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784B1 -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784B1
KR100591784B1 KR1019980051358A KR19980051358A KR100591784B1 KR 100591784 B1 KR100591784 B1 KR 100591784B1 KR 1019980051358 A KR1019980051358 A KR 1019980051358A KR 19980051358 A KR19980051358 A KR 19980051358A KR 100591784 B1 KR100591784 B1 KR 10059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artition
data
recording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648A (ko
Inventor
요시히사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2Tap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파티션의 추가 또는 삭제가 있어도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현재의 배치상황을 알수 있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130)와 기입/독출 제어부(163)를 포함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130)는 파티션을 기입하는 파티션 기입부와 파티션에 대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130)는 기록 및/또는 재생 데이터에 대하여 MIC(11)에 기억된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입/독출 제어부(163)는 자기테이프(12)에서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열정보를 MIC(11)에 기억하는 파티션 배열정보 기입기능을 가진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Tape cassette and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세트에 수용된 테이프형 기록매체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할수 있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소위 테이프스트리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테이프스트리머 장치는 기록매체로서,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길이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수십∼ 수백 기가바이트의 정도의 풍부한 기록농도를 가질수 있고, 예를 들면 컴퓨터의 본체부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또한, 큰 용량의 데이터크기의 화상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언급한 테이프스트리머장치로서, 회전헤드를 사용하는 헬리컬(helical) 스캔 시스템에 따라서, 기록메체로서 8mm VTR용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언급한 테이프스트리머장치로서, 이러한 8mm VTR용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가 기록 및/또는 재생데이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기록중에 예를 들면 호스트컴퓨터에서 공급된 데이터가 SCSI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다. 이 입력데이터는 소정의 고정길이의 데이터군을 단위로 하여 전송된다. 입력데이터는 필요하면 소정방식에 따라서 압축되고, 버퍼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버퍼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는 그루브로 알려진 소정길이를 단위로 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시스템에 공급되고, 회전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재생중에, 자기테이프의 데이터는 회전헤드에 의해 독출되어 일시적으로 버퍼메모리에 기억된다. 버퍼메모리에서 데이터는 기록에 대하여 압축된 것이면 신장되고 SCSI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컴퓨터에 전달된다.
자기테이프상의 데이터 기록영역은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기록할수 있는 번호를 붙인 파티션을 형성한다.
상기 서술한 테이프스트리머장치 및 테이프 카세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기억시스템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 대한 확실한 기록 및/또는 재생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파티션에 붙인 번호가 이용되어 자기테이프 상부 파티션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테이프스트리머장치는 현재 있는 파티션 번호로부터 예측에 의해 원하는 번호를 붙인 파티션으로 이동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이 자기테이프상에 복수의 파티션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영역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이들 파티션에 붙인 번호는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데이터의 시단(BOT)에서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테이프의 종단(EOT)로 내림차순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파티션으로 형성되면 파티션 번호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BOT로부터 P7, P6, P5, P4, P3, P2, P1, P0이다. 파티션 번호의 첨자 즉, Pn의 n은 파티션번호를 나타낸다.
파티션번호가 내림차순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선두의 파티션번호로부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된 파티션의 총수를 유추할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선두 파티션에 붙여진 파티션번호, 여기서 "7"로부터 전부 8개의 파티션이 도 1에 나타낸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유추할수 있다.
파티션이 이러한 방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조작자가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의 파티션을 분할함으로써 새로운 파티션이 추가될수 있다.
파티션을 추가하는데 통상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EOT의 파티션(P0)을 분할하는 것이다. 파티션(P0)의 뒤에 새로운 파티션(P8)을 추가하여 파티션(P8)에 붙여진 번호는 "8"이다. 그러나, 이것은 파티션에 붙여진 파티션번호의 불연속을 생성한다.
파티션(P8)이 파티션(P0)의 종단에 추가되고, 현재의 위치가 파티션(P3)일 때, 조작자는 파티션(P8)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파티션에 붙여진 번호가 내림차순이라고 가정하여 3 < 8의 관계에 의지해서 조작자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BOT로 이동한다.
테이프스트리머장치는 이러한 가정에 의거하여 이동하면, 새로운 파티션이 추가되는 종단에 설치된 파티션(P8)을 발견할수 없다. 즉, 목적의 파티션(P8)으로의 테이프스트리머장치의 효율좋은 이동을 위해, 현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파티션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파티션소거의 경우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파티션(P0)이 소거되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파티션(P0)을 찾아서 이동하면, 이러한 파티션이 없고, 조작자의 의도와는 반대로 테이프는 종료하게 된다. 이러한 것이 발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현재 파티션 위치에 상관없이 파티션의 이미 소거된 사실을 알리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티션이 삭제되거나 추가되어도 파티션의 현재의 배치상태를 알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 및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테이프 카세트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붙여진 파티션을 가지고,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각각의 파티션에 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포함한다. 기억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파티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메모리에 유지한다.
테이프 카세트는 그래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서 파티션을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파티션을 재기입하는 파티션 재기입수단과,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기입수단과, 파티션에 대한 기록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과,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그래서,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 기억수단에 파티션 배치정보 기입수단에 의해 기입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서 분할된 테이프 카세트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테이프 카세트와 함께 설치된 테이프스트리머장치가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하 MIC(memory-in-cassette)라고 명한다.
도 4 ∼ 도 7은 테이프 카세트(10)를 나타내고, 도 8은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테이프 카세트(10)는 거기에 기록된 기록데이터를 각각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번호를 붙인 파티션을 가지는 자기테이프(12)(도 7), 각각의 파티션에 관한 부수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MIC(11)(도 5)를 포함한다.
테이프 카세트(10)는 상기 MIC(11)에, 자기테이프(12)의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테이프스트리머 장치(1)는 기록/재생부(130)와, MIC(11)에서 자기테이프(12)의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하는 파티션배치정보 기입기능을 가지는 기입/독출 제어부(163)를 포함한다. 기록/재생부(130)는 파티션기입수단과 파티션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포함하고,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하여 MIC(11)에 기억된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먼저,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에 관련하여 구성된 트래킹제어(10)를 설명한다.
특히, 합성수지재로 거의 얕은 오목한 직사각형으로서 형성된 상반부 카트리지(13)와 하반부 카트리지(14)가 결합되고 서로 조여지므로 각각의 개방면은 서로 마주보고 복수의 맞춤나사를 사용하여 거의 박스형 카트리지 본체부(15)로 완성된다. 카트리지 본체부(15)에 카트리지 본체부(15)의 길이만큼 나란히 배열되고, 테이프형 기록매체로서 주위에 자기테이프(12)가 감겨지는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직사각형 표시창(18)은 테이프 카세트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상반부 카트리지(13)의 정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카트리지 본체부(15)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주위에 포장된 자기테이프(12)의 상태를 외측에서 눈으로 관찰가능하게 한다.
도 6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을 제공하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하반부 카트리지(14)는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의 허브가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릴(16, 17)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허브고정공(19a, 19b)이 설치되어 있다. 하반부 카트리지(14)의 저면은 자기테이프(12)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 길이 검출개구 또는 자기테이프(12)의 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테이프 사양 판별개구 등의 여러 가지의 판별공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은 자기테이프(12)가 감겨진 원통형 허브와 허브의 일측면에 설치된 원반모양의 플랜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은 허브고정공(19a, 19b)에 고정된 허브를 가짐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은 릴압착스프링과 릴압착판(도시생략)에 의해 하반부 카트리지(14)에 향하여 가세된 허브의 회전의 중앙을 가짐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5)에서 주름지는 것이 방지된다.
