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417B1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417B1
KR100539417B1 KR10-2003-0035450A KR20030035450A KR100539417B1 KR 100539417 B1 KR100539417 B1 KR 100539417B1 KR 20030035450 A KR20030035450 A KR 20030035450A KR 100539417 B1 KR100539417 B1 KR 10053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crusher
soil
vibration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058A (ko
Inventor
유동건
Original Assignee
유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건 filed Critical 유동건
Priority to KR10-2003-003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41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양질의 골재생산 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건설폐기물및 토석을 1차 파쇄한후 저장하도록 호퍼와 복수의 진동피더가 전후에 연결되는 죠크러셔 및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 지는 1차 처리부;
상기 1차 파쇄된 골재를 공급하여 재파쇄 하도록 복수의 진동피더와 순차로 연결되는 1,2단형의 콘크러셔및 복수의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진 2차 처리부및 재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토분이 제거되어 천연골재에 버금가는 품질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규격의 골재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ggregate of good quality using waste materials for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건설폐기물을 1차 파쇄한후 저장하도록 호퍼와 복수의 진동피더가 전후에 연결되는 죠크러셔 및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 지는 1차 처리부와 상기 1차 파쇄 골재를 공급하여 재파쇄 하도록 복수의 진동피더와 순차로 연결되는 1,2단형의 콘크러셔및 복수의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진 2차 처리부및 재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토분이 제거되어 천연골재에 버금가는 품질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규격의 골재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용재의 추출 혹은 가공장치는 실용실안등록출원 제2000-2680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골재 투입을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에 연결된 골재 선별수단과, 상기 선별수단에 연결되면서 골재의 외표면 가공을 위해 파쇄기를 구비한 가공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을 거친 골재를 입도 크기별로 골재가 분리 배출되도록 분급기가 제공되는 구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골재의 품질 및 골재의 등급은 주로 흡수율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골재 자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및 모르타르의 제거가 힘들어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부착력의 저하를 수반하게 되어 골재의 사용용도의 확장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가 실용신안등록 27676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파쇄공정을 거친 재생골재 또는 수거된 건설폐기물이 각각 투입될 수 있도록 피드(51)가 구비된 호퍼(50)와; 상기 호퍼와 컨베이어벨트로 연결된 채 투입된 폐기물 및 골재에 포함된 금속물 제거용 자선기(11)를 거친 골재가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되도록 한 진동식 선별기(12)와; 상기 선별기에서 25㎜ 크기 이상으로 선별된 골재는 재파쇄된 후 컨베이어벨트로 강제이송되어 다시 선별수단으로 투입되게 한 임팩트 크러셔(34)와; 상기 선별수단에서 5-25㎜로 선별된 골재는 재생골재로 사용될 수 있게 별도의 컨베이어벨트로 배출되고, 상기 선별수단에서 5㎜의 크기 이하로 선별된 골재는 물 탱크(14)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투입되어 분급됨으로서 개선된 입형의 모래배출이 가능한 분급기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투입되는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분리투입한후 자선기와 크러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여 작업속도가 저하됨은 물론 장비의 설치를 위한 넓은 공간을 공간을 필요로 하고, 연속공정에 의해 계속적으로 일정입도 이하의 골재만을 생산하여 필요한 골재를 적절하게 공급할수 없도록 되며, 한번의 공정에 의해서만 작업이 완료되어 미 처리되는 폐골재등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상황에 