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039B1 -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039B1
KR100538039B1 KR1019980037592A KR19980037592A KR100538039B1 KR 100538039 B1 KR100538039 B1 KR 100538039B1 KR 1019980037592 A KR1019980037592 A KR 1019980037592A KR 19980037592 A KR19980037592 A KR 19980037592A KR 100538039 B1 KR100538039 B1 KR 10053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ata
partition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739A (ko
Inventor
요시히사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discontinuous data, e.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computer programme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에 테이프를 언로딩(unloading) 및 로딩(loading)할 수 있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와, 현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에서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자기 테이프를 이동하도록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시스템 제어기(16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테이프 배출방법
본 발명은 테이프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가 쉽게 파악되도록 하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 테이프용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기존의 기록/재생장치 중에는, 이른바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있다. 이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기록매체로서의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길이에 따라,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기가바이트의 방대한 기록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전자 컴퓨터의 본체부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백업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데이터 사이즈가 큰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데 만족스럽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테이프 스트림 장치처럼, 로터리 헤드에 의한 나선형 스캔 방식에 따라 기록 매체로서 8mm-VTR 테이프 카세트 등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보통,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한 데이터 기록 및 재생용 자기 테이프는 카세트 케이스 내에 회전자재로 설치된 릴(Reel)에 감겨진다. 자기 테이프는 예를 들어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되어 보존된다.
테이프 카세트는 자기 테이프가 감겨져서 보존되는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릴을 갖는다. 테이프 카세트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릴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릴만 갖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로부터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전에, 테이프가 리와인드(Rewind)되어야 한다.
두 개의 릴을 갖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릴 전체에 감겨진다. 또한, 데이터 기록면이 장시간 외부로 노출되면 오염 물질이 침전되기 쉬우므로, 테이프 카세트가 카트리지 내에 수납되어 있더라도, 자기 테이프는 보통 그 선두 끝까지 리와인드되고 이 상태에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테이프가 상기 이유로 리와인드 되더라도, 테이프 리와인딩은 총 길이에 따라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빈번한 테이프 카세트 교환 동작이 필요할 때 적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장시간 저장을 기대하지 않고 필요한 레벨까지 오염물질이 제거된 환경하에서는 때때로는 자기 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유형의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 로딩 시간과 테이프 카세트 언로딩 시간이 짧고 테이프 카세트가 빈번하게 교환되는 경우의 적용시에는 매우 적합하다.
만약 자기 테이프가 테이프 카세트에서 빈번하게 리와인드되면, 로딩과 언로딩에 극도로 시간이 걸리게 될 것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의 언로딩 및 로딩이 짧은 시간에 실현될 수 있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각각에 데이터가 기록된 적어도 두 파티션을 갖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수납된 테이프 카세트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수단과, 주행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영역까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이동한 후에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에 의해, 테이프형 기록매체는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동작에 앞서 현재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영역으로 공급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각각에 데이터가 기록된 적어도 두 파티션을 갖는 테이프형 기록매체 내에 수납된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이동하는 테이프 이동 단계와, 테이프형 기록매체가 배출 영역으로 이동된 후에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
배출 방법의 상기 구성에 의해, 테이프형 기록매체는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 동작 이전에, 현재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공급된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각각이 내부에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적어도 두 파티션이 설치된 자기 테이프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세트에 또는 그로부터 기록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와,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해 현재 파티션 직전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자기 테이프를 이동하도록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제어기(161)를 포함한다.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는 또한 자기 테이프의 트래킹(Tracking) 및 주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자기 테이프의 주행 제어는 핀치롤 또는 자기 테이프가 감겨진 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시스템 제어기(161)는 다양한 회로를 제어하고, 예를 들어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복수의 파티션이 기록/재생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됨을 주의한다. 배출 영역으로서 옵션 디바이스 영역은 최종 파티션을 제외한 모든 파티션의 최종 위치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디바이스 영역은 선두 파티션 직전의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은 기록/재생방향과 반대 방향의 현재 파티션 다음에 설치된 파티션이다.
언로딩 및 로딩을 위해, 상기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자기 테이프를 언로딩 명령 이전에 당해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의 배출 영역으로 송출한다. 테이프 카세트는 그리고 나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로부터 배출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의 개요를 설명한 후에 상세하게 후술하듯이, 이것으로 인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언로딩 및 로딩 동작을 신속하게 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인터페이스 제어기(100), 이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120),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120)으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이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130)를 포함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또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기록/재생부(130)로부터의 재생출력을 처리하는 재생 데이터 처리 시스템(140)과, 기록/재생부(130)의 테이프 주행 시스템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록 데이터 관리부(160)를 포함한다.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서 사용된 테이프 카세트(10)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구별하는 식별 정보 또는 시스템 로그 저장용 메모리 소자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갖는다. 반도체 메모리는 MIC(Memory-In-Cassette)(11)로 나타낸다.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서,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는 이른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이고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 스테이션 등의 외부 정보 처리장치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120)으로 공급하고, 재생 데이터 처리 시스템(140)으로부터 재생된 기록 데이터를 정보 처리장치로 공급한다.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서, 데이터는 후술하는 고정 길이 레코드라고 하는 송신 데이터 단위로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데이터 기록시에 연속적으로 입력되고 그리고 나서 압축 회로(110)에 공급된다. 데이터가 각종 길이 데이터의 집합적 단위로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송신되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1)의 모드가 있지만, 이것은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호스트 컴퓨터(200)에는 키보드(201)가 접속된다.
압축 회로(110)는 필요하다면 소정의 압축 방식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압축한다. 만약 예를 들어, 압축 방식으로서 LZ코드에 의한 압축 방식이 사용되면, 과거에 처리된 문자열에 전용 코드가 할당되어 사서 형식으로 저장된다. 만약 입력 데이터의 문자열이 사서 코드와 일치하면, 문자열 데이터는 사서 코드에 의해 치환된다.
사서와 일치하지 않는 입력 문자열의 데이터에는 순차적으로 새로운 모드가 주어져서 사서에 등록된다. 문자열 데이터는 이런 식으로 사서 코드에 의해 치환되어 데이터 압축을 실현한다.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120)은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공급된 기록 데이터에 인덱스(Index) 정보를 부가하는 인덱스 부가회로(121)와, 서브코드를 발생시키는 서브코드 발생부(122)와, 인덱스 부가회로(121)로부터의 기록 데이터를 에러 정정 코드로 부호화하는 에러정정코드 생성부(123)와, 서브코드 발생부(122)로부터의 서브코드와 블록 주소를 부가하는 서브코드 부가부(124)를 포함한다.
서브코드 발생부(122)는 제 1 및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A, 122B) 및 시스템 로그 생성부(122C)를 포함한다. 에러정정코드 생성부(123)는 메모리(149), C1부호기(123A), C2부호기(123B), C3부호기(123C)를 포함한다.
이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120)은 서브코드 부가부(124)로부터의 기록 데이터에 헤더 패러티를 부가하는 헤더 패러티 부가부(125)와, 헤더 패러티 부가부(125)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8/10변조하는 8/10변조기(126)와, 8/10변조기(126)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에 동기 신호를 부가하는 동기 신호 부가부(127)와, 동기 신호 부가부(127)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에 ATF(Automatic Track Following)를 하는 파일럿 신호를 부가하는 파일럿 신호 부가부(128)와, 파일럿 신호 부가부(128)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129)를 포함한다.
