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96B1 - 무선통신단말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96B1
KR100526296B1 KR10-2002-0066526A KR20020066526A KR100526296B1 KR 100526296 B1 KR100526296 B1 KR 100526296B1 KR 20020066526 A KR20020066526 A KR 20020066526A KR 100526296 B1 KR100526296 B1 KR 10052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vo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390A (ko
Inventor
나가토모쇼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외부와 음성통신을 실시하는 다기능의 무선통신단말에 관한 것이고,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본체부(3)에 대해서 덮개부(2)를 착탈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 54)에 의해 본체부 (3)와 덮개부(2) 사이에서 신호를 상시 송수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부(3)로부터 분리한 덮개부(2)의 선단에 배치되는 촬상부(4)를 덮개(2)를 가지고 피사체를 향하고, 이에 따라 촬상하여 얻은 화상데이터를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의해 본체부 (3)에 전송하며, 본체부(3), 무선신호처리부(39), 무선송수신부(38), 안테나(15)를 통하여 상대처에 송신하고, 동시에 본체부(3)에서 상기 상대처와 통화함으로써 통화 중의 촬영조작의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RADIO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으로 외부와 음성통신을 실시하는 다기능의 무선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무선통신단말의 하나인 휴대전화단말(이후 휴대전화로 약칭한다)이 보급되고,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전화통신을 언제라도 어디에서나 간단히 할 수 있도록 되어 전화통신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하며, 휴대전화 중에는 1대로 통상의 전화통신 외에 CCD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한 화상을 송수신하는 화상송수신기능을 구비한 것까지 있다.
또 근래의 휴대전화 중에는 단지 전화통신 및 화상통신을 실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PDA(개인데이터관리)기능, WWW(World Wide Web)접속기능(브라우저, 전자메일시스템, 화상, 음악,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파일의 다운로드나 업로드), 실시간에 의한 음성과 화상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기능, 및 자기위치정보취득기능을 탑재한 것 등, 부가기능을 충실하게 한 제품도 고안·시판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금후 무선통신시스템에 채용되는 화상전송프로토콜로서 3G-324M이 채용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화상전송프로토콜은 1개의 통신회선을 4개의 논리채널로 나누어 동화상(MPEG-4형식), 음성(AMR형식), 제어신호, 일반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것이고, 이 화상전송프로토콜을 채용한 무선통신시스템, 및 휴대전화는 음성통화와 화상을 포함시킨 각종 파일의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대와 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촬영한 화상을 상대에게 보낸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촬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경우, 예를 들면 통화 중에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본체와 함께 피사체를 향하여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되고, 촬영 때의 사용 편리성이 나빴었다. 또 상기 3G-324M을 채용한 휴대전화에서도 통화를 하면서 촬영, 전자메일의 송수신, 및 인터넷접속 등에 의한 파일전송을 실시하는 경우, 양호한 통화상태가 확보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촬영조작을 포함시키고, 통화 중에 실시되는 통화 이외의 기능의 조작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구비한다.
즉, 키조작수단을 구비한 제 1 케이스와, 표시수단과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갖고, 단말외부와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각각 서로 무선에 의해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의 (a)가 평면도이고, 도 1의 (b)가 측면도이다. 본 예의 무선통신단말(휴대전화단말)(1)은 덮개부(2)(제 2 케이스)와 본체부(3)(제 1 케이스)가 힌지(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둘접음 가능 타입이고, 도시의 상태는 덮개부(2)를 열은 상태(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모드라 한다)이다.
덮개부(2)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부(4), 착신 또는 경고 등을 통지하는 통지램프(5), 수화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6), 메일내용이나 문자, 도형 및 화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VGA클래스의 화상도를 갖는 컬러TFT액정의 표시부(7), 활상부(4)의 셔터버튼(8), 볼록형상으로 신축 자유롭게 설치된 충전용의 커넥터 (9), 송화음성을 집음(集音)하는 마이크(10), 덮개부(2)와 본체부(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미도시)의 회전운동축에 설치되어 덮개부(2)와 본체부(3)를 분리하는 착탈스위치(11), 힌지를 덮는 힌지커버(12)(접속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는 흑백액정으로 구성되어 수신전파강도, 현재시각, 착신 때의 발신자명, 및 덮개부(2)와 본체부(3)에서 개별로 충전지(미도시)의 충전상태를 게이지표시하는 표시부(13), 덮개부(2)가 본체부(3)에 덮여진 상태(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모드라 한다)에서 상기 커넥터(9)와 접촉하는 오목형상의 커넥터(14), 휴대전화용의 휴대통신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통신용의 안테나(15), 각종 정보의 입력이나 기능지시 등을 실시하는 키조작부(16), 스피커(17), 수화용의 마이크(18), 외부인터페이스용의 커넥터(19), 크레이들(미도시)과 접촉하여 본체부(3) 내의 후술하는 충전지에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20), 이어폰단자(커버) (21), 스트랩접속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키조작부(16)는 메일키(161), 발신이력키(162), 브라우저키 (163), 주소록키(164), 센터키(165), 통화키(오프훅키)(166), 클리어키(167), 끊음키(온훅키)(168), 텐키(169) 등의 각종 키를 갖고 있다.
상기한 무선통신단말(1)은 화상전송프로토콜 3G-324M에 대응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컬러표시의 표시부(7)와, 촬상부(4)로서의 CMOS디바이스를 실장하고, 이 촬상부(4)는 덮개부(2)의 선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배면으로 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도 1의 제 2 모드에서 통화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10)로 취하고, 통화 상대의 음성은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를 닫아서 접어 겹쳐진 상태로 한 경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의 (a)가 평면도이고, 도 2의 (b)가 측면도이다.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는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본체부(3)에 덮여져 접어 겹쳐진 상태(둘접음상태)로 되어 마이크(18)가 덮개부(2)의 배면의 선단에 붙여져 있다. 이 덮개부(2)가 본체부(3)에 덮여진 상태를 제 1 모드라 한다.
이 제 1 모드에서는 대수(待受)상태 때의 도 1에 나타낸 표시부(7)로의 급전(給電)은 스톱하여 있고, 기본적으로 덮개부(2)에서는 전원을 소비하는 모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또 도 1에 나타낸 커넥터(9)와 커넥터(14)가 접촉하여 있고, 본체부(3)의 전원이 충분한 상태에 있으며, 또한 덮개부(2) 내의 후술하는 충전지의 충전상태가 불충분하면 본체부(3)의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커넥터(9, 14)를 통하여 덮개부(2)의 충전지에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한다.
이 제 1 모드에서는 발호(發呼)는 할 수 없으나, 착신을 검출하면 통화만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통화상대의 음성은 이어폰(23) 또는 이어폰마이크(230)를 통하여 출력되고, 사용자의 송화는 마이크(18)로 취하여 상대방에게 송신된다. 또 촬상부(4)를 덮개부(2)의 배면부로 회전운동시켜서 촬상할 수 도 있다. 여기에서 이어폰마이크(230)는 발음부(233)와 마이크(231)와 오프훅용의 스위치(232)를 갖고 있다.