따라 건설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처리비용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건설폐기물 중의 토분을 제거하여 량질의 골재를 얻도록 하고, 골재의 재생효율을 극대화 시키도록 하며, 다양한 규격의 골재를 선택적으로 생산할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을 1차 파쇄한후 저장하도록 호퍼와 복수의 진동피더가 전후에 연결되는 죠크러셔 및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 지는 1차 처리부와 상기 1차 파쇄 골재를 공급하여 재파쇄 하도록 복수의 진동피더와 순차로 연결되는 1,2단형의 콘크러셔및 복수의 진동스크린으로 이루어진 2차 처리부및 재처리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원료를 호퍼에 투입한후 죠크러셔로 1차 파쇄하고, 상기 죠크러셔의 전후방에 진동피더를 설치하여 토분을 제거하며, 토분이 제거된 골재를 진동스크린에 의해 선별하여 분리 저장하는 1차처리 단계;
1차 처리된 일정입도 이상의 골재를 복수의 진동피더에 공급하여 토분을 제거하며, 1단콘크러셔및 2단콘크러셔를 통하여 일정입도 이하로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복수의 진동스크린에 공급하여 분리한후 저장하는 2차 처리단계;
진동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일정입도 이상의 골재를 2단콘크러셔에 재 공급하여 일정입도 이하가 될때까지 순환시키는 재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1차 처리부(100)와 2차처리부(2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1차처리부(100)는,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등이 투입되도록 호퍼(110)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110)의 일측에 투입되는 골재를 일정입도로 파쇄하도록 죠크러셔(120)가 설치되며, 상기 죠크러셔(120)의 전후방에 건설폐기물에 부착되는 토분등을 제거하도록 진동피더(130)(14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진동피더(140)의 일측에 1차파쇄된 골재를 운송하도록 컨베이어(160a)가 연결되어 그 일측에 40mm 이하의 입자를 분리토록 진동스크린(170)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70)을 통과한 골재 소정의 제1,2저장지역(A-1)(A-2)에 컨베이어(160a)(160b)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 1차처리부(100)에서 처리되는 골재를 다시한번 처리하는 2차처리부(200)는, 상기 제1저장지역(A)에는 1차 처리된 골재의 토분을 제거토록 복수의 진동피더(210)(220)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피더(210)(220)에 의해 토분이 제거되는 골재를 재파쇄하도록 진동피더와 연결되는 컨베이어(230a)의 단부 콘크러셔(2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크러셔(240)는, 1단인 1차 콘크러셔(240a)와 2단인 2차콘크러셔(240b)로 이루어 지며, 상기 콘크러셔(240)에서 파쇄된 골재를 분리 선별하도록 콘크러셔와 연결되는 컨베이어(230b)의 단부에 설치되는 진동스크린(250)이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진동스크린(250)에 의해 분리되지 못하는 골재를 콘크러셔(240)에 재공급하도록 컨베이어(230c)가 설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250)에는 선별되는 골재를 제3,4,5저장지역(A-3)(A-4)(A-5)에 각각 공급하도록 컨베이어(230d)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작용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등을 호퍼(110)를 통하여 투입하고, 상기 호퍼(110)에 투입되는 골재중에 포함되는 토분은 진동피더(130)에 의해 제거된후 죠크러셔(120)에 공급되어 일정 입도로 파쇄된다.
그리고, 상기 죠크러셔(12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골재는 다시금 진동피더(140)에 공급되어 토분이 완벽하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 진동피더(140)의 일측에는 1차파쇄된 골재를 운송하도록 컨베이어(160a)가 연결되어 그 일측에 40mm 이하의 입자를 분리토록 진동스크린(170)과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공급되는 파쇄골재는 40mm이하와 40mm이상의 골재로 분리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70)을 통과한 골재는 컨베이어(160a)(160b)로 각각 공급되어 소정의 제1,2저장지역(A-1)(A-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처리되는 골재를 재처리 할 경우 상기 제1저장지역(A)에 설치되는 진동피더(210)(220)에 골재를 공급하여 토분을 다시금 제거하고, 토분이 제거된 골재는 진동피더와 연결되는 컨베이어(230a)를 통하여 콘크러셔(24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콘크러셔(240)는, 1단인 1차 콘크러셔(240a)와 2단인 2차콘크러셔(240b)로 이루어져 순차로 골재를 파쇄하며, 1차에서 2차로 통과하면서 그 부하가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러셔(240)에서 파쇄된 골재는 컨베이어(230b)를 통하여 진동스크린(250)에 공급되어 입도별도 선별된다.