기록/재생부(130)는 또한 애지머스(Azimuth)각이 각각 다른 2개의 기록 자기 헤드(Hw1, Hw2)와, 애지머스각이 각각 다른 2개의 재생 자기 헤드(Hr1, Hr2)를 자기 테이프(12)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하는 회전 드럼(131)을 포함한다. 이 두 쌍의 자기 헤드(Hw1, Hw2, Hr1, Hr2)는 회전 드럼(131)의 축 방향을 따라, 즉 트랙 폭 방향을 따라 트랙 피치(Tp)의 공간에 회전 드럼(131)의 원주 방향 부근에 설치된다.
재생 데이터 시스템(140)은 기록/재생부(130)로부터 공급된 자기 테이프(12)의 경사진 트랙의 재생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141)와, 증폭기(141)로부터 공급된 재생 출력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이 재생출력을 2레벨 신호로 변환하고, 이 결과의 신호를 지터를 위해 정정하고 이 결과의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142)를 포함한다. 재생 데이터 시스템(140)은 또한 동기 신호 검출부(142)로부터의 2레벨 재생신호를 8/10으로 변조하는 8/10복조기(143)와 8/10복조기(143)로부터의 재생 데이터의 헤더 패러티를 조사하는 패러티 조사부(144)를 포함한다.
재생 데이터 시스템(140)은 또한 헤더 패러티 조사부(144)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를 분리하는 서브코드 분리부(145)와, 서브코드가 없는 서브코드 분리부(145)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146)와, 에러 정정부(146)에 의해 에러가 정정된 재생 데이터로부터 인덱스을 분리하는 인덱스 분리부(147)를 포함한다. 에러 정정부(146)는 메모리(149), C1복호기(146A), C2복호기(146B), C3복호기(146C)로 구성된다.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는 회전 드럼(131)의 rpm과 맞추어진 기록/재생부(130)로부터 PG펄스가 공급되는 PG검출부와, PG검출부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속도 에러를 검출하는 속도 에러 검출부와, PG센서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속도 에러를 검출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와, 속도 에러 검출부와 파일럿 신호 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부가하는 부가부와, 부가부의 부가 출력에 의거하여 트래킹 서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래킹 서보회로와, 트래킹 서보 신호에 의거하여 기록/재생부(130)의 테이프 주행계를 제어하는 캡스탠(Capstan)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는 테이프 카세트에 회전 자재로 설치된 릴을 회전하는 구동조작수단을 포함한다.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는 자기 테이프(12)를 소정의 위치로 공급하기 위해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는 후술하는 옵션 디바이스 영역에 고속으로 송출될 수 있다.
모터 구동 및 서보회로(150)는 시스템 제어기(161)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기록 데이터 관리부(160)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관리 등의 처리를 하는 시스템 제어기(161)와,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램(162)과, 기록/재생부(130)를 통해 램(162)에 또는 그로부터 기입/판독을 제어하는 기입/판독 제어부(163)를 갖는다.
시스템 제어기(161)는 관리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과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시스템 로그를 램(162)에 기입한다. 기입/판독 제어기(163)는 램(162)에 저장된 시스템 로그를 판독하고 램(162)에 저장된 시스템 로그를 기록/재생부(130)를 통해 MIC(11)에 공급하고 동시에 MIC(11)로부터 판독된 시스템 로그를 램(162)에 기입한다.
시스템 제어기(161)에 의한 판단에 의거하여, 확장회로(170)는 기록시에 압축회로(110)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를 확장하고, 동시에 미압축 데이터는 데이터 확장하지 않고 통과되도록 한다.
확장 회로(170)의 출력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로서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200)에 출력된다.
도 1은 또한 테이프 카세트(10)에 설치된 MIC(11)를 나타낸다. 테이프 카세트의 본체부가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장착될 때, MIC(11)는 단자핀 등을 통해 시스템 제어기(161)에 접속되어 시스템 제어기(161)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MIC(11)는 또한 SCSI명령을 사용하여 MIC(11)와 외부 호스트 컴퓨터(200) 사이의 정보 송신을 한다. 따라서, MIC(11)와 호스트 컴퓨터(200) 사이에 전용회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테이프 카세트와 호스트 컴퓨터(2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단지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서 만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스트림 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기록을 위해,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는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등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공급된다. 만약 버스(105)를 거쳐 기록 데이터가 공급되면,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는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인덱스 부가회로(121)와 서브코드 발생부(122)에 공급한다.
만약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공급되면, 인덱스 부가회로(121)는 40트랙 즉 20 프레임 각 단위마다 일련의 기록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정보를 부가하고, 이 결과의 데이터를 에러정정코드 발생부(123)에 공급한다.K;;
에러정정코드 발생부(123)는 인덱스 부가회로(121)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1단위 마다 메모리(149)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C3부호기(123C)는 메모리(149)에 저장된 1단위 마다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 트랙폭 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코드(C3)를 발생시켜 40트랙의 데이터 단위의 최종 2트랙에 에러정정코드(C3)를 할당한다. C2부호기(123B)는 트랙 방향의 데이터열의 에러정정코드(C2)를 발생시키고 이 에러정정코드(C2)를 둘로 분할하여 각 트랙의 데이터영역의 양단부에 이 두 부분을 할당한다. C1부호기(123A)는 블록 단위의 에러정정코드(C1)를 발생시킨다.
서브코드 발생부(122)의 제 1서브코드 발생부(122A)는 SCSI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 데이터의 구절을 나타내는 구절 정보로서의 세퍼레이터 카운트와 기록수를 나타내는 기록 카운트를 발생시킨다. 서브코드 발생부(122)의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B)는 테이프 포맷에 정의된 각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ID와, 프레임 번호와, 기록단위수를 나타내는 그룹 카운트와 체크섬(Check sum)을 블록 주소와 함께 발생시킨다. 시스템 로그 생성부(122C)는 상기 테이프 포맷으로 설명했듯이 파티션 단위의 시스템 로그(이력 정보)를 발생시킨다.
서브코드 부가부(124)는 서브코드 발생부(122)로부터 공급된 서브코드와 블록 주소를 에러정정코드 발생부(123)에 의해 에러정정코드(C3, C2, C1)가 부가된 기록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은 서브코드와 블록주소를 각 블록의 제 2구간(Domain)에 할당한다. 이 서브코드 부가부(124)는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B)에서 발생된 영역 ID와 블록 주소를 각 블록의 부영역에 할당한다. 이 서브코드 부가부(124)는 제 1서브코드 발생부(122A)에 의해 발생된 카운트 값과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B)에 의해 발생된 영역 ID와 그룹 카운트와 체크섬으로부터 서브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 서브 데이터를 각 블록의 부영역에 할당한다.
