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344B1 -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344B1
KR102429344B1 KR1020160064151A KR20160064151A KR102429344B1 KR 102429344 B1 KR102429344 B1 KR 102429344B1 KR 1020160064151 A KR1020160064151 A KR 1020160064151A KR 20160064151 A KR20160064151 A KR 20160064151A KR 102429344 B1 KR102429344 B1 KR 102429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dandruff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561A (ko
Inventor
김지형
황승진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6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3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및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두피에 대한 부작용 없이 비듬생성을 억제하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화장품 조성물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부 외용제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dandruff comprising extract of Polygala tenuifolia or Lycium chinense}
본 발명은 원지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듬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는 모발과 같이 새로운 두피가 생성되어 치환되는데, 모발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약 1달에 한번 정도로 새로운 세포로 치환된다. 건강한 두피의 경우 각질층 (Horny Layer or Stratum corneum)의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면서 새로운 각질세포로 빠르게 치환된다. 그러나, 각질세포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각질세포 덩어리가 눈에 보일 정도로 뭉쳐 두피에서 벗겨지는 것을 비듬이라 한다.
현대인은 늘어난 스트레스, 공기와 물의 오염으로 인해 가려움, 비듬과 탈모증세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모발과 두피를 세정하는 데는 전통적인 비누 또는 모발세정용 샴푸를 사용하는 일부의 소비자는 제품사용으로 인한 가려움이나 비듬유발현상 등의 두피 트러블을 가진 인구가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중에 하나로 샴푸 제품에 비듬방지, 항균, 두피자극완화, 가려움 방지 등의 부가적 성분을 첨가하거나. 또는 샴푸하기 전 또는 후에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비듬이 많이 발생하면 가려움 등으로 인해 두피를 과도하게 문지르게 되고, 이에 의해 상처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이때 발생하는 가려움증은 주로 히스타민과 아라키돈산 대사 산물이 매개가 되어 유발되며, 히스타민에 의해 피부에 가려움증이 유발되면 피부내의 비만세포에 대한 항원 또는 콤파운드 48/80의 작용과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비만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히스타민 이외에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나 리폭시게나제 (lipoxygenase)가 관여하여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과 류코트리엔 (leukotriene) 또는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가 분비됨으로서 복잡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가려움이 유발된다. 현재까지 수많은 비듬증 치료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는 대부분의 비듬증 치료제는 샴푸의 제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샴푸에 함유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두피의 자극이 많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비듬생성을 억제하려는 시도도 많았는데, 창출 추출물을 이용한 경우(대한민국특허 제 0461098호),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521784)등이 공개된 바 있으나, 가려움증에는 큰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 두피에 대한 부작용 없이 가려움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비듬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가려움증을 완화하고 두피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비듬 생성 억제에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두피 자극도 거의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외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원지(Polygala tenuifolia)"는 무환자나무목에 속하는 식물로, 한방에서는 뿌리부분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진정작용, 최면작용, 강심작용, 가래삭임작용, 용혈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골피(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의 뿌리 껍질을 말린 약재로, 다른 이름으로 구기근피, 기근, 구기근이라 지칭하며, 심혈관계통의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해열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 예를 들어 (a) 물, (b) C1-4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또는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증기 추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복합추출물"은, 원지 및 지골피의 추출물의 중량배합비가 1~10 : 1~10의 중량비(w/w), 구체적으로는 1~5 : 1~5의 중량비(w/w), 보다 구체적으로는 1~3 : 1~3의 중량비(w/w)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듬 생성 억제"는, 피지분비, 비듬원인균 등에 의한 두부의 피부표면에서 각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비듬 생성의 원인으로는 자연적 현상, 피지분비의 증가, 비듬 원인균, 대사작용 이상에 의한 두피 세포의 분열증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비듬원인균을 대상으로 항균시험한 결과, 상기 추출물들이 대조군에 비해서 단일추출물뿐만 아니라 복합추출물에서도 비듬균 성장 억제효과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통상적인 샴푸에 비하여 단일추출물이나 복합추출물이 포함된 샴푸에서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3).
본 발명의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추출물을 0.001 내지 95 중량%(w/w),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50 중량%(w/w),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20 중량%(w/w)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원지 및 지골피 추출물을 각각 0.001 내지 40 중량%(w/w),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30 중량%(w/w),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20 중량%(w/w)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습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보습제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의 첨가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배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는 0.01 내지 20중량%,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1,3 butylene glycol,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및 복합추출물 뿐만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태로서,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외용제"는,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또는 복합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에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원지추출물, 지골피추출물 또는 복합추출물은 부작용 없이 비등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화장품 조성물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외약품으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지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국산 원지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원지를 잘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70℃, 3hr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국산 지골피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지골피를 잘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70℃, 3hr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원지 추출물 및 지골피 추출물을 동량으로(각 추출물의 건조중량 3g씩을 1:1로 혼합)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비듬균 효과
