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065B1 -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065B1
KR100540065B1 KR1020027006334A KR20027006334A KR100540065B1 KR 100540065 B1 KR100540065 B1 KR 100540065B1 KR 1020027006334 A KR1020027006334 A KR 1020027006334A KR 20027006334 A KR20027006334 A KR 20027006334A KR 100540065 B1 KR100540065 B1 KR 10054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ped beam
base member
flexible mount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980A (ko
Inventor
맥페르슨더글라스알.
Original Assignee
아스텐죤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텐죤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스텐죤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D21F1/483Drainage foils and bars
    • D21F1/486Drainage foils and bars adjustabl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D21F1/483Drainage foils and bars

Landscapes

  • Pap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는 제지기 구조물(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부재(1)를 포함하고, 이 베이스 부재에 가요성의 C자형 빔(3)이 부착되어 있다. C자형 빔(3)은 베이스 부재(1)에 부착되는 하나의 단부(4)를 가지고 있고, 반대측 단부에는 성형직물에 접촉하는 블레이드(13)를 부착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와 C자형 빔의 제2 단부 사이에서 C자형 빔 내측에는 가압 부하 튜브(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부하 튜브(14)가 부하되면, C자형 빔이 굴곡하여, 블레이드(13)를 초기에는 성형직물과 접촉하도록 이동시킨다. 가압 부하 튜브가 더욱 부하되면, 블레이드(13)의 접촉면(22)이 성형직물과 더욱 밀접하도록 이동된다. 바람직한 구조에서는, 블레이드의 전연부에서의 성형직물의 감긴 각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장착 장치는 성형직물이 블레이드 위를 통과할 때 성형직물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장착 장치는, 제지 원료 두께의 변동과 같은 조건의 국부적 변동에 순응하도록 블레이드가 부분적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이 장착 장치는 또한, 블레이드의 상류측에 축적된 액체를 장착 장치의 하류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쌍 성형직물 제지기, 가요성 C자형 빔, 베이스 부재, 블레이드

Description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A flexible mounting for a blade in the formong section of a twin forming fabric paper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쌍 성형직물(twin forming fabric) 제지기의 성형부에서 성형 슈(shoe)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탄성적으로 장착된 블레이드(blade)를 위한 가요성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지기에서는, 블레이드가 2개의 성형직물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블레이드는 가까운 쪽의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에만 접촉하여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장착된 블레이드가 이동하는 성형직물의 폭을 가로질러 성형직물의 경로에서의 Z 방향 변동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가요성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가요성 장착 장치는, 성형직물이 블레이드의 직물 접촉면 위에서 미끄럼 접촉하여 통과할 때 성형직물의 감긴 각도(wrap angle)가 블레이드 엣지(edge)들 중 하나에서 최대화 되고, 블레이드가 직물 쪽으로 더 변위된 때는 다른 엣지에서 최소화 되도록 블레이드를 이동시킨다.
2개의 대향된 성형직물 사이의 공간 내로 수성 제지원료가 분사 또는 이송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에 사용되는 블레이드와 같은 정적(靜的) 성형직물 지지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성형부에서, 각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는 초기 종이 웨브가 형성되도록 성형을 개선하고 유체를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일부 성형부에서는, 쌍으로 이동하는 2개의 성형직물이 그 2개의 성형직물의 양측에 배치된 블레이드 주위에 감기게 되고, 따라서, 성형부를 통하여 다소 지그재그 경로를 따르게 된다.
반대편 블레이드가 설치된 쌍 성형직물 성형부에서는, 성형직물의 한쪽 측면에 제1 세트의 가요성 있게 장착된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있고, 성형직물의 다른쪽 측면에 제2 세트의 다소 견고하게 장착된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집합적으로 성형 슈라 불리는 2 세트의 블레이드를 지지하는데 적당한 기계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가요성 장착 장치는 블레이드를 2개의 성형직물 중 인접한 직물과 강제로 접촉시키기 위해 가압 호스 또는 스프링 장치를 이용하는 일이 종종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블레이드를 가요성 있게 장착하는 개선된 수단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는, 장착 장치가 본질적으로 2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장착 장치는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 가까운 쪽의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에 대하여 블레이드를 강제적으로 균일하고 긴밀하게 접촉시킨다. 둘째, 이 장착 장치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국부적 변동에 응하여 성형직물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Z 방향으로 블레이드의 부분들을 편향시키고, 블레이드를 여전히 성형직물과의 긴밀한 접촉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아래의 용어들은 아래의 의미를 가진다.
