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60A -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60A
KR20190023360A KR1020170108960A KR20170108960A KR20190023360A KR 20190023360 A KR20190023360 A KR 20190023360A KR 1020170108960 A KR1020170108960 A KR 1020170108960A KR 20170108960 A KR20170108960 A KR 20170108960A KR 20190023360 A KR20190023360 A KR 20190023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size
crusher
rotary
mixed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478B1 (ko
Inventor
허진석
현영환
Original Assignee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현영환
허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현영환, 허진석 filed Critical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6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되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에 대해 파쇄와 혼합을 동시에 처리하여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회전식 파쇄기; 상기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식 파쇄기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 중,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는 통과하여 하부에 수집되고,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로 수집되도록 하는 입도 분석기; 및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상기 회전식 파쇄기에서 재파쇄를 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따르면,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 및 혼합 처리하여 개량토를 배출하는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입도 분석기를 설치하여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선별하고, 컨베이어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들을 이용하여 입도 불만족 혼합토가 회전식 파쇄기에 재파쇄를 위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대량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토를 생산하기 위한 시공현장 적용 시에, 회전식 파쇄기와 입도 분석기의 공통 부지사용으로 시공을 위한 공사부지의 축소가 가능하고, 입도 분석 불만족 혼합토의 재파쇄를 위한 이동경로가 축소되며, 그를 통한 시공 현장에서의 혼합토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질토와 모래뿐만 아니라, 고함수율을 갖는 점성토와 연암까지도 파쇄 및 혼합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설 부산물을 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각종 건설 부산물의 매립으로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A PARTICLE SIZE ADJUSTMENT TYPE MIXED SHREDDING SYSTEM}
본 발명은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 현장의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토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흙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장래에 받게 될 외력에 대하여 안정된 내구적인 흙 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성토 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체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서 경제적인 설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흙은 성토 위치를 검토하고, 적절한 수단(함수비, 입도조절, 다짐 등)을 강구하여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노체에는 성토재료의 사용성을 검토하고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가 사용되고 있으며, 재료로는 사질토와 모래가 주로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노체에 사용되는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생산하는 종래의 성토재료 생산 시스템에서는, 주로 사질토와 모래를 파쇄기계에 투입하여 분쇄한 후 체 분석을 통해 만족하는 혼합토와 불만족의 혼합토를 선별하고, 만족하는 혼합토는 사용되고, 불만족 혼합토는 다시 파쇄기계에서 재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성토재료 생산 시스템에서는 성토재료의 혼합토 생산을 위한 재료가 사질토와 모래로 재료가 제한적이고, 파쇄를 위한 공급과 수집 및 선별 과정이 차량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혼합토의 현장 적용 시, 체 분석을 통해 만족하는 것만 사용하고, 불만족 혼합토는 다시 파쇄기계에 들어가게 되므로, 체 분석기의 위치 및 불만족 혼합토의 이동에 따른 개선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8608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8223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질토와 모래뿐만 아니라, 고함수율의 점성토와 연암을 파쇄 혼합하고, 파쇄 혼합되어진 혼합토를 선별하되, 입도 불만족 혼합토는 벨트 컨베이어 이송을 통한 재파쇄를 통해 입도 만족의 혼합토의 생산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시공 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 및 혼합 처리하여 개량토를 배출하는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입도 분석기를 설치하여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선별하고, 컨베이어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들을 이용하여 입도 불만족 혼합토가 회전식 파쇄기에 재파쇄를 위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대량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토를 생산하기 위한 시공현장 적용 시에, 회전식 파쇄기와 입도 분석기의 공통 부지사용으로 시공을 위한 공사부지의 축소가 가능하고, 입도 분석 불만족 혼합토의 재파쇄를 위한 이동경로가 축소되며, 그를 통한 시공 현장에서의 혼합토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질토와 모래뿐만 아니라, 고함수율을 갖는 점성토와 연암까지도 파쇄 및 혼합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설 부산물을 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각종 건설 부산물의 매립으로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은,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으로서,
공급되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에 대해 파쇄와 혼합을 동시에 처리하여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회전식 파쇄기;
상기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식 파쇄기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 중,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는 통과하여 하부에 수집되고,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로 수집되도록 하는 입도 분석기; 및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상기 회전식 파쇄기에서 재파쇄를 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파쇄기는,
상부 일 측으로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로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파쇄기 본체;
상기 파쇄기 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하고 혼합하기 위해 상기 파쇄기 본체의 중심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파쇄 구동부; 및
상기 파쇄 구동부의 회전축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파쇄기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파쇄기는,
상기 회전동력 전달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통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파쇄로 투입되는 혼합토의 입자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투입되는 혼합토의 파쇄 및 혼합을 위한 플랙서블한 체인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도 분석기는,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의 선별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도 분석 플레이트; 및
