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935B1 -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935B1
KR100520935B1 KR1019980053120A KR19980053120A KR100520935B1 KR 100520935 B1 KR100520935 B1 KR 100520935B1 KR 1019980053120 A KR1019980053120 A KR 1019980053120A KR 19980053120 A KR19980053120 A KR 19980053120A KR 100520935 B1 KR100520935 B1 KR 10052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effect
hair growth
minoxid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214A (ko
Inventor
창 덕 김
민 호 이
상 년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5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93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류량 증가 효과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 증가 효과 그리고 모근세포 활성 효과가 탁월하며, 또한 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동물 시험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유효 성분으로서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여 혈류량 증가효과,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증가효과 및 모근세포활성효과가 탁월한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이 결과 일일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 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고 여성의 탈모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제는 미녹시딜 함유 제제로서, 현재까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두 가지 발모제 성분 중의 하나이다. 미녹시딜은 혈압강하의 목적으로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이었지만, 사용상의 부작용으로 발모 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발모제로 더 유명한 약물이 되었다. 미녹시딜의 발모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 확장 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혈류량 증가 모델은 미녹시딜이 모근을 구성하는 주요 세포인 모유두(dermal papilla)에서 혈관 확장에 관련된 성장 인자인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최근의 보고(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998, 138:407-411)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증명된다. 이러한 혈류량 증가에 의한 발모효과는 미녹시딜 이외에 많은 혈행촉진제가 현재에도 많은 양모료나 육모료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예나 동의보감, 중약대사전과 같은 동양의학서에 혈행촉진성분에 대한 내용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예에서도 간접적으로 증명된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혈류량 증가를 통해 모근에 영양분을 제공하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는 작용기전은 발모효과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임에 틀림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혈류량 증가효과에 대한 객관적 실험 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이는 부분적으로는 피하 혈류량의 미세한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기술의 한계에 기인한다. 더불어 미녹시딜의 발모효과 기전에 있어 혈관 확장 효과 이외에도, 체외 배양 중인 모근의 모유두세포 활성화(Skin Pharmacology, 1996, 9:3-8) 및 모낭 조직 배양에서 모낭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보고(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89, 92:315-320)등은 미녹시딜이 모근에 직접적인 성장 인자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미녹시딜과 같이 혈류량 증가 효과 및 모근 세포 활성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천연물 재료를 선택하고자, 피하 혈류량 측정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레이저 도플러(Laser Doppler) 및 혈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혈관내 피성장인자의 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그리고 세포활성화를 측정하는 방법인 Thyimidine uptake 등의 기법들을 도입하여 수많은 연구 및 실험을 행한 결과,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이 혈류량 증가 효과,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 증가 효과 및 모근 세포 활성화 효과가 있고 또한, 이들 추출물을 미녹시딜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그 작용효과가 현저히 상승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미녹시딜 0.01 내지 5중량%, 은행추출물 0.1 내지10중량% 및 홍삼 추출물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서 미녹시딜은 0.01 내지 5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녹시딜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는 그 충분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중량% 이상에서는 용량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은행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은 각각 0.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며, 10중량% 이상에서는 용량에 비례하는 효과증가를 보이지 못하고 제형을 유지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은행 및 홍삼의 추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은행잎 또는 홍삼을 정제하고 분말화하여 약 10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5일간 냉침한 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은행추출물 또 는 홍삼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이때 사용한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의 혈류량 증가 실험, 혈과내피성장인자 합성증가실험 및 세포활성 증가실험을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의 혈류량 증가실험〉
건강한 남녀 25명을 선정하고 이들을 피험자로 하여 Laser Doppler를 이용하여 피하 혈류량 증가를 측정하였다. Laser Doppler는 Perimed회사의 제품을 이용하였다. 먼저 섭씨 23도, 습도 50%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실에서 피험자를 10분간 적응시켜 주위환경에 의한 혈류량 변화를 최소화하고, 피험자를 침대에 눕도록 한 후 좌우 하박부 레이져 도플러의 센서를 부착하였다. 시험물질 도포전 10분간 레이져 도플러로 혈류량을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하고, 시료 도포 후 30분간의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간 내 피험자는 침대에 바로 누워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신체 움직임에 의한 혈류량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상기의 레이져 도플러 측정방법을 통해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홍삼추출물의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 증가 실험〉