자기테이프(12)는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의 허브에 클램퍼(도시생략)에 의해 고정된 양단을 가진다. 자기테이프(12)는 테이프 공급릴(16)에서 밖으로 당겨지고 카트리지본체부(15)의 정면(23)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하반부 카트리지(14)와 일체로 형성된 테이프 가이드(22A, 22B)에 의해 안내되어 테이프 감기릴(17)에 의해 감겨지도록 한다.
카트리지 본체부(15)는 거의 전체폭을 따라서 개방된 정면(23)을 가지고, 기록/재생부(130)의 적재수단이 끼어들어간 공간으로서, 정면(23)에 연속하여 테이프 추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릴(16)과 테이프 감기릴(17)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 본체부(15)의 내부 공간은 파티션(25)에 의해 테이프 추출부(24)에서 한계가 정해진다.
카트리지 본체부(15)에 개방된 정면(23)을 닫기 위한 덮개부재(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재(26)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이고, 피벗을 제공하는 측벽부(27A, 27B)와 일체로서 그 끝에 형성되므로, 덮개부재(26)는 전체로서 U형으로 형성된다. 측벽부(27A, 27B)의 내면에 서로 일치하는 축을 가지는 핀축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5)는 개방된 정면(23)을 둘러싸기 위하여 돌출하는 하반부 카트리지(14)의 양 측벽부에 의해 피벗(29A, 29B)을 가진다. 이들 피벗(29A, 29B)은 덮개부재(26)의 핀축에 대응하여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덮개부재(26)는 축공과 결합된 핀축을 가짐으로써 카트리지본체부(15)의 정면(23)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덮개부재(26)는 개방된 정면(23)(도 7)을 통상 닫는다.
덮개부재(26)에 상반부 카트리지(13)의 개방된 정면을 닫는 상부덮개부재(31), 스프링부재(도시 생략)가 모여져 있다. 상부 덮개부재(31)는 덮개부재(26)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모여져 있고, 덮개부재(26)가 도 6에 나타낸 것같이 카트리지본체(15)의 정면(23)을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부 덮개부재(31)는 상반부 카트리지(13)의 상부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부 덮개부재(31)는 덮개부재(26)에 의해 지지되는 그대로 회전된다. 스프링부재(도시 생략)는 도시하지 않은 방법대로 정면(23)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덮개부재(26)를 가세한다.
덮개부재(26)에서 덮개부재(26)의 내부 주요면을 마주보도록 내부 덮개부재(도시 생략)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내부덮개부재는 카트리지 본체부(15)의 정면(23)에 위치된 자기테이프(12)를 구동하는 소정의 공간으로 덮개부재(26)의 내부 주요면을 마주보도록 지지된다. 그래서, 자기테이프(12)는 덮개부재(26)와 내부덮개부재에 의해 항상 덮혀짐으로써 먼지 또는 오물 또는 외부힘의 증착을 방지한다. 내부덮개부재는 덮개부재(26)의 상기 회전과 일치하여 회전되어 자기테이프를 카트리지본체부(15)의 정면(23)에 노출시킨다.
자기테이프(12)는 각각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붙여진 파티션을 가진다. 파티션에 첨부된 숫자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선단(BOT)에서 그 종단(EOT)으로의 오름차순이다. 즉, 자기테이프(12)의 선단에서 시작하는 파티션의 숫자는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P7이고, P6, P5, P4, P3, P2, P1 및 P0를 가지는 파티션이 이 순서대로 자기테이프(12)의 종단을 향하여 형성된다.
테이프 카세트(10)에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보조기억장치가 적재되어 있다. 이 보조기억장치는 적어도 회로기판, 이 회로기판에 설치된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상기의 MIC(11)와, 입/출력 단자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단자(63)로 구성된다.
MIC(11)는 기억소자와, 기록중에 접점단자(63)와 후술하는 것같이 커넥터를 통하여 MIC(11)에 접속된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의 기입/독출 제어부(163)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 입/출력 제어부를 가지고 있다.
접점단자(63)의 수는 데이터와 기억소자의 어드레스선과 전원에 사용된 배선수의 합보다 작으면, MIC(11)와 기입/독출 제어부(163)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은 직렬통신에 의한 것이다. 이 경우에, 통신제어부는 입/출력 제어부와 기입/독출 제어부(163)에 각각 설치된다.
MIC(11)와 기입/독출 제어부(163)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이 직렬통신에 의한 것이면, 상기 서술한 것같이, 접점단자(63)의 수는 줄어들어, 접점단자(63)의 영역을 감소시킬수 있다. 이것은 테이프 카세트(10)에 형성된 단자개구부(51)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의 다른 구성부재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수 있다.
만약, 예를 들면, 접점단자(63)의 접점수가 데이터와 기억소자의 어드레스선과 전원에 사용된 배선수의 합보다 작지 않으면, MIC(11)의 기억소자에 대한 기입 및 독출을 직접 제어할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제어부는 더욱 간단히 구성될 수 있고, 기억소자에 대한 기입/독출을 고속화할수 있다.
보조기억장치에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의 내용, 자기테이프의 사양 또는 테이프 사용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회로기판은 회로기판의 조립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위치하는 하나의 주요면에 카트리지 본체부(15)에 MIC(11)가 설치되고, 상기 조립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위치하는 다른 주요면에 인쇄에 의해 접점단자(63)가 형성된 소위 양면 회로기판으로서 설계된다.
도 5에 있어서, 보조기억장치는 접점단자(63)가 카트리지 본체부(15)의 뒷면의 모서리에 직립 주벽부(40)에 설치된 단자개구(51)를 통하여 밖으로 노출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 단자개구(51)는 보조기억장치의 접점단자(63)가 외부로 노출될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사각형 개구로서 직립의 주벽부(40)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기억장치는 회로기판의 양 측 가장자리가 짝이 되는 삽입홈에 고정되도록 삽입홈에 고정된 회로기판의 양 측가장자리를 가짐으로써 카트리지 본체부(15)에 조립된다. 접점단자(63)와 단자개구(51) 사이에 단자개구(51)를 닫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사각형 부재로서 설계된 셔터부재(50)가 배열되어 있다. 셔터부재(50)는 항상 인장코일스프링(도시 생략)의 가세하에서 하반부 카트리지(14)의 저면을 향하여 가세되어 단자개구(51)를 닫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는 외부와 데이터교환을 가지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부, 포맷을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이 인터페이스 제어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 자기테이프(12)에 이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에서 공급된 기록신호를 기록하고 자기테이프(12)를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부(130)를 포함한다. 이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는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기록/재생부(130)에서 재생출력을 처리하는 재생데이터 처리시스템(140), 기록/재생부(130)의 테이프 구동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구동서보회로(150)와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기록데이터 관리부(160)를 또한 포함한다.
이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에서, 인터페이스 제어부(100)는 외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공급된 데이터를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에 송신하고, 재생 데이터 처리시스템(140)에 의해 재생된 기록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 소위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로 이루어진다.
이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는 후술하는 것같이 송신데이터단위로서 고정길이의 레코드에 의해 SCSI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호스트컴퓨터(200)에서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기록중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 데이터는 압축회로(110)에 공급된다. 이 테이프스트리머장치(1)는 데이터 송신단위로서 가변길이의 데이터의 집합에 의해 호스트컴퓨터(200)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드를 또한 가진다. 그러나, 이것은 특히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호스트컴퓨터(200)에 또한 키보드(201)가 연결된다.
