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703A -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703A
KR20120019703A KR1020100083072A KR20100083072A KR20120019703A KR 20120019703 A KR20120019703 A KR 20120019703A KR 1020100083072 A KR1020100083072 A KR 1020100083072A KR 20100083072 A KR20100083072 A KR 20100083072A KR 20120019703 A KR20120019703 A KR 20120019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registered
image
digital photographing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703A/ko
Priority to US13/197,895 priority patent/US879744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아이들의 얼굴을 등록하고, 각각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이용하여 아이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분주하게 움직이는 아이들의 시선을 카메라에 집중시켜서 아이들이 영상을 보면서 웃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디스플레이(Dual Display)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라이브 뷰 이미지, 프리 뷰 이미지, 플레이 백 이미지 등을 듀얼 디스플레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는 촬영시 피사체가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아이들의 얼굴을 등록하고, 각각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이용하여 아이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미리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소리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소정의 피사체, 상기 피사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 및 상기 선호 소리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에서 복수의 기 등록한 피사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피사체들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상기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사체는 아이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입력 영상에서 미리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 및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소리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소정의 피사체, 상기 피사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 및 상기 선호 소리를 등록하는 피사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사체 등록부는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복수의 기 등록한 피사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피사체들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상기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사체는 아이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아이들 사진을 찍을 때, 분주하게 움직이는 아이들의 시선을 카메라에 집중시켜서 아이들이 영상을 보면서 웃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 긴장하는 사람들의 긴장을 풀어주며, 다양한 표정의 변화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예시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각각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뒷면과 앞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64)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168)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과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렌즈(110), 렌즈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제1 표시 구동부(162), 제1 표시부(164), 제2 표시 구동부(166), 제2 표시부(168),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를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저장부(150)는 피사체 등록 정보, 예를 들면 피사체, 피사체가 선호하는 영상 또는 피사체가 선호하는 소리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다수의 피사체를 등록하는 경우, 피사체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으며, 피사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표시 구동부(162) 및 제2 표시 구동부(166)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에 각각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각각 구동하는 제1 표시 구동부(162) 및 제2 표시 구동부(166)로 분리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표시 구동부에서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영상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촬영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은 촬영자에 의한 반 누름, 완전 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 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셔터 버튼은 완전 누름(S2조작) 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작 신호는 DSP(170)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180)를 통해 피사체 등록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사진 속에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조작부(180), 예를 들면 지정 버튼, 터치 스크린, 트랙 볼, 스틱을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관심 피사체, 예를 들면 아이 얼굴 내의 하나 이상의 포인트 또는 일정한 영역을 지정 버튼, 터치 스크린, 트랙볼(trackball) 및 스틱 등을 이용하여 지정한다. 다음으로, 지정한 포인트 또는 지정한 영역을 기초로 아이 얼굴 영역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피사체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피사체 정보는 아이 이름,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일 수 있으며, 다수의 아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는 제어부(171), 피사체 등록부(172) 및 피사체 인식부(173)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피사체가 얼굴인 경우 피사체 검출부는 얼굴 검출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와 청구범위에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17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피사체 등록부(172)는 피사체 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 이름, 피사체가 선호하는 영상 또는 피사체가 선호하는 소리를 포함한다. 또한, 피사체에 대한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 등록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피사체 인식부(173)는 입력 영상에서 미리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한다. 피사체 인식은 미리 등록된 피사체의 특징과 현재 입력 영상의 특징을 비교하여 입력 영상에 미리 등록된 피사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피사체 인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 영상과 피사체 등록부에 등록된 관심 피사체로부터 특징들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들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 추출은 전체 영상을 서브 영상으로 나누고 각각의 서브 영역별 기술자(descriptor)를 추출하여 사용하는데, 기술자로는 SIFT 또는 컬러 모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사도 계산을 위하여 유클리디언 거리(Euclidean distance) 또는 뮤추얼 정보 거리(mutual information distanc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산한 유사도 중 최대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최대값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등록한 피사체가 입력 영상에서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값이다. 최대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입력 영상에 등록 피사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71)는 입력 영상에서 등록 피사체를 인식한 경우, 인식한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한다. 또한, 선호 영상과 함께 또는 별도로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소리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1)는 입력 영상에서 복수의 피사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복수의 피사체 영상에서 복수의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하는 경우, 등록한 피사체들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에서 3명의 아이 얼굴을 검출하고, 3명의 아이 모두가 등록된 아이들인 경우, 3명의 아이 중에서 A라는 아이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에는 A 아이가 선호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1)는 검출한 피사체가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상 또는 디폴트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피사체를 아이 얼굴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촬영시 집중이 필요하거나 또는 주의가 산만하여 촬영이 힘든 피사체, 예를 들면 동물 등의 촬영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400에서, 아이 얼굴 등록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재생 모드에서 기록된 아이 사진들을 보다가, 아이 얼굴 등록 모드를 선택하고, 전술한 아이 얼굴을 지정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이 얼굴을 지정한다. 단계 402에서,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을 등록한다. 예를 들면 A 아이는 "뽀로로 사진", B 아이는 "엄마 사진", C 아이는 "아빠 사진" 등으로 등록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A 아이는 "뽀로로 음악", B 아이는 "엄마 소리", C 아이는 "강아지 소리"로 각각 등록한다.
단계 406에서, 등록된 영상과 소리를 좋아하는 아이 정보와 함께 입력한다. 예를 들면 A 아이에 대해서는 이름 또는 별칭, 뽀로로 사진, 뽀로로 음악으로 등록하고, B 아이에 대해서는 이름 또는 별칭, 엄마 사진, 엄마 소리로 등록하고, C 아이에 대해서는 이름 또는 별칭, 아빠 사진, 강아지 소리로 등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복수의 아이 얼굴을 등록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502 및 504에서, 각각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등록한다.
단계 506에서, 각각의 아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A 아이에 대해서 우선 순위 1, B 아이에 대해서 우선 순위 3, C 아이에 대해서 우선 순위 2를 부여하여 각각 등록한다. 이후, 아이 얼굴 촬영 모드에서, 입력 영상에서, A 아이, B 아이, C 아이가 모두 검출된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A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소리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아이 촬영 모드가 선택된다. 단계 602에서, 입력 영상에서 아이 얼굴을 검출한다. 단계 604에서, 검출된 아이 얼굴이 등록한 아이 얼굴인지 인식한다. 단계 606에서, 등록된 아이 얼굴인 경우, 단계 608 및 610으로 진행하여, 등록된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을 전면 표시부에 출력하고, 등록된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과 소리를 모두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만 표시하거나 소리만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612에서, 출력된 영상 및 소리에 의해 피사체인 아이의 관심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촬영 버튼,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상태(S2)가 되면 단계 618에서, 영상을 캡쳐하고 기록한다. 완전 누름 상태(S2)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608로 되돌아가 다시 단계 608 및 610을 수행하여 아이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한다.
단계 606에서, 등록된 아이 얼굴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614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과 소리를 출력하고, 단계 616으로 진행하여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상태가 되면 영상을 캡쳐하고 기록한다. 여기서, 등록된 아이 얼굴이 아닌 경우에 임의로 설정된 영상 및 소리를 출력하여 아이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무런 영상 및 소리 출력없이 바로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0에서, 아이 촬영 모드가 선택된다. 단계 702에서, 복수의 아이 얼굴을 검출한다. 단계 704에서, 등록된 아이 얼굴이 있는지 판단한다. 등록된 아이 얼굴이 있으면, 단계 706에서, 등록된 아이 얼굴이 복수인지 판단한다. 한 명의 아이 얼굴인 경우에는 단계 712로 진행하여, 등록된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출력한다. 단계 714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한다.
단계 706에서, 복수의 아이 얼굴인 경우에는 단계 708에서, 등록된 아이 얼굴의 우선 순위를 판단한다. 단계 710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출력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예시 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도 8a에는 A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이 제2 표시부 또는 전면 표시부(168)에 출력되고, A 아이가 좋아하는 소리가 출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8b에는 B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이 제2 표시부(168)에 표시되고, 좋아하는 소리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아이들의 얼굴을 등록하고, 각각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과 소리를 이용하여 아이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뿐만 아니라, 카메라 촬영 시 긴장하는 사람들의 긴장을 풀어주어 자연스러운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전면 표시부의 다양한 영상과 소리를 이용해서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을 촬영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지털 촬영 장치 168: 제2 표시부
1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171: 제어부
172: 피사체 등록부 173: 피사체 인식부

