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409A -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409A
KR20050117409A KR1020040042718A KR20040042718A KR20050117409A KR 20050117409 A KR20050117409 A KR 20050117409A KR 1020040042718 A KR1020040042718 A KR 1020040042718A KR 20040042718 A KR20040042718 A KR 20040042718A KR 20050117409 A KR20050117409 A KR 20050117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hair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542B1 (ko
Inventor
황경아
박상기
이민호
임정규
노석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4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5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모 추출물은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과 염증 완화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가려움증을 수반하는 비듬 방지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Anti-dandruff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은 두피의 죽은 세포가 딱딱한 각질형태로 벗겨져 떨어져 나와 두피에서 분비되는 피지, 땀 등과 뭉쳐져서 된 덩어리를 말하는 것으로서 지루성 피부염, 건선의 경미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비듬은 모든 사람에게 생리적으로 발생하므로, 정상적인 비듬은 자연스러운 것으로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비듬의 양이 증가해서 눈에 띄게 될 정도로 많게 발생하는 것을 비듬증이라고 하는데, 재발되기 쉬우며 보통 가려움증을 수반하게 된다. 비듬증이 발생하여 발생한 비듬이나 가려움으로 인해 두피를 과도하게 문지르게 되면 두피에 상처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피에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비듬의 주된 원인균으로는 두피 상재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가 알려져 왔다. 아직까지 피티로스포룸 오발레가 비듬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주장과 함께 논란의 요소가 있으나, 셔스터(Shuster) 등은 비듬의 임상적인 중증도와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의 수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는 약제처리시 비듬이 개선된다는 점,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인위적으로 실험동물에 접종했을 때 비듬이 유발된다는 점 등을 들어, 피티로스포룸 오발레가 비듬발생의 병인학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S.Shuster. Dandruff, seborrhoeic dermatitis, and Pityrosporum ovale. Cosmet. Toilet. 103(3): 87, 90, 91 (1988)).
구체적으로, 피티로스포룸 오발레가 비듬발생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의한 염증반응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는 보체 C'(complement(C'))을 활성화시키고, 이것이 류코트리엔 B4(leukotriene B4)와 같은 주화성 인자(chemotactic factor)들의 방출로 이어지며, 이들에 의해 뉴트로필 (neutrophyls)이 진피로 유인(attraction)되어 각질화(keratinization)가 유발된다(A.B.Ackerman and A.M.Kligman. Some observations on dandruff. J.Soc.Cosmet.Chem. 20:81-92(1969)).
또한,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는 성장을 위해 지질의 분해산물인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s,FFAs)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TGs)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기질을 생성시키기 위해 리파아제(lipase)나 포스포리파아제(phospholipase)를 생산한다. 이러한 효소들은 또한 두피에 존재하는 불포화 FFAs, TGs, 스쿠알렌(squalene),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막인지질과 반응하여 반응성이 높은 과산화물을 형성시키는데, 이러한 과산화물은 다시 막인지질과 반응하여 아라키도닉 캐스캐이드(arachidonic cascade)를 유발, 염증반응의 중간체들을 생산하여 염증반응을 악화시키게 된다(M.M.Rieger. The arachidonic acid cascade. Cosmet. Toilet. 100(6):31-32,34,35,38,40,43-47,50,53 (1985)).
현재, 비듬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샴푸 등의 제품에는 실제적으로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아연피리티온(Zinc Pyrithione), 피록톤올라민(Piroctone Olamine), 클림바졸(Climbazole), 요오드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Iodo Propynyl Butyl Carbamate)등의 항균제가 함유되어 있다. 이 중, 아연피리티온은 대표적인 항비듬원료로 두피가각화 억제 및 항진균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나, 수불용성이며 비중이 크기 때문에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Gene A. Hyde and Mark M. Auerbach, Formulation Technologies for Zinc Pyrithione Antidandruff Shampoos, Cosmetics and Toiletries, 94, 57, April 1979), 특히 피부에 접촉성 피부염(Nielsen, N.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used by zinc pyrithione associated with pustular psoriasis, Am J Contact Dermat. 8, 170, 1997) 및 환경독성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어 있어 모발화장품에 고농도로 적용하는데 제한적이다.