성형외과로부터 두피 수술 후 사람의 두피 조직을 얻어 이로부터 모낭조직을 분리 하였다. 먼저 두피 조직을 70% 에탄올에 1분간 침적하여 멸균 시키고 세포배양용 배지인 M199로 3회 세척하였다. 입체 현미경 하에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를 수술용 메스로 절개하여 표피를 분리시키고 진피에 밖혀 있는 모낭을 핀셋을 이용하여 1개씩 뽑아 내었다. 분리된 모낭을 10% 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되어 있는 M199배양액으로 옮기고 모유두가 들어있는 모낭의 아랫부분을 메스로 절단하였다. 미세한 핀셋을 이용하여 모유두를 분리하고 이를 20% FBS가 함유된 M199 배양액으로 옮겨 2주간 배양하였다. 모유두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자라나기 시작하면서 배양용기에 가득차면 0.25% 트립신, 0.02% EDTA로 세포를 배양용기에서 분리한 후 계대배양하여 세포를 계속 배양하였다.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은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체외배양중인 모유두 세포에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넣고 24시간 배양한 후 구아니딘 티오시아네이트(guanidine thiocyanate)를 이용하여 세포내 전체 RNA를 분리하고, 이중 1ug의 RNA를 랜덤프라이머(random primer)와 MMLV 역전사효소로 역전사를 수행하였다. 역전사가 끝난 반응액의 일부를 취하여 DNA 중합효소로 증폭시키었으며,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LEFT PRIMER CTACCTCCACCATGCCAAGT
RIGHT PRIMER ATGTTGGACTCCTCAGTGGG
증폭된 DNA는 2.0% 아가로스겔(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고 사진을 찍었다. 이를 덴시토미터(Densitometer; Pharmacia)로 분석하여 혈관내피성장인자의 합성 증가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측정 방법을 통해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증감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의 세포활성 증가 실험〉
성형외과로부터 두피 수술 후 사람의 두피 조직을 얻어 이로부터 모낭조직을 분리하였다. 먼저 두피 조직을 70% 에탄올에 1분간 침적하여 멸균시키고 세포배양용 배지인 M199로 3회 세척하였다. 입체 현미경 하에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를 수술용 메스로 절개하여 표피를 분리시키고 진피에 밖혀 있는 모낭을 핀셋을 이용하여 1개씩 뽑아 내었다. 분리된 모낭을 10% 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되어 있는 M199배양액으로 옮기고 모유두가 들어있는 모낭의 아랫 부분을 메스로 절단하였다. 미세한 핀셋을 이용하여 모유두를 분리하고 이를 20%FBS가 함유된 M199 배양액으로 옮겨 2주간 배양하였다. 모유두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자라나기 시작하면서 배양용기에 가득차면 0.25% 트립신, 0.02% EDTA로 세포를 배양용기에서 분리한 후 계대배양하여 세포를 계속 배양하였다.
2-3계대의 모유두 세포를 10% FBS가 들어 있는 M199 배양액으로 2 x 104/㎖의 농도로 희석한 후 이를 60㎜ 배양용기에 5㎖씩 넣어주고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음날 FBS가 함유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FBS가 들어 있지 않은 배양액 및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양액으로 교환해 주고 24시간 배양한 후, 방사선으로 표지된 티미딘을 배양접시당 10uCi씩 첨가해주고 2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포스페이트(phospahate) 완충용액으로 3회 씻어주고 5% 트리클로로에트산으로 1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0.1% SDS, 0.5N NaOH로 녹인 후 신틸레이션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에 섞어주고 방사선 동위원소의 양을 β-카운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활성도는 대조군에 대하여 방사표지된 티미딘을 세포내로 어느정도 많이 uptake하였는지 비교 평가 하였다.
상기의 티미딘업테이크 측정방법을 통해 세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미녹시딜의 경우 혈관 확장을 통한 혈류량 증가 효과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증가 효과가 관찰 되었으며, 은행추출물과 같이 사용하였을 때에는 혈류량 증가 효과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의 합성 증가가 2배 이상으로 그 효과가 현저함을 관찰하여 그 효과가 배가되었고, 홍삼추출물의 경우는 혈류량 증가나 혈관내피성장인자의 합성 증가보다는 모근의 모유도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 할 경우 혈류량 증가 및 세포활성 증가를 통한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 다른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통상의 모발 성장 촉진제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혈액순환 촉진을 위한 고추틴크, 초산토코페롤, 니코틴산벤질, 모근 자극 및 세포 활성을 위한 당약추출물, 인삼추출물, 의이인추출물, 정향추출물, 히노키티올, 니코틴산아미드, 엘-멘톨 살균이나 각질 용해를 위한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기타 보습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발 성장 촉진 성분으로 배합되는 히노키티올, 고추틴크, 인삼추출물, 홍삼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당약추출물, 정향추출물, 초산토코페롤,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엘-멘톨 등은 주성분의 효과에 방해를 주지 않고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 농도에 대한 제한은 두지 않으나 인체 안전성이 제형 안정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히노키티올, 피록톤올아민은 0.001 내지1.0중량%, 고추틴크, 인삼추출물, 홍삼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당약추출물, 정향추출물, 초산토코페롤 등은 0:001 내지 10중량%, 니코틴산아미드는 0.01 내지 10중량%, 니코틴산벤질은 0.001 내지 0.1중량%, 살리실산 및 엘-멘톨은 0.01 내지 1.0중량%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성장촉진조성물은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 통산 두피에 적용 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을 포함하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을 액상의 양모제, 샴푸, 헤어컨디셔너등으로 제조하여 모발 성장 유효성 평가 시험 동물인 C57BL/6마우스를 이용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 피부 발적 등의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면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로 본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홍삼추출물을 함유한 양모제 조성물의 제조 및 효과 평가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과 기타 보조성분 등을 사용하여 다음의 표 4에 나타난 조성비로 액상의 양모제를 제조하였다.
