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438B1 -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438B1
KR100574438B1 KR1019997004173A KR19997004173A KR100574438B1 KR 100574438 B1 KR100574438 B1 KR 100574438B1 KR 1019997004173 A KR1019997004173 A KR 1019997004173A KR 19997004173 A KR19997004173 A KR 19997004173A KR 100574438 B1 KR100574438 B1 KR 10057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tape
data
area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961A (ko
Inventor
다카야마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2Tap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discontinuous data, e.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computer programme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데이터가 기입되는 복수의 파티션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P1, P2, P3…)를, 자기테이프의 시단(BOT)측보다 종단(EOT)측으로 향해서 상승하여야할 순으로서,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는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여, 분할부보다 후편을 신규파티션으로 하고, 거기까지의 파티션번호의 최대번호(Pn)에서 하나를 증가한 번호(Pn+1)의 파티션으로 하여, 파티션의 추가나 삭제가 자유로이 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Tape cassette and tape recorder}
본 발명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카세트에 수납하여 구성된 테이프카세트 및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테이프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기록/재생할 수 있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로서, 소위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tape streaming drive)가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는, 미디아인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 길이에도 의하는바, 예를 들면 수십∼수백기가바이트 정도의 팽대한 기록용량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이 때문에 컴퓨터 본체의 하드디스크 등의 미디아에 기록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등의 용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데이터 사이즈가 큰 화상데이터 등의 보존에 이용할 경우에도 가장 적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로서, 예를 들면 8미리 VTR용의 테이프카세트를 기록매체로서, 회전헤드에 의한 헬리컬스캔방식을 채용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8미리 VTR의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한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는, 기록/재생데이터의 입출력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컴퓨터에서 공급되는 데이터가 SCSI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다. 이 입력데이터는 예를 들면 소정의 고정길이의 데이터군 단위로 전송되어 오는 것으로 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필요가 있으면 소정방식에 의한 압축처리가 시행되어서, 일단 버퍼메모리에 축적된다. 그리고, 버퍼메모리에 축적된 데이터는 소정의 그룹이라고 하는 고정길이의 단위마다 기록/재생계에 대하여 공급되어서 회전헤드에 의해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 기록이 행하여진다.
또 재생시라면 자기테이프의 데이터가 회전헤드에 의해 독출되고, 일단 버퍼메모리에 축적된다. 이 버퍼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는, 기록시에 압축이 시행된 것이라면 신장처리가 시행되어서, SCSI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호스트컴퓨터에 전송된다.
또, 자기테이프상의 데이터기록영역은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을 형성하고, 여기에 데이터의 재생이나 기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과 같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와 테이프카세트로 이루는 데이터스트레이지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 대한 기록/재생동작을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가 기록/재생동작 등의 관리에 이용하는 관리정보 등으로서, 자기테이프상에 있어서의 각종 위치정보나 자기테이프에 대한 사용이력 등에 관련하는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 정보 외에는, 최후에 사용된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 등도 포함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이와 같은 관리정보를, 자기테이프와는 별도로 메모리칩 등의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놓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 기억수단은 테이프카세트의 외면부분 등에 부착된다.
그리고,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측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기억수단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관리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관리정보에 의거해서 이후의 기록/재생동작이 적정하게 행하여지도록 각종 처리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이 종료된 후는, 이 기록/재생동작에 수반해서 변경이 필요로 된 관리정보의 내용을 고쳐쓰기 위해, 재차 기억수단에 액세스하여 정보내용의 고쳐쓰기를 행하고, 다음의 기록/재생동작에 갖추도록 된다.
이 후에,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의해, 테이프카세트의 언로딩 및 이젝트 등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런데, 상술과 같이하여 자기테이프상에 복수의 파티션을 형성하는 데이터 기록영역에 대하여 기록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이들 파티션에 부착되는 번호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BOT)에서 종단(EOT)으로 향해서, 하강하여야 할 순으로 되어 있다. 가령, 8개의 파티션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면, 파티션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에서 P7, P6, P5, P4, P3, P2, P1, P0이 된다. 이것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최초의 파티션번호에서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총수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파티션번호가 하강하여야 할 순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최후의 파티션을 삭제, 즉, 최후의 파티션을 그 직전의 파티션에 머지한 경우에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최초의 파티션번호에서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총수를 유추하는 것이 할 수 없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데이터스트리머 시스템에 있어서는, 파티션은 삭제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따라서 최종의 파티션을 제외한 전체의 파티션에 대해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미리 프리포맷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이 프리포맷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행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데이터용량이 증가할 수록, 필요한 시간이 증대한다. 예를 들면 연속전송레이트가 2Mbyte/sec이라고 하면, 데이터용량이 20Gbyte의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대해서 10000초 이상 즉, 약 3시간 정도를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해서 제안되는 것이며, 파티션의 삭제나 추가가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총수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고, 또한 프리포맷이 불필하게된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카세트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을 가지며, 이들 파티션의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해서 상승하여야 할 순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기억수단은 적어도 상기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기록매체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에 분할되어 각각의 파티션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는 테이프카세트의,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형 기록장치이며,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부속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기록데이터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얻어진 부속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데이터를 기록하였을 때에 새로이 생기는 부속정보를 발생하는 부속정보 발생수단과, 상기 부속정보 발생수단이 발생한 새로운 부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고, 이 분할부보다 후편의 파티션에 대하여, 분할되기 전에 상기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번호에서 인크리먼트한 번호를 부착하도록 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해서 상승하여야 할 순으로 상기 파티션에 파티션번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수단은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놓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사용이력정보가 기록되는 시스템영역과, 상기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영역과, 그 데이터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 최종의 파티션에 포함되는 EOD영역이 발견되기까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보내고, 발견된 EOD영역의 뒤에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영역과, 추가되는 파티션의 시스템영역 및 EOD영역을 계속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서 전회의 언로드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로딩된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상기 디바이스영역과 상기 언로드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만,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사용이력정보가 기록되는 시스템영역과, 상기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영역과, 그 데이터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 현재위치의 파티션에 포함되는 EOD영역의 위치까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보내고,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영역사이즈에 대응한 확장데이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EOD영역 및 테이프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 하기 위한 디바이스영역과, 추가되는 파티션의 시스템영역 및 EOD영역을 계속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확장데이터영역으로서 EOD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수단은 추가된 파티션을 포함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각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의 번호가 기억되도록 상기 부속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기록장치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으로 분할되고, 최종의 파티션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종단에 까지 걸쳐져 있고, 각각의 파티션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의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기록장치이며, 상기 기억수단에서 부속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얻어진 부속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소거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소거하였을 때에 부속정보를 갱신하는 부속정보 갱신수단과, 상기 부속정보 갱신수단이 갱신한 새로운 부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삭제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파티션이 현재 사용중의 파티션 이후의 파티션이며, 또한 지정된 파티션이 최종의 파티션이 아닌 경우에 한해서, 지정된 파티션보다도 후편의 파티션을 삭제하고, 지정된 파티션을 최종의 파티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속정보는 테이프 형 기록매체에 형성된 각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나타내는 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속정보 갱신수단은 파티션의 삭제에 수반해서 상기 번호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해서 상승하여야 할 순으로 상기 파티션번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카세트의 상면측 및 정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상면측 및 배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저면측 및 정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리드가 덮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테이프 스트리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블록도이다.
도 6a은 상기 테이프 스트리머장치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이 되는 자기테이프의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구성도이다.
도 6b는 상기 자기테이프에 있어서의 1개의 파티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자기테이프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으로서, 그 파티션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상기 자기테이프상에 있어서 복수의 트랙으로 이루는 1그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상기 자기테이프상에 있어서의 1트랙을 구성하는 블록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상기 자기테이프상에 있어서의 1트랙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테이프 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1트랙분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1단위 40트랙분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자기테이프의 ID영역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1트랙상의 피지컬 블록어드레스번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자기테이프의 ID영역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ID영역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영역ID의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의 파티션번호의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파티션을 추가할 때의 파티션번호의 부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파티션을 추가하기 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파티션을 추가하였을 때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대해서 파티션을 추기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데이터영역을 확대하기 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데이터영역을 확대하였을 때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대해서 데이터영역을 확대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파티션을 삭제하기 전의 파티션의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파티션을 삭제하였을 때의 파티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의 파티션번호의 순서의 다른 형태를 나 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의 파티션번호의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MIC에 기억된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MIC의 볼륨인포메이션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어펜드 파티션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디리트 파티션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과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이 어느 것이나 최종 파티션인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a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과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이 어느 것이나 최종 파티션의 하나 전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b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과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이 어느 것이나 최종 파티션의 하나 앞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a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과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이 어느 것이나 선두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b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과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이 어느 것이나 선두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a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이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보다도 앞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b는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이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보다도 앞의 파티션인 경우의 처리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이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파티션보다도 뒤의 파티션인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테이프카세트가 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디리트 파티션커맨드가 발행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가 설치된 테이프카세트 및 이 메모리 부착된 테이프카세트에 대응하여 디지털데이터의 기록/재생화가 가능하게 되는 데이터스트리머 드라이브에 대한 발명이 각종 제안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는 이들 메모리부착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로 이루는 데이터스트레이지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이후는 테이프카세트에 갖춰진 불휘발성 메모리를 MIC(Memory IN Cassette)라고 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테이프카세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테이프카세트(1)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 얕은 접시형으로 형성된 상하 한쌍의 상하프(2)와 하하프(3)와를, 서로의 개구측을 맞붙이도록 하여 조합시킨 후, 복수의 멈춤나사에 의해 결합하여 대략 상자형의 카트리지 본체(4)를 구성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 본체(4)에는, 그 내부에 긴쪽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테이프형 기록매체인 자기테이프(12)를 걸어맞춘 테이프공급릴(5)과 테이프권취릴(6)이 회전자재로 수납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를 구성하는 상하프(2)의 천정면에 직사각형의 표시창(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본체(4)의 내부에 수납한 테이프공급릴(5)과 테이프권취릴(6)에 두루감겨진 자기테이프(12)의 상태를 외부에서 목시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카트리지 본체(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를 구성하는 하하프(3)에 테이프공급릴(5)과 테이프권취릴(6)의 허브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테이프공급릴(5)과 테이프권취릴(6)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하프끼워맞춤구멍(11A, 1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하프(3)의 저면부에는 자기테이프(12)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길이 검출구멍, 혹은 자기테이프(12)의 종별을 식별하는 테이프사양 식별구멍 등의 여러종류의 식별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공급릴(5) 및 테이프권취릴(6)은, 자기테이프(12)가 두루감겨지는 원통형의 허브부와, 이 허브부의 한편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플랜지부로 구성된다. 이들 테이프공급릴(5) 및 테이프권취릴(6)은, 허브부가 각각 허브끼워맞춤구멍(11A, 11B)에 끼어맞춰짐으로써, 카트리지 본체(4)내에 회전자재로 수납된다. 또 테이프공급릴(5) 및 테이프권취릴(6)은, 허브부의 회전중심부가 도시하지 않은 릴 누름스프링 및 릴 누름판에 의해 하하프(3)측에 가세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4)내에서의 덜컹거림이 방지되고 있다.