그 밖의 다른 화학 항균제들도 용해성이나 인체 안전성 및 환경독성에 대한 단점이 제품 적용시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현재 천연물로서 티트리오일(tea tree oil)이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 등이 있어 비듬샴푸에 적용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항균효과는 MIC가 1000ppm을 넘기 때문에 제품에 적용시의 비듬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비듬증은 통상적으로 두피 가려움증을 수반한다. 비듬과 같이 가려움을 유발하는 피부병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있는데, 이러한 피부병은 히스타민과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이 염증매개 물질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히스타민에 의해 피부에 가려움증이 유발되면 피부 내의 비만세포에 대한 항원 또는 콤파운드 48/80의 작용과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비만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히스타민과 염기성 효소 이외에 시클로옥시게나제나 리폭시게나제가 관여하여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리엔, PAF(Platelet activating factor)가 분비하므로서 복잡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가려움이 유발된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을 수반하는 비듬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고 가려움증 완화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아연피리티온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중량%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패모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높이 30~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좁은 버들잎 모양이거나 줄 모양이고 끝은 다른 것에 감겨 자란다. 가지 끝에 종모양의 가지색 얼룩점이 있는 꽃이 핀다. 비늘줄기의 모양이 마치 조개(패)가 여러 개 모인 것 같다 하여 패모라 한다. 절패모라고도 한다. 국내에서는 함경북도와 함경남도, 양강도 산 속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동의치료에서는 비늘줄기를 캐어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 쓰는데, 기침멎이 작용이 있다. 비늘줄기에는 알칼로이드 프리틸린, 프리틸라린, 프리틸라린프리티미닌, 베르티신, 아포베르티신, 베르틸리신, 페이민, 페이미노시드, 페이미닌, 페이미핀, 페이니신 등의 성분들이 있다. 프리틸라린은 온혈동물의 중추신경을 마비시키고 호흡 및 운동장애를 일으키며 심장박동수를 줄이고 수축을 불완전하게 하며 혈압을 내린다. 페이민과 페이민의 모노글루코시드인 페이미노시드는 마취시킨 동물의 혈압을 내린다. 패모의 기침멎이 작용은 중추신경 계통 특히 호흡과 핏줄 운동 중추에 작용하여 호흡 및 맥박을 완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치료에서 기침멎이약, 가래약, 배농약으로 폐렴, 편도염, 인후종통, 기관지염, 구갈에 쓴다. 베인 상처, 곪은데, 벌레 물린데 바르기도 한다. 염증약, 열내림약으로도 쓴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본 발명자들은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실험 결과, 패모 추출물이 별다른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며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패모 추출물을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등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비듬증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패모의 추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패모는 5~6월경에 표면색이 약간 누른빛을 띠기 시작할 때 수확하여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늘에 2~3일간 건조한다. 건조 후 씨를 제거하고, 건조 과육부분은 잘게 파쇄하여 5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2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되는 패모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량 만큼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아연피리티온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중량%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함량이 1중량%를 초과하면 전술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비듬방지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패모 추출예
추출예 1
5~6월경에 표면색이 약간 누른빛을 띠기 시작할 때 패모를 수확하여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늘에 2~3일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씨를 제거하고, 건조 과육부분은 잘게 파쇄하여 5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2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패모 추출물의 항균효과
비듬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대상으로 패모 추출물, 아연피리티온 및 천연물로서 항비듬용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티트리오일(Tea tree oil)의 항균효과를 비교 시험하였으며, 페이퍼 디스크법(paper disc method) 및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병행하였다.
페이퍼 디스크법(paper disc method)은 다음과 같다.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의 균액을 고체배지 위에 미리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패모 추출물을 페이퍼 디스크에 점적한 후 위의 배지 위에 올려놓고 배양한 후 형성된 성장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5%의 농도로 70% 에탄올 용매에 녹인 후 8mm의 페이퍼 디스크에 40㎕씩 점적하였다.
또한, MIC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각 시료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한 후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시료농도별 균체의 성장정도를 관찰하여 균성장을 억제하는 최소농도를 판정하였다.
평가결과, 페이퍼 디스크법에서는 패모 추출물의 성장저지환의 지름이 50mm로 아연피리티온의 60mm에 비해 다소 떨어지나, 티트리오일의 15mm에 비해서는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MIC 측정에 의하면, 패모 추출물의 MIC가 20~40 ppm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연피리티온의 2~4 ppm에 비해 10배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티트리오일의 MIC가 1000ppm인 것에 비하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패모 추출물은 화학합성 항균제인 아연피리티온에 비해 항균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균성 천연물로서 현재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티트리오일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패모 추출물이 천연 추출물로서 인체에 안전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항비듬균 원료로서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다할 것이다.
실험예 2 - 패모 추출물의 항염효과
패모 추출물이 항균효과 이외에 항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히스타민에 의한 염증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5주에서 6주령의 스프라그돌리 랫트(SD rat, Sprague-Dawley rat)의 등 부위의 털을 클리퍼로 제거한 다음 털을 제거한 등을 임의로 4부위로 나눈 후, 오른쪽 두 위치에는 0.5%로 생리식염수에 녹인 패모 추출물을 50㎕를 주사하고, 왼쪽에는 대조군으로서 생리식염수만 동일한 양으로 주사하였다. 이어서 패모 추출물을 주사한 뒤 1시간이 경과한 다음, 생리식염수에 0.1%로 녹인 히스타민 50㎕를 피내에 주사하고 동시에 꼬리정맥에 1% 에반스블루(evans blue) 용액을 50㎕씩 주사하였다. 에반스블루액을 주사한 뒤 30분이 경과한 다음 등 부위의 피부를 벗겨내고, 에반스블루가 조직내로 삼출되어 나온 원의 지름을 측정하여 패모 추출물의 히스타민에 의해 유발된 염증에 대한 억제작용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 에반스블루가 조직내로 삼출되어 나온 원의 지름(mm)을 나타내었다.
