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22B1 -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22B1
KR101987422B1 KR1020170003164A KR20170003164A KR101987422B1 KR 101987422 B1 KR101987422 B1 KR 101987422B1 KR 1020170003164 A KR1020170003164 A KR 1020170003164A KR 20170003164 A KR20170003164 A KR 20170003164A KR 101987422 B1 KR101987422 B1 KR 10198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ne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054A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이석연
김지웅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0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PUMKIN SEED, PHASEOLUS RADIATUS, JUGLANS SINESIS AND URTICA THUNBERGIANA EXTRACT}
본 발명은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 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년 내지 6년에 걸쳐서 반복되는데, 이 결과 하루 평균 5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빠진다.
탈모의 기전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 복용, 수면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출산, 갱년기 장애, 잦은 파마와 염색, 호르몬의 불균형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머리에서 자라는 머리카락은 나고 자라고 빠지는 작용이 반복되면서 일정한 밀도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의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하여 탈모가 진행될 때에는 먼저 정수리 또는 이마 쪽의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기 시작하면서 탈모 숫자가 증가하게 된다. 즉, 유전적인 요인, 후천성 자연 탈모, 각종 질병 등에 의하여 머리털이 탈모되어 대머리 증세를 갖는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고, 대머리인 사람들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뿐만 아니라 이를 치료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제안된 바 있으나 효과가 미약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그럼에도 발모 효과를 완전하게 얻을 수 없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머리털 이식 방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탈모를 방지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장기간 적용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816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 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는 호박에 2∼3% 들어 있는 유량종실로서 베타-카로틴(β-carotene), 식물스테롤(phytosterol)의 함량이 높고 약40% 정도의 지방과 30% 정도의 단백질을 함유한다. 민간에서는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 이뇨, 구충에 유효한 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구전되어 민간 한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녹두(Phaseolus Radiat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하며 한국, 중국 및 인도 등의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녹두는 강한 해열,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한방에서 해열 해독제로 널리 사용되며, 피부 각질층에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황수창 (부스럼), 용종 (종기) 및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 등에서도 녹두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호두(Juglans sinensis)”는 가래나무과의 낙엽교목인 호두나무의 열매로써, 거의 원형이고 핵과이다. 호두는 특히 단백질의 함량이 많고,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불필요하게 부착하는 것을 예방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초강목에 의하면 간을 보호하고 신장기능을 강화하고 신경 쇠약 치료에도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쐐기풀(Urtica thunbergiana)”은 심마 또는 쏠쐐기풀로도 불리며, 높이 50~150㎝ 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네모나고 너비 2.5~5㎝의 달걀 모양 잎이 마주 붙는다. 쐐기풀은 비타민 A와 C, 카로틴,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마그네슘, 인, 칼륨, 칼슘을 비롯한 다양한 무기물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신체의 신진대사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쐐기풀은 위장, 췌장, 담낭을 활성화하여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 뿐 아니라 상기 각 추출물들의 혼합액, 호박씨, 녹두, 호두 및/또는 쐐기풀 혼합물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단독으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호박씨, 녹두, 호두 및/또는 쐐기풀을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물(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은 1~10 : 1~10 : 1~1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들을 5 : 5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혼합비는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든 원료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특정 추출물이 과량 포함된다 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발 성장”이란, 3단계으 모발 성장 주기, 성장기, 퇴화기, 휴지기에 있어서 성장기에 있는 모발을 말하며,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은 성장기의 모발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세포들이 신속하게 분화되어 다른 세포들을 모낭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개개의 모발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모발”은 신체의 털을 의미하며,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된 실 모양의 형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두발, 