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168B1 - 광섬유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168B1
KR100524168B1 KR10-2002-7006855A KR20027006855A KR100524168B1 KR 100524168 B1 KR100524168 B1 KR 100524168B1 KR 20027006855 A KR20027006855 A KR 20027006855A KR 100524168 B1 KR100524168 B1 KR 10052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xing
fixing part
plastic
fi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815A (ko
Inventor
니시타나오키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광섬유를 광섬유 고정구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용이하고 저비용의 고정 구조이다. 페룰(1)에는 그 첨단측으로부터 후단부측으로 관통하는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과 페룰 측면쪽으로부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에 연통하는 개구부(4)를 형성한다.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삽입한다.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부분(6)을 가지는 홈통형상의 광섬유 고정 부품(5)을 개구부(4)에 삽입한다. 그리고, 광섬유 끼워두는부분(6)의 내벽면(7) 간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양사이드로부터 끼워두고,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부분(6)의 외면(9)은 개구부(4)의 내벽면(8)에 압접시켜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이탈방지 고정한다.

Description

광섬유의 고정 구조{OPTICAL FIBER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심선등의 광섬유심선을 페룰이나 코넥터등의 광섬유 고정구에 고정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나 LAN (근거리 통신망) 등의 신호 처리의 고속화, 서비스의 다양화에 의해, 신호 전송 속도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차량의 정보화가 비약적으로 진전해,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해 차량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혹은 ITS(고속도로 교통시스템)를 이용해 차량의 정체 해소등의 관리를 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해, 차량내에서의 데이터, 화상, 음성등의 통신 정보의 처리량이 증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호 전송 속도의 고속화, 통신 정보처리량의 증대화가 진행되면, 통신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영향이 커진다. 그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 할 수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 (플라스틱 광섬유심선)가 신호 전송로에 이용되게 되었다.
플라스틱 광섬유에는, 일반적으로 나일론등의 피복이 설치되고 있다. 피복의 형태로서는, 플라스틱 광섬유소선의 외주 측에 나일론등의 제 1피복을 마련해 또한 제 1피복의 외주 측에 나일론등의 제 2피복을 마련한다고 하는 것처럼, 다층 피복의 것도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를 고속 신호 전송로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접속 단부면측의 피복을 제거해 플라스틱 광섬유소선을 노출시킨 상태로, 혹은, 제2 피복 이상을 제거해 제1 피복을 노출시킨 상태로, 이 노출 부분과 피복 부분을 페룰이나 코넥터등의 광섬유 고정구에 삽입 고정한다. 광섬유 고정구에는 적당한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정 구조의 일예로서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페룰의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삽입해, 에폭시 수지등의 접착제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를 페룰에 고정한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또, 금속제의 페룰의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삽입한 상태로, 페룰을 코오킹함으로써, 플라스틱 광섬유를 페룰에 고정한 구조도 제안되고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투명 수지제의 페룰의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삽입한 상태로, 페룰의 바깥쪽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해, 페룰의 수지와 플라스틱 광섬유의 피복 수지를 녹여붙임으로써, 플라스틱 광섬유를 페룰에 고정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의 실용 신안 등록 출원의 공개 공보(공개번호: 4-42836)에 제안되고 있는바와같이,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금속 부재(15)를 이용해, 플라스틱 광섬유(플라스틱 광섬유심선)(3)를 페룰에 고정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이 고정 구조는, 페룰의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삽입된 플라스틱 광섬유(3)를 금속 부재(15)에 의해 지지해, 플라스틱 광섬유(3)에 그 긴쪽 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져도, 플라스틱 광섬유(3)가 페룰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이탈방지 고정하는 것이다
도 6b는, 금속 부재(15)에 의한 플라스틱 광섬유(3)의 고정 상태를 플라스틱 광섬유(3)의 아래 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도 6b에 나타낸바와같이, 상기 금속 부재(15)에 의한 플라스틱 광섬유(3)의 지지는, 금속 부재(15)의 끼워둔부분(16)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에 긴쪽 방향으로 간격을 개재한 각각의 지지 위치에서 점접촉으로 행해진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에폭시 수지등의 접착제를 이용해 페룰에 광섬유를 고정하는 구조를 적용하면, 접착제의 취급이 귀찮고, 또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금속제의 페룰을 코오킹하는 고정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페룰을 반드시 금속제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 금속은 플라스틱에 비해 높기 때문에, 코스트가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레이저광을 이용해 페룰의 수지와 플라스틱 광섬유의 피복 수지를 녹여붙이는 고정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레이저 조사용 설비등이 필요하게 되기때문에 설비비가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6a, 도 6b에 나타낸 고정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금속 