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16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16B1
KR100530416B1 KR10-1999-0005766A KR19990005766A KR100530416B1 KR 100530416 B1 KR100530416 B1 KR 100530416B1 KR 19990005766 A KR19990005766 A KR 19990005766A KR 100530416 B1 KR100530416 B1 KR 10053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s
glasses
pairs
spectacle
specta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817A (ko
Inventor
마스다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6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rubb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 보호안경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안경은 안경 본체(1)의 좌우에 안경다리 설치부재(2)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안경 본체(1)에 고착되는 고착부(2a)와 안경다리(3)가 장착되는 요동부(2b)로 이루어지는 두갈래형상으로서, 안경다리를 일정 이상으로 벌려도 안경 본체의 커브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안경 본체의 커브를 조여도 안경다리가 머리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아 착용감이 나빠지지 않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선글라스, 보호안경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경 본체(30)(1안식 렌즈)의 좌우측부 상단에 고착된 프레임(31)을 통해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2)를 설치한 안경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안경은 자동차 경기 등 각종 스포츠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바람이 들어오는 것이나 측면에서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렌즈의 커브를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종래의 안경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1)에 걸어맞춤 축 구멍(33)을 설치하고, 이것에 두갈래형상으로 한 안경다리(32)의 상단부에 설치한 돌기부(34)를 걸어맞추고 있기 때문에, 안경다리(32)는 프레임(31)의 외단(35)에 맞닿아 그 이상 바깥쪽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안경다리(32)를 더욱 벌리고자 하는 경우, 안경 본체(30)가 변형하여, 그 본래의 커브가 손상된다. 또 안경 본체(30)의 커브를 조이면, 이것에 대응하여 안경다리(32)의 벌어진 각도도 작아지기 때문에, 안경다리(32)가 머리를 압박하여, 착용감이 나빠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안경은 안경 본체(30)의 구면이 6커브정도가 표준이며, 그 이상 꽉 조이는 것을 상품화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6커브의 구면은 구면(전면)의 곡률반경(R1)(㎜)이
R1=(N-1)×100/D〔D=6〕
로 설정된 구면이다. 여기에서 N은 재질의 굴절율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일정 이상으로 벌려도 안경 본체의 커브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안경 본체의 커브를 조이게 하여도 안경다리가 머리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아 착용감이 나빠지지 않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안경 본체(1)의 좌우에 안경다리 설치부재(2)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안경 본체(1)에 고착되는 고착부(2a)와 안경다리(3)가 장착되는 요동부(2b)로 이루어지는 두갈래 형상이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는 안경 본체(1)의 좌우측부의 앞면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안경 본체(1)는 1안식 렌즈로 할 수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의 요동부(2b)에 안경 본체(1)에 걸리는 걸기기구(15)를 설치하여, 요동부(2b)가 일정 이상으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경은 안경 본체(1)의 좌우에 안경다리 설치부재(2)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안경 본체(1)에 고착되는 고착부(2a)와 안경다리(3)가 장착되는 요동부(2b)로 이루어지는 두갈래 형상으로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안경의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저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스포츠용 안경으로서 구성한 것이다.
안경 본체(1)는 예를 들면, 6.75커브의 구면을 구비한 가소성 및 탄성을 갖는 1안식 렌즈로 할 수 있다. 이 안경 본체(1)(1안식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 ABS수지 등의 내충격성 플라스틱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 본체(1)의 좌우 양측 상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 1 절개부(4)와 제 2 절개부(5)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2단계로 내린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제 1 절개부(4) 부근에는 나사구멍(6)이 2개씩 설치되고,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내측에서 나사(7)로 고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톱니형상(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안경 본체(1)의 중앙 하부는 대략 V자형상으로 절개하여 코걸이부재 장착부(9)를 형성하고 코걸이부재(10)를 장착하고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는 비교적 짧은 고착부(2a)와 긴 요동부(2b)가 대략 V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안경 본체(1)의 좌우측부의 앞면 상부에 위치하고, 그 요동부(2b)가 안경 본체(1)의 앞쪽에서 수평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는 상기 제 1 절개부(4)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안경 본체(1)의 중앙 상단부 가장자리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는 예를 들면, 나일론수지 등의 가소성을 갖는 소재로, 고착부(2a)와 요동부(2b)를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고착부(2a)와 요동부(2b)를 금속 등의 가소성을 갖지 않는 소재로 별체로 구성하고, 이 고착부(2a)와 요동부(2b)를 가소성을 갖는 부재로 연결할 수도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의 고착부(2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안경 본체(1)에 걸어맞추도록 한 걸어맞춤 홈(11)을 오목하게 만들고,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면에서 이 걸어맞춤 홈(11)을 통과하는 나사구멍(12)을 2개씩 설치하고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재(2)는 안경 본체(1)의 상기 나사구멍(6)을 설치한 부근에 걸어맞춤 홈(11)을 걸어맞추게 하여, 나사구멍(12)과 상기 안경 본체(1)의 나사구멍(6)에 나사(7)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고착된다.