이 압축회로(110)는 필요하다면 프리셋 시스템에 따라서 입력데이터를 압축한다. 예를 들면 LZ코드에 의한 압축시스템이 일예의 압축시스템으로서 채용되면, 사서로서 기록하기 위하여 전용의 코드가 과거에 처리된 문자 또는 문자열에 할당된다. 뒤에 입력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은 사전의 내용과 비교된다. 입력데이터의 열이 사전코드와 일치하면, 문자 또는 문자열은 사전코드로 교체된다. 한편, 새로운 코드는 사전과 일치하지 않은 입력문자 또는 문자열의 데이터에 순차 따르므로, 거기에 할당된 데이터 및 새로운 코드가 사전에 등록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입력문자 또는 문자열의 데이터는 사전에 등록되고 문자 또는 문자열데이터는 데이터 압축을 통하여 사전코드에 의해 교체된다.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은 인터페이스제어부(100)에서 공급된 기록데이터에 인덱스정보를 부가하는 인덱스부가부(121), 서브코드를 발생하는 서브코드발생부(122), 인덱스부가부(121)에서 기록데이터에 에러보정코드를 부가하는 에러보정코드 발생부(123)와, 에러가 보정된 기록데이터에 서브코드발생부(122)에서 서브코드 및 블록 어드레스를 부가하기 위한 서브코드 부가부(124)를 포함한다.
서브코드발생부(122)는 제 1 및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A, 122B)와, 시스템로그발생부(122C)를 포함한다. 에러보정코드 발생부(123)는 메모리(149), C3엔코더(123A), C2엔코더(123B), C1엔코더(123C)를 포함한다.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은 서브코드 부가부(124)에서 기록데이터에 헤더 패러티를 부가하는 헤더 패러티 부가회로(125), 헤더 패러티 부가회로(125)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8/10 변조하는 8/10 변조기(126)와, 8/10 변조기(126)에서 송신된 기록데이터에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부(127)를 포함한다. 기록데이터 처리시스템(120)은 동기신호 부가부(127)에서 송신된 기록데이터에 트래킹 제어용의 ATF(automatic track finding)용 파일로트 신호를 부가하는 파일로트 신호부가부(128)와 파일로트 신호부가부(128)에서 송신된 기록데이터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29)를 또한 포함한다.
기록/재생부(130)는 각각의 다른 방위각을 가지는 2개의 기록자기헤드(Hw1, Hw2)와 각각의 다른 방위각을 유사하게 가지는 2개의 재생자기헤드(Hr1, Hr2)를 회전하는 회전드럼(131)을 포함한다. 이들 2쌍의 자기헤드(Hw1, Hw2, Hr1, Hr2)는 회전드럼(131)의 축을 따라서 즉, 트랙폭을 따라서 트랙피치(Tp)에 대응하여 분리막을 가지도록 회전드럼(131)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재생데이터 처리시스템(140)은 기록/재생부(130)에서 송신된 자기테이프(12)의 경사된 트랙의 재생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증폭기(141)에서 송신된 재생출력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재생출력을 2진신호로 변환하고, 지터용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기신호 검출부(142)를 포함한다. 재생데이터 처리시스템(140)은 또한 변환된 2진 재생데이터를 8/10 복조하는 8/10 복조기(143)와 8/10 복조기(143)에서 재생데이터의 헤더 패러티를 검사하는 헤더 패러티 검사부(144)를 포함한다.
재생데이터 처리시스템(140)은 헤더 패러티 검사부(144)로부터 재생데이터에서 서브코드를 분리하는 서브코드 분리부(145)와, 서브코드 분리부(145)에서 서브코드의 재생데이터를 보정하는 에러보정부(146)와, 에러보정부(146)에 의해 에러에 대하여 보정된 재생데이터에서 인덱스를 분리하는 인덱스분리부(147)를 포함한다. 에러보정부(146)는 메모리(149), C1디코더(146A), C2디코더(146B), C3디코더(146C)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회전드럼(131)의 회전에 대응하는 PG펄스가 기록/재생부(130)에서 공급되는 PG검출부(151)와, PG검출부(151)의 검출출력에서 속도에러를 검출하는 속도에러검출부(152)를 포함한다.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기록/재생부(130)의 재생출력에서 ATF신호에 대한 파일로트 신호를 검출하는 파일롯신호 검출부(153)와, 속도에러 검출부(152)와 파일로트 신호 검출부(153)의 검출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154)를 또한 포함한다. 모터구동 서보회로(150)는 가산기(154)의 가산출력에 의거하여 트래킹 서보신호를 발생하는 트래킹서보회로(155)와 트래킹 서보신호에 의거하여 기록/재생부(130)의 테이프 구동시스템을 제어하는 캡스턴 구동회로(156)를 결국 포함한다.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테이프 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릴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조작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자기테이프(12)를 소정의 위치에 고속공급하도록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할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후술하는 급속공급에 의해 자기테이프를 임의의 장치영역으로 이동하게 할수 있다.
모터구동서보회로(150)는 시스템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을 가진다.
기록데이터관리부(160)는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제어부(161)와, 상기 식별정보를 유지하는 RAM(162)과, 기록/재생부(130)를 통하여 RAM(162)에 대한 기입/독출을 제어하는 기입/독출 제어부(163)를 포함한다.
시스템제어부(161)는 자기테이프(12)에 설치된 파티션 또는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파일을 식별정보로서 관리하는 시스템로그를 기입한다. 기입/독출제어부(163)는 RAM(162)에 기록된 시스템로그를 독출하여 기록/재생부(130)를 통하여 MIC(11)에 독출시스템 로그를 공급하고, MIC(11)에서 독출된 시스템로그를 RAM(162)에 기입한다.
시스템제어부(161)에 의해 주어진 결정에 의거하여, 신장회로(170)는 압축회로(110)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한다. 신장회로(170)는 데이터 신장을 행하지 않고 비압축 데이터가 직접 출력되도록 한다.
신장회로(170)의 출력데이터는 SCSI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재생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200)에 출력된다.
테이프 카세트(10)에 설치된 MIC(11)를 도 8에 나타내었다. 테이프 카세트의 본체부가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에 적재되면, MIC(11)는 단자핀 등을 통하여 시스템제어부(16)에 접속되어 데이터가 시스템제어부(161)와 함께 입/출력되도록 한다.
정보는 MIC(11)와 호스트컴퓨터(200)사이에 SCSI 커맨드를 통하여 전달된다. 그래서, MIC(11)와 호스트컴퓨터(200)사이에 전용회선을 설치하기 위해 특별히 필요한 것이 없으므로, 테이프 카세트와 호스트컴퓨터(200)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SCSI 인터페이스(100)만으로 행해질수 있다.
상기 서술한 테이프스트리머장치(1)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기록에 대하여, 기록데이터는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 인터페이스 제어부(100)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다. 기록데이터가 버스(105)를 통하여 공급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부(100)는 기록데이터를 인덱스 부가부(121)와 서브코드발생부(122)에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00)에서 기록데이터가 공급되면, 인덱스 부가부(121)는 일련의 기록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하여, 단위로서 상기의 40 트랙 즉, 20프레임의 데이터군에 의해 기록데이터에 인덱스정보를 부가하고, 결과데이터를 에러보정코드 발생부(123)에 공급한다.
에러보정코드 발생부(123)는 인덱스부가부(121)에서 송신된 기록 데이터를 데이터단위마다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C3인코더(123A)는 메모리(149)에 기억된 기록데이터의 각 군에 대하여 트랙폭을 따라서 데이터열의 에러보정코드(C3)를 발생하고, 에러보정코드(C3)를 상기 40트랙군의 최종 2개의 트랙에 할당한다. C2인코더(123B)는 데이터열의 에러보정코드(C2)를 트랙방향을 따라서 발생하고 에러보정코드(C2)를 2분할하여 각 트랙의 주요 데이터영역의 양 단자부에 2분할된 것을 할당시킨다. C1인코더(123C)는 후술하는 블록마다의 에러보정코드(C1)를 발생한다.