"기계 방향"은 성형부를 통과하는 한 쌍의 성형직물의 전체 주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그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기계 교차 방향"은 본질적으로 성형직물의 평면 내에 있고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Z 방향"은 기계 방향과 기계 교차 방향 모두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블레이드"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에 사용된 정적(靜的) 직물 접촉부재를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쌍 성형직물 성형부에 사용되는 직물 접촉부재를 가요성 있게 장착하는 구조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공지의 장착 장치는 블레이드를 기계 교차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다소 Z 방향으로의 블레이드의 이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장착 장치에서는, 블레이드의 Z 방향 이동이 장착 장치의 고정 부품과 이동 부품 사이의 마찰 미끄럼을 수반하는 일이 종종 있고, 이러한 마찰 미끄럼은 섬유 및 다른 물질에 의한 기구의 막힘(clogging)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공지의 종래 구조에서는, 미끄럼 이동 부품이 일반적으로 강성(剛性)이고, 가요성을 갖지 않으므로, 모든 조건에서 국부적인 변동에 응하여 블레이드가 Z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성형직물과 블레이드의 국부적인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성형이 불량하고 배수가 불균일한 영역이 초기 종이 웨브를 가로질러 발생한다.
많은 종래 기술의 장착 수단은 블레이드가 성형직물 쪽으로 Z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블레이드의 직물 접촉면을 그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유지한다. Z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은 성형직물이 블레이드에 다소 대칭적으로 감기게 하고, 이것은 블레이드의 전연부 및 후연부 모두와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과의 사이의 마찰 접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접촉은 성형직물의 마모를 가속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카로운 전연부에서의 감긴 각도에 기인하는 성형직물 마모를 줄이기 위해, 블레이드의 전연부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는 일이 종종 행해진다. 이것은 새로운 문제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성형직물이 블레이드의 직물 접촉면 위를 통과할 때,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에 부착한 유체가 둥근 엣지에 의해 제지 원료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이 성형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특허 제4,865,692호에는, 종래의 단일 성형직물 개방면 성형부에 사용하는 블레이드 지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기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2개의 C자형 빔이 연결되어, 본질적으로 S자형의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상측의 C자형 빔이 블레이드를 지탱하고, 하측의 C자형 빔이 배수 박스상에 장착되어 있다. 2개의 C자형 빔은 가요성의 스프링 강 스트립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2개의 C자형 빔이 맞물려 S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클램핑(clamping) 부재에 의해 멀어지게 밀어붙여져 있다. 그 클램핑 부재는 전형적으로는 팽창 가능한 호스이다. 조정 빔이 2개의 C자형 빔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 C자형 빔들은 또한 정지면을 지탱하고 있다. 조정 빔을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 부재를 가압하여 상이한 정지면들을 결합시켜, 성형직물의 기계 방향 이동에 대한 직물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그러나, 이 구조는 작은 각도 변경만을 허용하고, 각도 변경의 중심이 되는 축선이 정밀하게 규정되지 않고, S자형 구조로의 2개의 C자형 빔의 연결이 Z 방향으로의 이동을 배제한다. 또한, 상측의 C자형 빔의 이동이 미끄럼 접촉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그 이동은 미끄럼 조정 빔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은, 전체 블레이드가 Z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블레이드가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 Z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가요성을 가지게 하며, 또한, 성형직물의 편향되지 않은 경로에 대한 블레이드의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약간의 자유도를 제공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장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장착 장치는 블레이드의 직물 접촉면이 초기에는 편향되지 않은 성형직물의 접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한 쌍의 성형직물 중의 하나와 강제로 접촉하게 한다. 이 장착 장치는, 블레이드 주위에서의 성형직물의 감긴 각도가 전연부에서는 최소화 되고, 후연부에서는 최대화 되도록 블레이드가 성형직물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이 장착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성형직물 쪽으로 변위될 때 원호를 따라 회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블레이드의 전연부 주위에서의 성형직물의 감긴 각도를 감소시키고, 블레이드의 비교적 날카로운 닥터링(doctoring) 전연부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 다르게는, 이 장착 장치는, 감긴 각도가 전연부에서는 최대화 되고 후연부에서는 최소화 되도록 블레이드를 성형직물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성형직물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레이드의 닥터링 전연부의 곡률 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이 추천된다. 또한, 이 장착 장치는,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서의 국부적 변화에 응하여 블레이드를 Z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편향시켜, 블레이드가 성형직물의 주행선에 보다 신뢰성 있게 순응하게 한다. 이 장착 장치는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하는 부품을 가지고 있지 않고, 또한, 제지 원료 중의 섬유 및 다른 고형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된 운동의 간단한 수단이 제공되어, 보다 균일한 압력이 성형직물의 폭을 가로질러 유지될 수 있어, 초기 종이 웨브의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광범위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에 사용되는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로서, 제지기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는 베이스(base) 부재; 제1 단부를 가진 제1 빔 부분과 제2 단부를 가진 제2 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의 C자형 빔(beam); 그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앞면과 뒷면을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 부착 수단;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C자형 빔 내측에 배치되는 가압 부하 튜브(pressurized loading tube)를 포함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은 상기 C자형 빔을 제공하도록 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대체 구조에서는, 상기 제1 빔 부분이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빔 부분이 제1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빔 부분의 제1 단부에 각이 지도록 부착되어 C자형 빔을 제공한다. 두번째 대체 구조에서는, 상기 제1 빔 부분이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빔 부분이 제1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모두 실질적으로로 평탄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빔 부분의 제1 단부에 각이 지게 부착되어 C자형 빔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일체화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와 C자형 빔은 2개의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고, 함께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C자형 빔이 일체화된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다.