헤더 패러티 부가부(125)는 서브코드 부가부(124)에 의해 기록 데이터에 부가된 서브코드와 블록 주소의 에러 정정을 위한 2바이트 패러티를 발생시키고, 이 2바이트 패러티를 기록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은 2바이트 패러티를 각 블록의 제 3구간에 할당한다.
8/10변조부(126)는 헤더 패러티 부가부(125)에 의해 헤더 패러티와 블록 주소가 부가된 기록 데이터를 8비트에서 10비트로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여, 기록신호의 직류 레벨을 거의 0레벨로 유지한다.
동기 신호 부가부(127)는 동기신호를 블록 단위로 8/10변조부(126)에 의해 10비트로 변환된 기록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은 동기신호를 각 블록의 제 1구간에 할당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기록 데이터는 파일럿 신호 부가부(128)에 공급된다.
파일럿 신호 부가부(128)는 ATF용 파일럿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ATF용 파일럿 신호를 기록 데이터에 부가하고 이 결과의 신호를 증폭기(129)를 통해 자기 헤드(Hw1, Hw2)로 공급한다. 이것은 자기 헤드(Hw1, Hw2)가 자기 테이프를 주사하여 기록을 행하여 소정의 포맷에 따라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 트랙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12)상에 미리 파티션을 형성하고,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161)가 자기 테이프 상에 파티션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파티션의 수 또는 파티션의 시작 위치 등을 나타내는 파티션 관리정보를 작성하여, 이 결과의 관리정보를 램(162)에 기입한다.
만약 파티션 내의 디렉터리가 작성, 삭제 또는 변경되거나, 만약 디렉터리 내의 파일이 기록, 삭제 또는 변경되면, 시스템 제어기(161)는 램(162)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기록에 의거하여 이와 같이 판독된 식별정보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데이터를 램(162)에 기입한다. 파일을 기록,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61)는 각 파일의 기록 위치를 관리하는데 사용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고 이와같이 파일의 새로운 기록 위치에 의거하여 판독된 정보를 변경하여 이 변경된 데이터를 램(162)에 기입한다.
만약 램(162)에 저장된 각 파티션의 관리정보와, 각 파일의 관리정보와, 각 파일의 기록 위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갱신되면, 기입/판독 제어기(163)는 기록/재생부(130)의 커넥터(137)와 접점단자(63)를 통해 MIC(11)에 각 파티션의 관리정보를 기입한다.
이것은 자기 테이프(12)에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시에, 자기 테이프(12)에 기록된 각 파일의 식별정보를 MIC(11)에 기록한다.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10)에 걸쳐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61)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모든 테이프 카세트(10)와 관련된 정보와, 데이터가 기록된 각 테이프 카세트(10)를 구별하는 식별정보와, 각 테이프 카세트(10)에 기록된 데이터를 구별하는 식별정보를 발생시킨다. 기입/판독 제어기(163)는 이런 종류의 식별정보를 램(162)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 카세트(10)가 테이프 스트림 장치의 기록/재생부(130)에 장착되면, 접점단자(63)는 커넥터(137)를 통해 기입/판독 제어기(163)에 접속된다.
기입/판독 제어기(163)는 상기한 관리정보, 개개의 파일에 대한 식별정보, 각 파일의 기록 위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MIC(11)로부터 판독하고, 이와 같이 판독된 정보를 램(162)에 기입한다.
시스템 제어기(161)로부터 자기 테이프(12)의 수신시에, 기록/재생부(130)는 회전 드럼(131)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 드럼(131)의 rpm은 기록시와 동일하게 될 것이고, 동시에 자기 테이프(12)의 주행을 제어하여 자기 테이프(12)는 소정의 속도로 주행할 것이다. 따라서, 재생 기록 헤드(Hr1, Hr2)는 자기 테이프를 애지머스 주사하고 기록 트랙의 주사에 대응하는 재생 출력을 증폭기(141)를 통해 동기 신호 검출부(142)에 공급한다. 동기신호 검출부(142)는 공급된 재생출력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재생 출력을 동기 신호로 동기된 클럭에 의해 2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 데이터를 발생시켜서, 8/10 복조부(143)에 공급한다.
8/10 복조부(143)는 동기 신호 검출부(142)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를 10비트 데이터에서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더 패러티 조사부(144)에 공급한다. 헤더 패러티 조사부(144)는 상기한 2바이트 헤더 패러티를 사용하여 블록 주소와 서브코드를 패러티 조사한다. 서브코드 분리부(145)는 헤더 패러티 조사부(144)에 의해 패러티 조사된 정정 서브코드를 재생 데이터로부터 분리하여 시스템 제어기(161)에 의해 서브코드로부터 분리된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149)에 공급한다.
메모리(149)는 메모리(149)에 저장된 40트랙, 즉 20 프레임의 재생 데이터를 한 단위로서, 인덱스 정보가 부가된 재생 데이터를 단위마다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149)에 저장된 1단위의 재생 데이터에 의거하여, C1복호기(146A)는 각 블록의 재생 데이터를 에러에 대해 정정한다.
C2복호기(146B)는, C1복호기(146A)에 의해 에러 정정된 1단위의 재생 데이터에서 각 트랙의 재생 데이터 영역의 각 단부에 부가된 에러정정코드(C2)를 사용하여, 트랙 방향에 따라 데이터열을 정정한다. C3복호기(146C)는, C2복호기(146B)에 의해 에러정정된 1단위의 재생 데이터에서 40트랙의 한 단위의 최종 2 트랙에 할당된 에러정정코드(C3)를 사용하여, 트랙폭방향을 따라 데이터열을 정정한다.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는 에러정정코드(C1, C2, C3)를 사용하여, 재생 데이터를 에러정정하므로, 재생 데이터는 신뢰성있게 정정되어 데이터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인덱스 분리부(14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에러정정부(146)에 의해 에러정정된 1단위의 재생 데이터로부터 인덱스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된 인덱스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161)에 공급하여 인덱스 정보를 분리하고 재생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제어기(100)에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는 인덱스 분리부(147)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를 버스(10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등의 호스트 컴퓨터(200)에 공급한다.
도 2는 자기 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a에는 하나의 자기 테이프(12)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일 자기 테이프(12)는 파티션을 한 단위로서 구분될 수 있다. 제 1파티션(P0)은 테이프의 선두단으로부터 디바이스 영역(DA) 다음에 배열된다. 파티션(P0)에는 파티션의 분할수에 따라 파티션 (P1), (P2), (P3)이 순서로 이어진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최대 256까지의 파티션 수가 설정 관리될 수 있다. 파티션 (P0), (P1), (P2), (P3)의 첨자, 즉 Pn의 n은 파티션 번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은 파티션마다 독립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파티션(Pn)(여기에서 n = 0, 1, 2, ...)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영역(SYS), 데이터 영역(DATA), 엔드-오브-데이터(EOD) 및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자기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의 더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의 테이프의 물리적 선두위치(PBOT)와 제 1파티션(P0)의 논리적 선두위치(LBOT) 사이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디바이스 영역이 설치된다.
이 디바이스 영역 다음으로 테이프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시스템 영역이 있고 그 다음으로 데이터 영역이 이어진다. 시스템 영역의 선두단은 테이프의 논리적 선두위치(LBOT)이다.