요동부(2b)는 안경 본체(1)와 안경다리(3)가 자연스런 곡선형상으로 연속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한 것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붙여진 부분 부근이 약간 앞쪽으로 불룩하여, 외단부가 안경 본체(1)의 상기 제 2 절개부(5)에 넣어지도록 활처럼 휘여있다. 또, 요동부(2b)는 내측면(13)의 커브를 외측면(14)의 커브보다 휘게 하여, 붙여진 부분에서 외단부를 향하여 굵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요동부(2b)의 내측면(13)에는 상기 안경 본체(1)의 톱니형상(8)에 들어가도록 돌출한 걸기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걸기기구(15)는 선단부(15a)를 톱니형상(8)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선단부(15a)가 안경 본체(1)에 걸려 요동부(2b)가 일정 이상으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걸기기구(15)에 의해 필요이상으로 요동부(2b)를 벌려 안경 본체(1)가 변형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요동부(2b)의 외단부에는 안경다리(3)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도록 한 안경다리 설치부(16)를 설치하고 있다. 안경다리 설치부(16)는 안경 본체(1)의 상기 제 2 절개부(5)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안경다리(3)는 안경다리 설치부재(2)와 동일한 재질로 가소성 및 탄성을 갖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에 꼭 맞도록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다리(3)의 전단부는 바깥쪽으로 절개부(17)를 설치하고, 상면(18)과 하면(19)의 두갈래로 나뉜 형상으로 하고, 상면(18)과 하면(19)의 사이에 단면이 원형인 축(20)을 설치하고 있다. 또 전단부의 상면(18) 및 하면(19)은 바깥쪽이 앞쪽에 벗어난 두개의 반원형상을 접속한 형상으로 하여 돌출부(2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안경다리(3)에는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뒤쪽에 좌우방향으로 관통한 미끄럼방지장착의 긴 구멍이 설치되어, 표면에 돌기를 설치한 고무 등의 탄성재료의 미끄럼방지기구(22)가 끼워붙여져 있다.
요동부(2b)의 안경다리 설치부(16)에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3)의 축(20)을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한 회동 홈(23)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회동 홈(23)의 주위를 단차를 주어, 주위 벽의 내측면(13) 부근 부분을 안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안경다리(3)의 전단부의 돌출부(21)를 걸리게 하는 회전정지부(24)를 설치하고 있다.
안경다리(3)는 축(20)을 회동 홈(23)에 끼워맞추어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나 비틀림에 대해서 강하고, 어긋나기 어렵다. 또 안경다리(3)의 전단부의 절개면(25)은 상기 돌출부(21)가 회전정지부(24)에 걸림과 동시에, 요동부(2b)의 바깥쪽 단면(26)에 맞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동부(2b)에 안경다리(3)를 흔들리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코걸이부재(10)는 정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상의 유지부(10a)와 코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한 코걸이부(10b)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다. 유지부(10a)의 상측 둘레면에는 측면도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착 홈(27)를 오목하게 만들어, 이 협착 홈(27)에서 코걸이부재(10)를 상기 안경 본체(1)의 코걸이부재 장착부(9)에 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코걸이부(10b)에는 중앙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긴 구멍(28)과 좌우로 전후방향으로 긴 복수의 가는 구멍(29)이 설치되어 있다.
코걸이부재(10)는 상기 협착 홈(27)과 코걸이부재 장착부(9)와의 협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보다도 플라스틱 등의 비교적 경질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상기 구성에 의해 코걸이부(10b)는 유연성을 갖고, 코에 부드럽게 접하여 잘 맞는다.