자기테이프(12)는, 이들 테이프공급릴(5) 및 테이프권취릴(6)의 허브부에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에 의해 각각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테이프공급릴(5)에서 인출된 후에 하하프(3)에 일체로 형성한 테이프가이드(13A, 13B)에 가이드 되어서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14)에 따라서 주행하고, 테이프권취릴(6)에 권취된다.
카트리지 본체(4)는, 그 전면부(14)가 폭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개방되는 동시에, 이 전면부(14)에서 연속하여 기록재생부(130)측의 로딩수단이 진입하는 공간인 테이프인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는 테이프공급릴(5) 및 테이프권취릴(6)이 회전자재로 수납되는 내부공간과 테이프인출부(15)와의 사이가 격벽(1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에는, 개방된 전면부(14)를 폐색하는 덮개부재(8)가 회전자재로 짜맞추어져 있다. 덮개부재(8)는 카트리지 본체(8)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고, 양단측에는 상대향하여 지지점부를 구성하는 측벽부(9A, 9B)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전체가 개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9A, 9B)의 내면에는 축선을 일치시켜서 핀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 본체(4)측에는, 개방된 전면부(14)를 둘러싸는 것같이 하여 하하프(3)측의 양측벽이 돌출연장됨으로써, 지지점부(15A, 15B)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지지점부(15A, 15B)에는, 덮개부재(8)의 핀축에 대응하여 축구멍이 각각 축선을 일치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재(8)는 핀축을 축구멍에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14)에 회동자재로 조합된다. 덮개부재(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카트리지 본체(4)의 개방된 전면부(14)를 폐색하고 있다.
덮개부재(8)에는, 상하프(2)의 전편 개방부분을 폐색하는 상덮개부재(10) 및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부재와가 맞붙어져 있다. 상덮개부재(10)는 덮개부재(8)의 내면에 회동자재로 맞붙어져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8)가 회동동작하여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1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재(8)에 지지되어서 회동동작하면서 상하프(2)의 상면부에 따라서 이동동작한다. 이 경우, 스프링부재는 상세를 생략하지만, 탄성력이 축세되어서 덮개부재(8)에 대하여 카트리지 본체(15)의 전면부(14)를 폐색하는 방향의 회동습성을 부여한다.
또, 덮개부재(8)에는 상세를 생략하지만, 내측주면과 대향하도록 하여 내덮개부재가 회동자재로 맞붙어져 있다. 이 내덮개부재는, 통상 덮개부재(8)의 내측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향지지되어 있고, 이 간극중에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14)에 위치하는 자기테이프(12)가 배치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12)는 통상 덮개부재(8)와 내덮개부재에 의해 덮혀지고, 진애 등의 부착 혹은 외력에서 보호되어 있다. 내덮개부재는, 상술한 덮개부재(8)의 회동동작과 연동하여 회동동작하고, 자기테이프(12)를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14)에 노정시킨다.
자기테이프(12)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 된 파티션이 형성되고, 이들 파티션의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된다.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BOT)측에서 종단(EOT)측으로 향해서 상승하여야 할 순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자기테이프(12)의 시단에서 시작하는 파티션의 번호가 P0이고, 자기테이프(12)의 종단측으로 향해서 순차 P1, P2, P3, P4, P5, P6, P7, 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이 형성되어 있다. 최대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은, 자기테이프(12)의 종단까지에 걸쳐져 있다.
또, 이 테이프카세트(1)에는 기억수단이 되는 보조기억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보조기억장치는 적어도 배선기판과, 이 배선기판에 실장된 불휘발성 메모리(MIC)(Memory In Cassette)와, 이 MIC의 입출력단자가 되는 배선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단자(24)로 구성되어 있다.
MIC는, 기억소자와 기록시에 접점단자(24) 및 후술의 커넥터를 거쳐서 당해 MIC에 접속되는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의 기입/독출제어부(163)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접점단자(24)의 접점수를 기억소자의 데이터선, 어드레스선의 수 및 전원공급용의 배선수의 합계보다 적은 수로 한 경우에는, MIC와 기입/독출제어부(163)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은, 시리얼통신에 의해 행한다. 이 경우, 입출력제어부와 기입/독출제어부(163)에 각각 통신제어부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MIC와 기입/독출제어부(163)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시리얼통신으로 한 경우에는, 접점단자(24)의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접점단자(24)의 면 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카세트(1)에 형성하는 단자개구부(21)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카세트(1)의 다른 구성부재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접점단자(24)의 접점수를 기억소자의 데이터선, 어드레스선의 수 및 전원공급용의 배선수의 합계 이상의 수로 한 경우에는, 기입/독출제어부(163)가 MIC의 기억소자에 대한 기입, 독출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제어부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기에, 기억소자에 대한 기입, 독출을 고속화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는, 예를 들면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 자기테이프사양 혹은 사용상황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배선기판은 소위 양면기판으로서 구성되고, 후술하는 것같이 카트리지 본체(4)에 맞붙어진 상태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는 한편의 주면측에 MIC가 실장되는 동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타편의 주면측에 접점단자(24)가 인쇄형성되어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의 배면측의 일편의 코너부에 위치하여 상승 주벽(18)에 설치된 단자개구부(21)를 거쳐서 접점단자(24)가 외편으로 면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 단자개구부(21)는, 상승 주벽(18)에 보조기억장치의 접점단자(24)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데 족한 개구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MIC를 내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접점단자(24)를 단자개구부(21)에서 외편으로 면하게 하도록 하고, 끼워넣는 홈에 배선기판의 양측연을 끼워맞춰서 카트리지 본체(4)에 맞붙어진다. 접점단자(24)와 단자개구부(21)와의 사이에는, 셔터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부재(20)는 단자개구부(21)를 폐색하기에 족한 외형형태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셔터부재(20)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하프(3)의 저면부측에 가세되어 있고, 통상 단자개구부(21)를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는 적어도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MIC의 데이터구조에 대해서 도 2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 MIC용량은 2MB(메가바이트)로 되어 있고, 이 영역에 대하여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드(FL1 내지 FL6)가 설정되어 있다. 이들 필드(FL1 내지 FL6)에 있어서, 필드(FL1)는 MIC헤더(HEADER)로 되어서, 테이프카세트의 제조시의 각종정보 및 초기화시의 테이프정보나 파티션마다의 정보 등이 기입된다.
또 필드(FL2)는, 앱솔루트볼륨맵(Absolute Volume Map)으로 되어서, 예를 들면 한권의 자기테이프에 대하여 기록된 데이터에 절대위치정보가 격납된다.
필드(FL3)는 볼륨인포메이션(Volume Information)으로 되어서, 한권의 자기테이프에 관한 각종 사용이력정보가 격납된다. 이들의 영역에 격납된 정보는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의 기록/재생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이 볼륨인포메이션에 기술되는 데이터내용예를 도 28에 나타낸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바이트의 이젝트스테이터스(Eject Status), 4바이트의 릴경(Reel Diameter), 3바이트의 이니셔라이즈 카운트(Initialize Count), 2바이트의 로우포맷ID(Raw Fomat ID), 1비트의 DDS모드(DDS Mode), 1비트의 ULPBOT, 2비트의 시스템로그어라이브(Sys Log Alive), 1바이트의 라스트파티션번호(Last Partition Namber), 그리고 디바이스영역 맵(Device Area Map)이 기술된다.
이들중, 이젝트스테이터스 및 릴경으로서, 테이프카세트가 언로드된 위치로서의 정보(릴경으로서의 위치정보)가 기술된다.
또, DDS모드는 노멀모드와 멀티파티션모드의 별개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DDS모드=「0」은 노멀모드, DDS모드=「1」는 멀티파티션모드를 나타낸다.