이 데이터 영역에는 먼저 데이터를 작성하여 공급하는 벤더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벤더 그룹이 설치된다. 벤더 그룹 다음으로는 앰블 프레임과 데이터 영역이 순서로 이어진다.
데이터 영역 다음은 파티션의 데이터 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영역이다. EOD의 최후는 테이프의 논리적 종료위치(LEOT)이다. 테이프의 물리적 종료위치(PEOT)는 테이프 또는 파티션의 물리적 종료위치를 나타낸다.
옵션 디바이스 영역은 테이프의 논리적 종료위치(LEOT)와 파티션의 종료위치로서 테이프의 물리적 종료위치(PEOT) 사이에 설치된다.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은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언로딩 위치이고, 파티션마다 설치되는 영역이다.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이 속하는 파티션의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바로 이 영역이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파티션의 위치는 이 위치 정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는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의 ID영역에 기록된다.
반면,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은 테이프 카세트의 배출을 위한 배출 영역으로서 최종 파티션을 제외한 각 파티션의 최종위치에 설치된다. 선두 파티션(P0) 직전에, 즉 자기 테이프의 물리적 선두에, 테이프 카세트 배출용 배출 영역이 설치된다. 이 배출영역은 상기 디바이스 영역이다.
테이프(12)상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헤드(131)에 의한 애지머스 기록 트랙이 순차적으로 기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이 40트랙 즉 20프레임으로 구성된 복수의 그룹은 단일 파티션을 구성한다. 즉, 파티션에서 복수의 데이터 기록단위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프레임 즉 40트랙으로 이루어진 1그룹을 구성한다.
각 트랙은 도 4b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블록으로 구분된다. 이 블록중 471개가 트랙을 구성한다. 즉, 도 4b는 1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각 블록은 1바이트 SYNC 데이터 영역(A1), 그 다음으로 탐색용으로 사용되는 6바이트 ID영역(A2), ID데이터의 에러정정용 2바이트 패러티 영역(A3) 및 64바이트 데이터 영역(A4)으로 구성된다. 각 트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71블록으로 구성된다. 각 트랙은 그 양단에, 4블록 마진 영역(A11, A17)을 갖는다. 마진 영역(A11)의 뒤와 마진 영역(A17)의 앞에는 트랙 제어 ATF 영역(A12, A16)이 설치된다. 각 트랙의 중앙부분은 ATF영역(A14)이다. 이 ATF영역(A12, A14, A16)으로서 각각 5블록이 제공된다. 224블록의 데이터 영역(A13)은 ATF영역(A12, A14)사이에 설치되는 반면, 224블록의 데이터 영역(A15)은 마찬가지로 ATF영역(A14, A16)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1프레임내의 총 데이터 영역(A13, A15)은 총 471블록 중 224×2=448영역을 차지한다.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서는, 상기 데이터 영역은 448개의 73바이트 블록으로 분할된다. 각 블록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제 1의 1바이트 영역, ID를 기록하는 제 2의 6바이트 영역, 헤더 패러티를 기록하는 2바이트의 제 3영역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4의 64바이트 영역으로 분할된다. 서브코드와 블록 주소는 데이터와 함께 블록마다 기록된다.
제 4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는 58바이트×384블록의 세트, 즉 22272바이트마다 부가된 2차원 에러정정코드(C1, C2)로 구성된 64바이트×448블록이고, 이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마다 분배된다. 에러정정코드(C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단위의 주 데이터에 부가되어 기록된다. 에러정정코드(C2)는 각 트랙의 주 데이터 영역의 양단의 32블록으로 기록된 2부분에 기록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1프레임으로서 2트랙 또는 942블록을 갖고 한 단위 또는 1그룹으로서 40트랙 또는 20프레임을 갖는 에러정정용 코드 구조를 채택한다. 트랙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코드(C2)는 트랙의 양측에 기록된다. 트랙폭 방향의 데이터열의 에러정정코드(C3)는 상기한 40트랙중 최종 2트랙에 할당되어 기록된다. 각 단위에는 일련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가 부가된다.
서브코드로서는, 주 데이터의 구절을 나타내는 구절정보로서의 세퍼레이터 카운트, 기록수를 나타내는 기록 카운트, 테이프 포맷에 정의된 각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ID, 기록 단위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 기록 단위의 번호를 나타내는 그룹 카운트 및 체크섬이 기록된다.
도 4b에 도시된 ID영역(A2)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로 설명할 것이다.
ID영역(A2)은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갖고, 9비트 물리적 블록 주소(A21)와, 이 물리적 블록 주소(A21) 다음으로 39비트 ID정보 영역(A22)으로 구성된다.
1트랙의 총 데이터 영역(A13, A15)은 448블록으로 구성되므로, 총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물리적 블록 주소(A21)의 수는 448이다. 주소값은 이 448개의 물리적 블록 주소(A21)와 일치하여 1트랙의 선두의 물리적 블록 주소(A21)로부터 십진 표현으로 0 내지 447까지 증가한다.
이것은 기록/재생장치가 1트랙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ID정보 영역(A22)에 포함된 정보를 최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트랙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ID정보 영역(A22)의 데이터 사이즈는 2,184 바이트이고 다음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39비트×448블록 = 17,472 비트
= 2,184 바이트
도 7에 도시된 ID정보영역(A22)에 저장된 ID영역 정보의 종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ID영역정보의 각 항목은 각 트랙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ID정보 영역(A22, A22, ...)에 소정의 규칙에 의해 적합하도록 저장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 의해 ID영역 정보의 신뢰성있는 판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종류의 ID영역 정보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각 트랙에 여러번 기록된다.
도 9를 참고하면, 로 포맷 ID(Raw format ID)(16비트)는 자기 테이프에 관련된 기본적 포맷의 유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 피치, 프레임 데이터 사이즈, 1트랙에 포함된 블록의 수, 블록 데이터 사이즈, 테이프 길이,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재질 등의 정보가 도시된다. 논리적 포맷 ID는 실제 사용된 기록 포맷의 유형을 나타낸다.
논리적 프레임 ID는 최종 프레임 ID(1비트), 1비트의 ECC프레임 ID 및 6비트의 논리적 프레임 번호로 구성된다. 최종 프레임 ID는 ID영역을 포함하는 현 프레임이 그룹의 최종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ECC 프레임 ID는 현 프레임의 기록 데이터가 에러정정코드(ECC)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각 그룹은 상기한 바와 같이 20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논리적 프레임 번호는 당해 프레임이 현 그룹내의 어느 번호의 프레임인지를 나타낸다.
16비트의 파티션 ID는 현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의 파티션 번호를 나타낸다.
4비트의 영역 ID는 당해 프레임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4비트의 데이터 ID는 기록 포맷에 의거한 데이터 처리형태의 유형을 나타낸다. N-포지션 및 N-리피트는 다중 기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한다.
