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749B1 -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749B1
KR102068749B1 KR1020130100572A KR20130100572A KR102068749B1 KR 102068749 B1 KR102068749 B1 KR 102068749B1 KR 1020130100572 A KR1020130100572 A KR 1020130100572A KR 20130100572 A KR20130100572 A KR 20130100572A KR 102068749 B1 KR102068749 B1 KR 10206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hotographing apparatus
barrel
voice cal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531A (ko
Inventor
이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749B1/ko
Priority to US14/176,329 priority patent/US9179094B2/en
Priority to EP14181487.1A priority patent/EP2866086B1/en
Publication of KR2015002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은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카메라의 경통이 나오는 상황을 미리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경통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서는 전원 스위치의 작동 여부 또는 셔터 버튼의 작동 여부에 따라 렌즈 경통이 자동으로 개방 위치, 즉 경통이 카메라 외부로 돌출되어 촬영 가능한 위치 또는 닫힘 위치, 즉 경통이 카메라 내부로 수납되어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며, 개방 위치에서 줌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경통이 소정 초점 위치로 이동하는 줌 동작이 이루어진다.
경통은 모터 즉, 줌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줌 모터가 회전하면 줌 모터에 연결된 기어 군들이 회전하여, 줌 모터의 힘이 기어 군들에 의해 경통을 구성하고 있는 경통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경통 부재가 회전하여 경통이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사용자가 주머니 속에서 휴대하는 경우, 셔터 버튼이 눌리게 되면 주머니 속에서 카메라 경통이 나오거나, 사용자가 통화 중에 무의식적으로 셔터 버튼을 눌러지게 되면 카메라의 경통이 갑자기 나오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들은 사용자가 원치않는 때에 갑자기 촬영을 위해 경통이 나오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카메라의 경통이 나오는 상황을 미리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경통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한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의 셔터 릴리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와 소정의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셔터 릴리스 신호에 따른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가 상기 음성 통화를 수행 중인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 수행 중인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단계는, 핸즈 프리를 위한 접속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경통 구동의 보호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한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의 셔터 릴리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하는 음성 통화 검출부;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와 소정의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판단부; 및 상기 감지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셔터 릴리스 신호에 따른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는 경통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세 판단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및 회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근접 센서를 통해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경통 구동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는 보호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카메라의 경통이 나오는 상황을 미리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경통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통(180)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자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촬영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센서부(130), 음성 통화 모듈(140), 음성 인식 모듈(141),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1),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 렌즈 구동부(111), 조리개(112)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경통(180) 내에 포함된다. 경통(180)은 경통 구동부(190)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본체로 삽입되거나, 본체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경통 구동부(19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통(180)을 구동시킨다. 경통 구동부(190)는 스텝 모터(step motor),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피에조 모터(piezo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동 기구로는 랙-피니언(rack-pinion) 시스템, 회전식 나사 구조, 직선 슬라이딩 구조, 캠(cam)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통(180)을 이동시키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b 및 2c에 도시된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100)의 셔터 버튼(101)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경통(180)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셔터 버튼(101)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통(180)은 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로 삽입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가 되면,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경통(180)이 본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센서부(13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소정의 객체,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기 정도,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센싱한다. 예를 들면 센서부(130)는 도 2a에 도시된 근접 센서(104),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회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근접 센서(104)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00)가 통화 중인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가 어느 정도 근접한지를 판단함으로써, 경통(180)의 돌출 거리가 확보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회전 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현재 기능 상태, 예를 들면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지 또는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30)의 자세한 기능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후면부가 도시되어 있다.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102)와 스피커(102)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근접 센서(104)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스피커(102)에 가깝게 사용자의 귀를 근접시키므로, 근접 센서(014)를 통해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한다. 통화 중인 경우, 소정의 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 버튼(101)이 눌러진 경우라도 경통(180)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통화 중인 경우라도, 소정의 거리, 즉 경통 길이만큼의 거리가 확보된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경통(180)을 돌출시킨다.