도 3은 상기한 덮개부(2)와 본체부(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분의 회전부분의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덮개부(2)와 본체부(3)를 결합하는 힌지부분은 이 부분에서 덮개부(2)와 본체부(3)를 분리할 수 있다. 본체부(3)의 힌지부분은 샤프트(303)에 감아 돌려진 스프링(300)과, 샤프트(303)에 이동 자유롭게 감합(勘合)하여 힌지부 내에 형성된 실린더(302)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재(308)와, 실린더(302)의 내벽에 배치된 마이크로스위치(301)와, 이 마이크로스위치(301)에 이동부재(308)의 이동에 의해 접촉하는 접촉부(304) 및 샤프트(303)의 선단부에 있어서, 이동부재(308)의 상부내벽에 접촉하는 마이크로스위치(30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2)의 힌지부분의 내측에는 스프링 고정용스페이스(114)가 설치되는 동시에 힌지부커버(12)내측에는 원통형의 스페이스(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스페이스(113) 내에 착탈스위치(11)가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착탈스위치(11)의 본체부재(110)에는 스프링(111)이 감아 돌려지고, 스프링고정부(112)와 상기 스프링고정용스페이스(114)가 접합되어 있다. 착탈스위치(11)는 화살표 a방향으로 눌러 내려지면 힌지커버(12) 내의 스페이스(113)내를 이동하여 이동부재(308)를 화살표 b방향으로 민다.
상기 구성에서 스프링(300)은 신장상태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의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3)측의 힌지부분의 이동부재(308)의 선단부가 덮개부(2)측의 힌지부분의 스페이스(113)에 돌출함으로써 본체부(3)측과 덮개부(2)측은 힌지를 통하여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착탈스위치(11)를 화살표 a방향으로 누르면, 이 착탈스위치(11)에 접촉하고 있는 이동부재(308)도 화살표 b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본체부(3)측의 힌지부분이 벗겨져 덮개부(2)와의 결합이 끊어져서 양자를 분리할 수 있다.
덮개부(2)와 본체부(3)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11)의 작용에 의해 덮개부(2)측의 힌지부분으로부터 착탈스위치(1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한 상태로 되돌아가고, 또 덮개부(2)측의 힌지부분이 없는 상태에서 스프링(300)의 작용에 의해 이동부재(308)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머리부가 본체부(3)측의 힌지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부재(308)의 머리부의 경사부(307)를 이용하여 덮개부(2)측의 힌지에 의해 이동부재(308)를 본체부(3)측의 힌지부에 일단 밀어넣어서 양힌지부의 축중심을 맞추면 밀어넣어진 이동부재(308)가 덮개부(2)측의 힌지부내에 돌출하여 삽입되고, 덮개부(2)측과 본체부(3)측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스위치(301, 305)는 판스프링 형상의 기계적인 구조이고, 상기의 덮개부(2)와 본체부(3)의 착탈 동작에 의한 이들 스위치의 ON, OFF신호는 각각 후술하는 검출부를 통하여 본체부(3)의 후술하는 제어부 및 덮개부(2)의 후술하는 제어부에 입력된다. 덮개부(2)와 본체부(3)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한 착탈스위치(11)를 밀어넣는 동작을 실시하면 이동부재(308)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마이크로스위치(301과 305)의 양쪽이 ON상태로 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 3 모드로 이행한다.
또 분리된 덮개부(2)를 본체부(3)에 결합하는 경우, 이동부재(308)는 그 정도 깊게 화살표방향 b측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스위치(301)만의 ON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제 2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제 2 모드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커넥터(9, 14)의 접촉을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하면 상기 제 1 모드로 이행한다.
덮개부(2)와 본체부(3)는 전기적으로 서로 독립하여 있고, 제 2 모드에서 통화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10)로 취하며, 통화상대의 음성은 스피커 (6)로부터 출력되는데, 덮개부(2)와 본체부(3)의 회로를 결합하는 무선통신(후술하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에 의해 구성)에 의해서 덮개부(2)측의 마이크(10)로 취한 음성은 부호화되어 본체부(3)로 보내지고, 이 본체부(3)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된다.
이 경우 덮개부(2)와 본체부(3)는 블루투스(blue tooth)규격에 대표되는 2. 4㎒대의 근접무선통신프로토콜로 링크하고 있고, 예를 들면 블루투스규격의 헤드셋프로파일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부호화하여 본체부(3)에 송신한 후, 다시 한번 무선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또 통화상대의 음성데이터는 본체부(3)에서 한 번 무선신호처리한 후, 상기 헤드셋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덮개부(2)로 송신되고, 덮개부 (2)에서 복호화되어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도 4는 상기한 덮개부(2)와 본체부(3)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착탈스위치(11)를 화살표 a방향으로 압압(押壓)함으로써 덮개부 (2)와 본체부(3)는 분리되어 제 3 모드상태로 된다. 이 제 3 모드상태에서는 발호, 착신 양쪽이 가능하고, 음성통화만이면 상기 제 1 모드와 기본적으로 같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 중 “45”, “55”는 덮개부(2)와 본체부(3)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데이터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해 각각에 탑재되어 있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후술)용의 안테나이다.
즉 이 제 3 모드에 있어서, 덮개부(2)는 본체부(3)에 대해서 독립한 정보단말(PDA)로서 기능하고, 통화를 하면서 후술하는 내장RAM, 또는 본체부(3) 내장의 후술하는 RAM에 격납된 각종 데이터를 덮개부(2)에 전송시키며, 표시부(7)에 표시시켜서 열람할 수 있다. 단, 이 제 3 모드에 있어서의 화면조작은 본체부(3)의 센터키(165)를 이용하여 실시되고, 이 센터키(165)의 조작에 따라서 본체부(3)에 격납된 각종 데이터를 후술하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를 사용하여 덮개부(2)에 전송한다. 또 RAM(52)에 격납된 데이터를 표시부(7)에 표시시킬 수 도 있다. 또 촬상부 (4)에 의한 촬영은 셔터버튼(8)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5는 도 1, 도 4에 나타낸 표시부(13)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부(13)는 무선통신단말(1)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덮개부(2) 내의 후술하는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세그먼트(131), 본체부(3) 내의 후술하는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세그먼트(132), 현재일시, 통화상대의 전화번호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영역(133), 수신감도를 나타내는 세그먼트(134)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은 도 1, 2 등에 나타낸 무선통신단말(1)의 회로구성도이다. 무선통신단말(1)의 회로는 덮개부(2)측과 본체부(3)측의 회로로 구성되고, 양회로는 후술하는 근접무선통신에 의해 접속되며, 전원계는 커넥터(9, 14)에 의해 접속된다.
덮개부(2)측의 회로는 덮개부(2)의 각종 동작 및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 촬상부(4)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제어부(51)가 동작한 다음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52), 충전지(56)의 충전상태를 감시하는 전원감시부(53), 본체부(3)와의 사이의 통신을 무선으로 실시하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 근접무선용의 안테나(55), 덮개부(2)측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56), 마이크(10) 및 스피커(6)로의 입출력음성신호를 부호화, 복호화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57), 표시부(7)를 구동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드라이버 (58), CCD 등의 촬상부(4)로부터 얻은 화상신호를 부호화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DSP(59), 촬상부(4)의 셔터버튼(8)의 눌러내림을 검출하는 셔터버튼검출부(60), 통지램프(5)를 점멸하는 드라이버(61) 및 이들 각 부품을 상호로 접속하는 버스(500)를 갖고 있다.