상기 입도 분석 플레이트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캠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 이송 장치는,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입도 분석기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상기 회전식 파쇄기에서 재파쇄할 수 있도록 임시 저장소로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어 임시 저장소로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식 파쇄기의 투입구로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파쇄 시스템은,
상기 회전식 파쇄기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의 입도 불량 비율이 미리 설정된 설정기준(10%이상) 이상이 되면, 상기 회전식 파쇄기의 회전수를 높여 입도 불량 비율을 설정기준 이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따르면,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 및 혼합 처리하여 개량토를 배출하는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입도 분석기를 설치하여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선별하고, 컨베이어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들을 이용하여 입도 불만족 혼합토가 회전식 파쇄기에 재파쇄를 위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대량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토를 생산하기 위한 시공현장 적용 시에, 회전식 파쇄기와 입도 분석기의 공통 부지사용으로 시공을 위한 공사부지의 축소가 가능하고, 입도 분석 불만족 혼합토의 재파쇄를 위한 이동경로가 축소되며, 그를 통한 시공 현장에서의 혼합토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질토와 모래뿐만 아니라, 고함수율을 갖는 점성토와 연암까지도 파쇄 및 혼합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설 부산물을 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각종 건설 부산물의 매립으로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전식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도 분석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치 시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운영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토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전식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도 분석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치 시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의 운영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토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조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100)은, 회전식 파쇄기(110), 입도 분석기(120), 및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식 파쇄기(110)는, 공급되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에 대해 파쇄와 혼합을 동시에 처리하여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회전 방식의 파쇄기계의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식 파쇄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 측으로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로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된 파쇄기 본체(113)와, 파쇄기 본체(113)의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하고 혼합하기 위해 파쇄기 본체(113)의 중심에 설치되는 회전축(114)과, 회전축(114)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5)를 구비하는 파쇄 구동부(116), 및 파쇄 구동부(116)의 회전축(114)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파쇄기 본체(113)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동력 전달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식 파쇄기(110)의 투입구(111)에 공급되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입도 불량)는 사질토, 모래, 고함수율을 갖는 점성토, 및 연암을 포함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설 부산물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파쇄기(110)는 회전동력 전달부(117)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통한 회전축(114)의 회전속도에 따라 블레이드(115)의 파쇄로 투입되는 혼합토의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블레이드(115)는 투입되는 혼합토의 파쇄 및 혼합을 위한 플랙서블한 체인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입도 분석기(120)는, 회전식 파쇄기(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회전식 파쇄기(110)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 중,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는 통과하여 하부에 수집되고,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로 수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도 분석기(120)는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의 선별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회전식 파쇄기(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도 분석 플레이트(121)와, 입도 분석 플레이트(121)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캠축 구동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캠축 구동부(122)는 캠축을 사용하여 입도 분석 플레이트(121)를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캠축 사용의 왕복운동의 구현원리는 통상의 기술로 널리 알려진 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는,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고,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회전식 파쇄기(110)에서 재파쇄를 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컨베이어 벨트(131)와,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회전식 파쇄기(110)에서 재파쇄할 수 있도록 임시 저장소(134)로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132),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2)를 통해 이송되어 임시 저장소(134)로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공급받아 회전식 파쇄기(110)의 투입구(111)로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벨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파쇄기(110)와 입도 분석기(120)와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를 구비하는 혼합 파쇄 시스템(100)은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회전식 파쇄기(110)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의 입도 불량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이 되면, 회전식 파쇄기(110)의 회전수를 높여 입도 불량 비율을 설정기준 이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도 불량 비율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은,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 및 혼합 처리하여 개량토를 배출하는 회전식 파쇄기의 하부에 입도 분석기를 설치하여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선별하고, 컨베이어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들을 이용하여 입도 불만족 혼합토가 회전식 파쇄기에 재파쇄를 위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토재료의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양질의 혼합토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대량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혼합토를 생산하기 위한 시공현장 적용 시에, 회전식 파쇄기와 입도 분석기의 공통 부지사용으로 시공을 위한 공사부지의 축소가 가능하며, 입도 분석 불만족 혼합토의 재파쇄를 위한 이동경로가 축소되고, 그를 통한 시공 현장에서의 혼합토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질토와 모래뿐만 아니라, 고함수율을 갖는 점성토와 연암까지도 파쇄 및 혼합 처리할 수 있으며,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각종 건설 부산물을 혼합도 생산을 위한 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각종 건설 부산물의 매립으로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 파쇄 시스템