비듬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를 대상으로 하여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평가시료로서 추출물 이외에 Magnolia를 대조군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은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검사 균주는 일반세균 3종, 진균 2종,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사용하였다. 세균-MHB2, 진균-PDB 배지를 적용하여 serial dilution 법으로 실험 수행하고 각 well에 106 수준의 균을 접종하였다. 일반세균 3종, 진균 2종,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시료농도별로 균체의 성장정도를 관찰하여 균성장을 억제하는 최소농도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최소저해농도 ( % )
E. coli
대장균
S. aureus
화농균
P. aeruginosa
녹농균
A. niger 흑곰팡이 C. albicans 효모 Pityrosporum ovale
비듬균
아연피리치온 0.002 0.001 0.002 0.02 0.02 0.001
실시예1 0.01 0.01 0.01 0.2 0.2 0.01
실시예2 0.01 0.01 0.01 0.1 0.1 0.01
실시예3 0.01 0.01 0.01 0.01 0.01 0.01
그 결과, 표 1에 나타나듯이 MIC 측정에서도 추출물의 비듬균 성장 억제 효과는 양성대조군인 아연피리치온과 비교해서도 높은 수준의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단일추출물뿐 아니라 혼합추출물에서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 평가
하기 표 2의 처방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실시
제형예 1
실시
제형예 2
실시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1
폴리 쿼터니움 0.5 0.5 0.5 0.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 나트륨 30 30 30 3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 3 3 3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2 2 2 2
Carbopol-1342 0.3 0.3 0.3 0.3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실시예 1 0.5 - - -
실시예 2 - 0.5 - -
실시예 3 - 0.5 -
향료 및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액 (총 100) 잔액 (총 100) 잔액 (총 100) 잔액 (총 100)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 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각각 1 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 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로 2 일에 한번씩 세발하고 시험 종료 후 3 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의 채취는 피시험자들의 두피를 숙련된 시험자로 하여금 시료 5g 정도를 사용하여 세척하게 한 다음, 약 2 내지 3 리터의 물로 씻어내게 한 후 씻어낸 물을 800 마이크로 공극 크기의 여과체로 걸러 여과체위의 비듬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고, 다음의 식에 의해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16050343310-pat00001
평소 가려움을 많이 느끼는 남녀를 무작위로 10 명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각 제품당 2 일에 1 회씩 8 주간 사용하게 한 후, 면접을 통하여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토록 하였다. 비듬방지 효과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5점-비듬방지 효과가 매우 좋음,
4점-비듬방지 효과가 좋음,
3점-비듬방지 효과가 보통임,
2점-비듬방지 효과가 약간 있음,
1점-비듬방지 효과가 전혀 없음.
또한, 가려움증 감소 효과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5점-가려움증 효과가 매우 좋음,
4점-가려움증 효과가 좋음,
3점-가려움증 효과가 보통임,
2점-가려움증 효과가 약간 있음,
1점-가려움증 효과가 전혀 없음.
평가 기준에 따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
제형예1
실시
제형예2
실시
제형예3
비교
제형예1
비듬감소율(%) 29.7 31.2 32.9 19.7
비듬방지효과 3.4 3.6 3.7 2.4
가려움증감소효과 3.2 3.4 3.5 2.5
그 결과, 표 3에 나타나듯이 비듬 감소율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일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2)이나 혼합추출물(실시예 3)이 함유된 샴푸가 통상적인 샴푸보다 비듬 감소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 평가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일추출물(실시예 1, 실시예 2)뿐 아니라 혼합추출물(실시예 3)이 함유된 샴푸 사용시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통상적인 샴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은 원지 및 지골피의 중량배합비가 1~10 : 1~10의 중량비(w/w)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추출물은 0.001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원지 또는 지골피는 각각 0.01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8. 원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또는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피부 외용제.

KR1020160064151A 2016-05-25 2016-05-25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9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51A KR102429344B1 (ko) 2016-05-25 2016-05-25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51A KR102429344B1 (ko) 2016-05-25 2016-05-25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561A KR20170133561A (ko) 2017-12-06
KR102429344B1 true KR102429344B1 (ko) 2022-08-05

Family

ID=6092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151A KR102429344B1 (ko) 2016-05-25 2016-05-25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839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이앤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2357A1 (ja) 2004-03-29 2005-10-06 Kaneka Corporation 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KR100981407B1 (ko) 2008-04-02 2010-09-10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261A (ko) * 1999-11-08 2002-06-26 겜마 아키라 두피 두발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 2014-01-21 2015-07-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2357A1 (ja) 2004-03-29 2005-10-06 Kaneka Corporation 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KR100981407B1 (ko) 2008-04-02 2010-09-10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561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19745A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27847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429344B1 (ko)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0777542B1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1600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59620B1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1077160B1 (ko)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81699B1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증 치료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10250456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63504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