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699B1 -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699B1
KR100681699B1 KR1020040103976A KR20040103976A KR100681699B1 KR 100681699 B1 KR100681699 B1 KR 100681699B1 KR 1020040103976 A KR1020040103976 A KR 1020040103976A KR 20040103976 A KR20040103976 A KR 20040103976A KR 100681699 B1 KR100681699 B1 KR 100681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andruff
mung bean
composition
bea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196A (ko
Inventor
이강태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10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6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비듬균의 생존을 억제시킴으로써 비듬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두피 자극이 거의 없어 비듬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녹두 추출물, 비듬, 가려움증, 자극완화, 모발 화장료

Description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Dandruff Comprising Mung Bean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세포는 28일을 주기로 하여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며 이 주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두피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결국에는 비듬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체질, 성별 및 연령 등에 따라 다르나, 피지선에서의 지질 분비기능 이상, 스트레스 발생, 주위의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 및 호르몬 이상 등의 발생에 의해, 피지의 분비량이 많아져 피지가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부 상재 진균의 균체나 피부 상재균 등에 의해 지질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분해되어 유리 지방산이 나오게 되고, 이에 의해 자극 물질이 발생되어 두피에서는 점진적으로 염증이 발생하고 모발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비듬은 머릿속 피부의 각질층 세포가 단순히 염증 없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건성 혹은 습기나 기름기가 있는 상태의 인설로 나타난다. 비듬의 발생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피지선의 활동이 왕성한 사춘기에서 시작해 50대에 이르기까지 나타나고 그 이후부터는 저절로 증상이 좋아진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의심된다. 아울러, 비듬의 양이 증가해서 눈에 띄게 될 정도로 많이 발생하는 것을 비듬증이라고 하는데, 비듬증은 재발하기 쉬우며 보통 가렴움증을 동반하게 된다.
결국, 비듬이 많이 발생하면 가려움 등으로 인해 두피를 과도하게 문지르게 되고, 이에 의해 상처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이때 발생하는 가려움증은 주로 히스타민과 아라키돈산 대사 산물이 매개가 되어 유발되며, 히스타민에 의해 피부에 가려움증이 유발되면 피부내의 비만세포에 대한 항원 또는 콤파운드 48/80의 작용과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비만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히스타민 이외에 시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나 리폭시게나제 (lipoxygenase)가 관여하여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과 류코트리엔 (leukotriene) 또는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가 분비됨으로서 복잡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가려움이 유발된다.
현재까지 수많은 비듬증 치료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는 대부분의 비듬증 치료제는 샴푸의 제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샴푸에 함유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두피의 자극이 많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 두피에 대한 부작용 없이 가려움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비듬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려움증을 완화하고 두피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두 추출물이 비듬증 치료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두피 자극도 거의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듬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녹두 (Phaseolus aureus, Phaseolus radiatus, Mung bean, Green bean)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하며 한국, 중국 및 인도 등의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녹두는 따뜻한 기후의 양토 (壤土 : 모래와 점토가 알맞게 섞인 검은빛의 흙)에서 잘 자라며 높이는 30-80 cm 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세로로 난 맥이 있고 10여 개의 마디가 있으며 가지를 친다. 잎은 한쌍의 떡잎과 갓 생겨난 잎이 나온 뒤,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 나온다. 꽃은 노란색으로 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나나 3-4쌍만이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협과로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익으면 검어지고 길고 거친 털로 덮인다. 길이 5-6 cm이고 한 꼬투리에 10-1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녹색인 것이 많으나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인 것도 있다. 품종을 나누지 않고 종자의 빛깔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 녹두로 구분하나 녹색 녹두가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성분은 녹말 53-54%, 단백질 25-26%로 영양가가 높고 향미가 좋다.
