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50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508B1
KR101960508B1 KR1020180145654A KR20180145654A KR101960508B1 KR 101960508 B1 KR101960508 B1 KR 101960508B1 KR 1020180145654 A KR1020180145654 A KR 1020180145654A KR 20180145654 A KR20180145654 A KR 20180145654A KR 101960508 B1 KR101960508 B1 KR 10196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thumbnail
thumbnail ima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878A (ko
Inventor
상준균
김혜진
박완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5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한 화면에서 정지영상의 촬영 장수가 증가할 때 몇 장의 정지영상을 촬영했는지, 그리고 촬영된 영지 영상을 한눈에 모두 보거나 비교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한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들은 서로 연관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듀얼 촬영 또는 기록(Dual Recording)으로 동영상과 사진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렇게 생성된 파일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없어 동영상은 동영상대로 사진은 사진대로 따로 감상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영상과 이와 연관된 정지 영상을 한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들은, 상기 동영상의 촬영 중에 획득된 정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된 순서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중 제1 개수까지 썸네일 영상들은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개수보다 많은 썸네일 영상부터는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정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들의 촬영 타이밍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썸네일 영상 중 하나의 썸네일 영상에 포커스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영역에 포커스 윈도우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들의 촬영 타이밍에 상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 중 하나의 썸네일 영상이 상기 제공된 포커스 윈도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커스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한 썸네일 영상은, 상기 포커스 윈도우의 크기에 맞도록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커스 윈도우가 상기 제2 영역을 따라 이동하다가 마지막 썸네일 영상에서 고정되고, 상기 마지막 썸네일 영상의 촬영 타이밍 이후의 썸네일 영상들은 상기 고정된 포커스 윈도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의 촬영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중첩하고, 가장 늦게 촬영된 정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중첩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의 개수를 일정 개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의 촬영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재생 진행 방향에 상응하도록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은 재생 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썸네일 영상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영상이 촬영된 타이밍에 상응하도록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의 촬영 타이밍의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의 촬영 타이밍의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에 포커스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들을 기초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화면에서 정지영상의 촬영 장수가 증가할 때 몇 장의 정지영상을 촬영했는지, 그리고 촬영된 영지 영상을 한눈에 모두 보거나 비교할 수 있으며, 듀얼 캡쳐로 촬영한 정지 영상이 어떤 시점에서 촬영되었는지 또는 몇 장의 사진이 촬영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동영상 파일을 정지한 후 별도로 생성되는 정지영상을 선택하여 한 장씩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TV, 모니터 등의 가전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lens unit, 1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디스플레이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비되어 있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데이터 디스플레이 동작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2개의 영역에 동영상과 정지영상 또는 정지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메인 영역과 보조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데이터, 예를 들면 메인 영역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영역에는 동영상 촬영 중에 획득한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정지 영상을 축소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정지 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을 포함한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에서는 기능적으로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디스플레이부(160)의 제2 영역에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는 서로 연관된 데이터들로서,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 영상 데이터는 연사 촬영(continuous shot), 사전-기록(Pre-recording) 또는 듀얼 촬영(dual shot)으로 촬영된 데이터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동영상을 1분 동안 촬영하면서 1분 동안에 정지 영상을 5장 촬영한다면, 1분 동안의 동영상 데이터와 5장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60)의 메인 영역, 제2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60)의 보조 영역이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청구범위에 사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1)와 썸네일 생성부(18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81)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과 연관된, 예를 들면 동영상 촬영중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썸네일 생성부(182)는 동영상과 연관된 복수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70)를 통해, 듀얼 캡쳐된 파일, 예를 들면 동영상과 정지영상의 함께 보기를 선택한 경우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듀얼 캡쳐된 파일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듀얼 캡쳐된 동영상의 정지상태에서 정지영상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듀얼 캡쳐된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동영상이 정지중에,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일정 개수가 넘을 경우 줄 단위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한 줄로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한다. 