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488A -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488A
KR20100006488A KR1020080066732A KR20080066732A KR20100006488A KR 20100006488 A KR20100006488 A KR 20100006488A KR 1020080066732 A KR1020080066732 A KR 1020080066732A KR 20080066732 A KR20080066732 A KR 20080066732A KR 20100006488 A KR20100006488 A KR 2010000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flash
image
as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779B1 (ko
Inventor
이윤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779B1/ko
Priority to US12/499,170 priority patent/US8654209B2/en
Publication of KR2010000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래시 발광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래시 사용 제한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플래시, 아이, 얼굴, 제한

Description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hibiting flash}
본 발명은 촬영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플래시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찍는 경우, 카메라는 자동으로 플래시를 발광하거나, 또는 어둡지 않아도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강제로 플래시 온 설정을 한 경우, 플래시는 발광하게 된다. 플래시의 발광은 빛이 부족한 경우,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사진에 특정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할 때 유용하지만, 발광 시 발생되는 빛은 눈에 잔상을 남길 만큼 강하다. 특히 인물사진을 찍을 때, 발광시킬 경우, 순간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만큼 눈에 충격이 크고 불편하다. 이러한 플래시 사용의 부작용은 플래시를 의식하지 않고, 해당위치를 직접적으로 쳐다봤을 때 그 강도가 더 심하다.
특히,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고, 눈의 기능이 아직 제대로 자리 잡지 않은 아기 또는 유아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의 피해는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은 카메라 자동 모드(camera auto mode) 일 때,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아기 사진을 찍던지, 아니면 강제로 "flash on"으로 설정하고 촬영을 한다던 지 등의 사용자의 무의식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플래시 기능 설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얼굴, 특히 아이 얼굴을 촬영하는 경우에 아이 얼굴을 촬영하는 것임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플래시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아이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 촬영 조건, 특히 저휘도 환경에서도 촬영한 영상의 화질을 보장할 수 있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ASR(Advanced Shake Reduc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광 감도를 증가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 ASR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장치는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및 상기 얼굴 인식부에서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ASR(Advanced Shake Reduc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광 감도를 증가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 ASR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래시 발광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플래시 사용이 제한될 경우, 광 감도를 높여서 촬영하고 ASR을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아이"는 사전적 의미로 '나이가 어린 사람'을 뜻하고, 아기, 유아, 어린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특정 연령대의 사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래시 사용으로부터 시력이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플래시(17),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촬상소자(15)의 광 감도, 즉 ISO 감도는 DSP(70)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되는데, 촬영할 영상에서 아이 얼굴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플래시 사용이 제한되고, 촬영할 영상의 휘도가 저 휘도 상태, 즉 어둡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ISO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되고, 이에 따라 촬상소자(15)의 광 감도가 높게 설정된다. 여기서, ISO 감도는 ISO 25 ~ 50을 저감도, ISO 100 ~ 200을 중 감도, ISO 200 ~ 400을 고감도, ISO 800 ~ 3200은 초고감도로 구분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감도 구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ISO 감도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감도보다 높은 ISO 감도로 설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이 얼굴을 촬영하는 경우, 플래시 사용이 제한됨으로 인하여 저휘도 상태인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플래시(17)는 DSP(70)로부터 지시된 발광량 및 타이밍으로 섬광을 발하는 발광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플래시(17)는 DSP(70)의 제어부가 촬영할 영상에서 아이 얼굴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발광이 금지된다. 이 경우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플래시 발광 설정에 우선하여 사용이 금지된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얼굴 인식 모듈로서 촬영할 피사체가 아이 얼굴임을 인식하지만,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작부(20)를 통해 촬영하기 전에 예를 들면 '아이 얼굴 촬영 모드'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DSP(70)를 포함한다.
DSP(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DSP(70)는 제어부(71), 영상 신호 처리부(72), 얼굴 인식 부(73) 및 ASR 수행부(74)를 포함한다.
제어부(71)는 DSP(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얼굴 인식부(73)에서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ASR(Advanced Shake Reduc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ASR은 낮은 조도 상황에서 흔들림 없는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플래시 사용이 제한된 상황에서, 손떨림 보정기능, 최대 1/4초의 저속셔터 상황에서도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으며,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두운 환경에서도 자연스러운 색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영상을 촬영하는 광 감도를 증가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선택적으로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 ASR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SO 감도가 높아지면 입자가 거칠어지고 화질이 떨어지게 되어,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ISO감도를 올려서 촬영을 할 경우에 노이즈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얼굴 인식부(73)는 획득한 영상에서 피사체 얼굴을 인식한다. 이미지센서에 받아들여진 빛의 정보를 사람 눈, 코, 입 등 거리와 모양을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비교해 얼굴로 인식한다. 또한, 단순히 얼굴 인식뿐만 아니라, 웃는 얼굴, 기울어진 얼굴, 눈 깜빡임까지 인식해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른 얼굴'과 '아이 얼굴'을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어른 얼굴'과 '아이 얼굴'의 구별은 얼굴 인식부(73)의 인식 결과에 따라 제어부(71)가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얼굴 인식부(73)를 통해 '아이 얼굴'을 촬영하는 것임을 확인하지만,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가 아이 얼굴 촬영임을 알려주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ASR 수행부(74)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ASR를 수행한다. ASR 기능은 2번의 획득된 영상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데, 한 번은 일반 영상 촬영과 동일한 조건으로 촬영(Low gain, Long Exposure)하고, 한 번은 일반 영상 촬영에 비해 노광 시간은 줄이고 이득을 높여 촬영(High gain, Short Exposure)하여, 촬영된 두 영상 의 합성을 통해 노이즈가 적고 손 떨림 없는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ASR 수행부(74)는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와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에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ASR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한다. 이어, 단계 302에서,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인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얼굴 인식을 통해 아이 얼굴인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사용자가 UI를 통해 아이 얼굴 촬영임을 직접 알려주거나 또는 음성 인식을 통해 아이 얼굴 촬영임을 알려줄 수도 있다.
단계 304에서, 기 설정된 플래시 촬영 모드 등의 기존 설정을 무시하고, 플래시 사용을 제한다. 단계 306에서, 촬영 환경이 어두운지 여부를 판단한다. 촬영 환경이 어두운지 여부는 자동 노출(AE) 모듈을 통해서 피사체의 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06의 판단 결과, 주위가 어둡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308 및 310에서, 촬상소자의 광 감도를 높게 설정하여 아이 얼굴을 촬영한다. 따라서, 플래시의 사용이 제한됨으로써 발생하는 저휘도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화질저하를 발생시키기 않고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 감도를 올려서 촬영함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 등의 문제를 ASR을 수행함으로써 극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과의 차이점은 단계 406의 판단 결과, 주위가 어둡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408 및 410에서, 플래시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SR 기능을 수행하여 촬영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얼굴 인식부 74: ASR 수행부