본체부(3)측의 회로는 본체부(3)의 각종 동작 및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 무선통신단말(1)로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제어부(31)가 동작한 다음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32), 제어부(31)를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33), 키조작부(16)의 키눌러내림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34), 표시부(13)를 구동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드라이버(35), 각종의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음원회로부(36), 음원회로부(36)로부터 생성된 음원을 증폭하여 스피커(17)로부터 출력하는 드라이버(37), 안테나(15)를 통하여 기지국(미도시)과 무선에 의해 음성이나 데이터를 송수하는 무선송수신부(38), 무선송수신부(38)에서 수신한 음성이나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는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송신하는 음성이나 데이터를 변조하는 등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처리를 하는 무선신호처리부(39), 본체부(3)를 예를 들면 노트퍼스컴 등의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외부인터페이스(40), 마이크(18) 및 이어폰마이크(23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부호화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41), 커넥터(9, 14)의 접리(接離)의 검출, 마이크로스위치(301, 305)의 ON, OFF신호의 검출, 및 이어폰단자(21)에 이어폰(23)이 접속되었는지, 이어폰마이크(230)가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42), 충전지(46)의 충전상태를 감시하는 전원감시부(43), 덮개부(2)와의 사이의 통신을 무선으로 실시하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 근접무선용의 안테나(45), 본체부(3)측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덮개부(2)측의 충전지(56)를 충전하는 충전지(주전원)(46) 및 이들 부품을 상호로 접속하는 버스(400)를 갖고 있다. 또한 충전용커넥터(19)는 충전지(46)에 충전전류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고, 커넥터(14)를 덮개부(2)측의 커넥터(9)와 접속하여 충전지(46)로부터 충전전류를 덮개부(2)측의 충전지(56)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제어부(51)는 덮개부(2) 전체를 제어하고, 예를 들면 마이크(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음성신호처리부(57)에서 부호화하여 버스(500)에 출력한 후, 제어부(51)의 제어에 의해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전송한다. 또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 54)는 양자의 사이에서 링크확립할 때에 각각의 상대를 인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디바이스ID기억부(441과 541)를 내장하고 있다. 덮개부(2)에서 부호화된 음성신호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의 헤드셋프로파일에 의거하여 2. 4㎒대의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55)로부터 링크확립된 본체부(3)의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에 송신된다.
또 제어부(51)는 셔터버튼(8)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모드로 이행한 것을 검출하여 제 2 모드 또는 제 3 모드인 경우, 촬상부(4)에 의해 갈무리된 촬상화상을 표시부에 스루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그리고 또한 어느 모드도 관계없이 셔터버튼 (8)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는 촬상부(4)의 촬상화상은 DSP(59)에 의해 부호화되어 버스(500)에 출력된 후, 제어부(51)의 제어에 의해 RAM(52)에 격납되거나,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전송된다. 여기에서 부호화된 촬상음성신호는 상기 블루투스규격의 데이터통신프로파일에 의거하여 2. 4㎒대의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 (55)에 의해 링크확립된 본체부(3)에 출력된다.
또한 헤드셋프로파일에 의해 안테나(5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서 음성신호(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버스(500)를 통하여 음성신호처리부(57)로 전송되고, 그곳에서 복호화된 음성을 스피커(6)로부터 출력한다. 또 무선송수신부(38)로의 착신을 제어부(31)가 검출한 경우는, 본체부(3)로부터 그 뜻이 덮개부(2)에 근접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고, 통지램프(5)를 구동시키는 외에 프시드라이버(58)에 저장된 각종 정보가 제어부(51)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7)에 표시된다. 또 제 1 모드의 상태에서 커넥터(14), 커넥터(9)에 의해 본체부(3)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충전지(56)에 충전된다. 그리고 이 충전지(56)의 충전상태는 전원감시부(53)에 의해 감시되고, 정기적으로 본체부(3)에 송신된다.
도 7은 상기한 RAM(32)의 기억영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RAM(32)은 가입자의 ID(식별정보)나 전화번호, 주소록데이터, 쇼트메일 등의 각종 백업데이터나, 액세스포인트의 다이얼번호 등의 네트워크접속정보를 격납하는 가입자(사용자정보)격납영역(391), 마이크로스위치(301, 305) 및 커넥터(9와 14)의 접촉을 검출부(42)가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제 1, 제 2, 제 3의 어느 쪽의 모드인가 판별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래그 A 또는 플래그 B를 세트, 리세트하는 모드플래그영역(392), 사용자가 다이얼하여 오프훅한 전화번호를 순차 기록하는 발신이력격납영역(393), 착호(着呼)요구검출 때, 발호자번호통지에 의해서 통지된 전화번호를 격납하는 착신이력격납영역(394), 사용자가 임의로 등록하거나, 외부인터페이스 등으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연락처 데이터를 격납하는 주소록격납영역(395), 상기 프로토콜에 있어서 패킷통신으로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격납하거나, 송신하고 있지 않은 작성메일데이터를 격납하는 메일데이터격납영역(396), 덮개부(2)로부터 송신된 화상(데이터)을 메일송신할 때에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작업영역(39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주소록격납영역(395)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납주소와, 성명, 연락처 전화번호, 플래그 C(그 사람이 메일주소를 가지고 있는지, 또는 등록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메일주소, 기타, 각종 개인정보를 격납한다.
제어부(31)는 예를 들면 제 1 모드 및 제 3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18)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음성신호처리부(41)에서 부호화하고, 버스(400)에 출력한 후,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무선신호처리부(39)에 전송한다. 무선신호처리부(39)에서 부호화된 음성신호는 무선송수신부(38)에 의해서 휴대전화용의 무선통신프로토콜에 의거한 신호형식으로 변환되어 안테나(15)에 의해 출력된다.
또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에 의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덮개부(2)의 촬상부 (4)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는 무선송수신부(38)에 의해서 상기 화상전송프로토콜 3G-324M에 의거한 신호형식으로 변환되어 안테나(15)에 의해 출력된다. 또한 안테나(1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무선송수신부(38), 무선신호처리부(39), 버스 (400)를 통하여 음성신호처리부(41)로 전송되고, 그곳에서 복호화된 음성을 이어폰단자(21)를 통하여 이어폰(23)으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상기 화상전송프로토콜에서 안테나(1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무선송수신부(38), 무선신호처리부(39), 버스(400)를 통하여 RAM(32)에 격납되거나,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에 전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신호는 상기 블루투스규격의 데이터통신프로파일에 의거하여 2. 4㎒대의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45)에 의해 링크확립된 덮개부(2)로 출력된다. 또 제어부(31)는 이어폰단자(21)에 이어폰(23) 대신에 이어폰마이크(230)가 접속된 경우는 스위치(232)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마이크(18)로부터 입력해야 할 음성을 마이크(231)로부터 입력하도록 전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예의 무선통신단말(1)이 본체부(3)에 덮개부(2)가 덮여진(무선통신단말(1)을 접어서 겹쳐진) 상태에 있는 제 1 모드에 있을 때는 예를 들면 백 등에 수납되어 무선통신단말(1)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想定)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본체부 (3)에 탑재되어 있는 전지(41)의 전압감시동작이 실시되고 있고, 이하 도 10의 흐름도에 따라서 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는 본체부(3)의 전원감시부(43)에 의해 충전지(46)의 전압상태를 체크하고, 그 전압레벨이 어떠한 지를 판단하며, 레벨 1로 있었던 경우는 스텝 S9로 진행하고, 레벨 2로 있었던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레벨 1, 레벨 2, 레벨 3은 충전지(46, 56)의 전압레벨을 나타내고 있고, 번호가 커질수록 전압레벨이 낮은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지에 축전되어 있는 전하가 작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2에서는 본체부(3)의 충전지(46)로부터 커넥터(14, 9)를 통하여 덮개부(2)의 충전지(56)에 대해서 실시되고 있는 충전을 정지한다. 그 후 스텝 S3에서 본체부(3)의 전원감시부(43)에 의해 충전지(46)의 전압상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가 레벨 3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그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레벨 3인 경우는 스텝 S4에서 덮개부(2)의 전원감시부(53)에 의해 충전지(56)의 전압상태를 체크하고, 스텝 S5에서 레벨 3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레벨 3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하여 음원회로부(36)로부터 드라이버(37)를 통하여 스피커(17)로부터 덮개부(2)의 저전압을 알리는 음을 스텝 S8에서 일정시간경과하기까지 발생한 후, 충전지(56)로부터 덮개부(2)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한편 충전지(56)의 전압상태가 레벨 3이 아닌 경우는 스텝 S56에서 충전지(56)로부터 충전지(46)에 커넥터(9, 14)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지(46)를 충전하며, 충전하는 처리를 하여 리턴한다.