인터페이스제어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서브코드발생부(122)의 제 1서브코드발생부(122A)는 기록데이터의 구획을 나타내는 구획정보로서 세퍼레이터 카운트(separator counts)를 발생하고, 기록수를 나타내는 카운트를 기록한다.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는 블록어드레스에 따라서 테이프 포맷에 프레임번호로 규정되어 있는 것같이 각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ID, 기록단위의 수를 지정하는 그룹카운트(group count), 체크섬(check sum) 등을 발생한다. 시스템로그발생부(122C)는 상기 테이프 포맷과 같이 규정되어 있는 파티션마다의 시스템로그(히스테리시스 정보)를 또한 발생한다.
서브코드부가부(124)는 블록어드레스와 서브코드발생부(122)에서 송신된 서브코드를 에러보정코드 발생부(123)에 의해 에러보정코드(C3, C2, C1)가 부가된 기록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은 서브코드와 블록 어드레스를 각 블록의 서브영역에 할당한다. 서브코드부가부(124)는 각 블록의 2개의 서브영역(서브1, 서브2)에 상기 서술한 것같이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서 발생된 영역ID, 블록어드레스 등을 또한 할당한다. 서브코드 부가부(124)는 영역ID뿐만 아니라 제 1서브코드발생부(122A)에 의해 발생된 카운트값, 제 2서브코드발생부(122B)에 의해 발생된 그룹 카운트 및 체크섬 등으로 서브데이터를 구성하고 결과의 서브데이터를 상기 서브영역에 할당한다.
헤더패러티부가회로(125)는 서브코드부가부(124)에 의해 기록데이터에 부가된 서브코드와 블록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보정용 2바이트 패러티를 발생하여 2바이트 패러티를 기록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은 2바이트 패러티를 각 블록의 서브영역에 할당한다.
8/10 변조부(126)는 헤더패러티와 블록어드레스가 헤더패러티 부가회로(125)에 의해 부가된 각 블록의 기록데이터를 8비트 데이터에서 10비트 데이터로 바이트마다 변환한다.
동기신호 부가부(127)는 8/10 변조부(126)에 의해 10비트 데이터로 변환된 기록데이터에 1블록마다 동기신호를 부가한다. 이것은 동기신호를 상기 서술한 각 블록의 제 1영역에 할당한다. 이렇게 형성된 기록데이터는 파일롯 신호 부가부(128)에 송신된다.
파일롯 신호 부가부(128)는 ATF용 파일롯신호를 부가하고 이들 ATF용 파일롯신호를 기록데이터에 부가하여 결과의 신호를 증폭기(129)를 통하여 자기헤드(Hw1, Hw2)에 송신한다. 이것은 자기헤드(Hw1, Hw2)가 자기테이프(12)를 스캔하여 기록하게 하여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기록트랙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것같이 기록에 앞서서 자기테이프(12)에 파티션을 생성할수 있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16)는 먼저 자기테이프(12)에 파티션을 형성하고 이어서 파티션의 수, 파티션 등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파티션에 대한 관리정보를 형성하여 RAM(162)에 결과의 정보를 기입한다. 파티션작성의 구체예를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티션에 디렉토리가 작성, 삭제 또는 변경되거나, 또는 디렉토리에 파일이 기록, 삭제 또는 변경되면, 각 파일의 식별정보가 RAM(162)에서 독출되고 상기 기록 등에 따라서 변경된다. 변경된 식별정보는 그러면 RAM(162)에 기입된다. 파일의 기록,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하여, 시스템제어부(161)는 RAM(162)에서 각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새로운 파일 기록위치에 따라서 독출관리정보를 변경하여 결과의 정보를 RAM(162)에 기입한다.
RAM(162)에 기억된 각 파티션의 관리정보, 각 파일의 식별정보 또는 각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갱신되면, 기입/독출 제어부(163)는 갱신된 관리정보를 MIC(11)에 커넥터(132)와 기록/재생부(130)의 접점단자(63)를 통하여 기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는 자기테이프(12)에 파일마다 기록되고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각 파일의 식별정보등이 MIC(11)에 기록된다.
데이터가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를 거쳐서 기록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기록된 데이터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10) 전체에 관한 정보와, 기록된 데이터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각 테이프 카세트(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발생한다. 그러면 기입/독출 제어부(163)는 이렇게 생성된 식별정보를 RAM(162)에 기억한다.
만약, 기록된 자기테이프(12)를 재생하는데, 테이프 칵세트(10)는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의 기록/재생부(130)에 적재되면, 접점단자(63)는 단자개구(51)를 통하여 노출되고 커넥터(132)를 통하여 기입/독출 제어부(163)에 접속된다.
기입/독출 제어부(163)는 상기 관리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 각 파일의 식별정보, 각 파일의 기록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독출하여 독출정보를 RAM(162)에 기입한다.
자기테이프(12)의 재생이 시스템제어부(161)에 의해 지시되어 자기테이프(12)를 재생하면, 기록/재생부(130)는 회전드럼(131)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회전드럼(131)의 rpm은 기록시와 동일해진다. 기록/재생부(130)는 자기테이프(12)의 구동을 또한 제어하므로 자기테이프(12)는 소정의 속도로 구동한다. 그래서, 재생 자기헤드(Hr1, Hr2)는 자기테이프(12)를 틸트로 스캔하여 자기테이프의 스캔결과의 재생출력을 증폭기(141)를 통하여 동기신호 검출부(142)에 공급한다. 동기신호 검출부(142)는 거기에 공급된 재생출력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재생출력을 동기신호와 동기된 클럭에 의해 2진 데이터로 변환하여 8/10 복조기(143)에 송신된 재생 데이터를 발생한다.
8/10복조기(143)는 동기신호 검출부(142)에서의 재생데이터를 10비트 데이터에서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더패러티 검사부(144)에 송신한다. 상기의 2바이트 헤더 패러티를 이용하여, 헤더패러티 검사부(144)는 서브코드와 블록 어드레스의 패러티 검사를 행한다. 서브코드 분리부(145)는 헤더 패러티 검사부(144)에 의해, 재생데이터로부터 패러티 검사된 보정 서브코드를 분리하여 결과데이터를 시스템제어부 등(도시 생략)에 송신하고, 서브코드의 재생데이터를 메모리(149)에 송신한다.
메모리(149)는 인덱스 정보가 부가된 재생데이터를 40트랙 즉 20프레임의 재생데이터를 단위로서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메모리(149)에 기억된 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에 의거하여, C1디코더(146A)는 각 블록의 재생데이터의 에러를 각 블록에 부가된 에러보정코드(C1)를 사용하여 이후 설명하는 것같이 보정한다.
C2디코더(146B)는 C1디코더(146A)에 의해 에러가 보정된 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의 트랙방향으로 각 트랙의 재생데이터영역의 각 단말부분에 부가된 에러보정코드(C2)를 사용하여 데이터열에 에러보정을 행한다. C3디코더(146C)는 C2디코더(146B)에 의해 에러가 보정된 단위마다 재생데이터의 트랙폭방향으로 데이터열에 에러보정을 행한다.
현재의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를 가지고, 재생데이터가 에러보정코드(C1, C2, C3)를 사용하여 보정되고, 재생데이터는 에러가 신뢰성있게 보정될수 있으므로, 재생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할수 있다.
인덱스분리부(147)는 상기 서술한 것같이 에러보정부(146)에 의해 에러가 보정된 단위마다의 재생데이터로부터 인덱스정보를 분리하여, 인덱스 정보를 시스템제어부(161)에 송신하면서, 재생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제어부(100)에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00)는 인덱스분리부(147)로부터 재생데이터를 버스(105)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호스트컴퓨터(200)에 전달한다.