또한, 상기 협착 홈(27)과 코걸이부재 장착부(9)를 접착제로 고착하여도 좋지만, 코걸이부재(10)를 탄발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유지부(10a)를 코걸이부재 장착부(9)보다도 큰 각도로 벌린 대략 V자형상으로 하여, 유지부(10a)가 코걸이부재 장착부(9)에 눌려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안경은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가 안경다리 설치부재(2)를 통해서 안경 본체(1)에 설치되어 있어, 안경다리(3)의 각도가 넓어도 안경 본체(1)가 변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안경 본체(1) 본래의 커브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안경다리(3)를 바깥쪽으로 벌리고자 하면, 상기 돌출부(21)가 회전정지부(24)에 걸림과 동시에, 절개면(25)이 요동부(2b)의 바깥쪽 단면(26)에 맞닿음으로써 안경다리(3)의 회동이 억제되지만, 안경다리(3)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힘은 안경다리 설치부재(2)의 요동부(2b)가 벌어지도록 작용하여, 안경 본체(1)에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또, 안경다리(3)의 회동 중심은 안경다리(3)의 전단부의 축(20)보다 앞쪽 요동부(2b)가 붙여진 부분이 되기 때문에, 좌우 안경다리(3)의 각도가 필요이상으로 커져 그 후단부가 머리에서 완전히 떨어지는 일이 없고, 머리에 대해서 부드럽게 접하고, 잘 맞는다.
따라서, 안경 본체(1)의 커브가 6커브이상이라도 안경 본체(1)를 변형시키지 않고, 그 커브를 유지하면서, 안경다리(3)를 크게 벌릴 수 있다. 또한 머리를 압박하지 않고 안경다리(3)를 잘 맞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머리가 큰 경우라도 착용감이 매우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정 설계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안식 렌즈의 안경으로 하거나, 선글라스 이외의 각종 보조안경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안경 본체(1)와 안경다리(3)와의 사이에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안경다리(3)를 벌려도 안경 본체(1)에 직접적으로 구부리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안경 본체(1) 본래의 커브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안경 본체(1)의 커브가 조여도 안경다리(3)는 머리에 대하여 부드럽게 접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안경 본체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우측 안경다리 설치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우측 안경다리 설치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우측 안경다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실시형태의 코걸이부재의 측면도,
도 10은 종래 안경의 평면도 및
도 11은 종래 안경의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경 본체 2: 안경다리 설치부재
2a: 고착부 2b: 요동부
3: 안경다리 15: 걸기기구

Claims (5)

  1. 안경 본체(1)의 좌우에 안경다리 설치부재(2)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안경 본체(1)에 고착되는 고착부(2a)와 안경다리(3)가 장착되는 요동부(2b)로 이루어지는 두갈래 형상이고, 안경다리(3)가 요동부(2b)의 외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안경다리 설치부재(2)가 안경 본체(1)의 좌우측부의 앞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경 본체(1)를 1안식 렌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경다리 설치부재(2)의 요동부(2b)에 안경 본체(1)에 걸리는 걸기기구(15)를 설치하여, 요동부(2b)가 일정 이상으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 3 항에 있어서,
    안경다리 설치부재(2)의 요동부(2b)에 안경 본체(1)에 걸리는 걸기기구(15)를 설치하여, 요동부(2b)가 일정 이상으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1999-0005766A 1998-02-23 1999-02-22 안경 KR100530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0681 1998-02-23
JP04068198A JP4006717B2 (ja) 1998-02-23 1998-02-23 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17A KR19990072817A (ko) 1999-09-27
KR100530416B1 true KR100530416B1 (ko) 2005-11-22

Family

ID=1258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66A KR100530416B1 (ko) 1998-02-23 1999-02-22 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02542A (ko)
EP (1) EP0938015B1 (ko)
JP (1) JP4006717B2 (ko)
KR (1) KR100530416B1 (ko)
DE (1) DE69919244T2 (ko)
TW (1) TW45488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50277Y1 (it) * 2000-05-05 2003-07-28 Renata Fusi Silvana Mollica Pa Famiglia di occhiali con montature di diverse ncurvature con astine intercambiabili
US6196681B1 (en) * 2000-05-18 2001-03-06 Bacou Usa Safety, Inc. Eye covering
DE20111913U1 (de) * 2000-07-21 2002-01-03 Nigura Optik Gmbh Brillenbügel
US6513927B2 (en) 2000-10-19 2003-02-04 Mikli Diffusion France S.A. Preadjusted eyeglass frames
US6742891B2 (en) * 2002-09-19 2004-06-01 High Rainbow Ent. Co., Ltd.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one-piece lens to temples
US6729724B1 (en) * 2003-02-26 2004-05-04 Gazelle Corporation Spectacle lens holding structure
FR2861188B1 (fr) * 2003-10-17 2005-12-09 Optical As Agrafe pour fixation d'un verre de lunettes sur une monture trois pieces.