부재(15)의 치수 정밀도를 엄격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금속 부재(15)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의 코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코어에 상처가 나 버리면, 플라스틱 광섬유(3)의 전송 손실이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그 1측면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등의 광섬유심선을,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광섬유 고정구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광섬유심선의 전송 손실의 증가를 초래하는일도 없는 광섬유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도 1a, 도 1b,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섬유 고정 구조의 하나의 실시예를, 그 고정 작업 행정으로 가리키는 설명도이며, 도 2a, 도 2b, 도 2c는, 상기 실시예에 적용되고 있는 광섬유 고정 부품을 측면, 정면, 바닥면측으로부터 각각 가리키는 도면이며, 도 3a, 도 3b는, 상기 실시예에 적용되고 있는 페룰의 설명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 부품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를 잡은 상태를 아래 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5a,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에 적용되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a, 도 6b는, 종래 제안된 광섬유의 고정 구조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광섬유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광섬유 고정 구조는, 광섬유 고정구에 광섬유심선을 고정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로써, 광섬유 고정구에는 그 첨단측으로부터 후단부측으로 관통하는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과 광섬유 고정구의 측면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광섬유심선이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에는 서로 서로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을 가지는 광섬유 고정 부품이 상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끼워두는 첨단측을 상기 광섬유심선측을 향하여 삽입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의 서로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내벽면간에 상기 광섬유심선의 외주면이 끼어져서 광섬유 고정 부품에 의해 광섬유심선이 양사이드로부터 끼워두게 되고,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바깥면은 상기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의 내벽면에 압접되어, 상기 광섬유심선이 상기 광섬유 고정구에 이탈방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개의 형태예로서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간격이 광섬유심선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은 광섬유심선을 양사이드로부터 압접유지하는 광섬유 압압부로 된다.
일예로서 광섬유 고정 부품은 기초부의 양측으로부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을 서로 대향시켜 돌출설치한, 횡단면 형상이 U자형 상을 한 홈통형상의 부품이다.
광섬유심선의 바람직한 고정 구조예로서는, 광섬유심선은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간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압접 고정되어 광섬유 고정 부품은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의 내벽면간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압접 고정된, 비접착의 압접 고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에는 그 내벽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내벽면의 요철은, 서로 간격을 개재해서 광섬유의 삽입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 돌출설치 된 복수의 핀을 가지고 형성되어도 된다.
광섬유 고정구는 원통 형상의 페룰 또는 원통 형상의 페룰을 1개이상 마련한 코넥터로 하고, 상기 원통 형상의 통구멍을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으로 해도 된다.
일예로서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에 대향하는 내벽면이 스트레이트면으로 이루고 있다.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 입구에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이탈방지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섬유 고정구와 광섬유 고정 부품중 적어도 광섬유 고정 부품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광섬유심선은 플라스틱 광섬유소선의 외주 측에 피복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광섬유심선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예와 동일한 명칭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1c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 고정 구조를 얻기 위한 광섬유의 고정 작업 행정이,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일실시예의 광섬유의 고정 구조는, 광섬유 고정구로서의 페룰(1)에, 광섬유심선으로서의 플라스틱 광섬유(플라스틱 광섬유심선)(3)를 고정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이다.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 예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특징적인 홈통형상의 광섬유 고정 부품(5)이 사용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같이, 플라스틱 광섬유(3)는, 플라스틱 광섬유소선(12)의 외주측에 1차 피복(13)을 형성하고, 또한 그 외주측에 2차 피복(14)을 형성해 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광섬유(3)는, 그 접속 단부면측의 2차 피복(14)이 제거되어 1차 피복(13)의 표면이 노출하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차 피복(13)의 직경은 1.51mm, 2차 피복(14)의 직경은 2.3mm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5)는,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측면도가 도 2a에 나타나고 있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정면도가 도 2b에 나타나 광섬유 고정 부품(5)을 아래 쪽으로부터 본 도면이 도 2c에 나타나고 있다.