ULPBOT는 로드/언로드의 허가상황을 나타낸다. ULPBOT=「0」일 때는, 디바이스영역이나 옵셔널디바이스영역에서의 로드/언로드, 즉 파티션단위로의 로드/언로드가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한편, ULPBOT=「1」는, 로드/언로드가 테이프톱에서의 디바이스영역만으로 행하여야 할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시스템로그 어라이브는, 시스템로그정보에 대한 기록이 테이프상과 MIC상에서 행하여지는 상황을 나타낸다. 즉, 시스템로그 어라이브=「0」의 경우는, 시스템로그정보가 자기테이프상에 존재하고, 한편 시스템로그 어라이브=「11」의 경우는 시스템로그정보가 자기테이프와 MIC의 양편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라스트파티션번호는, 형성되어 있는 최후의 파티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디바이스영역맵은, 자기테이프상의 디바이스영역(및 옵셔널디바이스영역)의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볼륨인포메이션으로서의 필드(FL3)에 이어지는 필드(FL4)는, 사 용자볼륨노트(User Volume Note)로 되고, 테이프카세트 자체에 관하여 사용자(벤더등)가 제공한 정보가 격납되고, 필요가 있으면 외부의 호스트컴퓨터에 공급되어서, 소요의 처리제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필드(FL5)는 파티션인포메이션(Partitions Information)으로 되고, 자기테이프에 대하여 기입된 파티션마다의 자기테이프에 대한 사용이력에 관한 각종 정보가 격납되고,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가 자신의 기록/재생동작의 관리를 위한 정보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된다. 이 파티션인포메이션은, 시스템로그영역(FL5a)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시스템로그영역(FL5a)은, 자기테이프상에 실제로 기록된 파티션마다 대응하여 작성되는 것에서, 시스템로그영역(FL5a)의 테이블 수는 자기테이프에 설치된 파티션 수에 대응하게 된다.
이 시스템로그영역(FL5a)은, 자기테이프(3)에 기록된 개개의 파티션에 대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자기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파티션이 복수의 경우에는, 시스템로그영역(FL5a)은 파티션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게 되는바, 가령 파티션이 1개라면 시스템로그영역(FL5a)의 정보는 자기테이프 전체에 관한 것으로 된다.
필드(FL5)에 계속되는 필드(FL6)는, 사용자파티션노트(User Partition Notes)로 되고, 파티션마다 사용자가 기입 가능한 코멘트 등의 각종 정보가 격납된다. 이 필드(FL6)의 사용자 파티션노트는,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 파티션마다에 대응하여 작성되는 사용자데이터영역(User Date for every Partition)(FL6a)에 의해 형성된다.
그런데, 자기테이프상에 있어서는 파티션마다의 선두에 시스템영역이 설치된다. 이 자기테이프상에 설치되는 시스템영역에는, MIC의 데이터내용과 동일의 정보내용이 기록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필드(FL3)의 볼륨인포메이션이나 시스템로그영역(FL5a)과 동일한 정보내용이 기록된다. 즉, 이 실시형태의 데이터스트레이지 시스템에 있어서는, 시스템정보를 격납가능한 영역이 MIC와 자기테이프와의 양편에 대하여 설치되게 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기록장치의 실시형태로 되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는, 외부와의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제어기(100)와, 이 인터페이스제어기(100)를 거쳐서 입력된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실시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록데이터처리계(120)와, 이 기록데이터처리계(120)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동시에, 자기테이프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130)를 갖추고 있다. 또,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는, 상기 기록재생부(130)로부터의 재생출력에 신호처리를 실시하고,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데이터처리계(140)와, 기록재생부(130)의 데이터주행계를 제어하는 트래킹제어계(150)와,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기록데이터관리부(160)와를 갖추고 있다.
또,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 이용하는 테이프카세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자기테이프에 기록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나 시스템로그를 기억하는 보조기억장치로서 MIC(Memory In Cassette)(11)를 갖추고 있 다.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 인테페이스제어기(100)는 소위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로 이루고, 외부의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데이터처리계(120)에 공급하는 동시에, 재생데이터처리계(140)에 의해 재생된 기록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에 공급한다.
이 데이터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기록시에는 호스트컴퓨터(200)에서 후술하는 고정길이의 레코드(record)라고 하는 전송데이터단위에 의해 SCSI인터페이스(100)를 거쳐서 순차 데이터가 입력되고, 압축회로(110)에 공급된다. 또한, 이와 같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시스템에 있어서는, 가변길이의 데이터의 집합단위에 의해 호스트컴퓨터(200)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모드도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호스트컴퓨터(200)에는 키보드(201) 등이 접속되어 있다.
압축회로(110)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가 있으면 소정방식에 의해 압축처리를 시행하도록 된다. 압축방식의 일로서, 예를 들면 LZ부호에 의한 압축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라면, 이 방식에서는 과거에 처리한 문자열에 대하여 전용의 코드가 분할 부여되어서 사전의 형태로 격납된다. 그리고,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열과 사전의 내용과가 비교되어서, 입력데이터의 문자열이 서전의 코드와 일치하면 이 문자열데이터를 사전의 코드로 치환하도록 하여 간다. 사전과 일치하지 않은 입력문자열의 데이터는 순차 새로운 코드가 부여되어서 사전에 등록되어 간다. 이와 같이하여 입력문자열의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하고, 문자열데이터를 사전의 코드로 치환하여 감으로서 데이터압축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 기록데이터처리계(120)는 인터페이스제어기(100)를 거쳐서 공급된 기록데이터에 인터페이스정보를 부가하는 인터페이스부가부(121)와, 서브코드를 발생하는 서브코드발생부(122)와, 인덱스부가부(121)로부터의 기록데이터를 오류정정부호화하는 오류정정부호생성부(123)와, 오류정정부호화한 기록데이터에 서브코드 발생부(122)로부터의 서브코드 및 블록어드레스를 부가하는 서브코드부가부(124)를 갖추고 있다.
서브코드발생부(122)는 제 1 및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A, 122B)와 시스템로그 생성부(122C)로 이룬다. 또, 오류정정부호 생성부(123)는 메모리(149), C1인코더(123A), C2인코더(123B) 및 C3인코더(123C)로 이룬다.
또, 이 기록데이터처리계(120)는, 서브코드부가부(124)로부터의 기록데이터에 헤더패리티를 부가하는 헤더패리티부가부(125)와, 이 헤더패리티부가부(125)에서 공급되는 기록데이터를 8/10변조(Eight to Ten Moduration)하는 8/10변조부(126)와, 이 8/10변조부(126)에서 공급되는 기록데이터에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부(127)와, 이 동기신호부가부(127)에서 공급되는 기록데이터에 트래킹제어용의 AFT(Automatic Track Following)용 파이롯신호를 부가하는 파이롯신호부가부(128)와, 이 파이롯신호부가부(128)에서 공급되는 기록데이터를 증폭하는 앰프(129)와를 갖추고 있다.
또, 기록재생부(130)는 각각 아디머스각이 다른 2개의 기록용의 자기헤드(Hw1, Hw2)와, 각각 아디머스각이 다른 2개의 재생용의 자기헤드(Hr1, Hr2)와를 자기테이프(12)에 대하여 경사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드럼(131)을 갖추고 있다. 이들의 2쌍의 자기헤드(Hw1, Hw2, Hr1, Hr2)는, 각각 회전드럼(131)의 원주방향으로 근접하여, 회전드럼(131)의 축방향(즉, 트랙폭방향)으로 트랙피치(Tp)분의 간격을 가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재생데이터계(140)는, 기록재생부(130)에서 공급되는 자기테이프(12)의 경사트랙의 재생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141)와, 이 증폭기(141)에서 공급되는 재생출력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재생출력을 2치화한 후 시간축보정을 행하여 출력하는 동기신호검출부(142)와, 이 동기신호검출부(142)로부터의 2치화된 재생데이터를 8/10복조(Eight to Ten Demoduration)하는 8/10복조부(143)와, 이 8/10복조부(143)로부터의 재생데이터의 헤더패리티를 체크하는 헤더패리티 체크부(144)와를 갖추고 있다.
또, 헤더패리티 체크부(144)로부터의 재생데이터에서 서브코드를 분리하는 서브코드분리부(145)와, 이 서브코드분리부(145)로부터의 서브코드가 분리된 재생데이터에 오류정정처리를 행하는 오류정정처리부(146)와, 이 오류정정처리부(146)에 의해 오류정정된 재생데이터에서 인덱스를 분리하는 인덱스분리부(147)를 갖추고 있다. 오류정정처리부(146)는 메모리(149), C1디코더(146A), C2디코더 (146B) 및 C3디코더(146C)로 이룬다.
또, 트래킹제어계(150)는, 기록재생부(130)에서 회전드럼(131)의 회전에 따라서 PG펄스가 공급되는 PG검출부(151)와, 이 PG검출부(151)의 검출출력에서 속도에러를 검출하는 속도에러검출부(152)와, 기록재생부(130)의 재생출력에서 ATF용 파이롯신호를 검출하는 파이롯신호검출부(153)와, 속도에러검출부(152)와 파이롯신호검출부(153)의 각 검출출력을 가산하는 가산부(154)와, 이 가산부(154)의 가산출력에 의거하여 트래킹서보신호를 발생하는 트래킹서보회로(155)와, 이 트래킹서보신호에 의거하여 기록재생부(130)의 테이프주행계를 제어하는 캡스턴구동회로(156)를 갖추고 있다.