24비트의 그룹 카운트는 당해 프레임을 포함하는 그룹까지의 현 파티션 내의 그룹의 총 수를 나타낸다. 파일 마크 카운트는 그 선두위치로부터 현 그룹까지의 현 파티션에 포함된 파일 마크의 총수를 나타낸다. 파일 마크는 1파티션 내의 데이터 파일의 구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32비트의 세이브 세트 마크 카운트는 현 파티션에서 그 선두 위치로부터 현 그룹까지의 파일 마크의 총 수를 나타낸다. 세이브 세트 마크는 1파티션 내의 데이터 세이브 위치의 구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32비트의 레코드 카운트는 현 파티션에서 그 선두 위치로부터 현 그룹까지의 포함된 레코드의 총 수를 나타낸다. 24비트의 절대 프레임 카운트는 현 파티션에서 그 선두위치로부터 현 그룹까지에 포함된 프레임의 총 수를 나타낸다. 또한 장래에 있을 수 있는 ID 영역 정보의 추가 등에 대처하기 위한 미정의 영역이 설치된다.
ID영역 정보의 정의와 ID영역 정보 항목에 따른 비트의 수는 단지 일예이고 실제 사용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주의한다.
도 9에 도시된 ID영역 정보 항목 중에서, 본 실시예의 중점인 영역 ID를 이제 설명한다.
도 10은 영역 ID의 정의의 내용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비트 번호(3-2-1-0)가 영역ID를 구성하는 4비트에 부가된다. [0000], [0001], [0010] 및 [0011]의 비트 번호(3-2-1-0)의 값(도 10)은 각각 디바이스 영역, 레퍼런스 영역(Reference area), 시스템 로그 영역, 미정의 즉 여분의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0100], [0101], [0110] 및 [0111]은 데이터 영역, EOD영역, 미정의 영역, 도 3에 도시된 필수영역 이외에 자기 테이프(12)를 로딩/언로딩하는 옵션 디바이스 영역을 나타낸다. 이 옵션 디바이스 영역을 다음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0에서, 비트번호(3-2-1-0)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각 열의 괄호에 도시된 수는 비트값의 십진표현을 나타낸다.
도 11에는, 예를 들어, 2Mbyte의 용량을 갖는 MIC의 데이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영역에는 필드(F1-F4)가 설정된다.
필드(F1)는 초기화에 대한 테이프 정보와 파티션 단위 정보가 기입되는 MIC 헤더이다. 구체적으로, MIC헤더는 제조시에 유효한 각종 제조 정보를 기록하는 제조정보(F11)와, 일련번호(F12), 메모리 관리정보(F13), 조작 모드용 플래그(F14) 및 언로딩 위치 정보(F15)로 구성된다.
언로딩 위치 정보(F15)는 주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로부터의 언로딩시에 유효한 자기 테이프(12)의 위치정보로 구성된다. 언로딩 위치 정보(F15)는 예를 들어, 절대 프레임 번호(AFN), 파티션 번호(Partition#), 그룹 카운트, 기록 카운트, 마크1 카운트 및 마크2 카운트 등으로 구성된다.
필드(F2)는 실제로 자기 테이프(12)에 기록된 파티션에 대응하여 작성된다. 이 필드(F2)에는 각 시스템 로그가 저장되어 파티션 단위의 시스템 로그를 기록한다. 시스템 로그 영역에 대응하는 자기 테이프(12)의 영역은 MIC내의 시스템 로그 영역과 유사한 내용을 갖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형성된다.
필드(F3)는 사용자 데이터용이다, 즉 테이프 카세트 그 자체에 관한 (벤더 등의)사용자에 의해 공급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필요하다면, 이 정보는 적절한 제어 동작에 이용하기 위해 외부 호스트 컴퓨터(200)에 공급된다.
필드(F4)는 각종 데이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맵 영역이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이 있는 자기 테이프(12)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를 로드 및 언로드한다. 다음에는, 구체적인 예가 도시되고 이에 따라 언로딩 및 로딩 동작이 설명된다.
도 12의 순서도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 의해 파티션(Pn)에 기록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 로딩 동작시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13은 자기 테이프(12)의 로딩 동작 및 송출 동작을 나타낸다.
자기 테이프(12)의 송출 구동 제어는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에 의해 행하는 반면,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의 구동 제어는 시스템 제어기(161)에 의해 행한다.
먼저,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도 12의 스텝(S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는 시점에 위치한 파티션(Pn-1)의 ODA에 로드한다. 이 처리는 도 13에서 ①로 도시된다.
자기 테이프는 로딩시에 파티션(Pn-1)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에 위치함을 주의한다. 이것은 테이프 스트림 장치(1)의 언로딩의 결과로서 파티션(Pn)으로부터 언로딩시에 자기 테이프가 이동되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다시말해, 언로딩 직전에 기록 또는 재생된 것은 파티션(Pn)이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한 언로딩 동작에 의해 자기 테이프(12)를 당해 파티션(Pn) 직전에 파티션(Pn-1)의 최종위치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송출한다.
스텝(S2) 및 (S3)에서, MIC에 기록된 언로딩 위치 정보와 장착 위치에 기록된 위치 정보가 서로 조사 비교된다. 예를 들어,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의 위치정보는 ID에 기록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ID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언로딩시에 MIC에 저장된 것과 비교한다. 이것은 언로딩시의 위치가 로딩에 의해 확인된 위치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
만약 스텝(S3)에서 위치의 일치가 확인되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Pn)의 시스템 영역을 탐색하여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 사용자 이력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판독한다. 이 처리는 도 13에서 ②로 도시된다.
상기한 각종 정보를 판독한 후에,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선두 위치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 처리는 도 13에서 ③으로 도시된다.
데이터 기입 후에,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새로운 EOD를 기입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그리고 나서 스텝(S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C에 저장된 예를 들어, 테이프 사용자 이력정보 등의 데이터를 갱신하여 데이터 갱신을 종료한다.
만약 스텝(S3)에서 어떤 위치 정보 일치도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두 위치까지 자기 테이프를 리와인드한다. 그리고 나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처리를 행하여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기입은 이전의 기록 데이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겹쳐쓰므로, 데이터 영역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쓰여진 데이터(New DATA), 새로운 EOD(New EOD), 겹쳐쓰므로써 무효화된 구 데이터(Old DATA) 및 오리지널 EOD(Old EOD)가 계속해서 기록되어 있다.
구 데이터(Old DATA) 영역은 당연히 겹쳐쓰여진 데이터(New DATA)에 의해 중도까지 분단되므로, 겹쳐쓰여진 데이터(New DATA) 이하의 구 데이터(Old DATA)의 데이터는 판독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 영역은 유효 데이터의 기록/재생 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유효 데이터 및 무효 데이터로 구성된다.
기록 또는 재생시에 언로딩 명령을 공급할 때, 본 발명을 실시하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도록 처리되고 있는 당해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자기 테이프(12)를 송출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12)를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해 언로딩 명령이 공급된 당해 파티션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송출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15는 테이프가 직전 파티션(N-1)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송출된 경우(a)와 언로딩 명령의 공급시에 당해 파티션(N)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테이프가 송출된 경우(b)의 언로딩 명령의 공급시에 자기 테이프의 송출을 나타낸다.
언로딩 명령의 공급 직전에 유효한 파티션(N)은 새로운 데이터에 의해 갱신되고,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파티션(N)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효 데이터(New DATA)와 무효 데이터(Old DATA)로 구성된다.