촬영 시간에 맞춰 디스플레이하거나, 이전 정지 영상과 새로운 정지 영상은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화면에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정지영상의 촬영 장수가 증가할 때 몇 장의 정지영상을 촬영했는지, 그리고 촬영된 정지 영상을 한눈에 모두 보거나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을 재생하는 중에도, 촬영한 정지영상이 어떤 시점에서 촬영이 되었는지, 몇 장의 사진이 촬영되었는지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2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내지 2c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200)이 정지 상태인 경우이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동영상(20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에는 썸네일 영상들(201 내지 203)이 디스플레이된다. 썸네일 영상들(201 내지 203)은 동영상(200)과 연관된 정지 영상들, 즉 동영상 촬영중에 촬영한 정지영상들을 축소한 썸네일 영상들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영상들(201 내지 203), 즉 3개의 썸네일 영상들이 연관된 정지 영상들의 개수이다. 그리고 정지 영상들이 촬영된 순서대로, 도시된 것처럼, 첫 번째 촬영된 정지 영상의 썸네일 영상(201), 두 번째 촬영된 정지 영상의 썸네일 영상(202), 세 번째 촬영된 정지 영상의 썸네일 영상(203)이 각각 우측에서 좌측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면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동영상(20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에는 썸네일 영상들(201 내지 206)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전체 썸네일 영상들의 개수가 6개인 경우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체 썸네일 영상들의 개수가 9개인 경우, 화면의 한 줄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에는 6개의 썸네일 영상들(204 내지 209)이 제2 영역의 제1 줄에 디스플레이되고, 3개의 썸네일 영상들(201 내지 203)이 제2 줄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정지 영상이 촬영된 타이밍 또는 정지 영상이 생성된 순서대로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3a 내지 3c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200)이 정지 상태인 경우이고,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3개의 썸네일 영상들(301 내지 303)이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6개의 썸네일 영상들(301 내지 306)인 경우에는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의 크기, 예를 들면 썸네일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향인 가로 길이에 맞도록 축소하여 6개의 썸네일 영상(301 내지 306)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10개의 썸네일 영상(301 내지 310)이 있는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썸네일 영상들(301 내지 306)의 크기보다 더 작게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한 실시 예에서, 동영상이 정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영상을 터치 또는 선택한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에 해당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타이밍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도 바뀌게 된다.
도 4 내지 10은 동영상이 재생 상태에서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이고, 도 4 내지 7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영상들 중 하나에 포커스 윈도우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 동영상(400)이 재생중이고, 제2 영역에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 즉 전체 동영상 재생 시간인 20초 중에서, 2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은 첫 번째 썸네일 영상이고, 첫 번째 영상에 포커스 윈도우(401)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재생 시간이 경과하여 5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은 두 번째 썸네일 영상이고, 두 번째 썸네일 영상에 포커스 윈도우(402)를 제공한다.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9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은 세 번째 썸네일 영상이고, 세 번째 썸네일 영상에 포커스 윈도우(403)를 제공한다. 여기서, 포커스 윈도우가 제공되었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유지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 동영상(500)이 재생중이고, 제2 영역에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도 4는 전체 썸네일 영상들이 제2 영역에 모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고,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일정 개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슬라이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포커스 윈도우(550)는 제2 영역의 중앙에 고정되어 제공되고, 동영상(500)이 재생중에 2초에서는 첫 번째 촬영된 썸네일 영상이 포커스 윈도우(550)로 슬라이딩하고,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5초에는 두 번째 썸네일 영상이 포커스 윈도우(550)로 슬라이딩하고,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9초에는 세 번째 썸네일 영상이 포커스 윈도우(550)로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포커스 윈도우(550)의 크기가 썸네일 영상의 크기보다 크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썸네일 영상이 확대된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포커스 윈도우(650)가 고정 및 이동하는 경우이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2초에 포커스 윈도우(650)가 두 번째 썸네일 영상(601)에 제공되고,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6초에 포커스 윈도우(650)가 여섯 번째 썸네일 영상(602)에 제공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포커스 윈도우(650)가 고정되고, 7초에 일곱 번째 썸네일 영상(603)이 포커스 윈도우(650)로 슬라이딩한다. 즉, 썸네일 영상들이 가로로 길게 디스플레이되다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들에 해당 썸네일 영상들의 촬영 타이밍에 맞춰서 포커스 윈도우(650)를 제공하다가 마지막 썸네일 영상, 즉 도 6b에 도시된 썸네일 영상(602)에 포커스 윈도우(650)가 고정되고, 다음 썸네일 영상부터, 즉 (도 6c에 도시된 일곱 번째 썸네일 영상(603)부터는 포커스 윈도우(650)에 슬라이딩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7 내지 10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들이 리스트 형태 또는 슬라이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가 고정인 경우로서, 제2 영역에 썸네일 영상에 상응하는 정지 영상들이 촬영된 순서대로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 동영상(700)이 디스플레이되고, 5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701)이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8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702)이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영상(701) 위에 중첩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12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703)이 썸네일 영상들(701 및 702) 위에 중첩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마지막 촬영된 썸네일 영상(704)이 썸네일 영상들(702 및 703) 위에 중첩된다. 여기서, 3장의 썸네일 영상들만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고, 3장만을 유지하도록 썸네일 영상(701)이 사라진다. 따라서, 동영상 재생 중에는 정지영상의 촬영 시점에 맞춰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동영상을 보는데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