2부품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C자형 빔의 제1 단부가 그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슬롯내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단부는 적당한 접착제에 의해 그 슬롯내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상기 C자형 빔의 제1 단부가, 그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슬롯에 의해 또는 직접적인 기계적 부착 수단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장치가 C자형 빔의 제2 단부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수단이 적당한 폭의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의 단부들은 C자형 빔의 제2 단부 및 베이스 부재에 제공된 슬롯들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부하 튜브가 그 튜브를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성되어 배치된 오목부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하 튜브는 C자형 빔의 제2 단부에 인접한 가압 리브(rib)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C자형 빔의 제2 단부에 부착된 상기 블레이드 부착 수단은 앞면과 뒷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액체 배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배출 수단은 상기 블레이드 부착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앞면으로부터 상기 뒷면에 이르는 일련의 구멍 또는 슬롯들로 이루어지고, 그 구멍 또는 슬롯들은 기계 교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쌍 성형직물 성형부의 성형 슈 상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장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블레이드가 후퇴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가요성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블레이드가 성형직물과 미끄럼 접촉하도록 이동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가요성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블레이드가 성형직물을 굴절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그 성형직물에 결합하도록 가압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의 다른 구조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하기 설명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2개의 성형직물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수평이 아닌 성형직물을 가진 기계의 경우, "상방" 및 "상부"와 같은 용어는 성형직물 쪽으로의 방향 또는 위치를 칭하고, 본질적으로 Z 방향을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가요성 장착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base) 부재(1)가, 예를 들어, 통상의 T-바(bar) 구조물(2)에 의해 적당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다. 그 밖의 다른 지지 수단들은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가요성 장착 장치는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C자형 단면의 빔(beam)(이하, C자형 빔이라 칭함)(3)을 포함한다. 이 C자형 빔(3)은 그의 길이가 단일체 구조의 제작을 방해하지 않는 한 하나의 단일 부품인 것이 이상적이다. 다수 부품으로 된 빔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부들이 서로 밀접하게 맞대어져야 한다. C자형 빔(3)은 그의 제1 단부(4)에서 베이스 부재(1)의 슬롯(5)내에 수용되어 있고, 적당한 접착제(6)나 충전용 수지에 의해 제 자리에 보유된다. 접착제(6)는, 슬롯(5)내의 제1 단부(4)의 충분한 결합을 제공하고, 또한 접착제에 상당히 큰 응력을 가하는 성형부의 작동 조건하에서도 허용가능한 사용 수명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경화된 접착제는 본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거나 또는 슬롯(5)내의 제1 단부(4)에 대하여 약간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접착제(6)와 C자형 빔의 제1 단부(4) 사이의 충분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단부(4)에 리브(rib)(7)들이 제공될 수 있고, 슬롯(5)은 도시된 바와 같은 열장이음(dovetai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C자형 빔(3)은 접착제(6)에 의해 슬롯(5)내에 확실하게 보유되어도, 접착제(6)의 유연성에 의해 베이스 부재(1)에 대해 회전하는 약간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자형 빔(3)은 그의 제2 단부에 비교적 두꺼운 리브(8)를 가지고 있고, 이 리브(8)는 2개의 슬롯(9, 10)을 가지고 있다. 리브(8)에는 대략 정사각형의 단면이 적합하다. 리브(8)의 하부 슬롯(9)에는, 가요성의 밀봉 스트립(11)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그 밀봉 스트립(11)은 탄성 중합체 압출물인 것이 좋고,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밀봉 스트립(11)도 단일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부들이 서로 밀접하게 맞대어지고, 방수(防水) 시일을 제공하도록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스트립(11)의 하단부는 베이스 부재(1)의 적당한 슬롯(12)내에 결합된다. 리브(8)의 상부 슬롯(10)은 성형직물에 접하는 블레이드(13)를 지탱하고 있다. 