[표 4]
동물을 이용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시험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시험은 생후 42일 ∼ 56일된 마우스(C57BL/6, male)를 사용하였다. 먼저 등 부위의 털을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각 마우스의 무게를 재서 몸무게가 고루 분산이 되도록 10 마리씩 나누었다. 하루 동안 적응 기간을 두고 다음날부터 제모 부위에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액상 양모제를 도포하였으며, 이때 개체당 등부위에 1일 1회, 100마이크로리터를 40일간 도포하였다.
그 결과는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한 면적에 대하여 신생모가 자란 면적의 비율을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효과의 판정은 신생모가 자란 면적에 따라 4단계의 평가 척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모발 성장 효과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다.
[표 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1 내지 5의 조성물은 비교예1 내지 2의 조성물에 비하여 2배 이상의 높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기타의 보조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녹시딜, 흔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및 효과 평가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홍삼추출물과 가티 보조성분 및 샴푸의 기능 및 제형을 갖추가 위한 성분 등을 사용하여 다음의 표 6에 나타난 조성비로써 통상의 샴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동물을 이용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시험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시험은 생후 42일 ∼ 56일된 마우스(C57BL/6, male)를 사용하였다. 먼저 등 부위의 털을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각 마우스의 무게를 재서 몸무게가 고루 분산이 되도록10마리씩 나누었다. 하루동안 적응기간을 두고 다음날부터 제모 부위에 상기 실시예 6-10 및 비교예 3-4의 샴푸를 도포하였으며, 약 1분 후 흐르는 물로 등판 부위를 충분히 닦아 내어 통상의 샴푸 사용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도포하였다. 이때 개체당 등부위에 1일 1회, 500 마이크로리터를 40일간 도포하였다.
그 결과는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한 면적에 대하여 신생모가 자란 면적의 비율을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효과의 판정은 신생모가 자란 면적에 따라 4단계의 평가 척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모발 성장 효과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다.
[표 7]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6 내지 10의 조성물은 비교예 3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하여 2배 이상의 높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기타의 보조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표 4의 액상 양모제에 비하여 표 6의 샴푸는 전반적으로 효과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샴푸의 특성상 도포 후 물로 세척을 하기 때문에 모발 성장 촉진 성분의 잔류가 액상 양모제에 비해 덜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의 제조 및 효과평가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과 기타 보조성분 및 헤어컨디셔너의 기능 및 제형을 갖추기 위한 성분 등을 사용하여 다음의 표 8에 나타난 조성비로써 통상의 헤어컨디셔너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8]
동물을 이용한 모발 성정 촉진 효과 시험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시험은 생후 42일 ∼ 56일된 마우스(C57BL/6. male)를 사용하였다. 먼저 등 부위의 털을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각 마우스의 무게를 재서 몸무게가 고루 분산이 되도록 10 마리씩 나누었다. 하루 동안 적응기간을 두고 다음날부터 제모 부위에 상기 실시예 11-15 및 비교예 5-6의 헤어컨디셔너를 도포하였으며, 약 1분 후 흐르는 물로 등판 부위를 충분히 닦아 내어 통상의 헤어컨디셔너 사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도포하였다. 이때 개체당 등부위에 1일 1회, 500마이크로리터를 40일간 도포하였다.
그 결과는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한 면적에 대하여 신생모가 자란 면적의 비율을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효과의 판정은 신생모가 자란 면적에 따라 4단계의 평가 척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모발 성장 효과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다.