눈썹, 속눈썹, 코털 또는 체모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탈모”는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탈모에는 모낭의 사멸과 탈락이 관련되어 있으며, 모낭의 사멸과 탈락에는 남성 호르몬이 주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탈모 방지”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조절하고, 모유두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비정상적인 모발의 탈락을 방지하고자 함을 말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추출물을 도포하는 경우, 현저히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표 1), 5-알파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표 2) 및 모유두세포 활성 효과(표 3)가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탈모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0.00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나타나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 적?량을 두피에 도포시켜 1 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도가 높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든 원료는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호박씨, 녹두, 호두, 쐐기풀 각각의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호박씨, 녹두, 호두, 쐐기풀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5 : 5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호박씨 추출물의 제조
호박씨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호박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녹두 추출물의 제조
녹두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녹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호두 추출물의 제조
호두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호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쐐기풀 추출물의 제조
쐐기풀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쐐기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모발 성장 촉진 효과 확인
모발 성장 촉진 평가에 사용되는 동물시험 모델로서는 C57BL/6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였다. C57BL/6마우스는 체모가 검정색이고, 자발적 탈모(spontaneous alopecia)가 일어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모낭에만 한정적으로 존재하고 멜라닌(melanin) 합성이 모발 성장 주기(hair growth cycle)와 잘 일치되어 피부색으로 모발의 성장 주기를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 모발 성장 촉진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모발 성장 촉진 평가 시험은 생후 42~56일된 마우스 (C57BL/6, male)를 사용하여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7마리씩 개체당 등 부위에 1일 1회 100마이크로리터를 28일간 도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30% 에탄올을 도포하였다. 털을 제거한 면적 대비 신생모가 자란 면적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시료 신생모가 자란 면적/털을 제거한 면적의 면적비(%)
9일 후 20일 후
음성 대조군 4.12 55.92
실시예 1 15.56 97.85
비교예 1 9.77 83.42
비교예 2 8.82 80.89
비교예 3 9.56 78.87
비교예 4 8.15 77.5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단독 추출물의 경우에도 음성 대조군에 비해 모발 성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실시예 1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5- 알파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확인
5-알파환원효소 활성 억제 실험에 사용된 5알파-환원효소는 쥐의 간(adult, Sprague-Dawley, male rat (8~10 week old, testis)에서 얻었으며, 단백질 정량을 통하여 일정량의 단백 현탁액 (protein suspension)을 준비하였다.
5-알파환원효소의 반응기질(substrate)로는 방사선표지(radio labeled)된 테스토스테론(3H testosterone)을 사용하였으며, (효소 반응 용액 : 단백질현탁액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 추출물 =70:20:10)의 비율로 30분간 항온조(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100마이크로리터의 에틸아세테이트상을 박층크로마토그램(TLC)에 전개하였다.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conversion rate)을 측정하고, 5알파환원효소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억제율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환율=DHT 영역의 방사능 양 / 전체 방사능 양
5-알파환원효소 활성 억제율(%) = [(A-B)/A] X 100
A = 추출물 미첨가시(음성 대조군)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B = 추출물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pm)
테스토스테론
(dpm)
전환율
(%)
억제율
(%)
음성대조군 18387 21845 45.7 -
실시예 1 3789 35267 9.7 78.8
비교예 1 8637 30083 22.3 51.2
비교예 2 6051 32023 15.9 65.2
비교예 3 6831 31010 18.1 60.3
비교예 4 7077 30879 18.6 59.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3. 모유두세포 활성 효과 확인
성형외과로부터 두피 수술 후의 사람 두피 조직을 얻어 이로부터 모낭조직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두피 조직을 70% 에탄올에 1분만 침적하여 멸균시키고 세포배양용 배지인 M199로 3회 세척하였다. 입체 현미경 하에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를 수술용 메스로 절개하여 표피를 분리시키고, 진피에 박혀 있는 모낭을 핀셋을 이용하여 1개씩 뽑아내었다. 분리된 모낭을 10%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되어 있는 M199 배양액으로 옮기고 모유두가 들어있는 모낭의 아래 부분을 메스로 절단하였다. 미세한 핀셋을 이용하여 모유두를 분리하고 이를 20%