Claims (17)

  1.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미리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소리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피사체, 상기 피사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 및 상기 선호 소리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복수의 기 등록한 피사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피사체들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상기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아이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미리 등록한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 및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피사체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소리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피사체, 상기 피사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 및 상기 선호 소리를 등록하는 피사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등록부는,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복수의 기 등록한 피사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피사체들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피사체의 정보에 따라 등록된 선호 영상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피사체가 상기 등록한 피사체인지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아이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00083072A 2010-08-26 2010-08-26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20019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72A KR20120019703A (ko) 2010-08-26 2010-08-26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13/197,895 US8797442B2 (en) 2010-08-26 2011-08-04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72A KR20120019703A (ko) 2010-08-26 2010-08-26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03A true KR20120019703A (ko) 2012-03-07

Family

ID=4569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072A KR20120019703A (ko) 2010-08-26 2010-08-26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97442B2 (ko)
KR (1) KR20120019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74A (ko) * 2014-06-10 2015-12-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6512A (ja) * 2012-03-06 2013-09-19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6131393A (zh) * 2016-06-15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提示方法及装置
CN107277427A (zh) * 2017-05-16 2017-10-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选择摄像头画面的方法、装置及音视频系统
US20220343471A1 (en) * 2019-11-12 2022-10-27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JP2022053355A (ja) * 2020-09-24 2022-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8072B2 (ja) * 2001-09-07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携帯通信機器、映像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23410A (ja) * 2002-06-17 2004-01-22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5239126B2 (ja) * 2006-04-11 2013-07-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5517435B2 (ja) * 2008-10-22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合焦装置および自動合焦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US20100296801A1 (en) * 2009-04-23 2010-11-25 Laurie Lane Portable studi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74A (ko) * 2014-06-10 2015-12-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0601A1 (en) 2012-03-01
US8797442B2 (en)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jump image
KR101634247B1 (ko)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JP513666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71062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30222635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0036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690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1530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30071794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79744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115927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31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1006029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37055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1920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146856B1 (ko)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JP504447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