110: 회전식 파쇄기
111: 투입구
112: 배출구
113: 파쇄기 본체
114: 회전축
115: 블레이드
116: 파쇄 구동부
117: 회전동력 전달부
120: 입도 분석기
121: 입도 분석 플레이트
122: 캠축 구동부
130; 컨베이어 이송 장치
131: 제1 컨베이어 벨트
132: 제2 컨베이어 벨트
133; 제3 컨베이어 벨트
134: 임시 저장소

Claims (7)

  1.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100)으로서,
    공급되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에 대해 파쇄와 혼합을 동시에 처리하여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회전식 파쇄기(110);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 중,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는 통과하여 하부에 수집되고,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입도 불만족 혼합토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로 수집되도록 하는 입도 분석기(120); 및
    상기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에서 재파쇄를 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는,
    상부 일 측으로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로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된 파쇄기 본체(113);
    상기 파쇄기 본체(113)의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파쇄하고 혼합하기 위해 상기 파쇄기 본체(113)의 중심에 설치되는 회전축(114)과, 상기 회전축(114)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5)를 구비하는 파쇄 구동부(116); 및
    상기 파쇄 구동부(116)의 회전축(114)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파쇄기 본체(113)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동력 전달부(117)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는,
    상기 회전동력 전달부(117)에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통한 상기 회전축(114)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15)의 파쇄로 투입되는 혼합토의 입자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15)는,
    투입되는 혼합토의 파쇄 및 혼합을 위한 플랙서블한 체인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 분석기(120)는,
    성토재료 입도 기준을 만족하는 입도 만족 혼합토와 입도 불만족 혼합토의 선별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도 분석 플레이트(121); 및
    상기 입도 분석 플레이트(121)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캠축 구동부(12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 장치(130)는,
    상기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만족 혼합토를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컨베이어 벨트(131);
    상기 입도 분석기(120)를 통해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에서 재파쇄할 수 있도록 임시 저장소(134)로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132);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132)를 통해 이송되어 임시 저장소(134)로 수집된 입도 불만족 혼합토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의 투입구(111)로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벨트(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파쇄 시스템(100)은,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혼합되어진 개량토의 입도 불량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이 되면, 상기 회전식 파쇄기(110)의 회전수를 높여 입도 불량 비율을 설정기준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기.
KR1020170108960A 2017-08-28 2017-08-28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KR10202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60A KR102022478B1 (ko) 2017-08-28 2017-08-28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60A KR102022478B1 (ko) 2017-08-28 2017-08-28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60A true KR20190023360A (ko) 2019-03-08
KR102022478B1 KR102022478B1 (ko) 2019-09-26

Family

ID=6580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960A KR102022478B1 (ko) 2017-08-28 2017-08-28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4005B (zh) * 2019-11-28 2021-05-28 益阳桃花江竹业发展有限公司 竹片废料回收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417B1 (ko) * 2003-06-02 2005-12-27 유동건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JP2007090323A (ja) * 2005-09-05 2007-04-12 Nakaken:Kk 粉砕装置及び方法
KR100847805B1 (ko) * 2007-12-17 2008-07-23 대길산업주식회사 다용도의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속도조절형 수직형 스윙햄머 크러셔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417B1 (ko) * 2003-06-02 2005-12-27 유동건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JP2007090323A (ja) * 2005-09-05 2007-04-12 Nakaken:Kk 粉砕装置及び方法
KR100847805B1 (ko) * 2007-12-17 2008-07-23 대길산업주식회사 다용도의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속도조절형 수직형 스윙햄머 크러셔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478B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689B2 (en) Device for processing excavated material
EP1087064B1 (en) Soil modifying machine
CN205815817U (zh) 肥料生产用破碎装置
KR20190023360A (ko)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KR10180396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구비된 파쇄시스템.
KR101658652B1 (ko) 가열식 재생아스콘 혼합물 제조방법
KR20100118096A (ko) 우드칩 및 톱밥 겸용 제조장치
CN214973653U (zh) 一种药品颗粒剂生产用投料装置
KR100408316B1 (ko) 모래 및 미분 생산 시스템
JPH11197534A (ja) 自走式破砕機
KR101654533B1 (ko) 퇴비 분쇄장치
JP3670855B2 (ja) 砕土・混合による土質改良方法並びに砕土・混合機付き土質改良装置
JP2917242B2 (ja) コンクリート廃棄材から小石もしくは玉石を得るためのクラッシャー
CN1119938C (zh) 口香糖的弹性体制备装置
JP2001254391A (ja) 脱水ケーキ細粒化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自走式造粒機械並びに脱水ケーキ細粒化方法
CN212418258U (zh) 一种建筑混凝土粉碎装置
JP2001336174A (ja) 土質混合改良機
JPH029897Y2 (ko)
JP2004105857A (ja) コンクリート塊等の塊状物定量供給装置
JP3121066U (ja) 建設改良土の製造プラント
CN214916879U (zh) 硫质分离精测定位粉碎设备系统
JPH11333310A (ja) 骨材生産方法及びその装置
JP2562116B2 (ja) 解砕機
CN220614509U (zh) 一种混凝土生产用输料结构
KR200429657Y1 (ko) 건습식 기능을 겸비한 이동식 골재선별 및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