도 6a를 참조하면, 센서부(130)의 기울기 센서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한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선에서 대략 10-20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면, 이는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기울기가 수평 및 수직에 근접하는 경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모듈(140)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음성 통화 모듈(14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하고, 경통 구동부(190)를 제어하여, 경통(180)을 돌출 또는 미돌출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에도, 센서부(130)를 통해 수신한 거리 정보,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경통의 돌출 여부를 판단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 릴리스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조작부(170)의 셔터 릴리스 버튼(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101)를 통해, 또는 전원 버튼을 통해 경통(18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미도시),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미도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1)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경통 구동 제어 신호를 경통 구동부(190)에 출력하여, 경통(18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경통의 삽입 또는 돌출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어부(201), 음성 통화 검출부(202), 거리 판단부(203) 및 경통 구동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구성 및 기능은 청구범위에 사용된 촬영 장치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성 통화 검출부(20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통화 모듈(14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이지를 판단한다. 음성 통화 검출부(202)는 제어부(201)가 조작부(170)의 셔터 릴리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한다.
거리 판단부(203)는 음성 통화 검출부(202)가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도 2a에 도시된 근접 센서(104)를 통해 사용자가 얼마나 근접하여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거리 정보를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제어부(201)는 감지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으로, 경통의 길이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01)는 통화 중이 경우라도 셔터 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경통의 돌출로 인한 거리가 확보된 경우에는 경통을 돌출시키고, 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통 보호와 셔터 릴리스 신호가 잘못 입력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경통을 돌출시키지 않는다. 제어부(201)는 경통 구동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 신호를 경통 구동 제어부(204)에 출력한다.
경통 구동 제어부(204)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경통을 돌출시키는 경통 돌출 신호를 경통 구동부(190)에 출력하거나,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1), 음성 통화 검출부(202), 거리 판단부(203) 및 자세 판단부(205) 및 경통 구동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세 판단부(205)는 센서부(130)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자세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카메라(100)가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인지, 촬영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한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100)의 기울기 또는 회전 상태를 판단하여, 음성 통화 중인지 또는 촬영 중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검출부(202)에서 음성 통화 중이라도,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가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자세인 경우에는 셔터 릴리스 신호에 따라 경통을 구동한다. 이는 음성 통화 중에 사진 촬영을 하여 바로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경통을 돌출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1), 음성 통화 검출부(202), 거리 판단부(203), 음성 인식부(206) 및 경통 구동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성 인식부(206)는 음성 통화 검출부(202)가 음성 통화 중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입력된 사용자 음성, 예를 들면 "잠깐만" 또는 "hold on" 등과 같은 음성을 인식한다. 음성 인식부(206)가 미리 설정된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경통 구동의 비활성화를 해제시켜, 경통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중 잠시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경통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핸즈 프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도, 디지털 카메라(100)는 핸즈 프리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통화 중이라고 판단하고, 경통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0에서, 경통 보호 모드가 설정된다. 여기서, 경통 보호 모드는 사용자가 셔터 릴리스 버튼을 누르면, 셔터리 릴리스 신호에 따라 경통을 구동하는 일반적인 모드에 대해, 특정 조건들을 검출하는 경우, 경통을 구동시키지 않거나, 구동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경통 보호 모드의 설정을 생략하고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702에서, 셔터 릴리스 버튼이 눌러졌는지 판단한다. 셔터 릴리스 버튼이 눌러진 경우, 단계 704에서, 음성 통화 중인지 판단한다. 음성 통화 중인 경우, 단계 706에서, 객체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객체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즉 경통이 돌출되어 경통이 파손되거나, 갑작스러운 경통 돌출도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카메라를 떨어뜨릴 수 있는 상황이다. 단계 706에서, 객체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계 708에서,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고, 다시 단계 702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임계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으로, 경통의 길이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704에서, 음성 통화 중이 아닌 경우, 단계 701에서, 경통을 돌출시키고, 단계 712에서, 촬영을 준비한다. 또한, 단계 706에서, 객체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 즉 경통의 돌출을 위한 충분한 거리가 확보된 경우에는 단계 710에서, 경통을 돌출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0에서, 경통 보호 모드가 설정된다. 단계 802에서, 셔터 릴리스 버튼이 눌러졌는지 판단한다. 셔터 릴리스 버튼이 눌러진 경우, 단계 804에서, 음성 통화 중인지 판단한다. 음성 통화 중인 경우 단계 806에서, 촬영장치의 자세를 검출한다. 단계 808에서, 촬영 자세가 아닌 경우, 단계 820에서,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고, 단계 802로 되돌아간다.