Claims (9)

  1.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ASR(Advanced Shake Reduc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광 감도를 증가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 ASR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6.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장치에 있어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및
    상기 얼굴 인식부에서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지 판단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이 아이 얼굴인 경우,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ASR(Advanced Shake Reduc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 사용을 제한한 경우,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광 감도를 증가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감도를 증가시킨 경우, ASR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KR1020080066732A 2008-07-09 2008-07-09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4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32A KR101446779B1 (ko) 2008-07-09 2008-07-09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499,170 US8654209B2 (en) 2008-07-09 2009-07-08 Photograph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hibiting use of fl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32A KR101446779B1 (ko) 2008-07-09 2008-07-09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88A true KR20100006488A (ko) 2010-01-19
KR101446779B1 KR101446779B1 (ko) 2014-10-01

Family

ID=4150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32A KR101446779B1 (ko) 2008-07-09 2008-07-09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4209B2 (ko)
KR (1) KR10144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691B (zh) * 2010-07-30 2013-07-24 联芯科技有限公司 闪存镜像文件制作方法及装置
CN103561647B (zh) * 2011-05-31 2016-08-17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监测用户的皮肤颜色的方法和系统
KR101822655B1 (ko) * 2011-06-21 201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카메라 시스템
CN103916579B (zh) * 2012-12-30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摄取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075456B1 (ko) 2013-07-10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처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CN104506778A (zh) * 2014-12-22 2015-04-08 厦门美图之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年龄估计的闪光灯控制方法和装置
CN104751197A (zh) * 2015-04-22 2015-07-01 安徽金赛弗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视频分析的车辆行驶中驾驶员人脸识别装置及其识别方法
CN105791681B (zh) * 2016-02-29 2019-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6506948A (zh) * 2016-11-02 2017-03-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闪光灯控制方法及装置
US10496810B2 (en) * 2017-09-26 2019-12-03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of performing preemptive generation of second factor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488A (ja) * 2003-09-09 2005-03-31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50168592A1 (en) 2004-01-30 2005-08-04 Demoor Robert 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nformal image with a digital camera
JP4311296B2 (ja) 2004-07-23 2009-08-12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2006203477A (ja) * 2005-01-19 2006-08-0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2007019973A (ja) * 2005-07-08 2007-01-25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7027969A (ja) * 2005-07-13 2007-02-01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54529B2 (ja) 2006-02-06 2010-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5239126B2 (ja) * 2006-04-11 2013-07-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WO2008047315A1 (en) * 2006-10-19 2008-04-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 person
JP4976160B2 (ja) * 2007-02-22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184926B2 (en) * 2007-02-28 2012-05-22 Microsoft Corporation Image deblurring with blurred/noisy image p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779B1 (ko) 2014-10-01
US8654209B2 (en) 2014-02-18
US20100007746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6488A (ko) 플래시 사용을 제한하는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US7430369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JP2006310969A (ja) 撮像装置
JP537055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3811A (ja) 電子カメラ
JP499812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1784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205675A (ja) 撮像装置
JP2008160701A (ja) カメラ及びカメラ用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515344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3386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605453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535512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シーン判別方法
JP5448391B2 (ja) 撮像装置及び赤目補正方法
KR20100098122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05269153A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4165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16236B1 (ko) 자동으로 오토포커싱을 실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제어 방법
JP2008178031A (ja) 撮像装置
JP201313526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436837B1 (ko) 오토포커싱을 실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48539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4236246A (ja) 撮像装置
JP2009117982A (ja) 自動追従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