JP4949967B2 (ja) * 2007-08-17 2012-06-13 一成 大浦 左右一体形の一対の眼鏡レンズ及び左右一体形眼鏡
JP4877632B2 (ja) 2007-11-06 2012-02-15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USD793461S1 (en) * 2015-06-29 2017-08-01 Nike, Inc. Eyeglass
US10485283B2 (en) 2015-09-04 2019-11-26 Brian Dennis Jenkins Safety glasses deployment system
US10082677B2 (en) * 2016-02-26 2018-09-25 Four Nines Co., Ltd. Eyeglass frame
USD807422S1 (en) 2016-03-01 2018-01-09 Nike, Inc. Eyeglass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19U (ko) * 1987-06-27 1989-01-11
JPS644418U (ko) * 1987-06-27 1989-01-11
JPH0311263A (ja) * 1989-06-07 1991-01-18 Sanyo Electric Co Ltd 温風暖房機
JPH0345005A (ja) * 1989-07-06 1991-02-26 Philips Gloeilampenfab:Nv 増幅回路
JPH0346037A (ja) * 1989-07-14 1991-02-27 Pfu Ltd 信号制御による電圧設定方式
US5673095A (en) * 1996-07-26 1997-09-30 Bausch & Lomb Incorporated Dual rate spring-action eyewear temp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4800U1 (ko) * 1987-11-06 1987-12-23 Alpina International Sport- + Optik-Vertriebs-Gmbh, 8904 Friedberg, De
FR2634909B1 (fr) * 1988-07-26 1992-04-24 Bolle G R M Ets Lunette comportant des moyens de fixation rapide des branches et du repose-nez
US5387949A (en) * 1992-01-29 1995-02-07 Oakley, Inc. Eyeglass connection device
US5386254A (en) * 1993-07-19 1995-01-31 Kahaney; Alan Sunglasses assembly
DE4431328C2 (de) * 1994-09-02 1996-07-25 Porsche Design Gmbh Brille, insbesondere Sport- und/oder Freizeitbrille
US5555038A (en) * 1994-10-28 1996-09-10 Bausch & Lomb Incorporated Unitary lens for eyewear
IT1293363B1 (it) * 1997-05-29 1999-02-25 Killer Loop Eyewear Srl Dispositivo di interconnessione, particolarmente per occhial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19U (ko) * 1987-06-27 1989-01-11
JPS644418U (ko) * 1987-06-27 1989-01-11
JPH0311263A (ja) * 1989-06-07 1991-01-18 Sanyo Electric Co Ltd 温風暖房機
JPH0345005A (ja) * 1989-07-06 1991-02-26 Philips Gloeilampenfab:Nv 増幅回路
JPH0346037A (ja) * 1989-07-14 1991-02-27 Pfu Ltd 信号制御による電圧設定方式
US5673095A (en) * 1996-07-26 1997-09-30 Bausch & Lomb Incorporated Dual rate spring-action eyewear te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6717B2 (ja) 2007-11-14
JPH11237589A (ja) 1999-08-31
DE69919244D1 (de) 2004-09-16
EP0938015A1 (en) 1999-08-25
US6102542A (en) 2000-08-15
TW454885U (en) 2001-09-11
EP0938015B1 (en) 2004-08-11
DE69919244T2 (de) 2005-09-01
KR19990072817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416B1 (ko) 안경
EP1730578B1 (en) Eyeglasses
US5440356A (en) Spectacle frame including self-aligning temple end piece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US6811254B2 (en) Eyeglass with auxiliary lenses
US20020093622A1 (en) Flip-up eyewear
CA2337651A1 (en) Spectacles frame
JP3021121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US4865437A (en) Eyeglass frame with snap-fit temples
JP2986314B2 (ja) 眼 鏡
EP1255153A2 (en) Eyewireless spectacles
JP2603678Y2 (ja) 眼鏡用パ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H08166564A (ja) バンド付き眼鏡
JP3040986B1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JP3096630B2 (ja) 眼鏡のテンプル
JPH09325301A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JP3086643U (ja) リムレスメガネ用止着ネジ、及びリムレスメガネ
JP2001142030A (ja) 眼鏡の鼻当て具の取付構造、鼻当て具及びブリッジ
KR200164566Y1 (ko) 유연한브리지를갖는안경
US6068376A (en) Eyeglasses having a unitary lens piece
KR200224554Y1 (ko) 안경의 코받침
JP3075323U (ja) レンズ連結構造
JPH0738901Y2 (ja) レンズ厚調整パイプを有するレンズ連結機構
JP3011263U (ja) 眼鏡用サイドジョイント
JP3682036B2 (ja) ねじ無し丁番およびそれを備えた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