단계 810에서, 촬영 자세인 경우, 단계 810에서, 경통을 돌출시키고, 단계 812에서, 촬영을 준비한다.
단계 814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단계 816에서, 기록 및 저장한다.
단계 818에서, 대화 상대방에게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중에 상대방에게 촬영한 사진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통화 중이어서, 경통 구동이 비활성화되는 경우라도, 촬영 자세, 즉 카메라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잡은 경우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의도이기 때문에, 경통 비활성화를 해제(경통 돌출)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한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장치의 셔터 릴리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와 소정의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셔터 릴리스 신호에 따른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가 상기 음성 통화를 수행 중인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 수행 중인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핸즈 프리를 위한 접속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구동의 보호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12.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한 촬영 장치로서,
    상기 촬영 장치의 셔터 릴리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하는 음성 통화 검출부;
    상기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와 소정의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판단부; 및
    상기 감지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셔터 릴리스 신호에 따른 경통 구동을 비활성화시키는 경통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자세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단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및 회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의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경통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근접 센서를 통해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구동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는 보호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KR1020130100572A 2013-08-23 2013-08-23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572A KR102068749B1 (ko) 2013-08-23 2013-08-23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4/176,329 US9179094B2 (en) 2013-08-23 2014-02-10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181487.1A EP2866086B1 (en) 2013-08-23 2014-08-19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voice call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572A KR102068749B1 (ko) 2013-08-23 2013-08-23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31A KR20150022531A (ko) 2015-03-04
KR102068749B1 true KR102068749B1 (ko) 2020-01-21

Family

ID=5148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572A KR102068749B1 (ko) 2013-08-23 2013-08-23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9094B2 (ko)
EP (1) EP2866086B1 (ko)
KR (1) KR102068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2785B (zh) * 2018-12-29 2020-08-1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弹出式摄像头收回方法及移动终端
CN112135035B (zh) * 2019-06-24 2022-03-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组件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502109B (zh) * 2019-07-31 2022-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56196B (zh) * 2020-04-24 2022-10-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话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867A (ja) 1999-11-01 2001-05-18 Canon Inc カメラ
JP2004165705A (ja) 2001-11-02 2004-06-10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端末及び撮影方法
WO2008003349A1 (en) 2006-07-07 2008-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tion detection device
US20130095886A1 (en)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 Co., Ltd. Mobile terminal for distinguishing an ear during a call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521B2 (ja) * 2002-07-16 2010-07-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GB2405949A (en) * 2003-09-12 2005-03-16 Canon Kk Voice activated device with periodicity determination
JP5276536B2 (ja) * 2009-07-16 2013-08-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5486889B2 (ja) * 2009-09-28 2014-05-07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120047598A (ko) 2010-11-04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43734B2 (en) * 2010-11-10 2014-02-04 Apple Inc. Automatic engagement of image stabilization
KR101949730B1 (ko) * 2011-10-1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줌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867A (ja) 1999-11-01 2001-05-18 Canon Inc カメラ
JP2004165705A (ja) 2001-11-02 2004-06-10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端末及び撮影方法
WO2008003349A1 (en) 2006-07-07 2008-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tion detection device
US20130095886A1 (en)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 Co., Ltd. Mobile terminal for distinguishing an ear during a cal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31A (ko) 2015-03-04
EP2866086B1 (en) 2016-07-20
US9179094B2 (en) 2015-11-03
EP2866086A1 (en) 2015-04-29
US20150054908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921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20176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moving picture
US8749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jump image
US869894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49126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10812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60295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7016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9111129B2 (en) Subjec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00027700A (ko) 촬영 방법 및 장치
US947970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68749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06488A (ko)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9703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2257112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76056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user-specified depth of focus region
JP2016103666A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605453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050026B (zh) 一种图像降噪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13681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1089368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47750A (ja) 撮影装置
KR20150071539A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