도 1b, 도 2b, 도 2c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은,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을 가진다. 이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은 광섬유 고정 부품 5의 기초부 (기초부벽)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거의 평행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광섬유 고정 부품(5)의 횡단면(긴쪽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형상은 U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는 4각형 형상의 볼록부(27)가 복수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7)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볼록부(27)의 형상은 사각 이외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간격d1은,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2mm, 간격d2는 1.4mm이다. 이들의 간격d1,d2는, 플라스틱 광섬유 (3)의 외경(여기에서는 1차 피복(13)의 외경이며, 1.51mm)보다 작게 형성되고 있어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은 광섬유 압압부로 이루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길이L는 7mm,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폭W는 0.5mm이다.
상기 페룰(1)의 평면도가 도 3a에 나타나고 있으며, 그 A-A단면도가 도 3b에 나타나고 있다. 도 1a∼도 1c,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같이, 페룰(1)에는 그 첨단(21)측으로부터 후단부(20)측에 관통하는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과 페룰(1)의 측면쪽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에 연통하는 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페룰(1)은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통구멍이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페룰(1)의 개구부(4)는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에 대향하는 내벽면(8)이 스트레이트면으로 이루고 있다. 페룰(1)의 개구부(4)의 입구에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이탈방지용의 돌기부(10)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4)의 바닥면에는 광섬유 지지부(11)가 위쪽 (개구부(4)의 입구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페룰(1)의 첨단(21)측의 통부(18)에 형성되고 있는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의 내경은, 플라스틱 광섬유(3)의 1차 피복(13)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플라스틱 광섬유(3)가 스무드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다음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고정하는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플라스틱 광섬유(3)는, 그 접속 단부면측의 2차 피복(14)을 제거해 1차 피복(13)을 노출시킨 상태로, 페룰(1)의 후단부(20)측으로부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2)에 삽입된다. 그러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되고, 플라스틱 광섬유(3)의 접속 단부면은 페룰(1)의 첨단(21)측에 노출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광섬유 고정 부품(5)이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을 플라스틱 광섬유(3)측을 향하여 페룰(1)의 개구부(4)에 삽입되어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끼워맞춤되어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을 개구부(4)에 삽입끼워맞춤하면, 광섬유 고정 부품(5)은, 도 2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을 플라스틱 광섬유(3)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플라스틱 광섬유(3)를 양사이드로부터 압접 끼워둔다. 또,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외면(9)은 상기 페룰(1)의 개구부(4)의 내벽면(8)에 압접한다.
그리고, 이 압접에 의해, 광섬유 고정 부품(5)은 페룰(1)에 고정되어 광섬유 고정 부품(5)에 끼워두게된 플라스틱 광섬유(3)는, 페룰(1)에 이탈방지 고정된다.
여기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을 페룰(1)의 개구부(4)에 삽입할 만큼의 1액션 동작으로, 플라스틱 광섬유(3)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에의 고정과 광섬유 고정 부품(5)의 페룰(1)에의 고정이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동시에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각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은 플라스틱 광섬유(3)의 외주면에 있어서 긴쪽 방향으로 선 혹은 면접촉 시킨 상태로, 플라스틱 광섬유(3)를 양사이드로부터 끼워둔다. 그 때문에, 비록 플라스틱 광섬유(3)에 큰 인장력이 가해져도, 광섬유 고정 부품(5)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를 단단히 끼워둘수있고, 플라스틱 광섬유(3)을 페룰(1)에 단단히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 광섬유(3)를 삽입한 페룰(1)의 개구부(4)에 광섬유 고정 부품(5)을 삽입끼워맞춤 하는 것만으로, 접착제등도 이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광섬유(3)의 고정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5)에 의한 플라스틱 광섬유(3)의 끼워둠은,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에 의해, 그 내벽면(7)을 플라스틱 광섬유(3)의 긴쪽 방향으로 선 혹은 면접촉 시킨 상태로 행해지고 있으므로, 광섬유 고정 부품(5)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의 코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플라스틱 광섬유 3의 전송 손실 증가를 초래하는일도 없다.