베이스 빔(1)과 C자형 빔(3)의 리브(8)와 사이에는, 가압 부하 튜브(pressurized loading tube)(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부하 튜브(14)는 베이스 빔(1)의 적당한 오목부(15)에 의해 제 자리에 보유된다. 이 부하 튜브는 그의 상부 표면에 가압 리브(16)를 가지고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하 튜브(14)가 (예를 들어, 공기압 또는 압력 유체에 의해)가압되면, 이 부하 튜브는 팽창하고, C자형 빔(3)의 제2 단부의 리브(8)의 하측면에 결합한다. 압력이 증가함 따라, 부하 튜브(14)가 더 팽창하여, 블레이드(13)를 이동시켜 성형직물(17)들 중 가까운 것에 미끄럼 접촉시킨다(도 2 참조). 2개의 고정된 블레이드(18, 19)가 일반적으로 성형 슈에서 성형직물의 다른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성형직물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하 튜브(14)가 계속 팽창하면, 블레이드(13)가 더 이동하여, 부호 2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직물(17)과 결합하게 되고(도 3 참조), 2개의 성형직물(17)이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약간 굴절된다. 이와 동시에, 가요성의 밀봉 스트립(11)도 신장된다. C자형 빔(3)은, 블레이드(13)가 성형직물(17)에 접촉하여 그 성형직물을 굴절시키고 또한 C자형 빔(3)의 리브(8)가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를 따라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의 상면(22)이 먼저 성형직물(17)의 주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게 하도록 영역(21)에서 휘어지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부하 튜브(14)가 추가로 팽창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방향으로의 블레이드(13)의 이동에 추가하여, 블레이드(13)의 전연부(24)가 성형직물(17) 쪽으로 짧은 거리만큼 변위되고 블레이드(13)의 후연부(23)는 성형직물(17) 쪽으로 비교적 긴 거리만큼 변위되도록 리브(8) 및 블레이드(13)의 상면을 이동시킨다. 이것은 블레이드(13)의 후연부(23)에서의 성형직물(17)의 감긴 각도(wrap angle)를 최대화 하고, 블레이드(13)의 전연부(24)에서의 성형직물(17)의 감긴 각도를 최소화 한다. 이것은 블레이드의 전연부(24)에서의 마찰에 의해 야기되는 성형직물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부하 튜브(14)가 감압되면, C자형 빔(3)이 후퇴하고, 블레이드(13)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 블레이드(13)가 성형직물(17)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또 다르게는, 감긴 각도가 블레이드의 전연부에서 최대화 되고 후연부에서 최소화 되도록 블레이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성형직물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전연부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는 것이 추천된다.
C자형 빔(3)을 베이스 부재(1)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들을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C자형 빔(3)의 리브가 형성된 제1 단부(25)가 테이퍼진 슬롯(29)내에 제 자리에 고정된다. 나사구멍(28)에 끼워지는 체결 볼트(27)가 스트립(30A, 30B)들 사이에 C자형 빔(3)의 제1 단부(25)를 죄는 작용을 한다. 이 구조에서는, 슬롯(29)이 보다 좁게 만들어질 수 있고, 스트립(30A, 30B)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C자형 빔(3)의 리브가 형성된 제1 단부(25)가 베이스 부재(1)의 나사구멍(32)에 끼워지는 볼트(31)에 의해 직접 부착된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C자형 빔(3)과 베이스 부재(1)가 일체화된 단일체 구조로 제조된다.
다른 형태의 적당한 기계적 결합 수단들도 잘 알려져 있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실제로는 어떤 상황에서는 단점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블레이드(13)에 의해 훑어내어지는 액체의 양이 비교적 많으면, 되튀김이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은, 인접한 성형직물이 블레이드(13)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훑어내어진 액체의 적어도 일부가 그 인접한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 쪽으로 측방 및 상방으로 투사되는 효과를 발생한다. 그 결과, 훑어내어진 액체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해 오는 인접한 성형직물로 재유입되어, 2개의 대향된 성형직물 사이에서 진행되는 성형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9의 단면도와 함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직물(17)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블레이드(13)의 후연부(23)와 전연부(24)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이 장착 장치가 도 3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주행하는 성형직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C자형 빔에 대한 또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C자형 빔(3)이 제1 빔 부분(31)과 제2 빔 부분(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2개의 부분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제1 빔 부분(31)의 제1 단부(33)는 베이스 부재(1)의 슬롯(5)내에 고정되는 리브(7)를 가지고 있다. 제1 빔 부분(31)의 제2 단부와 제2 빔 부분(32)의 제1 단부는 적당한 각도(E)로 선(34)을 따라 서로 부착되어 있다. 이 각도는 장착 장치의 소망의 전체 높이(Z 방향으로의)에 맞도록 선택된다. 