또, 기록데이터관리부(160)는,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관리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제어기(161)와, 식별정보를 유지하는 RAM(162)과, 기록재생부(130)를 거쳐서 RAM(162)에 대한 기입 및 독출 등을 제어하는 기입/독출제어부(163)를 갖추고 있다.
시스템제어기(161)는, 식별정보로서 자기테이프 상에 설치된 파티션 및 자기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등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로그 등을 RAM(162)에 기입한다. 그리고 기입/독출제어부(163)는, RAM(162)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로그를 독출하여, 기록재생부(130)를 거쳐서 MIC(25)에 공급하는 동시에, MIC(25)에서 독출한 시스템로그를 RAM(162)에 기입한다.
신장회로(170)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의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시에 압축회로(110)에 의해 압축이 실시된 데이터이면 여기서 데이터신장처리를 행하고, 비압축데이터이면 신장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패스하여 출력된다.
신장회로(170)의 출력데이터는, SCSI인터페이스(100)를 거쳐서 재생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200)에 출력된다.
또, 이 도 5에는 테이프카세트(1)에 설치된 MIC(25)가 표시되어 있다. 이 MIC(25)는 테이프카세트 본체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장전되면, 단자핀 등을 거쳐서 시스템제어기(161)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또, MIC(25)와 외부의 호스트컴퓨터(200)사이는, SCSI의 커맨더를 이용하여 정보의 상호전송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특히 MIC(25)와 호스트컴퓨터(200)와의 사이에 전용의 라인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결과적으로 테이프카세트와 호스트컴퓨터(200)와의 데이터의 수도는, SCSI인터페이스 제어기(100)만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이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서는, 기록을 행할 때에 인터페이스제어기(100)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기록데이터가 공급된다. 인터페이스제어기(100)는 버스(105)를 거쳐서 기록데이터가 공급되면, 이 공급된 기록데이터를 인덱스부가부(121)와 서브코드발생부(122)에 공급한다.
인덱스부가부(121)는 인터페이스제어기(100)에서 기록데이터가 공급되면, 이 공급된 기록데이터에 상술의 40트랙, 즉 20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1단위마다 1연의 기록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정보를 부가하여 오류정정생성부(123)에 공급한다.
오류정정생성부(123)는, 인덱스부가부(121)에서 공급된 기록데이터를 1단위마다 메모리(149)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C3인코더(123C)는 메모리(149)에 기억된 1단위마다의 기록데이터에 대하여, 상술의 트랙폭방향으로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부호(C3)를 생성하고, 이 에러정정부호(C3)를 1단위 40트랙의 최종의 트랙에 할당한다. 또 C2인코더(123B)는, 상술의 트랙폭방향으로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부호(C2)를 생성하고, 이 에러정정부호(C2)를 분할하여 각 트랙의 데이터영역의 양단부분으로 할당한다. 또한 C1인코더(123A)는, 상술의 각 블록마다의 오류정정부호(C1)를 생성한다.
한편, 서브코드발생부(122)의 제 1서브코드 발생부(122A)는, 인터페이스제어기(100)를 거쳐서 입력된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데이터의 구분을 나타내는 구분정보인 세퍼레이터카운트나 기록수를 나타내는 레코드카운트 등을 발생한다. 또, 제 2서브코드 발생부(122B)는, 테이프포맷 상에서 정의된 각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ID, 프레임번호, 기록단위수를 나타내는 그룹카운트나 체크섬 등을 블록어드레스와 함께 발생한다. 또한 시스템로그생성부(122C)는, 테이프포맷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각 파티션마다의 시스템로그(이력정보)를 생성한다.
또, 서브코드부가부(124)는, 오류정정부호 생성부(123)에 의해 오류정정부호(C3, C2, C1)가 부가된 기록데이터에 서브코드발생부(122)에서 공급되는 서브코드 및 블록어드레스를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서브코드 및 블록어드레스를 상술의 각 블록의 서브코드영역(제 2구간)에 할당한다. 또 서브코드부가부(124)는, 제 1서브코드발생부(122A)에 의해 발생한 카운트값,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의해 발생한 영역ID, 그룹카운트, 체크섬 등으로 서브데이터를 구성하고, 각 블록의 서브코드영역(제 2구간)에 할당한다.
헤더패리티부가부(125)는, 서브코드부가부(124)에 의해 기록데이터에 부가된 서브코드 및 블록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검출은 위한 2바이트패리티를 생성하고, 이 2바이트패리티를 기록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2바이트패리티를 상술의 각 블록의 제 3구간에 할당한다.
8/10변조부(126)는, 헤더패리티부가부(125)에 의해 헤더패리티 및 블록어드레스가 부가된 메인데이터영역의 기록데이터와 2개의 서브영역의 각 블록의 기록데이터를 1바이트단위로 8비트를 10비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신호의 직류레벨을 대략 0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 동기신호부가부(127)는, 8/10변조부(126)에 의해 10비트데이터로 변환된 기록데이터에 1블록마다 동기신호를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동기신호를 상술의 각 블록의 제 1구간에 할당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한 기록데이터를 파이롯신호부가부(128)에 공급한다.
파이롯신호부가부(128)는, ATF용 파이롯신호를 발생하고, 이 ATF용 파이롯신호를 기록데이터에 부가하여, 증폭기(129)를 거쳐서 자기헤드(Hw1, Hw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헤드(Hw1, Hw2)가 자기테이프 상을 주사하여 기록을 행하고, 자기테이프 상에는 소정의 포맷으로 기록트랙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과 같은 기록에 앞서서, 자기테이프(12) 상에는 미리 파티션이 작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스템제어기(161)는 자기테이프에 파티션을 작성한 후, 파티션의 수, 각 파티션의 개시위치 등을 나타내는 파티션의 관리정보를 작성하여 RAM(162)에 기입한다.
또 시스템제어기(161)는, 파티션내에 디렉토리가 작성, 삭제, 변경된 경우, 혹은 디렉토리내에 파일이 기록, 삭제, 변경된 경우 등에 RAM(162)에서 개개의 파일의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기록 등에 따라서 변경한 후, RAM(162)에 기입한다. 또한 시스템제어기(161)는 파일의 기록, 삭제, 변경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RAM(162)에서 개개의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독출하고, 파일의 새로운 기록위치에 따라서 변경한 후, RAM(162)에 기입한다.
그리고, 기입/독출제어부(163)는, RAM(162)에 기억되어 있는 각 파티션의 관리정보, 개개의 파일의 식별정보, 개개의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경신되면, 기록재생부(130)의 커넥터(137), 접점단자(24)를 거쳐서 MIC(25)로 경신된 각 파티션의 관리정보를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12)에 파일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시에, MIC(25)로 자기테이프(12)에 기록한 개개의 파일의 식별정보 등이 기록된다.
또, 데이터를 복수의 테이프카세트(1)에 걸쳐서 기록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제어기(161)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모든 테이프카세트(1)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각각의 테이프카세트(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각각의 테이프카세트(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발생하고, 기입/독출제어부(163)가 이들의 식별정보를 RAM(162)에 기억한다.
또,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는, 상술과 같이 기록이 행해진 자기테이프를 재생할 때에, 테이프카세트(1)가 기록재생부(130)에 장착되면, 단자개구부(21)에서 접점단자(24)가 노출하고, 노출한 접점단자(24)가 커넥터(137)를 거쳐서 기입/독출제어부(163)에 접속된다.
그리고, 기입/독출제어부(163)는 커넥터(137), 접점단자(24)를 거쳐서 MIC(25)에서 상술의 관리정보, 개개의 파일의 식별정보, 개개의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독출하여 RAM(162)에 기입한다.
한편, 기록재생부(130)는 시스템제어기(161)에서 자기테이프(12)의 재생이 지시되면, 회전드럼(131)의 회전수가 기록시와 같게되도록 회전드럼(131)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자기테이프(12)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자기테이프(12)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재생용의 기록헤드(Hr1, Hr2)는, 기록트랙의 주사에 따른 재생출력을 앰프(41)를 거쳐서 동기신호검출부(142)에 공급한다. 동기신호검출부(142)는 공급되는 재생출력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이 동기신호에 동기한 클럭에 의해 재생출력을 2치화하고, 재생데이터를 생성하여 8/10복조부(143)에 공급한다.
8/10복조부(143)는, 동기신호검출부(142)로부터의 재생데이터를 10비트데이터에서 8비트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더패리티 체크부(144)에 공급한다. 헤더패리티 체크부(144)는, 상술의 2바이트의 헤더패리티를 이용하여 서브코드 및 블록어드레스의 패리티체크를 행한다. 그리고 서브코드분리부(145)는, 헤더패리티 체크부(144)에 의해 패리티체크된 바른 서브코드를 재생데이터에서 분리하여, 시스템제어기(161)에 의해 서브코드를 분리한 재생데이터를 메모리(149)에 공급한다.
메모리(149)는, 40트랙 즉 20프레임분의 재생데이터를 1단위로서, 인덱스정보가 부가된 재생데이터를 1단위마다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C1디코더(146A)는, 메모리(149)에 기억된 1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에 의거하여, 상술의 각 블록마다 부가되어 있는 오류정정부호(C1)를 이용하여, 각 블록의 재생데이터에 오류정정처리를 실시한다.