스텝 S3에서 충전지(46)의 전압상태가 레벨 3이 아닌 경우, 스텝 S9에서 커넥터(9)와 커넥터(14)가 떨어진 것을 검출부(42)에서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덮개부(2)가 본체부(3)에 덮여진 상태)는 리턴하고, 검출한(덮개부(2)를 본체부(3)에 대해서 열은 상태)경우는 스텝 S10에서 RAM(32)의 모드플래그영역(392)의 플래그 A에 “1”을 세트하여 제 2 모드로 이행하고, 스텝 S11에서 제 2 모드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 제 2 모드의 처리 중, 스텝 S12에서 마이크로스위치(301)에 접촉부(304)가 접촉하여 ON하고 또한 마이크로스위치(305)가 ON한 것을 검출부(42)에서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검출한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커넥터(9와 14)가 접속된 것을 검출부 (42)가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로 되돌아가며, 검출한 경우(덮개부(2)를 본체부에 대해서 닫은 상태)는 스텝 S19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 마이크로스위치(301. 305)의 ON(덮개부(2)와 본체부(3)가 분리된 상태)을 검출하여 스텝 S13으로 진행한 경우, RAM(32)의 모드플래그영역(392)의 플래그 B에 “1”을 세트하여 스텝 S14에서 제 3 모드로 이행하고, 스텝 S15에서 제 3 모드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 제 3 모드의 처리 중 스텝 S16에서 마이크로스위치(301)에 접촉부(304)가 접촉하여 ON한 것을 검출부(42)에서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ON한 경우(덮개부(2)와 본체부(3)가 결합한 상태)는 스텝 S17에서 RAM(32)의 모드플래그영역(392)의 플래그 B에 “0”을 기입하여 스텝 S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8에서 커넥터(9)와 커넥터(14)의 접속을 검출하여 스텝 S19로 진행한 경우, 전원감시부(43)에 의해 충전지(46)의 전압을 체크하고, 스텝 S20에서 충전지 (46)의 전압이 레벨 1인지, 또는 레벨 2, 3인지를 판단한다. 레벨 1의 경우, 스텝 S21에서 충전지(46)로부터 커넥터(14), 커넥터(9)를 통해서 충전지(56)의 충전을 개시하여 스텝 S22에서 제 1 모드로 이행한다. 충전지(46)의 전압이 레벨 2, 3인 경우는 스텝 S22로 진행하여 제 1 모드로 이행한다.
도 11은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가 본체부(3)에 대해서 닫힌 상태의(무선통신단말(1)을 접어서 겹쳐진 상태) 제 1 모드에 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3에서 무선송수신부(38)로의 착호를 검출하면, 스텝 S24에서 음원회로부(36)로부터의 음원을 드라이버(37)를 통하여 스피커(17)로부터 출력함으로써 링거를 명동(鳴動)시키고, 표시드라이버(35)를 통하여 표시부(13)에 착신표시를 실시한다. 그 후 스텝 S25에서는 검출부(42)에 의해 이어폰단자(21)에 무엇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2로 진행하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이어폰마이크(230)의 스위치(231)가 눌러져서 오프훅한 것을 검출부(42)에 의해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30으로 진행하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 S27로 진행한다. 스텝 S27에서 마이크(23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음성은 음성신호처리부(41)에 의해 부호화되고, 이 부호화된 음성신호가 무선신호처리부(39)에 의해 변조되고나서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 안테나(15)를 통하여 무선송수신부(38)에 의해 수신된 상대로부터의 수화신호는 무선신호처리부(39)에 의해 복조된 후, 음성신호처리부(41)에서 복호화되고, 이 복호화된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이어폰마이크(230)의 발음부(233)로부터 출력된다. 이 통화 중 스텝 S28에 의해 상대측의 온훅 또는 스위치(232)의 온훅조작을 검출했다고 판단되면 스텝 S29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스텝 S26에서 이어폰마이크(230)의 스위치(232)에 의한 오프훅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어폰단자(21)에는 이어폰(23)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30에서 마이크(18)로 송화음성을 입력하고, 수화음성을 이어폰(23)으로부터 출력하는 통화가 실시되며, 통화경로는 음성의 입출력장소가 틀리는 것만으로 스텝 S27에서 설명한 경로와 거의 같다. 이 통화 중 스텝 S31에서 상대측의 온훅 또는 이어폰(23)이 이어폰단자(21)로부터 절단된 것이 검출되면 스텝 S29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스텝 S25에서 이어폰단자(21)로의 접속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스텝 S32에서 커넥터(9)와 커넥터(14)가 떨어진 것을 검출부(42)에 의해 검출했는지 아닌지, 즉 덮개부(2)가 열렸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열린 경우는 도 12의 스텝 S36으로 진행하고, 덮개부(2)가 닫혀져 있는 경우는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 S33에서는 링거가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버튼(8)이 눌러진 것을 셔터버튼검출부(60)에서 검출했는지 아닌지, 즉 착호요구정지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없는 경우는 스텝 S25로 되돌아가며, 착호요구정지가 있었던 경우는 스텝 S34에서 RAM(32) 내의 착신이력격납영역(394) 내의 착신이력데이터를 갱신하여 리턴한다. 또한 덮개부 (2)가 닫혀져 있고 또한 링거가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버튼(8)이 눌러내려진 경우는 착호요구정지지시로 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도 12는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가 본체부(3)에 대해서 열려 있는 제 2 모드일 때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제 2 모드에 있어서 통화자는 무선통신단말(1)을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지고 통상의 휴대전화기와 똑같이 통화하는 것으로 된다.
우선 스텝 S35에서 무선송수신부(38)로의 착호를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7로 진행하고,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6에서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와 54) 사이에서 안테나(45, 55)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네고시에이션을 개시하여 링크를 확립하며, 스텝 S37에서 음원회로부(36)로부터의 음원을 드라이버(37)를 통하여 스피커(17)로부터 출력함으로써 링거를 명동시키는 동시에, 표시드라이버(35)에 의해서 표시부(13)에 착신표시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38에서 키조작부(16)의 오프훅키(166)가 눌러져서 오프훅한 것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된 경우는 스텝 S39로 진행하며,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착호요구정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지가 아닌 경우는 스텝 S37로 되돌아가며, 정지의 경우는 스텝 S44로 진행하여 RAM (32) 내의 착신이력데이터를 갱신하고 나서 리턴한다.