이 구조에서는, C자형 빔의 제1 및 제2 빔 부분(31, 32)이 일체의 구조로 제조되는 바람직하다. 성형직물에 접하는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8)은 제2 빔 부분(32)의 제2 단부(35)에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협동하는 리브(36)와 슬롯(37)이 부착 수단(8)을 C자형 빔(3)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구조의 나머지 부분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구조에서, 부착 수단(8)은 다른 도면들에서와 같이 중실(中實)이 아니고, 대신,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수단을 통해, 부착 수단(8)의 앞면(83)에 축적되는 액체의 적어도 일부가 뒷면(84)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책에 의해, 블레이드(13)에 의해 훑어내어진 충분한 양의 액체가 부착 수단(8)의 후면으로 이송되어, 되튀김의 위험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적당한 배출 수단을 구비한 부착 수단(8)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부착 수단(8)에는, 일련의 슬롯(81)과 그 슬롯들 사이의 테이퍼진 스페이서(82)가 앞면(83)과 뒷면(84)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그 슬롯(81)들은 기계 교차 방향으로 부착 수단(8)을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지 원료로부터의 고형물에 의해 그 슬롯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82)는 각진 전연부(85)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롯(81)들 사이의 부호 86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평탄면은 바람직하지 않다. 훑어내어진 액체의 적어도 일부는 화살표(G)로 나타낸 경로를 따르고, 부착 수단의 하류측 공간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구조에 대한 다른 변형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 수단(8)의 뒷면(84)에 편향 리브(87)가 제공되어 있고, 이 편향 리브(87)는 슬롯(81)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인접한 성형직물(17)의 기계측 면으로부터 먼쪽으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성형직물에서 되튀김 문제를 겅감시키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슬롯(81)과 스페이서(82)를 가진 부착 수단(8)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얻어진 구조가 블레이드(13)를 적절히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을 보증하도록 주의를 하여야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와는 달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는 반전되어서는 않되고,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성형직물에 대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아치형 또는 각진 형의 가요성 C자형 빔(3)을 포함하는 장착 장치는 성형부의 폭을 가로질러 Z 방향으로 블레이드(13)에 순응적이고 다소 유연한 지지를 제공하여, 장착 장치가 성형직물의 경로의 국부적인 변동에 응하여 휠 수 있게 한다. 특히, 블레이드의 표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의 기계의 폭을 가로지르는 직물면의 위치 변화가, 불균일한 제지 원료 흐름, 온도 변화, 블레이드 자체의 마모면의 국부적인 변동, 또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장착 장치의 오정렬과 같은 각종 인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장착 장치의 이러한 수준의 가요성은 블레이드(13)가 그러한 국부적 변동에 순응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일정하고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이동하는 성형직물들 중의 하나의 기계측 면에 밀접하는 상태로 블레이드의 상면(22)을 유지할 수 있다.
튜브(14)의 부하는 공기압이나 유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유압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유압이 가스보다 고도의 제어를 제공하고, 어떤 블레이드 진동의 점성(粘性) 완충작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장착 장치에서는, 블레이드의 이동에 대하여 미끄럼 마찰에 민감한 가동(可動) 구성부품이 존재하지 않고, 탄성 중합체로 된 밀봉 스트립(11)의 존재가 섬유 및 고형물이 축적될 수 있는 영역을 제거한다. 따라서, 장착 장치가 밀봉 스트립 없이 기능할 수 있더라도, 밀봉 스트립을 생략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구되는 경우, 물 재유입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장착 조립체 설계에서 이용되는 것보다 훨씬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전연부를 가진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의 재유입은 블레이드(13)의 전연부에 의해 훑어내어지지 않은 직물의 기계측 면에 달라붙는 물 층에 기인한다. 이 물은 시트(sheet)내로 유입되어 시트 형성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장착 장치에서는, 블레이드의 전체 직물 접촉면이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에 밀접하여 있도록 성형직물과 접촉하여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연부는 성형직물의 기계측 면에 달라붙는 모든 유체를 걷어 낼 수 있도록 가능한 만큼 날카로울 수 있다. 블레이드(13)가 Z 방향으로 더욱 깊게 성형직물(17)로 가압되면, 장착 장치는 블레이드(13)의 전연부(24)에서의 성형직물의 감긴 각도가 최소화되고, 블레이드(13)의 후연부(23)에서의 감긴 각도가 최대화되도록 블레이드(13)를 이동시킨다.