도 9는 자기테이프(12)에 기록된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도 9a는 1개의 자기테이프(1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1개의 자기테이프(12)는 파티션단위마다 분할된 형태로 사용될수 있다. 제 1파티션(P0)는 선두 테이프 끝에 위치한 장치영역(DA) 다음에 배열된다. 제 1파티션 다음에는 분할시 발생된 파티션의 번호에 의거해서 파티션(P1, P2, P3, …)이 온다. 현재의 시스템에는, 최대 256까지 파티션이 설정되어 관리될수 있다. 도 9에서, 파티션(Pn, Pn-1, Pn-2, Pn-3, …)의 첨자(n, n-1, n-2, n-3, …)는 파티션번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파티션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기록/재생될수 있다.
1개의 파티션(Pm)의 개략적인 구조(여기서 m=n, n-1, n-2, n-3, … )는 시스템영역(SYS), 데이터영역(DATA), EOD(end-of-data), 임의의 장치영역(ODA)으로 이루어진다.
자기테이프의 기록데이터의 구조를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의 로드/언로드의 기능을 하는 장치영역(Device Area)이 테이프의 물리적인 선두위치(PBOT(physical beginning end of tape))와 제 1파티션((P0)의 선두위치(logical beginning of tape)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영역의 다음에 테이프 사용 히스테리시스 정보의 저장용 시스템로그영역이 있고, 다음에 데이터 영역이 온다. 시스템 로그영역의 선두는 테이프의 논리적 시작위치(logical beginning of tape 즉 LBOT)를 나타낸다.
데이터 영역에서, 데이터를 작성하여 공급하는 공급자에 관한 정보를 특정하는 공급자군이 먼저 배열되고, 이어서 앰블(Amble) 프레임과 데이터영역의 순서로 된다.
데이터 영역의 다음에, 해당 파티션의 데이터영역의 끝을 나타내는 EOD영역(end-of-data area)이 있다. EOD영역의 최후는 테이프의 논리적 종료위치(logical end of tape, LEOT)이다. PEOT(physical end of tape)는 테이프 또는 파티션의 물리적 종료위치를 특정한다.
파티션마다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의 로드/언로드 위치인 임의의 장치 영역에서, 임의의 장치영역에 속하는 파티션의 위치의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현재 보급되어 있는 파티션의 위치는 위치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다. 더욱이, 근접한 파티션의 위치는 또한 이 위치정보에 의해 확인될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는 임의의 장치 영역에 형성된 각 블록의 ID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임의의 장치영역이 최후의 파티션을 제외한 각 파티션의 최종위치에서 테이프 카세트 배출용 영역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선두의 파티션의 직전 즉, 자기테이프(12)의 물리적 선두 끝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10)용 배출영역은 상기의 장치영역이다.
도 11a에 나타낸 것같이 회전헤드(131)에 의해 자기테이프(12)에 순차적으로 방위기록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은 40트랙 즉 20프레임에 의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그룹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파티션에서 데이터 기록단위는 도 11a에 나타내는 것같이 각 그룹이 20프레임(=40트랙)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기록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각 트랙은 도 11b에 나타낸 데이터 구조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471개의 블록은 트랙을 구성하고 있다. 도 11b는 1개의 블록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각 블록은 1바이트의 SYNC 데이터 영역(A1), 이어서 서치용 6바이트 ID영역(A2), 에러정정용 ID데이터에 대한 2바이트 패러티영역(A3), 64바이트 데이터영역(A4)으로 이루어진다. 도 11c는 1개의 트랙이 전체 471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각 트랙은 양 단에 4개의 블록 마진영역(A11, A17), 마진영역(A11)의 뒤와 마진영역(A17)의 뒤에 설치된 트랙제어용 ATF영역(A12, A16)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ATF영역(A14)는 1개의 트랙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ATF영역(A12, A14, A16)은 각각 5블록 영역이다. ATF영역(A12, A14)의 사이와 ATF영역(A14, A16)의 사이에, 각 224개의 블록의 데이터 영역(A13 및A15)이 설치되어 있다. 1프레임에서의 전체 데이터영역(A13 및 A15)이 전체 471개의 블록중 224 x 2 = 448블록이다.
또한, 본 테이프 스트리머 장치(1)에서, 데이터 영역은 1블록이 73바이트인 448개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각 블록은 동기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최초 1바이트 존(zone), ID를 기록하기 위한 2번째 6바이트존, 헤더패러티를 기록하기 위한 3번째 2바이트존, 그리고 기록데이터용 4번째 64바이트존으로 분할된다. 각 블록에서, 서브코드와 블록어드레스는 데이터를 따라서 기록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 4구간에 기록된 데이터는 2차원의 오류정정부호(C2, C1)가 부가된 58바이트 x 384블록 즉 22272 바이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64바이트 x 448블록분의 데이터가 블록단위로 이루어진 64바이트 x 448블록분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오류정정부호(C1)는 블록마다의 메인데이터에 부가되어 기록되고, 오류정정부호(C2)는 각 트랙의 메인 데이터영역의 양단부분의 32블록에 기록된 2부분으로 분할된다.
본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서, 에러정정코드구조가 채택되어, 40트랙 즉 20프레임은 에러정정용 1개의 단위 또는 그룹을 나타내고, 각 프레임은 2개의 프레임 즉 942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트랙방향으로 정렬된 데이터열의 정정코드(C2)는 도 13에 나타낸 것같이 트랙의 각 면에 정렬되어 있고, 트랙폭에 평행한 데이터열의 에러정정코드(C3)는 최종 2개의 40트랙에 할당되어 기록되어 있다. 일련의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인덱스정보는 단위마다 부가된다.
상기의 서브코드로서, 세퍼레이터 카운트가 메인데이터의 구획을 지정하는 구획정보, 레코드의 수를 지정하는 기록카운트, 테이프 포맷에 지정된 각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ID, 기록단위의 절대위치를 지정하는 프레임번호, 기록단위의 수를 지정하는 그룹카운트, 체크섬으로서 기록된다.
도 11b에 나타낸 ID영역(A2)은 도 14와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D영역(A2)은 도 14에 나타낸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9비트의 물리적 블록어드레스(A21)와 물리적 블록어드레스(A21) 다음의 39비트 ID정보영역(A22)으로 구성되어 있다.
1트랙의 전체 데이터 영역(A13 및 A15)은 448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전체 데이터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물리적 블록어드레스(A21)의 수는 또한 448개이다. 이들 448개의 물리적 블록어드레스(A21)에는 도 15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같이 트랙의 선두종료에 위치하는 물리적 블록어드레스(A21)에서 시작하는 10진 표시로 0에서 447까지 증가하는 어드레스값이 주어져 있다.
이것은 1개의 트랙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ID정보영역(A22)에서의 정보를 적당히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기록/재생장치가 1개의 트랙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ID정보영역(A22)의 정보를 적당히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D정보영역(A22)의 데이터크기는
39(bit) χ 448(blocks) = 17,472(bits)
= 2,148 bytes
에 의해 구해지는 것같이 2148 바이트이다.
도 14에 ID정보영역(A22)에 기억된 다른 유형의 ID영역정보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ID영역정보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분배방식으로 1개의 트랙에서의 데이터영역에 포함된 184 바이트의 ID정보영역(A22, A22, …)의 전체 합계이다.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 의한 ID영역정보의 확실한 독출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 ID영역의 정보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복수회 기록되어 있다.
도 16에, 16비트의 로우 포맷 ID(row format ID)는 자기테이프(12)에 관한 기본 포맷유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트랙피치, 1프레임 데이터크기, 1트랙에서의 블록수, 1블록에서의 데이터크기, 테이프 길이, 테이프 두께 또는 테이프재질이 지정되어 있다. 8비트의 논리적 포맷ID는 사용중인 현재 기록포맷의 유형을 지정한다.