스텝 S38에서 오프훅을 검출한 경우, 스텝 S39에서 마이크(10)로 송화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6)로부터 수화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상대와 통화한다. 즉 마이크 (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음성은 음성신호처리부(57)에 의해 부호화되고, 이 부호화된 음성신호가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의해 변조된 후, 안테나(55)로부터 송신된다. 안테나(45)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에 의해 복조된 후, 무선신호처리부(39)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변조된 후,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 안테나(15)를 통하여 무선송수신부(38)에 의해 수신된 상대로부터의 수화신호는 무선신호처리부(39)에 의해 복조된 후,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변조되어 안테나(45)로부터 송신된다. 안테나(55)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에 의해 복조된 후, 음성신호처리부(57)에 의해 복호화된 후,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이 통화 중 스텝 S40에서 마이크로스위치(301과 305)가 ON한 것을 검출부(42)에서 검출했는지(덮개부(2)와 본체부(3)를 분리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분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5로 진행하고, 분리한 경우는 스텝 S41로 진행한다. 스텝 S41에서는 온훅키(168)가 눌러내려져서 온훅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9로 되돌아가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 S42에서 통화를 종료하여 리턴한다.
스텝 S40에서 덮개부(2)와 본체부(3)를 분리한 경우, 스텝 S45에서 이어폰단자(21)에 무엇인가가 접속된 것을 검출부(42)에 의해 검출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9로 되돌아가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 S46에서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와 54) 사이에서 안테나(45, 55)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네고시에이션을 개시하여 링크를 해제한 후, 도 13의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 착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스텝 S47에서 발호동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1로 진행하며, 검출한 경우는 스텝 S48로 진행한다. 스텝 S48에서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와 54) 사이에서 안테나(45, 55)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네고시에이션을 개시하여 링크를 확립한 후, 스텝 S49로 진행하여 통화요구신호를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송신한 후, 스텝 S50에서 상대측의 오프훅조작을 검출하면 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47에서 발호동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1에서 센터키(165)를 조작하여 카메라모드로 이행했는지 아닌지의 검출을 실시하고, 카메라모드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3으로 진행하여 기타모드처리를 실시하며, 카메라모드로의 이행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 S52로 진행하여 카메라모드처리를 실시한다.
도 13은 덮개부(2)와 본체부(3)가 분리된 제 3 모드에 있어서의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제 3 모드에 있어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자는 왼손에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를 쥐고, 오른손에 무선통신단말(1)의 본체부(3)를 쥐며, 또한 본체부(3)에 장착한 예를 들면 이어폰(23)을 오른쪽 귀로 하여 통화를 실시한다. 이 이어폰(23) 대신에 이어폰마이크(230)를 이용해도 좋다.
스텝 S54에서는 무선송수신부(38)에서 착호를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5로 진행하며, 검출한 경우는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서는 음원회로부(36)로부터의 음원을 드라이버(37)를 통하여 스피커(17)로부터 출력함으로써 링거를 명동시키는 동시에. 표시드라이버(35)를 통하여 표시부(13)에 착신표시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56에서는 검출부(42)에 의해 이어폰단자(21)에 무엇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1로 진행하고, 검출된 경우는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7에서는 이어폰마이크(230)의 스위치(232)가 눌러져서 오프훅한 것을 검출부(42)에 의해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3으로 진행하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 S58로 진행한다.
스텝 S58에서 마이크(23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음성은 음성신호처리부(41)에 의해 부호화되고, 이 부호화된 음성신호가 무선신호처리부(39)에 의해 변조된 후,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 안테나(15)를 통하여 무선송수신부(38)에 의해 수신된 상대로부터의 수화신호는 무선신호처리부(39)에 의해 복조된 후, 음성신호처리부(41)에서 복호화되고, 이 복호화된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이어폰마이크(230)의 발음부(233)로부터 출력된다. 이 통화 중 스텝 S59에서 상대측의 온훅 또는 스위치(232)의 온훅조작을 검출했다고 판단되면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스텝 S57에서 스위치(232)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3으로 진행하고, 마이크(18)로 송화음성을 입력하여 이어폰(23)으로 음성을 출력하는 통화를 실시한다. 이 통화 중 스텝 S64에서 상대측의 온훅 또는 스위치(232)의 온훅조작을 검출했다고 판단되면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스텝 S56에서 이어폰단자(21)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된 경우는 스텝 S61로 진행하여 착호요구정지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이루어졌으면 스텝 S62로 진행하여 RAM(32) 내의 착신이력데이터를 갱신하는 동시에, 스피커(17)로부터의 링거의 출력을 정지하여 리턴한다.
스텝 S54에서 착호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5로 진행하여 이어폰단자 (21)에 이어폰(23) 또는 이어폰마이크(230)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71에서 에러표시를 하여 리턴한다. 이어폰(23) 또는 이어폰마이크(23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66으로 진행하여 발호동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리턴하며, 발호동작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 S67로 진행한다.
스텝 S67에서는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통화요구신호를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신하고, 그 후, 스텝 S68에서 상대측의 오프훅조작을 검출하면 스텝 S69로 진행하여 마이크(18)로 송화음성을 입력하며, 수화음성을 스피커(17)로부터 출력하는 통화를 실시한다. 이 통화 중에 스텝 S70에서 상대측의 온훅 또는 온훅키(168)의 눌러내림에 의한 온훅조작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 후, 리턴한다.
도 14는 본 무선통신단말(1)에 있어서 통화 중에 카메라모드로의 이행을 검출하고, 음성통화처리를 실시하면서 평행하여 촬영조작을 실시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우선 통화 중에 스텝 S72에서 셔터버튼(8)이 눌러내려진 것을 셔터버튼검출부 (60)가 검출했는지, 또는 센터키(165)를 조작하여 촬영모드로 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리턴하며, 검출한 경우는 스텝 S73으로 진행한다. 스텝 S73에서는 덮개부(2)가 닫혀져 있는 제 1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제 1 모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 S86으로 진행하고, 덮개부(2)가 닫힌 상태의 제 1 모드인 경우는 스텝 S74로 진행한다.
스텝 S74에서는 촬상부(4)는 덮개부(2)의 배면으로 향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배면으로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5에서 통지램프(5)를 점멸시켜서 촬상부(4)를 배면측으로 향하도록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촬상부(4)가 배면측으로 향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75로 진행하고, 스텝 S76에서 셔터버튼(8)이 눌러내려지는 조작을 검출하기까지 대기한다. 셔터버튼(8)이 눌러내려지면 스텝 S77로 진행하여 촬상부(4)에서 얻어진 화상신호를 DSP(59)에서 부호화하여 얻어지는 화상데이터를 스텝 S77에서 갈무리하여 RAM(32)에 격납한다. 그 후 스텝 S78로 진행하여 RAM(32) 내의 주소록격납영역(395) 등을 조사하여 통화상대의 메일주소 등의 송신처정보를 검색하고, 스텝 S79에서 메일주소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며, 없는 경우는 스텝 S73으로 되돌아가고, 메일주소가 있는 경우는 스텝 S80으로 진행한다.