특히, 이 실시예에 의하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간격을 플라스틱 광섬유(3)의 외경보다 0.1mm∼0.3mm정도 작게 형성해,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을 광섬유 압압부와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광섬유 고정 부품(5)에 의한 플라스틱 광섬유(3)의 잡아고정함을 적절한 압압력으로 행할 수가 있어 플라스틱 광섬유(3)를 확실히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플라스틱 광섬유(3)의 전송 손실의 증가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 요철을 형성했으므로, 플라스틱 광섬유(3)가 광섬유 고정 부품(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 한층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확실히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광섬유 고정 부품(5)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손상시키는 것을 더 한층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광섬유 고정 부품(5)을 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광섬유 고정 부품(5)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페룰(1)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페룰(1)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페룰(1)의 개구부(4)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에 대향하는 내벽면(8)이 스트레이트면과 이루고 있으므로, 개구부(4)에 삽입 끼워맞춤된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간격이 개구부(4)내에서 넓어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더 한층 확실히 페룰(1)에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페룰(1)의 개구부(4)의 입구에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이탈방지용의 돌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섬유 고정 부품(5)이 페룰(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더 한층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 광섬유(3)를, 적절한 압압력을 가지고 페룰(1)에 단단히 고정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비록 플라스틱 광섬유(3)에 인장력이 가해져도 플라스틱 광섬유(3)가 페룰(1)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플라스틱 광섬유(3)을 전송하는 광의 전송손실이 증가하는 일도 억제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실시예의 광섬유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3)의 전송 손실과 인장 강도를 구했던바, 전송 손실은 0.1dB이하가 되어, 70N이상의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광섬유심선의 고정을 적확하게 행할 수가 있으므로, 플라스틱광섬유심선을 이용해, 예를 들면 차량내등의 신호 전송 속도의 고속화, 통신 정보처리량의 증대화에 응할수있는 광통신을 적확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될 것은 없고, 여러가지의 실시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 4각형 형상의 볼록부(27)를 복수 형성했지만,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 삼각형형상의 볼록부(27)를 복수 형성해 상기 내벽면(7)에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 서로 간격을 개재해서 플라스틱 광섬유(3)의 삽입 방향(화살표 A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 돌출설치 된 복수의 핀(17)을 형성해 상기 내벽면(7)에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라스틱 광섬유(3)가 광섬유 고정 부품(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더 한층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플라스틱 광섬유(3)를 페룰(1)에 확실히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고정 부품(5)은, 반드시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의 내벽면(7)에 요철을 형성한다고는 할 수 없고, 내벽면(7)을 요철이 없는 면으로 해도 된다. 다만, 내벽면(7)에 요철을 형성하면,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6)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등의 광섬유심선을 더 한층 확실히 끼워두고, 광섬유심선을 페룰(1)에 확실히 이탈방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룰(1)의 개구부(4)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부분(6)에 대향하는 내벽면(8)을 스트레이트면으로 했지만, 개구부(4)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을 삽입끼워맞춤 할 수 있어 그 외면(9)이 개구부(4)의 내벽면에 장접 되도록 크기나,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룰(1)의 개구부(4)의 입구에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의 이탈방지용의 돌기부(10)가 2개 형성되어 있었지만, 돌기부(10)의 개수는 1개라도 3개이상이라도 되고, 돌기부(10)는 없어도 된다. 