만약 자기 테이프(12)가 언로딩 명령의 공급시에 유효한 현 파티션(N)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송출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갱신된 파티션으로 자기 테이프(12)가 송출되면, 자기 테이프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효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무효 데이터(Old DATA)는 물론 판독될 수 없다. 따라서, 만약 상기 데이터 영역이 통과되면, 테이프 스트림 장치(1)가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목적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을 탐색할 수 없고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할 수 없다.
즉, 만약 테이프 스트림 장치(1)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12)를 언로딩 명령이 공급된 파티션(N)직전의 파티션(N-1)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송출하면, 데이터가 갱신되더라도 무효 영역은 통과되지 않고,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를 신뢰성있게 언로드한다.
언로드 동작에 의해 송출된 자기 테이프(12)에 어떤 무효 데이터도 없으므로, 송출 처리에서 무효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예외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언로드 동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즉,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어떤 파티션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 과정으로 테이프를 언로드할 수 있다.
만약 자기 헤드가 무효 데이터(Old DATA)에 위치하고 장치의 전력이 다운되면, 복귀시에 자기 헤드가 기록/재생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시스템 영역(SYS)을 발견하기 전에 EOD와 마주치게 되고, 따라서 위치 에러가 생긴다.
언로딩 및 로딩의 동작 과정을 이제 설명한다. 도 16은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현 데이터 영역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테이프 카세트의 언로딩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괄호안의 번호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또한 각종 정보가 MIC에 저장될 때 MIC가 있는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는 언로딩 동작과, 파티션이 설치된 시스템 영역에 각종 정보를 기록한 후에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는 언로딩 동작이 도시된다.
먼저, 각종 정보가 MIC에 저장되어 있을 때 MIC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현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영역의 선두까지 자기 테이프를 리와인드한다(1). 이 리와인드의 시작은 도 1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실행된다.
자기 테이프(12)를 데이터 영역의 선두까지 리와인드한 다음에, 자기 테이프(12)는 배출의 위치라고 생각되는 파티션 바로 앞까지의 파티션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의 중앙 위치까지 리와인드된다(2-2).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그리고 나서 테이프 카세트의 MIC에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시스템 로그) 및 언로딩 위치에 대한 정보인 언로딩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언로딩 위치 정보는 예로써, 파티션 번호가 된다.
언로딩 동작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1)로부터 배출된다(3-2).
예를 들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레딩(threading) 동작 다음의 테이프 카세트 배출 동작으로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내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상방향 등으로 이동시켜서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한다. (2-2) 내지 (3-2)의 일련의 동작에 필요한 시간으 18초이다.
따라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MIC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서 MIC에 저장된 언로딩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다음의 재장착시에 테이프를 테이프가 마지막으로 배출된 파티션(Pn)으로 이동할 수 있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서 자기 테이프 전체가 리와인드될 필요는 없으므로, 테이프 카세트의 언로딩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각 파티션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MIC를 갖지 않은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에는,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각 파티션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다. 이때에 언로딩 동작은 (1) 내지 (5)의 동작이다.
사용 이력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언로딩 동작에서, 자기 테이프(12)는 현 데이터 영역에서 당해 데이터 영역의 선두까지 마찬가지로 리와인드된다(1).
데이터 영역의 선두까지 리와인드한 후에, 시스템 영역의 기록 시작위치가 탐색되어 시스템 영역에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2-1).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다.
시스템 영역의 데이터 갱신이 종료한 후에, 자기 테이프(12)는 테이프 카세트의 배출을 위해 당해 파티션(Pn) 직전의 파티션(Pn-1)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의 중간 위치까지 리와인드된다(4).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언로딩 동작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한다.
시스템 영역에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일련의 동작((2-1) 내지 (5))에 필요한 시간은 30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MIC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에 비해, 시스템 영역에 사용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2-1) 내지 (3))은 더 많이 걸리므로, 12초의 차이가 생긴다.
사용 이력 정보나 위치 정보를 MIC에 저장하므로써,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시스템 영역에 이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고속으로 언로딩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만약 테이프 카세트의 데이터 기입 방지 탭으로 인해 자기 테이프(12)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다면, 상기 정보는 MIC가 없고 자기 테이프(12)에 바로 정보를 기입하도록 된 시스템으로는 물론 기입될 수 없다. 반대로, 각종 정보를 MIC에 기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기입 방지 탭의 동작 상태에 관계없이 MIC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정보를 MIC에 기입하는 시스템에서는, MIC에 저장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가 참조될 수 있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도 17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언로딩 위치 정보와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가 MIC에 저장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언로딩 명령이 입력된 후에,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 처리를 종료하고, 그 다음으로 진행한다.
시스템 제어기(161)는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에 제어 명령을 공급하고 자기 테이프(12)를 리와인드하여, 처리되고 있는 파티션의 선두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이 통과되고 상기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에 도달된다.
자기 테이프(12)를 리와인드한 후에는, 스텝(S12) 및 그 다음의 스텝(S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 제어기(161)는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와 언로딩 위치 정보가 테이프 카세트의 MIC에 기록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텝(S15)에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언로딩 동작을 행한다. 시스템 제어기(161)는 그리고나서 스텝(S16)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고 언로딩을 종료한다.
이제 로딩 동작을 설명한다. 도 18은 그 자기 테이프(12)가 파티션(N-1)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까지 상기 언로딩 동작에 의해 리와인드된 테이프 카세트가 언로드되는 동작 처리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괄호안의 번호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의 조작순서를 나타낸다.
도 18은 MIC에 저장된 각종 정보가 판독될 때 MIC가 있는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하는 동작과, 파티션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각종 정보가 판독될 때 MIC가 없는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MIC에 저장된 각종 정보가 판독될 때 MIC가 있는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하는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를 로드한다. 이 로딩은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스레딩을 행한다.
그리고나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의 ID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이 위치정보를 테이프 카세트의 MIC에 기록된 언로딩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이 둘이 일치하는 경우에, 이전 처리의 위치가 탐색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현 위치(N-1)에서부터 기록/재생 방향으로 자기 테이프(12)를 송출하여 그 다음 파티션(N)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을 탐색하고, 이것은 테이프 카세트의 배출 직전에 처리되고(2-2), 이에의해 대기 상태를 설정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MIC에 저장된 직전 처리에 대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참조하므로, 이 탐색은 간단히 시스템 영역의 최종 위치을 확인하므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 일련의 동작((1)→(2-2))에 필요한 시간은 12초이다.
MIC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최종 처리된 파티션(N)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가 테이프의 선두로부터 이전처리 위치까지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불필요하므로, 테이프 카세트 로딩은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만약 자기 테이프(12)가 최종 처리된 파티션(N)으로 이동되면,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가 판독될 때, 각종 정보가 MIC에 저장된 경우처럼,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를 로드한다(1).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가 있는 시스템 영역의 기록 시작 위치를 탐색한다(2-1).