C자형 빔(3)은 스프링 강 또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과, 소위 "섬유유리"(fiberglass)와 같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각종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현재로는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C자형 빔과 베이스 부재(1)가 단일체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조건이 제지기들 사이에서 상당한 정도로 변하기 때문에, C자형 빔(3)의 소망의 가요성 수준을 얻기 위해서는 약간의 실험이 요구된다. 베이스 부재(1)에 C자형 빔을 보유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계 접착제, 충전용 수지와 같은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그 접착제는 경화 후에, 비교적 강성(剛性)으로 되어, 공지의 전단 부시 내 고무(rubber-in-shear bush) 구조와 성질이 다소 유사한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어떤 상황 하에서는, 상기한 기계적 결합 구조 또는 C자형 빔과 베이스 부재가 조합된 단일체 구조와 같은, C자형 빔을 결합시키는 보다 강성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는,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C자형 빔(3)의 제1 단부(4)와 슬롯(5) 사이의 끼워 맞춤을 선택함으로써 결합 부분을 경직화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빔 부분으로 이루어진 C자형 빔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구조는, 제1 빔 부분이 본질적으로 강성이고 기본적으로 가요성의 제2 빔 부분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특정의 작업 조건에 대해서도 소망의 정도의 가요성을 얻기 위해 약간의 실험이 요구되는 것은 명백하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1) 및 부착 수단(8) 각각이 금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각종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소위 "섬유유리"와 같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다. 베이스 부재(1)가 대체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관형 및 중실(中實)형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에 사용되는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로서,
    제지기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제1 단부를 가진 제1 빔 부분과 제2 단부를 가진 제2 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의 C자형 빔;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앞면과 뒷면을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 부착 수단;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C자형 빔 내측에 배치되는 가압 부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장착 장치는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하는 부품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상기 C자형 빔은 그 C자형 빔이 상기 가압 부하 튜브에 의해 상기 쌍 성형직물 쪽으로 변위될 때 상기 블레이드가 원호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과 상기 베이스 부재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2부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과 상기 베이스 부재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부분과 상기 제2 빔 부분이 상기 C자형 빔을 제공하도록 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부분이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빔 부분이 제1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모두 평탄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빔 부분의 상기 제1 단부에 각이 지도록 부착되어 C자형 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부분이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빔 부분이 제1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모두 평탄하고, 상기 제1 빔 부분의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빔 부분의 상기 제1 단부에 각이 지도록 부착되어 C자형 빔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및 제2 빔 부분이 일체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장치가,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밀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유연성 있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1 단부는 그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슬롯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단부가 유연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슬롯내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1 단부가 기계적 부착 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부착 수단이, 슬롯과 체결 수단 및 볼트 수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 수단이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그 스트립의 단부들이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빔 부분의 제2 단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공된 슬롯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하 튜브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하 튜브가,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빔 부분의 제2 단부에 결합하도록 된 가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이,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 스프링 강 및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이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 스프링 강 및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20. 제 3 항에 있어서, 일체의 구조로 된 상기 C자형 빔과 상기 베이스 부재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 스프링 강 및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21. 제 3 항에 있어서, 일체의 구조로 된 상기 C자형 빔과 상기 베이스 부재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빔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된 상기 블레이드 부착 수단이 상기 앞면과 상기 뒷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배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수단이, 상기 블레이드 부착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앞면으로부터 상기 뒷면에 이르는 일련의 구멍 또는 슬롯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 또는 슬롯들이 기계 교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KR1020027006334A 1999-11-17 2000-11-15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KR100540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203399A 1999-11-17 1999-11-17
