기계의 차륜 자동 조립 시스템
JPH10100110A (ja) 枝木材粉砕装置、及び枝木材粉砕装置付き建設車両
US20160040396A1 (en) Machine and bucket combination determination
WO2017135842A1 (ru) Самопогрузчик со стрелой с поворотным ковшом между кабиной и кузо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