논리적 프레임ID(logical frame ID)는 1비트의 최종프레임ID, 1비트의 ECC프레임ID 그리고 6비트의 논리적 프레임수로 이루어져 있다. 최종프레임ID(last frame ID)는 해당 ID영역에 관한 현 프레임이 그룹에서 최종프레임인지 아닌지를 지정하고, ECC 프레임ID는 현 프레임의 데이터영역의 기록데이터가 에러보정코드(ECC)인지 아닌지를 지정한다.
각 그룹은 상기 서술한 것같이 20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논리적프레임수는 해당프레임이 현 그룹에서 몇번째의 프레임인가를 나타낸다.
16비트의 파티션ID는 현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의 파티션번호를 나타낸다.
4비트영역 ID는 해당 프레임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가를 나타낸다. 4비트 데이터 ID는 기록포맷하에서 데이터처리구조의 유형을 나타내고, 4비트 N포지션(position), 4비트 N리피트(repeat)는 멀티기록모드에 대하여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24비트 그룹카운트는 현 파티션에서 그룹의 전체수를 해당 프레임을 포함하는 그룹까지 나타낸다. 32비트 파일마크 카운트는 현 파티션에 포함된 파일마크의 전체수를 그 시작위치에서 현 그룹까지 나타낸다. 파일마크는 각 파티션에서 데이터 파일의 구획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32비트 세이브 세트 마크 카운트(save set mark count)는 현 파티션에 포함된 파일마크의 전체수를 시작위치에서 현 그룹까지 나타낸다. 세이브 세트 마크는 1파티션에서 데이터 세이브위치의 구획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32비트 레코드 카운트(record count)는 현 파티션의 레코드의 전체수를 시작위치에서 현 그룹까지 나타낸다. 24비트 절대 프레임 카운트(absolute frame count)는 현 파티션에 포함된 프레임의 전체수를 시작위치에서 현 그룹까지 나타낸다. 지정되지 않은 미지정(reserved)영역은 또한 ID영역정보의 가능한 장래의 추가에 대하여 또한 제공된다.
한편, ID영역정보의 정의와 ID영역정보에 주어진 비트의 수는 단지 일예이고 실제의 사용조건에 따르도록 적당히 변경될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각종 ID영역정보 아이템중, 본 실시예의 중점인 영역ID를 이하 설명한다.
도 17은 영역ID의 정의내용을 나타낸다. 여기서, 비트번호(3-2-1-0)는 영역ID를 구성하는 4비트로 주어진다.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0000], [0001], [0010], [0011]의 비트번호(3-2-1-0)의 값은 장치영역(device area), 레퍼런스 영역(reference area), 시스템 로그 영역(system log area), 미정의(reserved)를 각각 나타낸다.
[0100], [0101], [0110], [0111]은 도 10에 나타낸 필수의 장치이외의 데이터영역, EOD영역, 미정의, 및 임의의 장치영역을 나타낸다. 자기테이프(12)를 로드/언로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영역을 이후 설명한다.
도 17에서 비트번호(3-2-1-0)의 비트의 값을 나타내는 각 칼럼에서, 괄호내에 나타낸 숫자는 10진법으로 비트값을 나타낸다.
도 18은 예를 들면 2메가 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는 MIC(1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이 MIC(11)의 영역에서, 필드(F1 ∼ F4)가 설정되어 있다.
필드(F1)은 초기화시의 테이프정보와 파티션 마다의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특히, MIC헤더는 제조시의 여러 가지 항목에 관한 제조정보(F11), 시리얼번호(F12), 메모리 관리정보(F13), 동작모드에 대한 플래그 및 언로드위치정보(F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언로드위치정보(F15)는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서 언로드시에 주로 자기테이프(12)의 위치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언로드 위치정보(F15)는 절대프레임번호(AFN), 파티션 번호, 그룹 카운트, 레코드 카운트, 마크1 카운트, 마크2 카운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드(F2)는 자기테이프(12)에 실제로 기록된 각 파티션에 관련하여 작성되어 있다. 이 필드(F2)에서, 각 시스템로그는 기억되고, 시스템로그는 파티션마다 기록된다. 자기테이프(12)의 시스템로그영역에서, MIC(11)에서 시스템로그 영역과 유사한 내용의 정보가 기입될수 있다.
필드(F3)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것으로, 테이프 카세트(10) 자체에 관하여 사용자(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가 거기에 기억되고 필요하면 처리제어에 사용되도록 외부 호스트컴퓨터(200)에 공급된다.
필드(F4)는 각종 데이터의 절대위치정보가 기억되는 맵영역이다.
본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서, 파티션 배치정보는 상기 서술한 것같은 데이터 영역을 가지는 자기테이프(12)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10)의 MIC(11)에 파티션정보로서 기억될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테이프(12)의 초기화 동시에 파티션번호는 MIC(11)에 기억될수 있다.
도 19는 자기테이프(12)의 초기화와 동시에 MIC(11)에 파티션 번호를 기억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S1)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호스트컴퓨터에서 자기테이프(12)에 형성된 파티션의 소정의 총수와 각 파티션의 소정의 크기가 기술되어 있는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한다.
단계(S2)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기입/독출 제어부(163)를 제어하여 자기테이프(12)에 형성된 파티션의 총 수, 각 파티션의 번호와 각 파티션의크기 등을 상기 초기화 커맨드에 대응하여 MIC(11)의 필드(F3)에 기록한다.
그러면, 단계(S3)에서, 시스템제어부(16)는 자기테이프(12)를 초기화한다.
상기 동작순서에 의해, 시스템제어부(16)는 자기테이프(12)는 초기화되어 자기테이프(12)에 파티션을 생성한다.
초기화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테이프의 시초부터 끝으로 내림순서로 파티션 번호를 가지는 파티션이 형성된다.
도 19의 플로우챠트에서, MIC(11)에 파티션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처리후 자기테이프(12)는 초기화된다. 또한, 파티션 배치정보는 자기테이프(12)의 초기화와 동시에 혹은 뒤에 MIC(11)에 기억될수 있다.
그래서,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자기테이프(12)에 형성된 파티션의 번호 또는 크기, 혹은 파티션의 총수를 항상 파악할수 있으므로,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테이프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전체 테이프의 파티션의 배치를 알수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파티션이 추가되거나, 기존의 파티션이 삭제되면, 전체 테이프의 파티션의 배치를 현재 테이프 위치에 상관없이 알수 있으므로, 소망의 파티션으로의 이동이 즉시 실현될수 있다.
파티션의 추가 또는 삭제를 설명한다. 먼저, 파티션이 도 20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부가된다.
시스템제어부(161)는 먼저 모터구동 서보회로(150)를 제어하여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를 최종위치, 여기서는 파티션(P0), 로 단계(S11)에 나타낸 것같이 이동시킨다. 파티션을 새롭게 추가하기 위해서 호스트컴퓨터(200)에서 커맨드를 수신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파티션을 추가한다. 이 새로운 파티션은 예를 들면 파티션(P0)을 분할함으로써 추가된다. 이 분할은 분할되는 파티션(P0)의 크기와 새롭게 추가되는 파티션(P8)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시스템제어부(161)는 다음 단계(S13)에서 새로운 파티션(P8)을 초기화한다. 이것은 도 2에 나타낸 것같은 파티션배치로 파티션(P8)을 배치한다.
새로운 파티션은 새로운 파티션을 설치하기 전에 기존의 파티션의 데이터영역을 연장한 후 형성될수 있다.
단계(S13)후에,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14)에 나타낸 것같이 파티션 배치정보를 갱신한다. 특히, 총수(N)은 9로 설정되고(N=9), 파티션(P8)의 추가의 사실이 예를 들면 MIC(11)의 필드(F3)에 기억된다.
그래서, 시스템제어부(161)는 새로운 파티션을 자기테이프(12)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MIC(11)에서 필드(F3)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를 갱신한다.