스텝 S80에서는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와 54) 사이에서 안테나(45, 55)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네고시에이션을 개시하여 링크를 확립한 후, 스텝 S81로 진행하여 RAM(52)에 격납한 상기 화상데이터를 근접무선통신처리부(55, 44)를 통하여 본체부(3)측의 RAM(32)에 전송한 후, 스텝 S82에서 음원회로부(36)로부터 통지신호를 드라이버(37)를 통하여 스피커(17)에 출력하여 통지음을 울리고, 또 스텝 S83에서 표시드라이버(35)에 의해 표시부(13)에 화상데이터의 송신준비가 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실시한다. 그 후 스텝 S84에서 일정시간의 경과대기를 실시한다. 일정시간 경과하면 스텝 S90으로 진행하여 무선신호처리부(39)로부터 액세스포인트로의 다이얼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송신하고, 스텝 S91에서 상기 액세스포인트로부터의 응답대기를 실시한다. 그 결과 스텝 S92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는 스텝 S98로 진행하고, 응답이 있는 경우는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3에서는 메일러(메일소프트)를 기동하고, 스텝 S94에서 RAM(32)으로 전송한 화상데이터를 메일에 첨부하며, 이것을 무선신호처리부(39)에서 변조한 후,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상대방의 메일주소에 송신한다. 스텝 S95에서 이 메일의 송신이 정상 송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 송신된 경우는 스텝 S96에서 OK표시를 하여 리턴하며, 정상 송신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97에서 에러표시를 하여 리턴한다. 한편 스텝 S92에서 응답이 없고, 스텝 S98에서 응답대기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7로 진행하고, 에러표시를 실시하여 리턴한다.
스텝 S73에서 제 1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86으로 진행하여 제 3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제 3 모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 S89로 진행하여 기타 처리를 실시하며, 제 3 모드인 경우는 스텝 S87로 진행한다.
스텝 S87에서는 촬상부(4)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표시드라이버(58)에 의해 표시부(7)에 스루표시하고, 그 표시기간 중에 스텝 S88에서 셔터버튼(8)의 눌러내림을 검출하면 스텝 S77로 진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둘접음 가능한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를 본체부(3)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또한 덮개부(2)의 회로와 본체부(3)의 회로를 근거리무선통신기능에 의해 상시 접속하도록 하였으므로 덮개부(2)에 부착하여 있는 촬상부(4)에서 촬영한 화상을 통화 중의 상대에게 송신하는 바와 같은 경우, 본체부(3)에서 통화하면서 피사체에 대해 덮개부(2)를 자유로이 움직여서 촬상부(4)를 베스트 앵글로 피사체를 향하여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부(4)에서의 촬영 때의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통화중이 아니더라도 이 분리한 덮개부(2)만을 가지고 촬상부(4)를 피사체에 자유로이 향해서 촬영할 수 있고, 본체부(3)와 접속하고 있을 때보다도 촬상부(4)의 촬영범위를 현저하게 확대할 수 있으며, 촬영단독의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덮개부(2)를 열은 상태는 물론, 덮개부(2)와 분리한 상태의 본체부(3)라도 통상의 발호, 착신 때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덮개부(2)를 닫은 상태 또는 덮개부(2)만이어도 착신 때의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부(7) 외에 본체부(3)에도 서브의 표시부(13)를 설치하고, 또한 이 표시부(13)를 둘접음 때도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배치하며, 덮개부(2)와 본체부(3)의 각각의 충전지(56, 46)의 충전레벨상태나 착신 때의 상대의 전화번호 및 수신전파강도 등이 표시되기 때문에 덮개부(2)를 여는 일없이 필요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 둘접음으로 한 상태이더라도 이어폰마이크(230)를 이어폰단자(21)에 접속하여 둠으로써 착신 때에 통화를 실시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이 둘접음 때에 덮개부(2)에 탑재하고 있는 충전지(56)는 본체부에 탑재하고 있는 충전지(46)에 의해 충전되기 때문에 덮개부(2)에 탑재하고 있는 충전지(56)를 의식하는 일없이 충전지(46)에 외부로부터 충전하는 것만으로 2개의 충전지(56, 46)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촬상부(4)는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부(2)가 열린 상태, 덮개부(2)가 닫힌 상태 및 덮개부(2)와 본체부(3)가 분리한 어느 것의 상태이더라도 촬상부(4)의 촬상렌즈를 피사체를 향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본체부의 회로구성을,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덮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은 텔레비전전화기능을 갖고, 그로 인해 도 16의 본체부(310)에 부호화복호화처리부(47)와, 도 17의 덮개부(200)에 부호화복호화처리부(62)를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회로구성에 추가한 구성을 가지며,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다.
도 18은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단말(1)의 사용상태예를 나타내고, 덮개부(200)와 본체부(310)가 분리된 상태의 제 3 모드에서 사용된다. 덮개부(200)의 표시부(7)에는 동화상이 표시되는 동화상표시영역(71)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도 19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 본체부(310)의 무선송수신부(38)가 비디오폰모드에서 발신처전화번호와 제어코드를 안테나(15)로부터 텔레비전전화시스템(미도시)에 송신하면, 텔레비전전화시스템은 스텝 S102에서 통상의 음성전화가 아니고 3G-324M프로토콜로 동화상데이터를 교환한다고 판단하고, 통화처에 접속요구신호를 발신하며, 통화처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 이것을 무선통신단말(1)에 송신한다.
스텝 S103에서 본체부(310)의 제어부(31)는 이 응답을 무선송수신부(38) 및 무선신호처리부(39)를 통하여 검출하면 스텝 S104에서 근접무선처리부(44)에 의해 안테나(45)로부터 응답검출신호(R1)를 덮개부(200)에 출력한다. 덮개부(200)의 제어부(51)는 안테나(55)와 근접무선처리부(54)를 통하여 이것을 수신한 것을 검출하면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파일전송프로파일에서 본체부(310)와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 S115에서 촬상부(4), 마이크(10)를 기동한다. 또 이것은 외관상은 제 3 모드인데, 마이크(10)의 입력이 다르므로 제 4 모드처리라 해도 좋다.
이후, 덮개부(200)에서는 스텝 S116에서 촬상부(4)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화상을 순차 갈무리하는 동시에 마이크(10)로 음성을 갈무리하고, 스텝 S117에서 갈무리한 화상을 표시부(7)의 동화상표시영역(71)에 표시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부호화복호화처리부(62)는 스텝 S118에서 이들의 화상,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스텝 S119에서 근접무선처리부(54)에 의해 본체부(310)에 무선신호(R3)로서 출력한다.
한편 본체부(310)에서는 무선송수신부(38)가 스텝 S105에서 수신타이밍으로 통화상대로부터의 동화상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31)는 스텝 S106에서 이것을 복사하는 동시에, 스텝 S107에서 한쪽을 본체부(310)의 부호화복호화처리부(47)에서 복호화하고, 다른쪽의 데이터는 파일전송프로파일에 의해서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로부터 덮개부(200)에 전송(R2)한다.
이것과 동시에, 음성신호처리부(41)는 스텝 S108에서 이 복호화데이터 중에서 음성데이터만을 추출하고, 스텝 S109에서 A/D변환하여 이어폰(23)으로 출력한다.
덮개부(200)의 제어부(51)는 스텝 S120에서 본체부(310)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기한 다른쪽의 데이터의 입력을 근접통신무선처리부(54)를 통하여 수신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121에서 인터럽트처리를 개시하고, 스텝 S122에서 다른쪽의 데이터를 부호화복호화처리부(62)에서 복호화한다. 제어부(51)는 스텝 S123에서 복호화한 데이터 중에서 화상(동화상)데이터만을 추출하고, 스텝 S124에서 이 화상(동화상)데이터를 표시드라이버(58)에 의해 표시부(7)의 동화상표시영역(71)에 표시한다.