도 8a 내지 8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가 제한이 없는 경우로서, 제2 영역에 썸네일 영상에 상응하는 정지 영상들이 촬영된 순서대로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 동영상(800)이 디스플레이되고, 5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801)이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8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802)이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영상(801) 위에 중첩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12초에 촬영된 정지 영상에 상응하는 썸네일 영상(803)이 썸네일 영상들(801 및 802) 위에 중첩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마지막 촬영된 썸네일 영상(804)이 썸네일 영상들(701 내지 703) 위에 중첩된다.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면,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르게 중첩되는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인 것에서 차이가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이다.
도 10a 내지 10d를 참조하면,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르게 중첩되는 방향이 동영상의 재생 진행 방향, 좌측에서 우측 방향인 것에서 차이가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는, 한 화면에서 정지영상의 촬영 장수가 증가할 때 몇 장의 정지영상을 촬영했는지, 그리고 촬영된 영지 영상을 한눈에 모두 보거나 비교할 수 있으며, 듀얼 캡쳐로 촬영한 정지 영상이 어떤 시점에서 촬영되었는지, 몇 장의 사진이 촬영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동영상 파일을 정지한 후 별도로 생성되는 정지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한 장씩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지털 카메라
110: 렌즈부
2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Claims (16)

  1.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1 이미지 프레임과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및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썸네일 이미지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중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슬라이딩 되어 들어가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고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는 동안,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의 슬라이딩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8.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동영상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동안 지시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설정된 위치를 통해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동영상의 특정 부분이 재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시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중 다른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다른 부분을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캡쳐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캡쳐하는 동안,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마지막 이미지가 상기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슬라이딩 시키는, 휴대용 전자 장치.
  15.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미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제2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중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슬라이딩 되어 들어가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고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동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동안 지시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설정된 위치를 통해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동영상의 특정 부분이 재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시되는, ,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145654A 2018-11-22 2018-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6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54A KR101960508B1 (ko) 2018-11-22 2018-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54A KR101960508B1 (ko) 2018-11-22 2018-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400A Division KR101923185B1 (ko) 2018-06-14 2018-06-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878A KR20180128878A (ko) 2018-12-04
KR101960508B1 true KR101960508B1 (ko) 2019-03-20

Family

ID=6466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654A KR101960508B1 (ko) 2018-11-22 2018-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502B (zh) * 2020-06-19 2022-06-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目标对象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2B1 (ko) 2003-09-02 2011-10-05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동화상 데이터의 편집 장치 및 동화상 데이터의 편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4758A2 (en) * 2003-05-16 2004-12-02 Picasa, Inc. Networked chat and media sha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266833B1 (ko) * 2007-11-30 2013-05-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듀얼 레코더
KR101113238B1 (ko) * 2010-08-02 2012-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2B1 (ko) 2003-09-02 2011-10-05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동화상 데이터의 편집 장치 및 동화상 데이터의 편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878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971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95782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700357B1 (ko)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70036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36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69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30162853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54204B2 (en) Dig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31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9704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71972A (ko)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231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10024525A (ko) 장면 인식 영상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81765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33279B1 (ko) 영상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10163510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99011A (ko) 오토 포커싱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