또 C2디코더(146B)는, C1디코더(146A)에 의해 오류정정처리기 실시된 1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에 대하여, 상술의 각 트랙의 재생데이터영역의 양단부분에 부가되어 있는 에러정정부호(C2)를 이용하여, 트랙방향으로 대응하는 데이터열에 에러정정처리를 실시한다. 다시 C3디코더(146C)는, C2디코더(146B)에 의해 오류정정처리기 실시된 1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에 대하여, 상술의 1단위 40트랙의 최종의 2트랙으로 할당되어 있는 에러정정부호(C3)를 이용하여, 트랙폭방향으로 대응하는 데이터열에 에러정정처리를 실시한다.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는, 이와 같이 에러정정부호(C1, C2, C3)를 이용하여 재생데이터에 에러정정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히 재생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고, 재생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덱스분리부(147)는, 상술과 같이 에러정정처리부(146)에 의해 에러정정처리가 실시된 1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에서, 인덱스정보를 분리하여 시스템제어기(161)에 공급하고, 인덱스정보를 분리한 재생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제어기(1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기(100)는, 인덱스분리부(147)로부터의 재생데이터를 버스(105)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호스트컴퓨터(200)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 6a 및 도 6b는,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는 1개의 자기테이프(12)가 모식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자기테이프(3)를 파티션(Partition) 단위로 분할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테이프선두로부터의 디바이스영역(DA)에 계속하여 최초의 파티션(Po)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파티션의 분할수에 따라서 파티션(P1, P2, P3 …)의 순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경우에는 최대 256의 파티션수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도 6a에 나타내는 각 파티션(P1, P2, P3 …)의 첨자, 즉 파티션(Po)의 n은 파티션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티션마다 각각 독립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나의 파티션(Po)(n=0, 1, 2, …)의 개략구성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영역(SYS)(이하, SYS라고 기재한다)과, 데이터영역(DATA)(이하, DATA라고 기재한다)와, 엔드오프데이터(EOD)(이하, EOD라고 기재한다)와, 옵셔널디바이스영역(ODA)(이하, ODA라고 기재한다)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자기테이프의 기록데이터의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 7의 테이프의 물리적인 선두위치(PBOT)(Phisycal Begining of Tape)에서 최초의 파티션(Po)의 개시위치(LBOT)(Logical Begining of Tape)까지의 사이에는, 테이프카세트의 로딩/언로딩을 행하는 영역이 되는 디바이스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영역에 이어서 테이프의 사용이력정보 등이 격납되는 시스템·영역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후에 데이터영역이 설치된다. 시스템·영역의 선두가 논리적테이프의 개시위치(LBOT)(Logical Begining of Tape)가 된다.
이 데이터영역에 있어서는, 최초로 데이터를 작성하여 공급하는 벤더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벤더그룹이 설치되고, 계속하여 데이터영역, 그리고 앰블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영역에 이어서, 당해 파티션의 데이터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End of Data)의 영역이 설치된다. 그리고 EOD의 최후가 논리적테이프의 종료위치(LEOT)(Logical End of Tape)가 된다. PEOT(Phisycal End of Tape)는, 물리적테이프의 종단위치, 또는 파티션의 물리적 종단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논리적테이프의 종료위치(LEOT)와 파티션의 종단위치로 된 경우의 물리적테이프의 종단위치(PEOT)와의 사이에는, 옵션디바이스영역(Option Device Area;ODA)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테이프(12) 상에는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헤드에 의해 경사진 기록트랙이 순차 기록형성되고, 40트랙(=20프레임)을 1그룹으로 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하나의 파티션을 형성하고 있다. 즉, 하나의 파티션 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단위가 그룹으로 되고, 이 1그룹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프레임(=40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1트랙은,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구조의 블록(Block)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 블록이 471블록으로 모아져서 1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b에 는 1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1블록은 1바이트의 SYNC 데이터영역(A1)에 이어서 서치 등에 이용되는 6바이트의 ID영역(A2), 2바이트로 이루는 ID데이터의 에러정정용의 패리티영역(A3), 64바이트의 데이터영역(A4)으로 형성된다. 또 1트랙은,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471블록에 의해 형성되고, 1트랙은 양단에 4블록분의 마진영역(A11, A17)이 설치되고, 이들 마진영역(A11)의 뒤와 마진영역(A17)의 앞에는 트래킹제어용의 ATF영역(A12, A16)이 설치된다. 또한 1트랙의 중간에 대하여 ATF영역(A14)이 설치된다. 이들 ATF영역(A12, A14, A16)으로서는 각각 5블록분의 영역이 설치된다. 그리고 ATF영역(A12, A16)의 사이와, ATF영역(A14, A16)과의 사이에 각각 224블록분의 데이터영역(A13, A15)이 설치된다. 따라서, 1프레임내에 있어서의 전데이터영역(A13 및 A15)은, 전471블록중, 224×2=448블록을 점하게 된다.
또,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장치에서는, 데이터영역을 73바이트를 1블록으로서 448블록으로 분할하고, 다시 1블록을 동기신호를 기록하는 1바이트의 제 1구간과, ID를 기록하는 6바이트의 제 2구간과, 헤더패리티를 기록하는 2바이트의 제 3구간과, 데이터를 기록하는 64바이트의 제 4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마다 서브코드와 블록어드레스를 데이터와 함께 기록한다.
제 4구간에 기록하는 데이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8바이트×384블록분, 즉 22272바이트의 데이터마다 2차원구성의 오류정정부호(C2, C1)가 부가된 64바이트×448블록분의 데이터를 각 블록마다 배분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류정정부호(C1)는 각 블록마다의 메인데이터에 부가되어서 기록되고, 또 오류정정부호(C2)는 각 트랙의 메인데이터영역의 양단부분의 각각 32블록으로 2분할되어서 기록된다.
또,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장치에서는, 2트랙 즉 942블록을 1프레임으로써, 40트랙 즉 20프레임을 1단위(그룹)로 한 에러정정용의 부호구성을 채용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부호(C2)를 트랙의 양측에 배치하여 기록하고, 트랙폭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터열의 에러정정부호(C3)를 트랙의 최종의 2트랙으로 할당하여서 기록한다. 또한 1단위마다, 1연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코드로서, 메인데이터의 구분을 나타내는 구분정보인 세퍼레이터카운트, 기록수를 나타내는 레코드카운트, 테이프포맷 상에서 정의된 각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ID, 기록단위의 절대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번호, 기록단위수를 나타내는 그룹카운트나 체크삼 등을 기록한다.
다음에, 도 8b에 도시한 ID영역(A2)에 대하여 도 11∼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ID영역(A2)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구조로 되고, 이 ID영역(A2)은 9비트의 피지칼 블록어드레스(A21)와, 이것에 계속되는 39비트의 ID인포메이션영역(A22)의 영역으로 이룬다.
상술과 같이, 1트랙내에 있어서의 전데이터영역(A13 및 A15)은, 448블록으로 이루는 것에서, 이들 전데이터영역에 포함되는 피지칼 블록어드레스(A21)의 수도 448로 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448의 피지칼블록어드레스(A21)는, 예를 들면 도 1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트랙의 선두에 위치하는 피지칼블록어드레스(A21)에서 순서로, 10진법 표현으로 0∼447까지 증가하도록 하여 어드레스값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록재생장치측에 의해 1트랙내의 데이터영역에 포함되는 ID인포메이션영역(A22)의 정보를 적정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1트랙내의 데이터영역에 포함되는 ID인포메이션영역(A22)의 데이터사이즈로서는,
39(Bit)×448(Block)=17,472(Bit)=2,184(Byte)
로 구해지는 것같이, 2,184바이트가 된다.
도 11에 나타낸 ID인포메이션영역(A22)에 격납되는 ID영역정보의 종류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같은 것으로 되고, 이 도 13에 나타내는 각 ID영역정보가 1트랙 위의 데이터영역에 포함되는 합계 2,184바이트의 ID인포메이션영역(A22, A22,…)의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끼워지도록 하여 격납되게 된다. 또,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의한 ID영역정보의 확실한 독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여, 1트랙마다 동일한 종류의 ID영역정보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복수회 기록된다.
이 도 13에 있어서, 로우포맷ID(16bit)은 자기테이프에 관한 기본적 포맷의 타입이 도시되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트랙피치, 1프레임의 데이터사이즈, 1트랙에 포함되는 블록수, 1블록의 데이터사이즈, 테이프길이, 테이프두께, 테이프의 재질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로지컬포맷ID(Logical Format ID:8bit)는, 실제로 사용되는 기록포맷의 타입이 표시된다.
로지컬포맷ID(8bit)는, 도 13과 같이 라스트프레임ID(1bit), ECC프레임I D(1bit) 및 로지컬프레임번호(6bit)로 이룬다. 라스트프레임ID는 당해 ID영역이 포함되는 현 프레임이, 그룹내의 최후의 프레임인지 아닌지를 나타내고, ECC프레임ID는 현 프레임의 데이터영역의 기록데이터가 ECC(오류정정부호)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또, 상술과 같이 1그룹은 20프레임으로 이루는바, 로지컬프레임번호는 당해 프레임이 현 그룹내의 몇번째의 프레임인지를 나타낸다.
파티션ID(16bit)은, 현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의 파티션번호가 표시된다.