그래서, 새로운 파티션이 추가되면,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의 현 위치에 상관없이, 예를 들면 대응하여 갱신된 MIC(11)의 필드(F3)에 기록된 파티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유효한 파티션번호와 원하는 파티션이 어디에 있는가를 확인할수 있다. 전체 테이프 영역을 검사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즉시 원하는 파티션으로 이동될수 있다.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파티션을 분할하고자 하면, 대응하는 동작이 즉시 실행될수 있다.
파티션을 추가하는 구체적인 동작이 도 21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새로운 파티션(Pk)을 추가하기 위하여 파티션(Pm)이 분할된다.
먼저,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21)에서 모터구동 서보회로(150)를 제어하여 테이프 카세트(10)의 로딩을 시작한다. 이 로딩은 도 2a에 나타낸 것같이 파티션번호(Pm)를 가지는 파티션의 임의의 장치영역(ODA)에 헤드가 진입되면서 행해진다. 단계(S22)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MIC(11)의 필드(F15)에 기록된 이전의 언로딩 위치가 현재의 로딩위치와 같은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은 임의의 장치영역(ODA)으로부터 독출된 파티션 번호를 나타내는 ID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전의 언로딩(unloading)위치가 현재의 로딩위치와 동일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23)에서 단계(S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23)에서 단계(S28)로 진행한다.
이 단계(S28)에서, 자기테이프(12)는 선두위치에 되감기된다. 단계(S29)에서, 에러신호가 발생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24)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기록된 신호를 파티션(Pm)의 선두위치에서 읽어서 첫 번째 EOD(end-of-data)를 발견한다. 파티션(Pm)에 기록된 신호의 읽기동작은 도 22에서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동작이다.
EOD가 발견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가 파티션(Pm)에 속하는 임의의 장치영역(ODA)을 기입하는 단계(S25)로 진행한다.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단계(S26)로 진행하여 새로운 파티션(Pk)에 속하는 시스템영역(SYS)을 기입한다. 시스템제어부(161)는 그러면 단계(S27)로 진행하여 새로운 파티션(P8)에 속하는 EOD(end-of-data)를 기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새로운 파티션(Pk)이 형성된 후,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23에 나타낸 새로운 파티션(Pk)이 단계(S25)에서 파티션(Pm)에속하는 임의의 장치영역(ODA)을 기입하고, 단계(S26)에서 새로운 파티션(Pk)에 속하는 시스템영역(SYS)을 기입하고, 단계(S27)에서 새로운 파티션(Pk)에 속하는 EOD(end-of-data)를 기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파티션을 추가하는 동작이나 뒤에 설명하는 파티션을 소거하는 동작은 SCSI 커맨드를 사용하여 호스트컴퓨터(200)로부터 실행될수 있다.
파티션 소거를 설명한다. 파티션 소거는 도 24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실행된다.
호스트컴퓨터(200)에서 파티션을 소거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파티션, 여기서는 파티션(P0)을 소거한다. 이것은 도 1에 나타낸 파티션(P0)을 소거하므로 테이프의 말단에서의 파티션은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파티션(P1)의 영역이다.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32)에 나타낸 것같이 파티션 배치정보를 갱신한다. 즉, 파티션의 총수(N)은 7로 설정되고(N=7), 파티션(P0)의 소거사실은 기입/독출 제어부(163)를 통하여 MIC(11)의 필드(F3)에 기억된다.
시스템제어부(163)는 그래서 자기테이프(12)에서 파티션을 소거하고 MIC(11)의 필드(F3)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를 갱신한다.
그래서,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파티션이 소거되어도, 대응하여 갱신된 MIC(11)에 기록된 파티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의 일반적인 위치에 상관없이, 유효파티션 번호와 파티션의 장소를 즉시 확인할수 있으므로, 테이프 스트리머장치는 소거된 파티션이 위치하던 장소에 접근하지 않고 파티션의 소거사실을 알수 있다.
테이프 스트리머장치가 현재의 파티션에서 목적의 파티션으로 이동된 처리를 도 25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S41)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호스트컴퓨터(200)에서 목적의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42)에 나타낸 것같이 지시된 파티션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단계(S43)에서, 지시된 목표의 파티션이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상기 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즉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지시된 목적의 파티션이 존재한다고 구해지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44)로 진행한다. 상기 조사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지시된 목적의 파티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구해지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50)로 진행한다.
단계(S50)에서, 지시된 파티션이 없기 때문에, 결과는 에러로서 호스트컴퓨터(200)에 되돌려진다.
지시된 목적의 파티션이 존재한다고 확인되는 단계(S44)에서, 현 파티션이 목적 파티션인지 아닌지가 조사된다.
단계(S44)에서 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즉 현파티션이 목적의 파티션이라고 구해지면, 시스템제어부(161)는 현 파티션 즉, 목적 파티션의 선두위치에서 단계(S48)에서 대기상태에 들어가고, 해당 목적파티션의 검색을 종료한다.
단계(S44)에서 조사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현파티션이 목적의 파티션이 아니라고 구해지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45)에 진행한다.
단계(S45)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자기테이프(12)에서 파티션 배치정보로부터 목적 파티션이 BOT방향에 있는지 또는 EOT방향에 있는지를 조사한다. 다음 단계(S46)에서, 시스템제어부(161)는 목적 파티션이 상기의 EOT방향에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한다.
단계(S46)에서 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즉, 목적의 파티션이 상기 EOT방향에 있으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47)에 진행하여 테이프상의 파티션ID를 읽으면서 EOT방향으로 목적의 파티션을 검색한다. 목적파티션이 도달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목적파티션의 선두위치에서 단계(S48)에서 대기상태에 들어가고 목적파티션에 대한 검색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46)에서 조사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목적의 파티션이 상기 EOT방향에 없으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단계(S49)에 진행하여 테이프상의 파티션ID를 읽으면서 BOT방향으로 목적의 파티션을 검색한다. 목적파티션이 도달하면, 시스템제어부(161)는 목적파티션의 선두위치에서 단계(S48)에서 대기상태에 들어가고 목적파티션에 대한 검색처리를 종료한다.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에 의거한 방법으로 목적파티션의 존재를 확인하여, 목적의 파티션에 이동할수 있다.
소거등으로 인해 자기테이프(12)상에 목적의 파티션이 없으면,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목적파티션에 접근하지 않고 목적파티션이 소거되었음을 알수 있다.
파티션이 자기테이프(12)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면,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는 목적 파티션을 즉시 신뢰성있게 이동할수 있다.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서, 파티션은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열정보를 조작함으로써 소거될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테이프(12)에 설치된 파티션은 파티션을 실제로 소거하지 않고 공백데이터 등에 의해 소거될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P7, P6, P5, P4, P3, P2, … )이 자기테이프(12)에 형성되어 있으면, 파티션 배열정보만을 조작함으로써 파티션(P4) 이후의 파티션이 테이프의 종단을 향하여 마치 소거될수 있다.
이것은 자기테이프(12)에 설치된 파티션의 존재를 소거할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전체로서 파티션을 소거하지 않고, 고속의 파티션 소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MIC(11)에서 파티션이 소거되면, 파티션이 소거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소저된 장소에 플래그가 설정될수 있다.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열정보가 조작되어 실제로 파티션에서의 데이터등이 소거되지 않으므로, 파티션 배치정보가 조작되어 파티션 소거상태를 설정한 직후, 이러한 복구가 시도되도록 소거된 파티션을 복구하기 위하여 플래그가 리세트될수 있다.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를 조작함으로써 파티션의 존재가 소거될수 있으므로, 테이프 카세트(10)가 테이프 스트리머장치(1)에 로드되고, 실제로 테이프가 위치에 로드되어 있지 않거나 테이프 스트리머장치 이외에 테이프 카세트(10)가 존재하여도 파티션이 소거될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MIC(11)에 기억된 파티션 배치정보를 조작함으로써 파티션이 소거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파티션의 배치위치를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용될수 있다.