표 1을 참조하면, 히스타민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클수록 조직 내로 삼출된 에반스블루의 원의 지름이 작아지는 양상을 나타내는데, 패모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에반스블루가 삼출된 원의 지름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그 효과는 스테로이드 제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서는 패모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방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비듬방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시예 1 ~ 2
표 2에 기재된 조성비율로 30% 라우릴 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프로필렌글리콜 및 패모 추출물을 물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의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색소(청색1호),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와 구연산을 혼합, 냉각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4
패모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샴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통하여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비듬균 성장용 액체배지에 각각 5, 1, 0.5, 0.1, 0.05 및 0.01 중량%로 첨가하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다음, 최소미생물 억제 농도와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구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3의 결과를 참조하면, 패모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형 제제는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듬방지 성분인 아연피리티온을 추가로 사용하였을 때(실시예 2) 그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티트리오일과 아연피리티온을 함께 사용한 예(비교예 4)보다 훨씬 항균효과가 향상된 결과이다.
<비듬 감소율 측정>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각각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고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의 채취는 피시험자들의 두피를 숙련된 시험자로 하여금 시료 5g 정도를 사용하여 세척하게 한 다음, 약 2 내지 3리터의 물로 씻어내게 한 후 씻어낸 물을 800 마이크로 공극크기의 여과체로 걸러 여과체위의 비듬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고, 다음의 식에 의해 비듬 감소율을 구해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듬감소율(%)=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시험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100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모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가 통상적인 샴푸 또는 티트리오일을 함유하는 샴푸(비교예 1 및 3)보다 비듬 감소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모 추출물과 아연피리티온을 동시에 첨가한 실시예 2의 삼푸는 아연피리티온을 단독으로 또는 아연피리티온과 티트리오일을 함유하는 샴푸(비교예 2 및 4)보다 비듬 감소율이 더욱 큼을 알 수 있다.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 평가>
평소 가려움을 많이 느끼는 남녀를 무작위로 10명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각 제품당 2일에 1회씩 8주간 사용하게 한 후, 면접을 통하여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토록 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냈다.
(비듬방지 효과 판정기준)
비듬방지 효과가 매우 좋다 : 5
비듬방지 효과가 좋다 : 4
비듬방지 효과가 보통이다 : 3
비듬방지 효과가 약간 있다 : 2
비듬방지 효과가 전혀 없다 : 1
(가려움증 감소 효과 판정기준)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매우 좋다 : 5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좋다 : 4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보통이다 : 3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약간 있다 : 2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전혀 없다 : 1
표 5 및 6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모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 사용시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통상적인 샴푸 또는 티트리오일을 함유하는 샴푸(비교예 1 및 3)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모 추출물과 아연피리티온을 동시에 첨가한 실시예 2의 삼푸는 아연피리티온을 단독으로 또는 아연피리티온과 티트리오일을 동시에 함유하는 샴푸(비교예 2 및 4)보다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모 추출물은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염작용이 뛰어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모발 화장료 조성물 역시 비듬감소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패모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등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방지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모 추출물의 건조 중량이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모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아연피리티온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중량%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42718A 2004-06-10 2004-06-10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77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718A KR100777542B1 (ko) 2004-06-10 2004-06-10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718A KR100777542B1 (ko) 2004-06-10 2004-06-10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409A true KR20050117409A (ko) 2005-12-14
KR100777542B1 KR100777542B1 (ko) 2007-11-16

Family

ID=3729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718A KR100777542B1 (ko) 2004-06-10 2004-06-10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5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55B1 (ko) * 2005-11-01 2007-05-21 (주) 이지함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k 생약 조성물
KR100858627B1 (ko) * 2006-10-09 2008-09-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1B1 (ko) * 2007-10-31 2009-1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패모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1505A (ko) * 2015-06-01 2016-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00651B1 (ko) * 2018-10-15 2020-04-16 김근태 기능성 공기정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045B (zh) * 2012-06-11 2014-01-15 广东拉芳日化有限公司 一种含有双去屑剂的香波组合物
KR102209969B1 (ko) * 2019-05-09 2021-02-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41A (ko) * 1995-07-26 1997-02-19 장택희 전자식 청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55B1 (ko) * 2005-11-01 2007-05-21 (주) 이지함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k 생약 조성물
KR100858627B1 (ko) * 2006-10-09 2008-09-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1B1 (ko) * 2007-10-31 2009-1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패모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1505A (ko) * 2015-06-01 2016-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00651B1 (ko) * 2018-10-15 2020-04-16 김근태 기능성 공기정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542B1 (ko) 200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862B2 (ja) 保湿剤および植物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外用剤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429720A2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39;homme
KR100777542B1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501B1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JP3908245B2 (ja) 養毛剤
JP2990611B2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429344B1 (ko)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JP4197194B2 (ja) 細胞間接着抑制用経口投与剤
KR20210092483A (ko)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3337A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699B1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50456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0154648B1 (ko) 양모제 조성물
JPH1171292A (ja) 皮膚外用剤
KR102606838B1 (ko) 식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967243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