US09/442,033 1999-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980A KR20020070980A (ko) 2002-09-11
KR100540065B1 true KR100540065B1 (ko) 2006-01-10

Family

ID=2375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34A KR100540065B1 (ko) 1999-11-17 2000-11-15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361657B2 (ko)
EP (1) EP1250488B1 (ko)
JP (1) JP3959274B2 (ko)
KR (1) KR100540065B1 (ko)
CN (1) CN1222657C (ko)
AT (1) ATE274101T1 (ko)
AU (1) AU779599B2 (ko)
BR (1) BR0015665B1 (ko)
CA (1) CA2391918C (ko)
CZ (1) CZ20021719A3 (ko)
DE (1) DE60013180T2 (ko)
MX (1) MXPA02005010A (ko)
NO (1) NO323235B1 (ko)
NZ (1) NZ518973A (ko)
PL (1) PL195101B1 (ko)
WO (1) WO2001036744A1 (ko)
ZA (1) ZA200203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0674C (zh) * 2003-04-30 2007-04-18 比奥滕普特公司 治疗重症急性呼吸综合征的药物组合物
SE526787C2 (sv) * 2003-10-21 2005-11-01 Metso Paper Karlstad Ab Elastiskt derformerbar stödkropp för en anordning med förlängt nyp för behandling av fiberbana och användning av sådan stödkropp
PL1815062T3 (pl) 2004-11-23 2010-02-26 Astenjohnson Inc Maszyna papiernicza o dwusitowym formowaniu szczelinowym ze zmiennym ślizgiem uderzeniowym
FI117101B (fi) * 2005-02-24 2006-06-15 Olavi Savolainen Laitteisto nesteen poistamiseksi liikkuvasta kudoksesta tai rainasta
FI120000B (fi) * 2005-06-10 2009-05-29 Metso Paper Inc Paperi- tai kartonkikoneen asennusmoduli
DE102008040032A1 (de) * 2008-06-30 2009-12-31 Voith Patent Gmbh Leistenanordn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8040021A1 (de) 2008-06-30 2009-12-31 Voith Patent Gmbh Leistenanordn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8040025A1 (de) 2008-06-30 2009-12-31 Voith Patent Gmbh Leistenanordn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8040020A1 (de) 2008-06-30 2009-12-31 Voith Patent Gmbh Leistenanordn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8040016A1 (de) 2008-06-30 2009-12-31 Voith Patent Gmbh Leistenanordnung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8040688A1 (de) * 2008-07-24 2010-01-28 Voith Patent Gmbh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Energiebilanz in Formiereinheiten in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Faserstoffbahnen und Formiereinheit
FI121390B (fi) * 2009-03-31 2010-10-29 Runtech Systems Oy Paperikoneen kaavinlaitteisto ja menetelmä paperikoneen kaavinlaitteiston tehostamiseksi
JP5452096B2 (ja) * 2009-06-26 2014-03-26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ロータリダイカッタの打抜き屑除去装置及び刃物取付台
FI121797B (fi) * 2009-09-24 2011-04-15 Metso Paper Inc Vedenpoistoelementti kuiturainakonetta varten
KR101346175B1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조립로봇
CN104831575B (zh) * 2015-04-17 2016-08-17 浙江荣晟环保纸业股份有限公司 用于网部脱水系统的案板脱水结构
FI127081B (en) * 2016-02-29 2017-10-31 Valmet Technologies Inc Dewatering device for a fiber web machine
AT519054B1 (de) * 2016-09-01 2018-07-15 Klaus Ing Bartelmuss 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r Abstreifleiste in einer Anlage zur Erzeugung eines Papierbande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7940A (en) 1958-12-31 1962-04-03 Lodding Engineering Corp Adjustable supports for fourdrinier screen wires
US3017930A (en) 1959-06-24 1962-01-23 Lodding Engineering Corp Adjustable supports for fourdrinier screen wires
US3140225A (en) 1962-11-29 1964-07-07 Dominion Eng Works Ltd Adjustable drainage foil for paper machines
US3201308A (en) 1963-10-02 1965-08-17 Dominion Eng Works Ltd Adjustable drainage foil for paper machine
US3220920A (en) * 1963-11-13 1965-11-30 Dominion Eng Works Ltd Adjustable drainage foil for fourdrinier paper machines
US3377236A (en) 1965-03-03 1968-04-09 Beloit Corp Drainage element
US3535201A (en) 1967-10-02 1970-10-20 Allis Chalmers Mfg Co Angularly adjustable support mechanism for fourdrinier drainage foil
US3647620A (en) 1968-05-14 1972-03-07 Dominion Eng Works Ltd Drainage foil for a papermaking machine
US3529315A (en) 1969-01-27 1970-09-22 Lodding Engineering Corp Doctor blade holder
US3520775A (en) 1969-07-16 1970-07-14 Leslie Truxa Foil structure for papermaking machine
US3866266A (en) 1973-11-09 1975-02-18 Lodding Engineering Corp Self-adjusting doctor blades
CA1245900A (en) * 1984-05-18 1988-12-06 Norman A. Stock Vibration forming shoe for a twin wire former
US4559105A (en) 1984-07-05 1985-12-17 Beloit Corporation Positive lock foil blades
DE3628282A1 (de) 1986-08-20 1988-02-25 Voith Gmbh J M Stationaere stuetzvorrichtung
DE3929265C2 (de) 1989-09-02 1997-05-07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Leiste für Blattbildungszone einer Papiermaschine
DE4005420C2 (de) 1990-02-21 1995-06-08 Voith Gmbh J M Doppelsiebformer
DE4019921A1 (de) 1990-06-22 1992-01-09 Voith Gmbh J M Stationaere stuetzvorrichtung