자기테이프(12)에 형성된 파티션의 파티션번호가 자기테이프의 시작끝에서 내림차순으로 있지만, 내림차순 이외의 어느 적당한 파티션 배치순서도 사용될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 배치순서는 자기테이프의 시작끝에서 오름차순일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테이프 카세트는 적어도 2개의 번호가 붙여진 파티션을 가지고, 각각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각각의 파티션에 대한 부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포함한다. 기억수단은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파티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메모리에 유지한다. 테이프 카세트는 그래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서 파티션을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함으로써,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는 파티션의 추가 또는 삭제가 있어도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현재의 배치상황을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등에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파티션을 재기입하는 파티션 재기입수단과, 파티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기입수단과, 파티션에 대한 기록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과,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파티션 배치정보 기입수단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의 기억수단에 기입된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분할된 테이프 카세트의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파티션의 추가 또는 삭제가 있어도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의 현재의 배치상황에 의거하여 소망의 파티션의 존재를 확인할수 있고, 또, 소망의 파티션에 즉시 이동할수 있다.
도 1은 파티션번호가 자기테이프의 BOT에서 EOT로 내림차순으로 붙여진 것을 나타내는 자기테이프에 복수의 파티션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파티션번호가 자기테이프의 BOT에서 EOT로 내림차순으로 붙여진 자기테이프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새로운 파티션(P8)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단의 파티션이 분할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파티션번호가 자기테이프의 BOT에서 EOT로 내림차순으로 붙여진 자기테이프를 나타내고, 종단 파티션(P0)이 소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테이프 카세트의 상면측 및 정면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테이프 카세트의 상면측 및 배면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측 및 정면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테이프스트리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데이터가 기입 또는 독출된 자기테이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자기테이프에 형성된 복수의 파티션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자기테이프의 트랙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트랙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8의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40트랙의 1단위에 대한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4는 자기테이프의 ID영역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자기테이프의 트랙에서 물리적 블록 어드레스 번호를 나타낸다.
도 16은 자기테이프의 ID영역정보를 나타낸다.
도 17은 ID영역정보에 포함된 영역ID의 정의를 나타낸다.
도 18은 테이프 카세트에 탑재된 MIC에서 기억된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8에 나타낸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초기화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은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파티션의 추가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은 도 20과 유사하게,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파티션의 추가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2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파티션의 추가의 경우에 자기테이프에 실행된 동작을 나타낸다.
도 23은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형성된 새로운 파티션을 나타낸다.
도 24는 테이프스트리머장치에 의해 파티션의 삭제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5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의 파티션에 이동하는 경우에 처리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6은 자기테이프상에 실제의 파티션 형성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파티션 배치정보를 조작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단을 향하여 P4이후의 파티션이 삭제되는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테이프스트리머장치 10. 테이프 카세트
11. MIC 12. 자기테이프
130. 기록재생부 163. 기입/독출 제어부

Claims (2)

  1.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형 기록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파티션으로 분할된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며,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상기 파티션을 재기입하고, 파티션의 추가 및 삭제를 실행하는 파티션 재기입수단과,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재기입된 상기 모든 파티션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배열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기입수단과,
    상기 파티션에 대한 기록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과,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배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치정보는 각 파티션에 관련된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번호는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의 초기화시 상기 파티션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선두에서 종단으로 내림차순이 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 목적 파티션에 관한 지시를 받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목적 파티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목적 파티션이 존재하는지를, 상기 각각의 지시에 대응하여 확인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열정보에 의거하여 목적 정보가 현재의 파티션의 앞에 또는 뒤에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정보는 각 파티션의 각각의 크기를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19980051358A 1997-11-28 1998-11-27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59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28366 1997-11-28
JP32836697 199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648A KR19990045648A (ko) 1999-06-25
KR100591784B1 true KR100591784B1 (ko) 2006-12-01

Family

ID=1820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58A KR100591784B1 (ko) 1997-11-28 1998-11-27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93166B1 (ko)
EP (1) EP0920018A3 (ko)
KR (1) KR100591784B1 (ko)
CN (1) CN1225736C (ko)
NO (1) NO985520L (ko)
TW (1) TW4170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70233A1 (en) * 1999-12-28 2006-06-14 Sony Corporation A photographic image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using a portable music player
US6906881B2 (en) * 2002-06-27 2005-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rase a magnetic tape
GB2418770B (en) * 2004-10-02 2009-04-2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ata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GB2422476B (en) * 2005-01-21 2007-05-2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ata structure data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US7843991B2 (en) * 2005-04-21 2010-11-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oice quality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131517B2 (ja) * 2005-09-06 2008-08-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ープ媒体にデータを書き込むための装置
US7280052B2 (en) * 2005-09-30 2007-10-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ata compression
US8576505B2 (en) * 2005-10-28 2013-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pe drive apparatus and method
JP2008146765A (ja) * 2006-12-12 2008-06-26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9098210B2 (en) * 2009-10-29 2015-08-04 Oracle America, Inc. Automatically linking partitions on a tape media device
US9275678B2 (en) * 2010-03-25 2016-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mary storage media with associated secondary storage media for efficient data management
US9430155B2 (en) 2010-03-25 2016-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index, metadata storage, and file system management for magnetic tape
US9063666B2 (en) * 2010-03-25 2015-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index, metadata storage, and file system management for magnetic tape
US9401180B2 (en) 2012-10-12 2016-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resolution tape directory (HRTD) stored at end of data in an index part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025A2 (en) * 1993-07-26 199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and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181A (en) * 1986-09-24 1988-02-02 Eastman Kodak Company Tape memory with integral disk index on reel
DE69422843T2 (de) * 1993-04-20 2000-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vorrichtung
US6101070A (en) * 1993-09-30 2000-08-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and a cassette for use therewith
WO1997002566A1 (fr) * 1995-06-30 1997-01-23 Sony Corporation Cassette, appareil enregistreur et duplicateur a bande magnetique
JP4032433B2 (ja) * 1997-09-12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025A2 (en) * 1993-07-26 199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736C (zh) 2005-11-02
EP0920018A2 (en) 1999-06-02
US6493166B1 (en) 2002-12-10
TW417094B (en) 2001-01-01
EP0920018A3 (en) 2001-11-14
CN1221943A (zh) 1999-07-07
KR19990045648A (ko) 1999-06-25
NO985520D0 (no) 1998-11-26
NO985520L (no) 199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2534A (en) Tape cassette, tape recording apparatus and tape reproducing apparatus
KR100591784B1 (ko) 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538039B1 (ko) 테이프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테이프배출방법
US6301067B1 (en) Tape cassette and a tape recording apparatus
WO2000038188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lecteur de bande et procede d'identification du type de support d'enregistrement
KR920002800B1 (ko) 기록 테이프상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방법
JP2000182295A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US7103741B2 (en) Tape drive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KR100779979B1 (ko) 테이프형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및 그 액세스방법과기록매체
US6023388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4078736B2 (ja) テープカセット、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930064A (en) Data recording method
JPH09171676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3687165B2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H09237474A (ja) テープカセット、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US20050018342A1 (en) Tape drive apparatus,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0173244A (ja) 記録媒体及びテープドライブ装置
JPH09134256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9171648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テープカセット
US7100010B2 (en) Tape drive apparatus,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917152A (ja) テープカセット、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186388A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イジェクト方法
JPH09161452A (ja) 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及び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の検索方法
JPH09134584A (ja) 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及び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のデータ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