FBS가 함유된 M199 배양액으로 옮겨 2주간 배양하였다. 모유두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자라나기 시작하면서 배양용기가 가득 차면 0.25% 트립신, 0.02% EDTA로 세포를 배양용기에서 분리한 후 계대 배양하여 세포를 계속 배양하였다. 이후, 2~3계대의 모유두 세포를 10% FBS가 들어있는 M199 배양액으로 2X104/ml농도로 희석한 후 이를 60mm 배양용기에 5ml씩 넣어주고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음날 FBS가 함유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FBS가 들어 있지 않은 배양액(대조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이 함유된 배양액을 교환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방사선으로 표지된 타이미딘(Thymidine)을 배양접시당 10μCi씩 첨가해주고 2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인산 완충용액으로 3회 씻어주고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으로 1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0.1% 도데실설폰산나트륨, 0.5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녹인 후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에 섞어주고 방사선 동위원소의 양을 베타-카운터(β-coun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방사능 표지된 타이미딘을 세포 내로 내포된 정도(uptake)로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 모유두세포 활성도(%)
대조군 100
실시예 1 156
비교예 1 129
비교예 2 115
비교예 3 108
비교예 4 11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모유두세포 활성 효과가 또한 비교예 1 내지 4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유두세포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탈모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제조
하기의 표 4와 같이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
호호바씨오일 5
실리카 0.5
글리세린 10
본 발명 추출물 5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조성물 함량(중량%)
본 발명 추출물 5
스테아린산 15
에탄올 1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3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호박씨(Cucurbita Pepo (Pumpkin) Seed) 추출물, 녹두(Phaseolus Radiatus) 추출물, 호두(Juglans sinensis)추출물 및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를 용매로 냉침 추출에 의해 수득되며,
    상기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은 5 : 5 : 5 :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호박씨 추출물, 녹두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및 쐐기풀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170003164A 2017-01-09 2017-01-09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164A KR101987422B1 (ko) 2017-01-09 2017-01-09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164A KR101987422B1 (ko) 2017-01-09 2017-01-09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54A KR20180082054A (ko) 2018-07-18
KR101987422B1 true KR101987422B1 (ko) 2019-06-12

Family

ID=6304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164A KR101987422B1 (ko) 2017-01-09 2017-01-09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94B1 (ko) * 2020-05-20 2021-02-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호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볼륨감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1987B1 (ko) 2021-04-12 2021-10-12 이훈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9974A1 (fr) * 2000-09-04 2002-03-14 Ravi Shrivastava Associations synergiques a base de plantes pour traiter la chute des cheveux
JP2006225366A (ja) * 2005-02-17 2006-08-31 Tadashi Shinozuka 緑豆の抽出装置
KR101443180B1 (ko) * 2012-11-27 2014-09-22 한국콜마주식회사 신규한 경피흡수용 약물전달체, 그를 이용한 탈모방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699B1 (ko) 2004-12-10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1011190B1 (ko) * 2008-05-20 2011-01-26 최상돈 발모제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9974A1 (fr) * 2000-09-04 2002-03-14 Ravi Shrivastava Associations synergiques a base de plantes pour traiter la chute des cheveux
JP2006225366A (ja) * 2005-02-17 2006-08-31 Tadashi Shinozuka 緑豆の抽出装置
KR101443180B1 (ko) * 2012-11-27 2014-09-22 한국콜마주식회사 신규한 경피흡수용 약물전달체, 그를 이용한 탈모방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54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1417B1 (ko) 멘톨, 은행잎, 알로에, 녹차, 병풀 및 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5062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2593544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76213A (ja) 育毛剤
KR101987422B1 (ko)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5363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H1160450A (ja) 養毛剤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050102345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EP1352637A1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952111B (zh) 包括假俭草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物组合物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US20070207114A1 (en) 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US20040047833A1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5789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353249B (en) 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