DE4019884A1 (de) 1990-06-22 1992-01-09 Voith Gmbh J M Leiste zur nachgiebigen stuetzung eines siebbandes
DE4107653A1 (de) 1991-03-09 1992-09-10 Escher Wyss Gmbh Entwaesserungseinrichtung fuer die nasspartie einer papiermaschine
DE9105328U1 (ko) 1991-04-30 1991-07-04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US5211814A (en) * 1991-05-31 1993-05-18 Valmet Paper Machinery Inc. Wire loading device in a paper machine
US5169500A (en) 1991-10-15 1992-12-08 Wilbanks International Adjustable angle foil for paper making machine with rigid foil body and cam actuation means
DE4141607C2 (de) 1991-12-17 1996-04-25 Voith Gmbh J M Doppelsiebformer
US5573643A (en) 1992-01-17 1996-11-12 Valmet Corporation Twin wire web former in a paper machine
DE9212448U1 (ko) 1992-09-16 1992-11-05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JP3572084B2 (ja) 1992-10-29 2004-09-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抄紙機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の脱水機器
DE4242658A1 (de) 1992-12-17 1994-06-23 Voith Gmbh J M Entwässerungsleisten einer Papiermaschine
DE4306503C2 (de) 1993-03-03 1994-12-15 Voith Gmbh J M Winkeleinstellbare Foil-Entwässerungsleiste für Papiermaschinen
FI103995B (fi) 1993-06-17 1999-10-29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ja laite sekä säätöjärjestely paperikoneessa paperirainan poikittaisen profiilin hallinnassa
AT400158B (de) 1993-12-21 1995-10-25 Bartelmuss Klaus Ing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höhenlage und bzw. oder der winkellage einer dem siebband einer anlage zur papiererzeugung zugeordneten leiste
FI104192B1 (fi) 1994-05-03 1999-11-30 Valmet Paper Machinery Inc Vyöhykesäädettävä kuormituslaatikko paperi- tai kartonkikoneen formeria varten
DE4420801C2 (de) 1994-06-16 1997-01-30 Voith Gmbh J 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oppelsiebzone einer Papiermaschine zur Herstellung von Faserstoffbahnen sowie Siebzone hierzu
FI95058C (fi) 1994-11-16 1995-12-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vedenpoistolaitteen listasto
FI95935C (fi) 1995-03-01 1996-04-10 Valmet Corp Paperikoneen vedenpoistolaitteen lista
JP3181202B2 (ja) 1995-03-27 2001-07-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抄紙機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の脱水機器
FI3066U1 (fi) 1996-06-18 1997-09-30 Valmet Corp Paperikoneen vedenpoistolaitteen listasto
JP3664857B2 (ja) * 1997-09-05 2005-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抄紙機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の脱水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9599B2 (en) 2005-02-03
DE60013180D1 (de) 2004-09-23
KR20020070980A (ko) 2002-09-11
CN1222657C (zh) 2005-10-12
MXPA02005010A (es) 2003-10-14
US6361657B2 (en) 2002-03-26
EP1250488B1 (en) 2004-08-18
CA2391918A1 (en) 2001-05-25
US20010002692A1 (en) 2001-06-07
CA2391918C (en) 2008-04-15
EP1250488A1 (en) 2002-10-23
PL195101B1 (pl) 2007-08-31
CZ20021719A3 (cs) 2002-10-16
ATE274101T1 (de) 2004-09-15
ZA200203879B (en) 2003-08-15
DE60013180T2 (de) 2005-09-08
CN1423718A (zh) 2003-06-11
JP2003515004A (ja) 2003-04-22
NO20022366L (no) 2002-07-12
PL356176A1 (en) 2004-06-14
NO20022366D0 (no) 2002-05-16
NZ518973A (en) 2004-02-27
BR0015665B1 (pt) 2010-01-26
WO2001036744A1 (en) 2001-05-25
BR0015665A (pt) 2002-07-23
AU1376101A (en) 2001-05-30
NO323235B1 (no) 2007-02-05
JP3959274B2 (ja)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065B1 (ko) 쌍 성형직물 제지기의 성형부의 블레이드용 가요성 장착 장치
KR900002103B1 (ko) 연장된 닢프레스
EP1149202B1 (en) Doctor blade mounting assembly
KR101081465B1 (ko) 지지체, 그를 위한 유지 디바이스, 웨브의 처리를 위해상기 지지체를 갖는 장치, 장치내의 연장된 닙을 형성하고닙의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
US3748686A (en) Roll doctor apparatus
KR930007861B1 (ko) 확대 닙 프레스 벨트 안내장치 및 방법
US3839147A (en) Fibrous web press nip structure including nonporous belts backed by fluid pressure chambers having flexible sills
EP2195486B1 (en) A doctor apparatus and a method for doctoring a moving surface in a web forming machine
US6318727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fluid seal with a moving substrate
US5262009A (en) Stationary support device for dewatering wire
US20030116405A1 (en) Conveyor belt cleaner blade
CA2431392C (en) Adjustable resilient blade support
US6203615B1 (en) Doctoring device
FI94269C (fi) Menetelmä ja sovitelma kaavinterän kuormittamiseksi
US20080190579A1 (en) Doctor blade holder permitting efficient assembly of doctor assemblies and replacement of doctor blades
CA2289822C (en) A loading hose for use in a paper machine doctor or coating device
JPH11279976A (ja) シュ―プレス
EP0960974B1 (en) Loaded clamped foil blade for use in a web-forming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FI76703C (fi) Taetningsanordning foer filtreringspress.
CN116601355A (zh) 用于制造支撑体装置的方法以及支撑体装置
FI72361B (fi) Stoedarrangemang foer spetslisten i inloppslaodan av en pappersmaskin
FI90263B (fi) Pitkävyöhykepurist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