이들 본체부(310)로부터의 수신(파일전송)이 끝나면, 덮개부(200)는 스텝 S125에서 일련의 인터럽트처리(이 인터럽트처리 중에 촬상부(4), 마이크(10)로 갈무리한 데이터는 RAM(52)에 버퍼링된다)를 종료하고, 스텝 S126에서 파일전송의 수신종료인지 아닌지 판단하며, 수신종료가 아닌 경우는 스텝 S116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수신종료의 경우는 스텝 S127에서 촬상부(4), 마이크(10)의 기동을 종료한다.
본체부(310)의 제어부(31)는 스텝 S110에서 근접무선통신처리부(44)가 안테나(45)를 통하여 덮개부(200)로부터 부호화화상, 음성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하며, 검출한 경우는 스텝 S111에서 인터럽트를 개시하고, 스텝 S112로 진행한다.
제어부(31)는 스텝 S112에서 부호화화상, 음성데이터를 RAM(32)에 버퍼링하고, 송신타이밍으로 무선신호처리부(39)의 처리를 거쳐 무선송수신부(38)로부터 안테나(15)를 통하여 텔레비전전화시스템에 송신하여 스텝 S113에서 인터럽트를 종료하며,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어부(31)는 스텝 S114에서 온훅 또는 통화상대로부터의 통화종료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5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검출하면 텔레비전전화통화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둘접음 가능한 무선통신단말(1)의 덮개부(200)를 본체부(310)로부터 떼고, 덮개부(200)를 자신의 앞쪽으로 가지고 와서 자신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단말(1)에 의해 텔레비전전화통화를 용이하고 또한 무리없이 실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덮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은 덮개부(210)에 무선LAN접속기능 및 PDA기능을 구비한 포터블멀티미디어플레이어를 상정한 예이고, 가까운 핫스폿으로부터 무선 LAN으로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의 덮개부(210)에는 촬상부 및 DSP가 없는 대신에 무선LAN접속용(IEEE802, 11a 규격 5㎓대역을 사용)의 안테나(65)와 무선통신처리부(64)를 구비하고, 또한 조작부(66)와 ROM(63)이 추가되어 있는데,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덮개부(210)의 외관예이고, 조작부(66)의 스위치로서 결정키(661), 캔슬키(662), 시소스위치(663)(메뉴선택에서 사용)가 설치되어 있다.
도 22는 상기한 ROM(63)의 메모리영역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ROM(63)에는 오퍼레이팅시스템영역(631), 무선네트워크시스템영역(632),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영역(633)이 설정되어 있다. 무선네트워크시스템설정프로그램영역(632)에는 예를 들면 옥외의 핫스폿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임의의 서버에 액세스할 때, 프로바이더와 접속하기 위한 순서(IP주소의 취득 등)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영역(633)에는 인터넷브라우저나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등이 격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덮개부(210)를 예를 들면 옥외의 핫스폿의 가까이에 가지고 가서 무선통신단말을 멀티미디어모드로 하면, 무선통신처리부(64)는 무선LAN을 통하여 안테나(65)로부터 인터넷상의 소망의 서버(예를 들면 음악은 배신(配信)사이트 등)에 액세스한다. 사용자는 액세스한 사이트의 홈페이지 등에 표시되어 있는 소망의 메뉴를 조작부(66)의 시소스위치(663)로 선택하여 결정키(661)를 누르면, 무선통신처리부(64)는 무선LAN을 통하여 안테나 (65)로부터 결정한 메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RAM(52)에 다운로드한다.
그 후 무선통신단말을 멀티미디어재생모드로 하면 제어부(51)는 RAM(52)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표시드라이버(58)에 의해 표시부(7)에서 표시하며,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처리부(57)에서 D/A변환한 후 스피커(6)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음성데이터를 근접무선통신처리부(54)로부터 안테나(55)를 통하여 본체부(미도시)에 송신하고, 이 본체부에 장착한 이어폰으로 들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체부로부터 덮개부(210)를 떼내서 덮개부(210)를 포터블멀티미디어플레이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LAN을 이용한 IP전화가 요즈음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도 IP전화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IP전화로서 통화 가능하게 되는 것은 제 3 모드에 한정하는 것으로 된다(마이크는 “10”, 스피커는 “6”을 사용).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체적인 구성, 기능, 작용, 효과에 있어서 다른 여러 종류의 상태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본체부(3)에 제 2 실시형태의 덮개부(200)를 장착하여 정지화상촬영이 아니고 동화상촬영 및 메일첨부기능을 가지게 하거나 또는 제 1 실시형태의 본체부(3)에 제 3 실시형태의 덮개부(210)를 장착하여 정지화상촬영이 아니고 멀티미디어플레이어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통신단말(휴대전화단말)에 따르면, 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분리해도 본체부와 덮개부의 회로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덮개부가 열린 상태, 덮개가 닫힌 상태, 덮개가 분리한 상태의 어느 것이라도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에서 통화중에 덮개부에 붙여져 있는 촬상수단을 덮개부만을 가지고 자유롭게 피사체쪽으로 향하여 촬영할 수 있고, 통화 중의 촬영조작의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한 화상을 통화상대의 단말에 메일을 송신할 수 있고, 상대의 동화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텔레비전통화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무선LAN을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함으로써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다운로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용도에 따라서 덮개부를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내장충전지에 외부로부터 충전하는 것만으로 덮개부의 내장충전지도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단말의 덮개부를 닫아서 접어 겹쳐진 상태로 한 경우의 외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덮개부와 본체부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분의 회전부분의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덮개부와 본체부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무선통신단말의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RAM의 기억영역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모드플래그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주소록격납영역의 격납데이터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덮개부와 본체부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무선통신단말의 덮개부가 본체부에 대해서 닫힌 상태의 제 1 모드에 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덮개부가 본체부에 대해서 열려 있는 제 2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덮개부와 본체부가 분리된 제 3 모드에 있어서의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무선통신단말의 통화 중의 활영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2 모드와 제 3 모드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본체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편되는 덮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3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형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덮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의 덮개부의 외관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ROM(63)의 메모리영역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무선통신단말의 본체부에 교환용의 복수의 덮개부를 착탈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무선통신단말 2, 200, 210: 덮개부
3, 310: 본체부 4: 촬상부
5: 통지램프 6, 17: 스피커
7, 13: 표시부 8: 셔터버튼
9, 14, 19, 20: 커넥터 10, 18, 231: 마이크
11: 착탈스위치 12: 힌지커버
15, 45, 55: 안테나 16: 키조작부
21: 이어폰단자 22: 스트랩접속부재
23: 이어폰 31, 51: 제어부
32, 52: RAM 33, 63: ROM
34: 키입력부 35, 58: 표시드라이버
36: 음원회로부 37, 61: 드라이버
38: 무선송수신부 39: 무선신호처리부
40: 외부인터페이스 41, 57: 음성신호처리부
42: 검출부 43, 53: 전원감시부
44, 54: 근접무선통신처리부 46, 56: 충전지
47, 62: 부호화복호화처리부 59: DSP
60: 셔터버튼검출부 110: 본체부재
111: 스프링 112: 스프링고정부
113: 스페이스 114: 스프링고정스페이스
161: 메일키 162: 발신이력키
163: 브라우저키 164: 주소록키
165: 센터키 166: 통화키
167: 클리어키 168: 끊음키
169: 텐키 230: 이어폰마이크
232: 스위치 233: 발음부
300: 스프링 301, 305: 마이크로스위치
302; 실린더 303: 샤프트
304: 접촉부 307: 경사부
308: 이동부재 391: 가입자(사용자정보)격납영역
392: 모드플래그영역 393: 발신이력격납영역
394: 착신이력격납영역 395: 주소록격납영역
396: 메일데이터격납영역 397: 작업영역
400, 500: 버스 441, 541: 디바이스ID기억부
631: 오퍼레이팅시스템영역 632: 무선네트워크시스템영역
633: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영역 661:결정키
662: 캔슬키 663:시소스위치

Claims (13)

  1. 키조작수단(16)과 해당 단말외부와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통신수단(15, 38, 39)을 구비한 제 1 케이스(3, 310)와,
    표시수단(7)과 음성출력수단(6)을 구비한 제 2 케이스(2, 200)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수단(12)을 갖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며,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키조작수단에 의한 조작에 의거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에서 이용되는 주파수대와는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케이스에 무선송신하는 제 1 통신수단(44, 45)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통신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제 2 통신수단(54, 55)과,
    이 제 2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음성출력수단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제 1 음성입력수단(18)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음성입력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분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42)과,