녹두는 원래 강한 해열,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한방에서 해열 해독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나타난 피부 미용과 관련된 처방을 보면 비누처럼 사용하여 얼굴이 옥처럼 예뻐진다는 '옥용서시산', 피부불순물을 제 거하고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인 '여옥산', 기미를 없애주는 '영기 여옥산', 여름에 잘 발생하는 땀띠를 제거해 주는 '옥녀영'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피부 각질층에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황수창 (부스럼), 용종 (종기) 및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 등에서도 녹두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녹두를 건조 분말 형태나 물 또는 꿀 등에 개어 피부 미용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특히, 녹두 단백질과 녹두 후라보노이드 성분은 세안에 효과적이며, 생리활성 성분인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화장료에 함유되어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녹두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 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녹두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녹두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비듬 방지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녹두 추출물을 1, 2 및 5 중량%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참조: 표 1), 기존의 샴푸 조성물에 비해 비듬 감소 효과가 우수하고 (참조: 실험예 1), 두피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며, 두피 자극이 거의 없다 (참조: 실험예 2).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비듬균의 살균 목적을 위한 다양한 보통의 화장품 및 피부병학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고, 항상 이들 첨가제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으로 방해될 수 없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모발은 머리의 모근, 모낭 및 머리카락을 포함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두 추출물은 임상투여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녹두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0.001-100 mg/k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01-10 mg/kg 이며, 하루 1-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녹두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모발 및 두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성상의 것이면 어떤 것도 양호하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숀,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 에어로졸 무스, 비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바 또는 타블렛, 비누 바, 비누 타블렛, 수 분산액, 파우더 또는 오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체적으로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되거나 살포하는 등의 모발 또는 경피 투여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및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차나 조성물의 제형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주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개선해줄 뿐만 아니라, 두피 자극이 거 의 없어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녹두 추출물의 제조
녹두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건조, 거피한 후 미세하게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녹두 분말에 70% 알코올을 1-15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5일간 침적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 후 7일간 저온 숙성시켰다. 다시 여과하여 감압 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한 후 농축된 파우더를 50% 1,3-부틸렌글리콜 용액에 녹여 최종 농도가 3% (w/v)되게 하여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율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물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1.0, 2.0 또는 5.0%의 녹두 추출물,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실시예 1-3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각 성분의 함량은 g으로 표시된다.(하기 조성의 함량 단위가 g이 맞는지 알려주십시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30% 라우릴황산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20.0 20.0
3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 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3.0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피록탄올 아민 - - - - 1.0 - 1.0
아연피리티온 - - - - - 1.0 1.0
녹두 추출물 1.0 2.0 5.0 - - - -
색소 (황색 4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2 0.02 0.02 0.02 0.02 0.02 0.02
향료 0.01 0.01 0.01 0.01 0.01 0.01 0.01
구연산 0.02 0.02 0.02 0.02 0.02 0.02 0.0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3: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샴푸 (비교예 1-4)의 제조
녹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는 것만 제외하고는 상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비교예 1)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1의 조성대로, 비교예 1의 조성에 기존에 비듬증 치료용 샴푸의 주성분으로 사용된 피록탄올 아민 1.0% (비교예 2), 아연피리티온 1.0% (비교예 3), 상기 두 원료를 각각 1.0% 추가로 첨가하여 (비교예 4) 비교예 2-4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의 샴푸와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4의 샴푸에 의한 비듬 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하기와 같은 실험예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1 : 비듬 감소율 측정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40명을 선정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샴푸를 각각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뒤 비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을 측정하고,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샴푸로 세발하고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측정한 뒤 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의 채취는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두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의해 비듬 감소율을 구한 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듬 감소율 (%)=[(시험 개시전 비듬의 중량 (mg)-시험 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mg))/시험 개시전 비듬의 중량 (mg)}×100
샴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듬 감소율(%) 65.3% 68.8% 75.6% -3.2% 46.5% 48.5% 70.2%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통상적인 샴푸 (비교예 1)는 비듬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녹두 추출물이 함유된 본 발명의 샴푸 (실시예 1-3)는 녹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듬 감소율도 증가하였으며, 피록탄올 아민 또는 아연피리티온을 함유하는 기존의 비듬증 치료용 샴푸 (비교예 2 및 3) 보다 비듬 감소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록탄올 아민 및 아연피리티 온을 모두 함유하는 샴푸 (비교예 4)와는 유사하거나 향상된 비듬감소율을 보였다.