영역ID(4bit)는, 당해 프레임이 어느 영역에 속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데이터ID(4bit)는, 기록포맷에 의거한 데이터의 처리형태의 타입이 표시되고, N-포지션(4bit) 및 N-리피트(4bit)는 다중기록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정의된다.
그룹카운트(24bit)는, 현 파티션에 있어서 당해 프레임이 포함되는 그룹까지의 그룹의 총수를 나타낸다. 또 파일마크카운트(32bit)는, 현 파티션에 있어서 그 개시위치에서 현 그룹까지에 포함되는 파일마크의 총수가 표시된다. 파일마크는 1파티션내에 있어서의 데이터파일의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세이브세트 마크카운트(32bit)는, 현 파티션에 있어서 그 개시위치에서 현 그룹까지에 포함되는 파일마크의 총수가 표시된다. 세이브세트마크는 1파티션내에 있어서의 데이터세이브위치의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레코드카운트(32bit)는, 현 파티션에 있어서 그 개시위치에서 현 그룹까지에 포함되는 레코드의 총수가 표시된다. 앱솔루트 프레임카운트(24bit)는, 현 파티션에 있어서 그 개시위치에서 현 그룹까지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총수가 표시된다. 또, 장래의 ID영역정보의 추가 등에 갖추어서 미정의(Reserved)의 영역이 설치된다.
또한, 이 도 13에 나타내는 ID영역정보의 정의 및 각 ID영역정보에 부여되는 비트수 등은 일예이며, 실제의 사용조건에 따라서 변경되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낸 각종 ID영역정보중, 본 실시형태의 중점이 되는 영역I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영역ID의 정의내용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는 영역ID를 형성하는 4비트에 대하여 각각 비트번호(3-2-1-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비트번호(3-2-1-0)의 각 값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000]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바이스영역인 것이 정의되고, [0001]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퍼런스영역으로 되고, [0010]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로그영역으로 된다. [0011]은 미정의(Reserved)로 되어 있다.
또, [0100]은 데이터영역으로 되고, [0101]은 EOD영역으로 되고, [0110]은 미정의, [0111]은 도 7에 나타낸 필수의 디바이스영역 이외이고, 자기테이프(12)의 로딩/언로딩을 행하기 위한 옵션디바이스영역인 것이 정의된다. 이 옵션디바이스영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도 14에 있어서 비트번호(3-2-1-0)의 비트의 값이 표시되는 각 란 에 있어서 ( )내에 나타내는 수는, 각 비트값을 10진법에 의해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12)에 새로운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신규의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여, 이 분할부에서 후편의 파티션에 대하여, 거기까지 존재한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번호로부터 인크리먼트한 번호를 부착한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거기까지 형성되어 있던 파티션이 2개이고, 붙여져 있던 번호가 P0, P1일 때에는, 번호 P1의 파티션을 2개로 분할하고, 파티션번호 (P1, P2)라고 하는 2개의 파티션으로 한다. 따라서, 파티션번호 (P0, P1, P2)라고 하는 3개의 파티션이 형성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하여, 순차 파티션을 분할하여 추가하여 갈 수 있다.
이때, 파티션에 부착한 번호는 자기테이프(12)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 할 순으로 되어 있으므로, 최후의 파티션을 분할하여 그 후측의 파티션번호를 거기까지에 존재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번호로부터 인크리먼트한 번호로 함으로써, 전체의 파티션번호가 자기테이프(12)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 상태는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하여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번호는, MIC(25)에 기억된다. 즉, 도 28에 나타낸 MIC(25)의 볼륨인포메이션중의 라스트파티션번호(1byte)에 그 번호가 기억된다.
이와 같은 파티션분할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것같이, 새로운 ODA, SYS, EOD를 기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신규의 파티션을 추가하지 전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것같이, 최후의 파티션(Pn)에는 SYS, DATA, EOD가 기록되어 있다. 파티션을 추가하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것같이, 먼저, 최후의 파티션(Pn)의 EOD의 후에, ODA를 기입한다. 이 ODA는 파티션(Pn)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ODA의 뒤에 SYS, DATA, EOD 또는 SYS, EOD를 기입함으로써, 신규의 파티션(Pn+1)이 형성된다. 이 신규의 파티션(Pn+1)은 파티션(Pn)에서 분할된 것이다. 또, 새로이 기입된 SYS, DATA, EOD 또는 SYS, EOD는 신규의 파티션(Pn+1)에 속하는 것이다.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하여, 최후의 파티션을 분할하여 신규의 파티션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자기테이프(12)의 전체에 대하여 미리 포맷하여 둘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신규 파티션의 추가의 동작을 플로챠트에 의해 나타내면, 도 19에 나타내는 것같이, 스텝(st1)에 있어서 동작을 개시하면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시스템제어기(161)는 테이프카세트의 기록재생부(130)로의 로딩을 개시한다. 이 로딩은 파티션번호(P(n-1)의 파티션의 ODA에 헤드가 진입하는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st3)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MIC(25)에 기록되어 있는 전회의 언로드위치와 금회의 로딩된 위치와가 같은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은 ODA에서 독해되는 파티션번호를 나타내는 ID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전회의 언로 드위치와 금회의 로딩된 위치와가 같으면, 스텝(st4)에 있어서 스텝(st5)으로 진행하고, 전회의 언로드위치와 금회의 로딩된 위치와가 같지 않으면, 스텝(st4)에 있어서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9)에서는 자기테이프(2)를 선두위치까지 되감고, 스텝(st10)에 있어서 에러신호를 발신하여 스텝(st12)으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스텝(st5)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파티션(Pn)선두에서 기록된 서브코드분리부(145)에서 분리된 서브코드에 포함된 블록의 영역ID를 읽어가서, 최초의 EOD를 발견한다. 이 EOD가 발견되게 되면 스텝(st6)으로 진행하고, 시스템 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111]를 세트함으로써 파티션(Pn)에 속하는 ODA를 기입한다. 그리고, 스텝(st7)으로 진행하고,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010]를 세트함으로써 신규파티션(Pn-1)에 속하는 SYS를 기입하고 스텝(st8)으로 진행하고, 다시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101]를 세트함으로써 신규파티션(Pn+1)에 속하는 EOD를 기입함으로써, 신규파티션(Pn+1)이 형성된다. 그리고, 시스템제어기(161)는 스텝(st11)으로 진행하여 MIC(25)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갱신하고, 스텝(st12)으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스텝(st11)에 있어서, 시스템제어기(161)는 RAM(162)내에 읽어들인 MIC(25)의 데이터중,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볼륨인포메이션의 라스트파티션번호를 갱신하는 동시에, 추가된 파티션의 시스템영역의 추가 등을 행한다. RAM내의 갱 신된 데이터는, 테이프카세트가 기록재생부(130)에서 배출될 때에, 기입/독출제어부(163)를 통하여 MIC(25)에 전송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파티션의 추가의 동작 및 후술하는 파티션의 삭제의 동작은, 호스트컴퓨터(200)에서 발신된 SCSI커맨드에 따라서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추가전의 최종의 파티션에 대하여는, 이 최종 파티션의 데이터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내는 것같이, 최종 파티션(Pn)에 SYS, DATA, EOD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것같이, DATA의 영역에 대하여 신규의 기록데이터를 더쓰고, 혹은 DATA의 영역 뒤의 EOD의 영역에서 신규의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를 더쓰고, 신규의 DATA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이 신규의 DATA영역, 혹은 원래의 DATA영역 및 신규의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을 합한 영역은, 원래의 DATA영역보다 크게 되어서 좋다. 그리고, 이 신규의 DATA영역의 뒤에 EOD를 기입한다. 또한, 이 EOD의 뒤에 ODA를 형성하고, 이 ODA의 뒤에 SYS, EOD를 형성함으로써 신규의 파티션(Pn+1)이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는, 도 29에 나타내는 것같이 SCCI커맨드인 어펜드파티션 커맨드가 보내진다. 이 어펜드파티션 커맨드의 페이지(32h)중에는, 신규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의 사이즈가 파티션사이즈 디스크립터(Partition Size Descriptor)로서 지정되어 있다. 또, 신규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의 위치도 어펜드파티션커맨드중에 표시된다.
신규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은, 다른 영역과 동일하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각 프레임은 ID정보와 사용자데이터와를 격납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데이터로서, 제로를 쓰는 것으로 한다. ID정보중, 특히 영역ID로서 EOD를 지정한다. 즉, EOD를 쓰는 것으로, 신규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은, 실제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아도, 뒤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여 두기위해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을 형성하는 목적은, 미리 그 파티션의 사이즈를 현 데이터사이즈보다도 크게 취해두는 것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25GB의 AIT카트리지를 5인분의 기록데이터를 수납하는 용기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1인째의 최후의 데이터가 1GB밖에 없고, 2인째의 데이터도 1GB라고 한다. 2인째가 사용하는 파티션이 시작하는 위치를 테이프의 선두에서 5GB에 상당하는 위치에 하고자 하므로, 4GB라고 하는 사이즈를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으로 하여 둔다. 이 경우에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에 기입하는 사용자데이터는 특별히 없으므로, 제로를 써서 둔다. ID로서는, EOD영역을 지정하여 둔다.
그리고, 실제의 데이터영역과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을 구별하는 방법으로서, 파일마크(File Mark)와 영역ID(Area ID)와가 있다. 파일마크는, 영역끼리의 경계에 부착된 1개소의 마크이므로, 간과하게 된 경우에는 복구할 수 없다. 영역ID에 의해 구별하는 것으로 하여 두면, 영역ID의 변화지점을 못보고 빠뜨렸어도, 이후도 동일 영역ID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면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의 구별은 영역ID에 의해 행하는 편이 안전하다.