    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에 의해 상기 제 1 음성입력수단에 의한 음성입력동작과 상기 제 2 음성입력수단에 의한 음성입력동작을 전환하는 제 2 제어수단(31)과,
    이 제어수단에 의해 전환되어 입력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수단(41)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해당 단말이 통화중일 때, 이 음성신호처리수단에 의해 변환 처리된 음성신호를 통화상대방에게 무선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단말외부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음성입력수단에 의한 음성입력동작과 상기 제 2 음성입력수단에 의한 음성입력동작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성입력수단은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표면에 노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상기 제 2 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에 촬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해당 단말외부와 음성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통신상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송신하는 화상송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통신상대의 단말의 전화번호와 메일주소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메일작성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화상송신수단은 상기 음성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통신상대의 단말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하는 메일주소를 판독하며, 메일작성수단에 의해서 이 메일주소앞으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첨부한 메일을 작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이어폰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케이스는 음성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해당 단말외부의 통신상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음성입력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음성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는 동화상을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상대의 단말로부터 송신된 음성과 동화상을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이 송수신수단에 의해서 송신 또는 수신된 동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이어폰단자에 접속된 이어폰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상기 제 2 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에 무선으로 LAN접속하는 LAN접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LAN접속수단에 의해 인터넷에 접 속하고,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수단과,
    이 다운로드수단에 의해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표시수단을 표시제어조작을 실시하는 조작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에서 무선에 의해 데이터통신을 실시할 때 디바이스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디바이스ID를 기억하는 디바이스ID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전원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는 충전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겹쳐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수단과,
    이 상태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겹쳐진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KR10-2002-0066526A 2001-11-02 2002-10-30 무선통신단말 KR100526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7342 2001-11-02
JPJP-P-2001-00337342 2001-11-02
JPJP-P-2002-00273335 2002-09-19
JP2002273335 2002-09-19
JPJP-P-2002-00298862 2002-10-11
JP2002298862A JP3951882B2 (ja) 2001-11-02 2002-10-11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390A KR20030038390A (ko) 2003-05-16
KR100526296B1 true KR100526296B1 (ko) 2005-11-08

Family

ID=2734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526A KR100526296B1 (ko) 2001-11-02 2002-10-30 무선통신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51882B2 (ko)
KR (1) KR100526296B1 (ko)
CN (1) CN100461907C (ko)
TW (1) TW5863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466B1 (ko) * 2002-07-15 2005-07-0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486540B1 (ko) * 2002-11-05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부 신호전송 장치
KR100608727B1 (ko)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0677303B1 (ko)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600750B1 (ko)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46B1 (ko) * 2004-09-1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JP2008523663A (ja) * 2004-12-03 2008-07-03 サヴァジェ・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音声電話通話中に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6186679A (ja) * 2004-12-27 2006-07-13 Kyocera Corp 撮像機能付き携帯電話機
DE602005016236D1 (de) 2005-06-30 2009-10-08 Nokia Corp Kontextsensitive Datenbehandlung
WO2007049933A1 (en) * 2005-10-28 2007-05-03 Lg Innotek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TWI384840B (zh) * 2008-08-11 2013-02-01 Chiayo Electronics Co Ltd Locking stru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0256973A (ja) * 2009-04-21 2010-11-1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5407770B2 (ja) * 2009-11-04 2014-02-0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2068749B1 (ko) * 2013-08-23 202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64949B1 (ko) * 2016-01-19 2022-11-09 (주)에이유플렉스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013A (ja) * 1996-11-21 1998-06-09 Nec Corp 携帯通信機
JP2002208999A (ja) * 2000-12-29 2002-07-26 Zaza International:Kk 携帯情報端末
KR20020078620A (ko) * 2001-04-06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740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체화된 모듈로 이루어진 셀룰러 폰
KR20020095983A (ko) * 2001-06-18 200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400B1 (en) * 1996-01-16 2002-08-06 Ericsson Inc.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US5745566A (en) * 1996-10-15 1998-04-28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emovable escutcheon elements
US5924044A (en) * 1997-02-26 1999-07-13 Motorola, Inc. Modula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s therewith
JP2002152696A (ja) * 2000-11-10 2002-05-24 Hitachi Ltd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013A (ja) * 1996-11-21 1998-06-09 Nec Corp 携帯通信機
JP2002208999A (ja) * 2000-12-29 2002-07-26 Zaza International:Kk 携帯情報端末
KR20020078620A (ko) * 2001-04-06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740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체화된 모듈로 이루어진 셀룰러 폰
KR20020095983A (ko) * 2001-06-18 200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51882B2 (ja) 2007-08-01
CN1416291A (zh) 2003-05-07
JP2004165705A (ja) 2004-06-10
TW586304B (en) 2004-05-01
CN100461907C (zh) 2009-02-11
KR20030038390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2762B2 (ja) 通信端末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526296B1 (ko) 무선통신단말
JP3392831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KR101009773B1 (ko) 휴대 정보 단말
JP2008187221A (ja) 携帯端末装置、その通話切替方法、その通話切替プログラム、及び通話切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EP1471719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ethod for taking a photograph with the same
JPH11146370A (ja) 携帯形テレビ電話装置
JP3778807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2300550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1203997A (ja) 通信装置及び電子カメラ
KR10042068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의 합성 및 송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폰
JP2001127874A (ja) 無線電話システム、無線電話装置、通信装置、無線通話方法および記憶媒体
EP165093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5110749B2 (ja) 無線通信端末
JP2002305566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KR100663471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004023386A (ja) 充電装置および通信端末
JP2000358225A (ja) デジタルカメラ付き無線情報端末
JP3918262B2 (ja) 通信装置
JP2000324541A (ja) 携帯型電話装置
JP3714925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4172767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H11136655A (ja) 送受話具を有する携帯型情報通信機用アダプタ
JP2003134195A (ja) 携帯電話機用補助装置、固定電話機
JP200230030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