시스템 영역의 선두 위치 탐색시에,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당해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판독한다(3). 데이터 판독의 종료시에,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시스템 영역 종료 위치로서 판독 종료 위치를 설정하고, 대기 상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만약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 사용 이력 정보가 판독되어 로딩 동작을 종료하면, 일련의 동작((1) 내지 (2-2))에 필요한 시간은 24초이다.
MIC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에 비해, 시스템 영역으로부터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판독하는 동작(3)에 대응하는 시간은 많이 걸려서, 12초 더 긴 시간이 소비된다.
따라서,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 있어서,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MIC에 저장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시스템 영역으로부터 판독될 필요가 없으므로, 로딩 동작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도 19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거하여 언로딩 위치 정보와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판독한다.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후에,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스텝(S21) 및 (S22)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여 로딩을 행한다.
로딩 후에,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23), (S24)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의 MIC로부터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와 언로딩 위치 정보를 판독한다.
이 각종 정보를 MIC로부터 판독한 후에,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25)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를 제어하여 도 1에 도시된 회전 헤드(131) 주위에 테이프를 감는다. 그리고나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에 기록된 ID를 판독한다.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27)에서처럼, ID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이 ID로부터 판독된 위치 정보를 MIC로부터 판독되고 있는 언로딩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이 비교에 의해, 시스템 제어기(161)는 MIC에 저장된 언로딩의 위치가 현 로딩 위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스텝(S27)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판독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시스템 제어기(161)는 자기 테이프(12)를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150)에 의해 송출하여, 자기 테이프(12)가 기록/재생 방향으로 당해 파티션 직후의 파티션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고 로딩 동작을 종료한다.
만약 스텝(S28)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어떤 위치 정보도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기(161)는 그 선두까지 자기 테이프(12)를 리와인드하고 에러처리를 행하여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에러처리시에 행해진, 자기 테이프(12)의 선두까지의 강제적인 리와인드의 목적은 릴 락(Reel lock)이 테이프를 리와인드하기 위해 고의로 해제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로딩 직후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면, 도 20의 순서도에 도시된 처리가 행해진다. 도 21은 자기 테이프(12)의 송출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도 20의 스텝(S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Pn-1)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에 테이프를 로드한다. 이 처리는 도 21에서 ①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스텝(S42) 및 (S43)에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MIC에 기록된 언로딩 위치 정보와 ID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조사하여 이 두 정보신호를 비교한다.
만약 스텝(S43)에서 일치가 발견되면, 시스템 제어기(161)는 파티션(Pn-1) 직후의 파티션(Pn)의 시스템 영역을 탐색한다. 그리고나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데이터 영역을 탐색한다. 이 처리는 도 21에서 ② 내지 ③으로 도시된다.
스텝(S45)에서 만약 데이터 영역이 발견되면, 스텝(S46)에 도시된 바와같이, 당해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나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MIC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다.
스텝(S43)에서 만약 위치 정보 일치가 발견되지 않으면, 시스템 제어기(161)는 스텝(S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12)를 그 선두위치까지 리와인드한다. 그리고나서 시스템 제어기(161)는 에러처리를 행하여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거의 직사각형 얕은 접시형태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카세트 상반(13) 및 카세트 하반(14)은 복수의 세트의 스크류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서 그 개구단은 서로 대면하여 거의 박스형의 카트리지 본체부(15)를 형성한다. 카트리지 본체부(15)내에는 그 긴쪽 방향으로 나란한 관계로, 그 주위에 자기 테이프(12)가 위치하는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이 회전자재로 수납된다.
카트리지 본체부(15)에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상면을 구성하는 카세트 상반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직사각 표시창(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부(15)내에 수납된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 주위에 놓여진 자기 테이프(12)의 상태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5)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과 결합하는 허브(hub) 결합구멍이 장치되어 있다. 이 허브 결합구멍은,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의 허브를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카트리지 본체부(15)의 저면을 구성하는 카세트 하반(14)에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하반(14)의 저면에는, 테이프 길이 검출구멍 또는 자기 테이프(12)의 유형을 판별하는 테이프 유형 판별 구멍 등의 각종 판별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은 자기 테이프(12)가 감겨진 원통형 허브와 허브의 일측에 형성된 디스크형 플랜지로 구성된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은 카트리지 본체부(15)의 허브 결합구멍에 결합된 허브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부(15)에 회전가능하도록 수납된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권취릴(17)은 도시되지 않은 릴 지지스프링과 릴 지지판에 의해 카세트 하반(14)쪽으로 가세되어 허브의 회전 중심부에 의한 카트리지 본체부(15)에서의 산발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카트리지 본체부(15)에는, 자기 테이프(12)를 외부로 노출하는데 사용되고 카트리지 본체부(15)의 정면측을 덮는데 사용되는 리드 부재(26)가 회전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리드 부재(26)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이고 전체적으로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리드 부재(26)는 양단이 리드 부재의 피봇부분을 구성하는 측벽부(27A, 27B)로 일체로 형성된다. 측벽부(27A, 27B)의 내측은 카트리지 본체부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된 핀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리드 부재가 카트리지 본체부의 정면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프 카세트(10)는 그 배면에, 단자 개구(50)가 있고, 여기에 보조 기억장치(6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보조기억장치(60)는 배선기판에 장치된 불휘발성 메모리(MIC)(62)와 복수의 접점 단자로서 사용되도록 MIC(62)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단자(63)로 구성된다.
MIC(62)는, 기억소자와,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와 접점단자(63)를 통해 MIC(62)에 접속된 테이프 스트림 장치(1)의 기입/판독 제어기(163)로 기록시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테이프 스트림 장치(1)는 현재 처리되고 있는 파티션으로부터 당해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까지 자기 테이프(12)를 송출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기 위해서는, 자기 헤드를 직전 파티션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에 대면하도록 이동하고, 테이프 카세트 로딩시에는, 자기 헤드를 최종 처리된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과 일치하여 위치하고, 따라서 고속 언로딩 및 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테이프 스트림 장치(1)에 있어서, MIC가 있는 테이프 카세트가 언로드될 때, 언로딩 위치 정보 및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는 MIC에 저장되어 상기 위치정보와 테이프 사용 이력 정보를 시스템 영역에 기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테이프 카세트의 고속 언로딩 및 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 배출시에, 테이프는 당해 파티션으로부터 직전 파티션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까지 이동될 수 있고, 이에따라 무효 데이터를 판별하는 예외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서, 언로딩 및 로딩 동작이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해 데이터가 기입 또는 판독되는 자기 테이프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자기 테이프에 형성된 복수의 파티션 중 하나의 데이터 파티션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자기 테이프의 단일 트랙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단일 트랙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한 단위의 데이터를 형성하는 40트랙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자기 테이프의 ID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자기 테이프의 단일 트랙상의 물리적 블록 주소번호를 나타낸다.
도 9는 자기 테이프 상의 ID영역 정보를 나타낸다.
도 10은 ID영역 정보에 포함된 영역 ID의 정의를 나타낸다.