[표 9]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녹시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1 내지 15의 조성물은 비교예 5 내지 6의 조성물에 비하여 2배 이상의 높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기타의 보조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않은 경우 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은 혈류량 증가 효과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합성 증가 효과 그리고 모근세포 활성 효과가 탁월하며, 또한 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동물 시험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미녹시딜 0.01 내지 5중량%, 은행추출물 0.1 내지 10중량% 및 홍삼추출물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히노키티올, 고추틴크, 인삼추출물, 의이인추출물, 당약추출물, 정향추출물, 초산토코페롤,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및 엘-멘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또는 액상의 양모제인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9980053120A 1998-12-04 1998-12-04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52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20A KR100520935B1 (ko) 1998-12-04 1998-12-04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20A KR100520935B1 (ko) 1998-12-04 1998-12-04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214A KR20000038214A (ko) 2000-07-05
KR100520935B1 true KR100520935B1 (ko) 2006-02-17

Family

ID=195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120A KR100520935B1 (ko) 1998-12-04 1998-12-04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4B1 (ko) * 2005-09-13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41B1 (ko) * 2002-07-25 2005-07-12 주식회사 태평양 이소플라본 아글리콘 제니스테인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040016647A (ko) * 2002-08-19 2004-02-25 배오성 한방크림
KR20050040652A (ko) * 2003-10-29 2005-05-03 박명애 자하거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모제의제조방법
CN100581532C (zh) * 2004-03-16 2010-01-20 Lg生活健康株式会社 毛发生长剂组合物
KR100794206B1 (ko) * 2005-11-18 2008-01-11 조영순 순식물성 모발 스프레이 젤의 제조방법
KR100604949B1 (ko) * 2005-12-09 2006-07-28 이덕희 은행나무 뿌리 추출액을 함유하는 발모제
KR100776754B1 (ko) * 2005-12-14 2007-11-28 이창구 모발 개선제
US10543164B2 (en) 2017-06-30 2020-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odorant compositions
US11529299B2 (en) 2017-06-30 2022-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2-pyridinol-n-oxide material and an iron chelator
EP3644955B1 (en) 2017-06-30 2023-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2-pyridinol n-oxide material and an iron chelator
US11191705B2 (en) 2018-09-10 2021-12-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N114080219A (zh) 2019-07-05 2022-02-22 宝洁公司 个人护理清洁组合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5217A (ja) * 1986-12-09 1988-06-17 Taisho Pharmaceut Co Ltd 経皮投与組成物
JPH0748230A (ja) * 1993-07-31 1995-02-21 Hideo Horiuchi 育毛剤の製造法
JPH09188620A (ja) * 1996-01-05 1997-07-22 Taisho Pharmaceut Co Ltd ヒノキチオール含有組成物
KR19990018331A (ko) * 1997-08-27 1999-03-15 성재갑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20000031349A (ko) * 1998-11-05 2000-06-05 박명규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2466A (ko) * 1998-11-14 2000-06-15 오흥기 발모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5217A (ja) * 1986-12-09 1988-06-17 Taisho Pharmaceut Co Ltd 経皮投与組成物
JPH0748230A (ja) * 1993-07-31 1995-02-21 Hideo Horiuchi 育毛剤の製造法
JPH09188620A (ja) * 1996-01-05 1997-07-22 Taisho Pharmaceut Co Ltd ヒノキチオール含有組成物
KR19990018331A (ko) * 1997-08-27 1999-03-15 성재갑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20000031349A (ko) * 1998-11-05 2000-06-05 박명규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2466A (ko) * 1998-11-14 2000-06-15 오흥기 발모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4B1 (ko) * 2005-09-13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214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568B1 (ko) 개선된 피부 저류 및 발모 효과를 갖는 미녹시딜 함유조성물
KR100520935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2006117700A (ja) 抗グリケーション剤としての少なくとも1つのスノキ属植物の抽出物の使用
US5750107A (en) Hair growth promoter
JP3223404B2 (ja) 育毛・養毛剤
JP2017043594A (ja) 育毛組成物
WO2002024189A1 (fr) Activateur cellulaire
US11491102B2 (en) Composition for skin anti-inflammatio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extracted with skin cosmetic solution as a solvent
KR100903283B1 (ko) 녹용 성분을 함유한 발모촉진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92610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2B1 (ko)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6630B1 (ko) 세포성장촉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26628A (ja) 毛乳頭活性化剤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JP7135106B2 (ja) 頭皮頭髪用組成物
JP4535827B2 (ja) アポトーシス誘導阻害剤及びその評価方法
JP2000128741A (ja) 毛乳頭活性化剤
JPH07267830A (ja) 育毛・養毛剤
RU2357722C1 (ru)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ое и/или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стимулирующее рост волос, средство, влияющее на размножение клеток волосяных фолликулов
JP3496896B2 (ja) 養毛剤及び毛髪用化粧料
KR100750473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20040092755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H11124317A (ja) 頭部用組成物
JP3472072B2 (ja) 毛髪成長期延長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