이때, 상기 진동스크린(250)에 의해 선별되지 못하는 골재는 상대적으로 작업부하가 감소되는 2차콘크러셔(240b)에 제공급되어 파쇄되고, 상기와 같은 공정은 일정입도를 유지할 때 까지 반복하여 수행된다.
계속하여, 상기 진동스크린(250)에는 선별되는 골재는 제3,4,5저장지역(A-3)(A-4)(A-5)에 각각 컨베이어(230d)를 통하여 공급되어 입도별도 저장된다.
한편, 본 발의 건설폐기물 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골재생산방법은 도5에서와 같이, 먼저 1차 진동피더에 의해 토분이 1차 제거된 원료를 호퍼에 투입한후 죠크러셔로서 150mm의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1차 파쇄하고, 1차 파쇄되는 원료를 죠크러셔 후방의 진동피더를 설치하여 토분을 2차 제거하며, 토분이 제거된 원료를 진동스크린에 선별하여 40mm 이하의 골재및 토분을 먼저 분리 저장하고, 진동스크린에서 선별되지 못하는 오버사이즈의 골재를 저장한다.
이어서, 1차 처리된 골재를 복수의 진동피더에 공급하여 미분리 토분을 제거하며, 토분이 완전제거되는 골재를 하나인 1단콘크러셔및 2개의 2단콘크러셔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콘크러셔를 통하여 40mm 이하로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복수의 진동스크린에 공급하여 25~40mm, 25~8mm, 8mm이하로 분리하며 이를 각각 저장한다.
계속하여, 진동스크린에 의해 선별되지 않는 40mm 이상의 골재를 2단콘크러셔에 재 공급하여 40mm 이하의 입도를 유지할때 까지 순환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차처리단계에서 공정을 마치거나, 1차처리단계 이후 에 연속하여 2차처리단계및 재처리단계를 연결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골재생산 방법은,도5에서와 같이, 폐콘크리트및 폐골재및 토석등의 원료를 호퍼에 투입한후 죠크러셔로 1차 파쇄하여 150mm의 입도를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죠크러셔의 전후방에는 진동피더를 설치하여 토분을 제거하며, 토분이 제거된 골재를 진동스크린에 공급되어 일정입도별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스크린에 의해 4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파쇄골재및 토분은 먼저 배출되어 토분이 제거되는 양질의 골재만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파쇄공정은 작업상태에 따라 1차 파쇄공정만을 수행한후 보관하여도 좋다.
그리고, 1차파쇄공정을 수행한 골재의 재처리가 필요할 경우 1차처리된 일정입도(150mm) 이상의 골재를 복수의 진동피더에 공급하여 토분을 제거한다.
계속하여, 상기 진동피더에 컨베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나인 1단콘크러셔및 2개인 2단콘크러셔를 통하여 일정입도 이하로 파쇄한다.
그리고, 파쇄된 골재를 복수의 진동스크린에 공급하여 분리한후 각각 저장한다.
이때, 일정입도 이상을 유지하는 골재(40mm 이상)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다시금 2단으로 이루어진 2단콘크러셔에 재 공급하여 일정입도 이하가 될때까지 순환시킨다.