다만, 돌기부(10)를 형성하면, 광섬유 고정 부품(5)을 더한층 확실히 개구부(4)에 이탈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고정 부품(5)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했지만, 광섬유 고정 부품(5)은 플라스틱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다만, 플라스틱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고, 코스트도 싸고, 플라스틱 광섬유(3)를 고정할 때에 플라스틱 광섬유(3)를 손상시킬 우려도 없기 때문에, 광섬유 고정 부품(5)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룰(1)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했지만, 페룰(1)은 금속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다만, 플라스틱은, 상기와 같이, 그 성형성이 양호하고, 코스트도 싸기 때문에, 페룰(1)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광섬유(3)의 접속 단부면측의 2차 피복(14)을 제거해, 1차 피복(13)의 노출 부분을 페룰(1)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2차 피복(14)을 제거하지 않고 , 광섬유 고정 부품(5)의 광섬유 끼워두는부분(6)의 내벽면(7)간에 플라스틱 광섬유(3)의 2차 피복(14)을 양사이드로부터 끼워두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광섬유 고정구로서 페룰(1)을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광섬유 고정구는 코넥터등의 부품이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어댑터등의 접속 상대측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갖춘 코넥터를 광섬유 고정구로 해, 이 코넥터에 플라스틱 광섬유(3)등의 광섬유심선을 고정하는, 고정 구조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 코넥터내에 상기 광섬유 고정구로서의 페룰을 1개 또는 복수 짜넣어, 이 페룰을 이용해 광섬유심선을 코넥터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광섬유로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했지만, 유리 광섬유를 이용해도 되고, 광섬유의 종류는 불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룰(1)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했지만, 페룰(1)의 형상은 원통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는, 광섬유심선을 적당한 개소에 고정하거나 코넥터내에 고정하는 등, 광섬유심선을 용이하게, 또한, 대미지를 주는 일 없이 고정하는·구조로서 적합하다.

Claims (11)

  1. 광섬유 고정구에 광섬유심선을 고정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로써, 광섬유 고정구에는 그 첨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으로 관통하는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과, 광섬유 고정구의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에 피복된 광섬유심선이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를 가지는 광섬유 고정 부품이 상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끼워두는 첨단측을 상기 광섬유심선측을 향하여 삽입끼워맞춤되어있고,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의 서로 대향하는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내벽면간에 상기 광섬유심선의 외주면이 끼워져서 광섬유 고정 부품에 의해 광섬유심선이 양사이드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외면은 상기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의 내벽면에 압접되어, 상기 광섬유심선이 상기 광섬유 고정구에 이탈방지 고정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간격은 광섬유심선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은 광섬유심선을 양사이드로부터 압접유지하는 광섬유 압압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 부품은 기초부의 양측으로부터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을 서로 대향시켜 돌출설치한, 횡단면 형상이 U자형 형상을 한 홈통형상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심선은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간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압접 고정되고, 광섬유 고정 부품은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의 내벽면간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압접 고정된, 비접착의 압접 고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에는 그 내벽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의 내벽면의 요철은, 서로 간격을 개재해서 광섬유의 삽입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 돌출설치된 복수의 핀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구는 원통 형상의 페룰 또는 원통 형상의 페룰을 1개이상 마련한 코넥터로 하고, 상기 원통 형상의 통구멍을 광섬유 끼우고통하는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광섬유 끼워두는 부분에 대향하는 내벽면이 스트레이트면으로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구의 개구부 입구에는 광섬유 고정 부품의 이탈방지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 고정구와 광섬유 고정 부품중 적어도 광섬유 고정 부품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광섬유심선은 플라스틱 광섬유소선의 외주 측에 피복을 형성해 이루어진 플라스틱 광섬유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고정 구조.