이와 같은 데이터영역의 확대의 동작을 플로챠트에 의해 나타내면, 도 22에 나타내는 것같이, 스텝(st21)에 있어서 동작을 개시하면, 스텝(st22)으로 진행하고, 시스템제어기(161)는 파티션에 대하여 추가하는 명령이 호스트컴퓨터(200)에서 왔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명령이 호스트컴퓨터(200)에서 오지 않았으면 스텝(st23)으로 진행하고, 명령이 호스트컴퓨터(200)에서 오고 있으면 스텝(st122a)으로 진행한다. 스텝(st23)에서는 다른 커맨드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st24)으로 진행하여 동작을 정지한다.
스텝(st22a)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현재위치의 파티션이 닫혀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현재위치의 파티션이 닫혀져 있으면 스텝(st22b)으로 진행하고, 현재위치의 파티션이 닫혀져 있지 않으면 스텝(st22c)으로 진행한다.
스텝(st22b)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서브코드분리부(145)에서 출력되는 영역ID를 감시하면서 기록재생부(130)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테이프(12)를 현재의 파티션의 EOD위치까지 보내고, 스텝(st22c)으로 진행한다.
스텝(st22c)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호스트컴퓨터(2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의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의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으면 스텝(st25)으로 진행하고,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의 사이즈 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t26)으로 진행한다.
스텝(st25)에서는,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을 형성한다. 이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은 파티션(Pn)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의 영역은 원래의 데이터영역에 수납되는 것(즉, 신규한 기록데이터 Extended DATA가 0)이라도 좋다. 그리고, 스텝(st26)에서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101]를 세트하여, 파티션(Pn)에 속하는 EOD를 기입한다. 또한, 스텝(st27)에서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111]를 세트하여, ODA를 기입한다. 이 ODA는 파티션(Pn)에 속하는 것이다.
다음에, 스텝(st28)에서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부가되는 파티션ID에 1을 더하여 파티션번호(Pn+1)로 하고, 스텝(st29)에서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010]를 세트하여 파티션(Pn+1)에 속하는 SYS를 기입한다. 다음에, 스텝(st30)에서 시스템제어기(161)는,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영역ID[0101]를 세트하여, 파티션(Pn+1)에 속하는 EOD를 기입함으로써, 파티션(Pn+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텝(st31)에서는 시스템제어기(161)는, 서브코드분리부(145)에서 출력된 영역ID를 감시하면서 파티션(Pn+1)의 SYS까지 자기테이프(12)를 되감는다. 다음에, 스텝(st32)에서 시스템제어기(161)는, RAM(162)내에 읽어들여진 MIC(25)의 데이터중,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볼륨인포메이션의 라스트파티션번호를 변경하는 동시에, 추가된 파티션의 시스템로그영역의 추가 등을 행함으로써, MIC(25)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스텝(st33)에서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것같이, 파티션이 복수(n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24에 나타내는 것같이, 특정의 파티션 이후의 파티션을 간단한 조작으로 소거할수 있다. 즉, 파티션의 개수가 n개 이므로, MIC(25)에는 번호(Pn)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전회 언로드하였을 때의 ODA가 파티션(Pm)에 속하는 것이었던 경우, 다음회 로딩될 때에는 파티션(Pm)의 ODA에서 로딩하여, 다음의 파티션(Pm+1)의 SYS를 찾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다음의 파티션(Pm+1)은 존재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로딩전에 MIC(25)에 기록된 파티션번호(Pn)을 바꿔써서, Pn보다 작고, 또한 Pm+1 이상의 번호(P0)로 함으로써, 번호가 (P0+1)이후의 파티션을 전체 번호(P0)의 파티션에 머지하여 삭제할 수 있다.
즉, Pm+1 ≤ P0 < Pn이므로, 예를 들면 n이 7이며 m이 1인 것으로 하면, P2 ≤ P0 < P7 에서, P0 는 P2, P3, P4 , P5, P6 어느 것으로 된다. P0 를 P2로 한 경우, 파티션(P2)의 DATA영역에서 더쓰고, 혹은 EOD영역에서 더쓰므로써, P3이후의 전체의 파티션(P3, P4 , P5, P6, P7)은 도 24에 나타내는 것같이, 전체 파티션(P2)에 머지되어 삭제된다.
동일하게, P0 를 P3로 한 경우, 파티션(P3)의 DATA영역에서 더쓰고, 혹은 EOD영역에서 더쓰므로써, P4이후의 전체의 파티션(P4, P5, P6 , P7)은 모두 파티션(P2)에 머지되어 삭제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카세트에 대한 파티션의 삭제는, 호스트컴퓨터(200)로부터의 SCSI커맨드인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도 30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페이지코드(Page Code)로서 디리트 파티션커맨드(33h)인 것이 표시되고, 또 페이지길이(Page Length)로 이어서 기술되는 데이터내용의 길이(바이트수)가 표시된다.
그리고, 커맨드의 실데이터의 내용으로서는 인디케이트 파티션 번호(Indicate Partition Number)로서 삭제하는 파티션이 지정된다. 이것은 이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로 지정된 번호의 파티션보다 뒤가 되는 전체의 파티션을 삭제해야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된다. 즉, 지정되는 번호가 남겨지는 파티션중의 최후 파티션의 번호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포맷커맨드가 발행되었을 때의 시스템제어기의 처리는, 도 31과 같이 된다.
즉, SCCI 인터페이스(100)를 거쳐서 디리트 파티션커맨드가 수신된 경우는, 시스템제어기(161)는 스텝(st34)에서 디리트 파티션처리를 개시하고, 스텝(st35)에서 그것을 입력하는 동시에, 스텝(st36)으로 진행한다. 스텝(st36)에서는 시스 템제어기(161)는,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로 지정된 파티션이, 현재 액티브로 되어 있는 파티션보다도 뒤의 파티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만약, 지정된 파티션번호가 현재 액티브인 파티션보다 적은 번호의 파티션이었던 경우는, 스텝(st37)으로 진행하여 에러로 하고, 파티션의 삭제처리를 하지 않는다.
이 스텝(st36), 스텝(st37)은 그 시점에서 액티브한 파티션보다 뒤의 파티션에 대해서만 삭제를 허가하기 위한 처리가 된다.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파티션번호가, 현재 액티브인 파티션 이후의 파티션이었던 경우는, 스텝(st38)으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로 지정된 파티션이, 현재 존재하는 최후의 파티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만약, 최후의 파티션을 지정하고 있었던 것이면, 삭제해야할 파티션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기때문에, 스텝(st37)에서 에러로 한다.
스텝(st38)에서 최종파티션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st39)에서 삭제를 실행하기 위해 MIC(25)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스텝(st40)으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즉, 지정파티션번호의 다음의 파티션 이후가 삭제된 상태가 되도록. 관리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제어기(161)는 RAM(162)내에 읽어들여진 MIC(25)의 볼륨인포메이션의 라스트파티션번호를 갱신하는 동시에, 삭제된 1또는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시스템로그영역의 무효화 등을 행한다.
이와 같은 MIC(25)에서의 관리정보의 갱신처리에 의해, 자기테이프(12)상에서의 파티션이 삭제되게 된다.
여기서, 파티션삭제의 동작예를 도 32 ∼ 도 37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 32에서는, 파티션(#5)이 액티브로 되어 있을 때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5)을 지정하고 있었던 경우이다. 그리고, 파티션(#5)이 최종 파티션이었던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31의 스텝(st36)에서 스텝(st38)으로 진행하지만, 이 스텝(st38)에서는 최종 파티션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에 대하여는 에러로 된다. 결국, 파티션삭제는 실행되지 않게 된다.
도 33a는 파티션(#5)까지가 존재하고, 파티션(#4)이 액티브로 되어 있을 때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4)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이다.
이것은 파티션(#4)보다 뒤의 파티션을 삭제한다는 유효한 커맨드로 되고, 도 31에 있어서의 처리는 스텝(st39)으로 진행하게 되고, MIC(25)의 관리정보의 갱신에 의해, 도 33b에 나타내는 것같이 파티션(#5)이 삭제된 상태가 된다.
도 34a는 파티션(#5)까지가 존재하고, 파티션(#0)이 액티브로 되어 있을 때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0)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이다.
이것도 파티션(#0)보다 뒤의 파티션을 삭제한다는 유효한 커맨드로 되고, 도 31에 있어서의 처리는 스텝(st39)으로 진행하게 되어서, MIC(25)의 관리정보의 갱신에 의해, 도 34b에 나타내는 것같이 파티션(#1 ∼ #5)이 삭제된 상태가 된다.
도 35a는 파티션(#5)까지가 존재하고, 파티션(#1)이 액티브로 되어 있을 때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3)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이다. 뒤의 파티션을 삭제한다는 유효한 커맨드로 되고, 도 31에 있어서의 처리는 스텝(st39)으로 진행하게 되어, MIC(25)의 관리정보의 갱신에 의해 도 35b에 나타내는 것같이 파티션(#4, #5)이 삭제된 상태가 된다.