상기와 같이 2단 콘크러셔는 2개로 이루어져 재공급되는 골재및 1차파쇄후 공급되는 골재를 원활하게 파쇄할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현장상황에 따라 건설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처리비용을 최소화 하며, 건설폐기물 중의 토분을 제거하여 량질의 골재를 얻고, 골재의 재생효율을 극대화 시키며, 다양한 규격의 골재를 선택적으로 생산할수 있고, 하나의 장치를 통해 건설폐기물을 처리함은 물론 재생골재를 생산함으로써 처리용량 및 효율성의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 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생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생산장치의 배치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생산장치의 공정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생산장치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죠크러셔 130...진동피더
170...진동스크린 240...콘크러셔

Claims (3)

  1. 삭제
  2. 호퍼(110)에 투입되는 골재를 일정입도로 파쇄하도록 죠크러셔(120)가 설치되며, 상기 죠크러셔(120)의 전후방에 건설폐기물에 부착되는 토분등을 제거하도록 진동피더(130)(14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진동피더(140)의 일측에 40mm 이하와 이상의 입자를 분리토록 진동스크린(170)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70)에 의해 선별된 토분및 골재를 각각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1차처리부(100);
    상기 1차 처리된 상태로 공급되는 골재의 토분을 제거하도록 복수의 진동피더(210)(220)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피더(210)(220)에 의해 토분이 제거되는 골재를 재파쇄하도록 콘크러셔(240)가 설치되는 2차처리부(200);
    상기 진동스크린(250)에 의해 분리되지 못하는 오버 사이즈의 골재를 콘크러셔(240)에 재공급하도록 순환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골재 생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처리부(200)의 콘크러셔(240)는, 하나인 1단 콘크러셔(240a)와 두개인 2단콘크러셔(240b)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3. 삭제
KR10-2003-0035450A 2003-06-02 2003-06-02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10053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50A KR100539417B1 (ko) 2003-06-02 2003-06-02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50A KR100539417B1 (ko) 2003-06-02 2003-06-02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58A KR20040104058A (ko) 2004-12-10
KR100539417B1 true KR100539417B1 (ko) 2005-12-27

Family

ID=3737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50A KR100539417B1 (ko) 2003-06-02 2003-06-02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15B1 (ko) 2015-10-21 2017-05-30 (주)거산기계 석분발생량 분석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360A (ko) * 2017-08-28 2019-03-08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28B1 (ko) * 2006-11-16 2007-04-03 (주)한동재생공사 골재 선별장치
KR100768570B1 (ko) * 2007-02-23 2007-10-19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도로용 순환골재 획득방법
KR100889809B1 (ko) * 2008-06-09 2009-03-20 주식회사 신텍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0743B1 (ko) * 2010-09-17 2011-06-14 주식회사 일성산업 멀티용도별 양질의 순환골재생산장치 및 방법
CN108325693B (zh) * 2017-12-28 2023-08-0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组装式大型石料给料破碎筛选设备
CN108187879B (zh) * 2017-12-29 2023-11-28 成都大宏立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花园式厂房
CN111686912A (zh) * 2020-06-29 2020-09-22 陕西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兰炭筛分破碎分级工艺及装置
CN112110219A (zh) * 2020-10-12 2020-12-22 山西复晟铝业有限公司 一种矿石斗轮取料均化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15B1 (ko) 2015-10-21 2017-05-30 (주)거산기계 석분발생량 분석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360A (ko) * 2017-08-28 2019-03-08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KR102022478B1 (ko) * 2017-08-28 2019-09-26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58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717A (ko)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JP2009000606A (ja) 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0539417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CN115138464A (zh) 一种可同时加工天然砂砾石料和人工骨料的砂石制备方法
CN101927258A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201423382Y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KR100712077B1 (ko) 폐콘크리트 파쇄용 로터리 크러셔를 이용한 재활용 골재생산 시스템
KR20060103708A (ko) 건설폐기물 및 암반의 건식 및 습식처리를 통한 모래제조장치
KR101983269B1 (ko) 폐전주를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방법
JP3245549B2 (ja) 埋め戻し材用砂の製造方法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358583B1 (ko) 순환골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순환골재 재생방법
KR20150015790A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0067411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 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
CN112624648A (zh) 一种三级泥粉生产工艺
KR100549295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쇄석 생산장치 및 방법
KR100467419B1 (ko) 폐기물의 고도 처리방법
JPH04114780A (ja) コンクリート廃棄物の再処理方法と装置
CN110655340A (zh) 一种去除建筑垃圾中杂质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73670B1 (ko) 순환골재 제조 방법
KR20160057124A (ko) 폐아스콘 재생골재 제조방법
KR102581345B1 (ko)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JP2006000789A (ja) 建設混合廃棄物の選別方法および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