KR10-2002-7006855A 2000-09-29 2001-09-26 광섬유의 고정 구조 KR100524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9815 2000-09-29
JP2000299815A JP4443750B2 (ja) 2000-09-29 2000-09-29 光ファイバの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15A KR20020059815A (ko) 2002-07-13
KR100524168B1 true KR100524168B1 (ko) 2005-10-25

Family

ID=1878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55A KR100524168B1 (ko) 2000-09-29 2001-09-26 광섬유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26371B2 (ko)
EP (1) EP1321783B1 (ko)
JP (1) JP4443750B2 (ko)
KR (1) KR100524168B1 (ko)
WO (1) WO2002029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0867B1 (de) * 2002-07-13 2007-09-12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gehäuse für Lichtwellenleiter
JP4578828B2 (ja) * 2004-03-03 2010-1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ストッパの形状設定方法
JP4606954B2 (ja) * 2004-07-15 2011-01-05 Toto株式会社 光レセプタクル用フェルール保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レセプタクル
DE102004058741A1 (de) * 2004-12-06 2006-06-08 Fci Lichtwellenleiter (LWL)-Stecker
US20060285813A1 (en) * 2005-06-10 2006-12-21 Ferguson Stephen K Fiber anchoring method for optical sensors
DE102007017520A1 (de) * 2007-04-13 2008-10-16 Escha Bauelemente Gmbh Lichtwellenleitersteckerteil
US7856888B2 (en) * 2007-11-15 2010-12-28 Micron Optics Inc. Fiber optic strain gage and carrier
JP5224389B2 (ja) * 2009-05-18 2013-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配列部材の製造方法
JP5400744B2 (ja) * 2010-10-19 2014-01-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端子、端子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コネクタ、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356355B2 (ja) 2010-10-19 2013-1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端子固定部材、光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2220798A (ja) * 2011-04-11 2012-1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端子、端子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2220799A (ja) * 2011-04-11 2012-1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端子、端子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2247640A (ja) * 2011-05-27 2012-12-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端子及び光コネクタ、基板用光コネクタ
RU2672981C2 (ru) 2011-11-02 2018-11-21 Нанопресижен Продактс, Инк. Выполненная в виде замка структура для удержания оптоволоконного кабеля
JP2014191279A (ja) * 2013-03-28 2014-10-06 Panasonic Corp Sc形光コネクタ
JP2015011201A (ja) * 2013-06-28 2015-01-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端子、端子付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
US10175087B2 (en) * 2017-02-09 2019-01-08 The Boeing Company Fuel level sensor having dual fluorescent plastic optical fibers
US10931090B2 (en) 2017-03-07 2021-02-23 Kidde Technologies, Inc. Mount with clip
DE102017122537A1 (de) * 2017-09-28 2019-03-28 Physik Instrumente (Pi) Gmbh & Co. Kg Faserklemme
CN115421251B (zh) * 2022-09-01 2023-09-19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连接器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455A (en) * 1982-03-17 1988-11-15 Thomas & Betts Corporation Strain relief connector for optical fiber
JPS6488406A (en) * 1987-09-29 1989-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connector plug
JPH075445Y2 (ja) * 1988-08-15 1995-0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H0560945A (ja) * 1991-09-04 1993-03-12 Munekata Kk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3515305B2 (ja) * 1997-01-16 2004-04-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2002131584A (ja) * 2000-10-20 2002-05-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光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07573A (ja) 2002-04-10
EP1321783B1 (en) 2012-07-11
JP4443750B2 (ja) 2010-03-31
EP1321783A1 (en) 2003-06-25
WO2002029462A1 (fr) 2002-04-11
KR20020059815A (ko) 2002-07-13
US20020114585A1 (en) 2002-08-22
EP1321783A4 (en) 2005-05-18
US6726371B2 (en) 200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168B1 (ko) 광섬유의 고정 구조
US8480311B2 (en) Optical connector, method of attaching the optical connector to coated optical fiber, and optical connection member
EP1688769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component and optical fiber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02258104A (ja) フェルール保持構造
JPH11160563A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型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7591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ボックス
EP1312955B1 (en) Process for coupling optical fibres
JP4117004B2 (ja) 光伝送媒体の接続方法、光学接続構造及び光伝送媒体接続部品
GB2049220A (en) Optical fiber terminator and means and method for centering optical fiber
WO2022039008A1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283305A (ja)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
JP2001133660A (ja)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て方法
JP2004045936A (ja) 光ファイバ接続用部品、光ファイバ接続構造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4279126B2 (ja) 光ファイバの固定構造及び光コネクタ
JPH09203827A (ja) 光コネクタ
JP3157558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3400663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
JP2749942B2 (ja) 光コネクタのファイバ固定方法
JP2004151296A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H0746883Y2 (ja) 防湿型フイルタ入り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7110416A (ja) コネクタ付光コード
JPH05119225A (ja) 光フアイバ永久接続器
US20050145755A1 (en) Optical cable stopper
JP3309200B2 (ja) レーザ加工用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H11352360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