도 36은 파티션(#5)까지가 존재하고, 파티션(#3)이 액티브로 되어 있을 때에,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1)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31의 스텝(st36)에서 부정결과가 나오게 되고, 에러로 되기때문에, 파티션의 삭제는 실행되지 않는다.
도 37은, 테이프카세트가 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자기테이프가 회전드럼에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디리트 파티션커맨드가 발행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비로드상태에서의 테이프포지션으로서는, 파티션(#1)의 후단의 옵쇼널디바이스 영역에 있으나, 그 뒤의 로드는 파티션(#2)의 시스템영역에서 로드완료로 된다. 즉 로드완료시점에서는, 파티션(#2)이 액티브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리트 파티션커맨드의 인디케이트 파티션번호가 파티션(#2 ∼ #4)의 어느 것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에는 유효하게 되어서 삭제가 실행되고, 한편, 파티션(#0, #1, #5)의 어느 것을 지정하고 있던 경우에는 무효로 되어 삭제는 행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로딩된 자기테이프(12)에 있 어서의 각 파티션의 번호가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는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고, 이 분할부보다 후편의 파티션에 대하여, 거기까지에 존재한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번호에서 인크리먼트한 번호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도 25에 나타내는 것같이, 예를 들면 8개의 파티션이 이미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파티션에 하강하여야할 순으로 번호(P 7, P 6, P6, P4, P3, P2, P1, P0)가 부착되어 있는 자기테이프가 로딩된 경우에, 파티션을 추가하는데는, 최종의 파티션(P0)을 분할하여 파티션(P0) 및 파티션(P8)으로 한다. 최종의 파티션의 번호는 (P8)가 된다. 또한 파티션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최종의 파티션을 순차 분할함으로써, P9, P10, P11, P12와 상승하여야할 순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을 순차 추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카세트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을 가지며, 이들 파티션의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부착되어 있고, 기억수단은 적어도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기록장치는, 상술의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하여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기록장치이고,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는,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고, 이 분할부에서 후편의 파티션에 대하여, 거기까지 존재한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중의 최대번호에서 인크리먼트한 번호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파티션의 삭제나 추가를 자유롭게 할수 있고, 또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총수를 용이하게 유추할수 있고, 또한 프리포맷이 불필요하게 된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을 가지며, 이들 파티션의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각 파티션에 부착된 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붙여져 있고,
    상기 기억수단은, 적어도 상기 각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 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2.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파티션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의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기록장치이며,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부속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기록데이터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얻어진 부속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데이터를 기록하였을 때에 새로이 생기는 부속정보를 발생하는 부속정보 발생수단과,
    상기 부속정보 발생수단이 발생한 새로운 부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최종의 파티션을 분할하고, 이 분할부보다 후편의 파티션에 대하여, 분할되기 전에 상기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번호에서 인크리먼트한 번호를 붙이도록 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상기 파티션에 파티션번호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수단은,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번호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사용이력정보가 기록되는 시스템영역과, 상기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영역과, 그 데이터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 최종의 파티션에 포함되는 EOD영역이 발견되기까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보내고, 발견한 EOD영역 뒤에,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영역과, 추가되는 파티션의 시스템영역 및 EOD영역을 계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서 전회의 언로드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로딩된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상기 디바이스 영역과 상기 언로드위치가 같은 경우에만,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사용이력정보가 기록되는 시스템영역과, 상기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영역과, 그 데이터영역의 종료를 나타내는 EOD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파티션을 추가할 때에, 현재위치의 파티션에 포함되는 EOD영역의 위치까지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보내고,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영역사이즈에 대응한 확장데이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EOD영역 및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영역과, 추가되는 파티션의 시스템영역 및 EOD영역을 계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확장데이터영역으로서 EOD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수단은, 추가된 파티션을 포함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각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번호가 기억되도록 상기 부속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10.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부착된 파티션으로 분할되고, 최종의 파티션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종단에 까지 걸쳐져 있고, 각각의 파티션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이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상기 파티션의 각각에 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의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기록장치이며,
    상기 기억수단에서 부속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얻어진 부속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소거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소거하였을 때에 부속정보를 갱신하는 부속정보 갱신수단과,
    상기 부속정보 갱신수단이 갱신한 새로운 부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삭제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파티션이 현재 사용중의 파티션 이후의 파티션이며, 또한 지정된 파티션이 최종의 파티션은 아닌 경우에 한하여, 지정된 파티션보다도 후편의 파티션을 삭제하고, 지정된 파티션을 최종의 파티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정보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된 각 파티션에 부착된 파티션번호중의 최대의 번호를 나타내는 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속정보 갱신수단은, 파티션의 삭제에 수반하여, 상기 부속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시단측에서 종단측으로 향하여 상승하여야할 순으로 상기 파티션번호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장치.
KR1019997004173A 1997-09-12 1998-09-11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KR100574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14897 1997-09-12
JP97-249148 1997-09-12
PCT/JP1998/004126 WO1999014753A1 (fr) 1997-09-12 1998-09-11 Cassette et enregistreur a b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961A KR20000068961A (ko) 2000-11-25
KR100574438B1 true KR100574438B1 (ko) 2006-04-27

Family

ID=1718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173A KR100574438B1 (ko) 1997-09-12 1998-09-11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01067B1 (ko)
JP (1) JP4032433B2 (ko)
KR (1) KR100574438B1 (ko)
CN (1) CN1171229C (ko)
GB (1) GB2334615B (ko)
WO (1) WO1999014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7094B (en) 1997-11-28 2001-01-01 Sony Corp Tape cassette and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1256695A (ja) * 2000-03-13 2001-09-21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テープのアクセス方法
US6775087B2 (en) 2001-06-18 2004-08-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ad past EOD marker
US6804075B1 (en) * 2002-03-01 2004-10-12 Sony Corporation Logical expiration of media having embedded non-volatile memory
US20040004789A1 (en) * 2002-07-03 2004-01-08 Christopher Watanabe Replaceable memory element in a single reel tape cartridge
US6702215B2 (en) 2002-07-03 2004-03-09 Quantum Corporation Repositionable memory element in a single reel tape cartridge
US20050152670A1 (en) * 2004-01-14 2005-07-14 Quantum Corporation Auxiliary memory in a tape cartridge
US7224545B2 (en) * 2004-04-15 2007-05-29 Quantu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overwrite protected storage media
US7142383B2 (en) * 2004-09-01 2006-11-28 Sony Corporation Ultra Fast Backup (UFB) track concept and method for recording same
US7327534B2 (en) * 2004-09-01 2008-02-05 Sony Corporation Ultra fast backup (UFB) tape cartridge and method for loading same
US6992847B1 (en) 2004-09-01 2006-01-31 Sony Corporation Linear sliding tape scanner and method for using same
GB2419026B (en) * 2004-10-08 2009-05-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drive apparatus
US20070115579A1 (en) * 2005-11-18 2007-05-24 Ngo Khanh V Method to test a tape drive
US7633700B2 (en) * 2006-06-16 2009-12-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iguously appending data onto media in a tape drive system
US7633701B2 (en) * 2006-06-16 2009-12-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recording format reliability for limited media space in a tape drive system
US7719782B1 (en) * 2009-01-07 2010-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st forward magnetic tape cartridge at first mount
US9773059B2 (en) * 2010-11-09 2017-09-26 Storagedna, Inc. Tape data management
JP2015133164A (ja) * 2014-01-15 2015-07-23 富士通株式会社 テープ装置、書込処理方法、及び書込制御プログラム
US10564902B2 (en) * 2015-12-14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partition allocation for tape fi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2566A1 (fr) * 1995-06-30 1997-01-23 Sony Corporation Cassette, appareil enregistreur et duplicateur a bande magnetique
JPH09134585A (ja) 1995-11-08 1997-05-20 Sony Corp 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
US6043948A (en) * 1995-11-08 2000-03-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9171676A (ja) * 1995-12-20 1997-06-30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3687165B2 (ja) 1995-12-20 2005-08-24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4615A (en) 1999-08-25
CN1243593A (zh) 2000-02-02
CN1171229C (zh) 2004-10-13
KR20000068961A (ko) 2000-11-25
GB2334615B (en) 2002-02-13
GB9910820D0 (en) 1999-07-07
JP4032433B2 (ja) 2008-01-16
US6301067B1 (en) 2001-10-09
WO1999014753A1 (fr)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438B1 (ko) 테이프카세트 및 테이프기록장치
US5852534A (en) Tape cassette, tape recording apparatus and tape reproducing apparatus
US6298414B1 (en)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digital data
US6425042B1 (en) Tape drive apparatus for judging an operational mode of the tape based on detected tape management information
JP2993994B2 (ja) データ格納装置およびデータ格納方法
JP3997570B2 (ja) 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US5543977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improved longitudinal and helical search capability
US6493166B1 (en) Tape cassette and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628196B1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end-of-recording and start-of-recording format indicators
KR100779979B1 (ko) 테이프형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및 그 액세스방법과기록매체
US6023388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5442493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improved bookkeeping capability
US5341251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longitudinal tracks with recordable segments
US5930064A (en) Data recording method
JP4078736B2 (ja) テープカセット、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0628206B1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logical overrecording capability
US5335119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nonrecording detection
EP0628203A1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demarking capability and method
JPH09237474A (ja) テープカセット、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3160413B2 (ja) 磁気テープ装置の記録容量算出方法
JPH0917152A (ja) テープカセット、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186388A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イジェクト方法
JPH07307063A (ja) データ記録方法
JP2000090513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