실험예 2 : 두피 가려움증 완화 효과 및 자극 평가
두피의 가려움을 많이 느끼는 피검자 4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1-4의 샴푸를 매일 1회씩 사용하게 한 뒤 하기의 판정기준에 따라 가려움증 완화 효과 및 두피 자극 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가려움증 완화 판정기준>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매우 좋다 : 5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좋다 : 4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보통이다 : 3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없다 : 2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전혀 없다 : 1
<자극 평가 판정 기준>
자극이 많이 있다 : 1
자극이 있다 : 2
자극이 보통이다 : 3
자극이 없는 편이다 : 4
자극이 전혀 없다 : 5
샴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가려움증 완화효과 3.8 4.1 4.5 2.5 3.3 3.1 2.9
자극평가 4.2 4.4 4.8 2.5 2.3 2.2 2.0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샴푸 (실시예 1-3)는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샴푸 (비교예 1) 및 기존의 비듬증 치료용 샴푸 (비교예 2-4)에 비해 가려움증을 보다 더 완화해 주면서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 4의 샴푸의 경우, 상기 실험예 1에서는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 (실시예 1-3)과 유사한 비듬 감소율을 보였지만,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비해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떨어지고 자극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샴푸와 같은 모발 제품들은 많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피의 자극이 많이 나타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녹두 추출물은 여러 가지 샴푸의 원료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자극을 최소화하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비듬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헤어컨디셔너를 콘오일 (corn oil)이 함유된 액체배지(Ym broth)에 각각 0.5, 1.0, 2.0, 3.0 및 5.0%로 녹두 추출물을 조정하여 첨가하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 (Pityrosporum ovale)를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다음, 비듬균의 생존 정도를 확인하여 녹두 추출물의 비듬균 활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녹두 추출물의 비듬균 활성 억제 효과
녹두 추출물 농도(%) 비듬균 생존율(%)
0.5 67.5
1.0 45.3
2.0 22.3
3.0 8.5
5.0 5.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녹두 추출물은 3.0%이상에서 비듬균을 거의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비듬균의 활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비듬균의 생존을 억제시킴으로써 비듬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두피 자극이 거의 없어 비듬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은 두피 가려움 완화, 비듬균 생존 억제 및 두피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은 (a) 물 및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 해 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숀,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 에어로졸 무스, 비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바 또는 타블렛, 비누 바, 비누 타블렛, 수 분산액, 파우더 및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증 예방 또는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103976A 2004-12-10 2004-12-10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0681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76A KR100681699B1 (ko) 2004-12-10 2004-12-10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76A KR100681699B1 (ko) 2004-12-10 2004-12-10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96A KR20060065196A (ko) 2006-06-14
KR100681699B1 true KR100681699B1 (ko) 2007-02-15

Family

ID=3716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76A KR100681699B1 (ko) 2004-12-10 2004-12-10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6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76A (ko)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멘톨, 은행잎, 알로에, 녹차, 병풀 및 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4A (ko)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1425B1 (ko) 2021-08-11 2022-04-01 (주)유알지 백장미를 이용한 모발 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세정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54A (ko)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176A (ko)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멘톨, 은행잎, 알로에, 녹차, 병풀 및 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1425B1 (ko) 2021-08-11 2022-04-01 (주)유알지 백장미를 이용한 모발 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세정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96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10123158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US2008019339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rgan oil and a plant-based product of the aloe genus, and the cosmetic use thereof
KR100846356B1 (ko) 파래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327847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699B1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1832501B1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9344B1 (ko)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409A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957A (ko)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30000121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692910B1 (ko) 지루성 두피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1903B1 (ko) 세발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2203B1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179114B1 (ko)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118201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2131A (ko)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8B1 (ko) 지실 추출물 및 hpc를 함유한 모공 수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