도 11은 테이프 카세트에 저장된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한 로딩 직후에 행해지는 처리, 더 구체적으로 자기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 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자기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 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처리에 의해 데이터 영역을 갱신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4는 자기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의 데이터의 갱신 처리에 의해 갱신된 데이터 영역의 파티션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직전 파티션(N-1)내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 ; Optional Device Area) 으로 테이프가 송출되는 경우(a)와 현재 파티션(N)내의 옵션 디바이스 영역(ODA)으로 테이프가 송출되는 경우(b)에 언로딩 명령의 수신시 자기 테이프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은 각종 정보가 MIC에 저장될 때와 각종 정보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고 있을 때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7은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테이프 카세트를 언로드하는 경우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각종 정보가 MIC에 저장될 때와 자기 테이프의 시스템 영역에 기록된 각종 정보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고 있을 때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를 로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가 테이프 카세트를 로드할 때 사용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자기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 내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의해 로딩한 직후에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1은 자기 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 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2는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테이프 스트림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구조를 그 뒤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테이프 스트림 장치 150. 모터 구동 및 서보 회로
161. 시스템 제어기 10. 테이프 카세트
120. 기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 122. 서브코드 발생부
123. 에러정정코드 생성부 140. 재생 데이터 처리 시스템
146. 에러정정부 160. 기록데이터 관리부

Claims (9)

  1. 각각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두 파티션을 갖는 테이프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테이프 카세트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수단과,
    현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이동한 후에 테이프 카세트가 배출되도록 주행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독립적으로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 기입수단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상기 주행제어수단에 의해 현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 기입수단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상기 배출 영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저장부에 파티션 위치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록매체는 각각 주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과 서브코드를 기록하는 서브코드 영역을 갖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기록 트랙을 갖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서브코드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판독하는 정보 데이터 판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재로딩(re-loading)시에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소정의 테이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상기 주행제어수단에 의해 그 선두까지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할 때, 상기 정보 데이터 기입수단은 기록된 또는 재생된 파티션에 설치된 시스템 영역에 기록될 시스템 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영역은 최종 파티션을 제외한 모든 파티션의 최종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 영역은 선두 파티션 직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각각에 데이터가 기록된 적어도 두 파티션을 갖는 테이프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현 파티션 직전의 파티션 내의 최종 위치에 설치된 배출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가 상기 배출 영역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하는 단계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배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독립하여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카세트 배출방법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상기 배출 영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파티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배출방법.
KR1019980037592A 1997-09-12 1998-09-11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KR100538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9149 1997-09-12
JP24914997A JP3997570B2 (ja) 1997-09-12 1997-09-12 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39A KR19990029739A (ko) 1999-04-26
KR100538039B1 true KR100538039B1 (ko) 2006-04-20

Family

ID=1718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92A KR100538039B1 (ko) 1997-09-12 1998-09-11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07700B1 (ko)
EP (1) EP0902425B1 (ko)
JP (1) JP3997570B2 (ko)
KR (1) KR100538039B1 (ko)
CN (1) CN1118824C (ko)
DE (1) DE698368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243A (ja) * 1998-12-09 2000-06-23 Sony Corp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2000182293A (ja) * 1998-12-11 2000-06-30 Sony Corp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2000187905A (ja) * 1998-12-18 2000-07-04 Sony Corp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3824123B2 (ja) * 1999-07-30 2006-09-2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状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074903A (ja) * 2000-08-23 2002-03-15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方法
US6614611B1 (en) * 2000-09-12 2003-09-02 Quantum Corp. Method for buckler rotation test
US6775087B2 (en) 2001-06-18 2004-08-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ad past EOD marker
US6804075B1 (en) * 2002-03-01 2004-10-12 Sony Corporation Logical expiration of media having embedded non-volatile memory
GB2403587B (en) * 2002-03-18 2005-08-03 Hitachi Maxell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agnetic recording cartridge
JP3829741B2 (ja) * 2002-03-19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
US6964811B2 (en) * 2002-09-20 2005-11-15 Hitachi Maxell, Ltd. Magnetic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same
GB2414852B (en) * 2003-02-19 2007-05-02 Hitachi Maxell Magnetic recording medium
GB2419026B (en) * 2004-10-08 2009-05-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drive apparatus
US20070115579A1 (en) * 2005-11-18 2007-05-24 Ngo Khanh V Method to test a tape drive
US20080135663A1 (en) * 2006-11-03 2008-06-12 Quantum Corporation Tape leader buckler having increased hooking area
GB2496773B (en) 2010-06-25 2018-03-21 Ibm Tape storage device and writing method therefor
US11635914B2 (en) * 2020-07-30 2023-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ng data within tape systems using sub dataset headers
US11599305B2 (en) * 2021-05-11 2023-03-0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storage device using predefined data segments for logical address mapping
US11657848B1 (en) 2022-02-24 2023-05-2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access and logical mapping for magnetic dis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924B2 (ja) 1985-06-13 1995-08-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記録再生方法、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NL9100475A (nl) 1991-03-18 1992-10-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een muziekstuk van een magnetische registratiedrager (favourite tape position).
US5384668A (en) 1992-02-28 1995-01-24 Ampex Corporatio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end-of-recording and start-of-recording format indicators
US5355259A (en) * 1992-02-28 1994-10-11 Ampex Corporation Volume format table for data recording system
JPH08255388A (ja) * 1995-01-20 1996-10-01 Sony Corp ディジタルデータ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5774288A (en) 1995-01-20 1998-06-30 Sony Corporation Data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2425B1 (en) 2007-01-10
DE69836849T2 (de) 2007-10-18
EP0902425A3 (en) 2000-01-19
JP3997570B2 (ja) 2007-10-24
KR19990029739A (ko) 1999-04-26
US6307700B1 (en) 2001-10-23
CN1118824C (zh) 2003-08-20
JPH1186509A (ja) 1999-03-30
CN1213132A (zh) 1999-04-07
EP0902425A2 (en) 1999-03-17
DE69836849D1 (de)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039B1 (ko)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US6425042B1 (en) Tape drive apparatus for judging an operational mode of the tape based on detected tape management information
EP0386362B1 (en) Data storage apparatus
WO1997002566A1 (fr) Cassette, appareil enregistreur et duplicateur a bande magnetique
KR100574438B1 (ko)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EP0327188B1 (en) Method of storing data on recording tape
KR100591784B1 (ko)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H08501172A (ja) データ記録システム用ボリウムフォーマットテーブル
EP0628197B1 (en) Digital servo track format
US652648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cking appended data on storage medium
JPH08500927A (ja) 改良された長手方向及びらせんサーチ機能を有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
KR100779979B1 (ko) 테이프형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및 그 액세스방법과기록매체
JP3525615B2 (ja) テープカセット、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H09171676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H08501175A (ja) 改良された予約機能を有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4078736B2 (ja) テープカセット、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0173244A (ja) 記録媒体及びテープドライブ装置
US6603626B1 (en) Tape driv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H08501171A (ja) 単一非記録検出を有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H08501174A (ja) 改良された自動書き替え機能を有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及び書き替え方法
US671503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cking appended data on storage medium
JPH1186388A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イジェクト方法
US6239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 one of video data channel and a computer data channel in a tape drive in response to detection of the nature of the data recorded on a magnetic tape loaded in the tape drive
JPH08501404A (ja) 記録区画グループを有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H09161450A (ja) メモリ付カセット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