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839A -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839A
KR20240039839A KR1020220118668A KR20220118668A KR20240039839A KR 20240039839 A KR20240039839 A KR 20240039839A KR 1020220118668 A KR1020220118668 A KR 1020220118668A KR 20220118668 A KR20220118668 A KR 20220118668A KR 20240039839 A KR20240039839 A KR 2024003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oji
phalaenopsis
presen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김혜미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
Priority to KR102022011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839A/ko
Publication of KR2024003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코아민 B(Kukoamine B)가 함유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에 함유된 쿠코아민 B(Kukoamine B)가 특유의 노인성 냄새의 주 원인이 되는 성분인 노네날과 직접적으로 결합을 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고, 이는 노네날을 직접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에 대한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노네날로부터의 피부 세포 손상을 막아줌으로써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미용 제품 조성물로 이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Lycii Radicis Cortex extract for removing old person smell}
본 발명은 노인성 냄새 제거용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코아민 B(Kukoamine B)가 함유된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의 주 유발 성분인 노네날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력을 가지는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뜻하는 단어 노인,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의 15.7 % (2020년 기준)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후 몇 년 전부터 노인 인구가 14 %를 넘어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40대 이후부터 남녀 불문하고 신체의 노화에 따른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로 노폐물의 분해와 배출이 활발하지 않아 피부에 많이 남게 되고, 노화에 따라 이들 피지선에 포함된 지방산인 9-헥사데센산(팔미톨레산, Palmitoleic acid)이 과산화 지질이란 물질로 산화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인해 특유의 노인 냄새가 발생된다. 이처럼 나이가 먹어서 나는 냄새라는 의미로 가령취라고 표현한다.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어쩔 수 없이 겪게 되는 일이지만 요즘 시대에서는 노인 냄새로 인해 고통받는 노인과 주변인들에게는 말 못할 고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인성 냄새의 주요 원인 물질인 노네날(trans-2-Nonenal) 성분 자체를 제거함으로써 특유의 노인성 냄새를 없애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노네날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처리해왔지만 안정성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그 외에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있는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비누나 바디 용품 등의 제품들이 있다. 하지만, 노네날의 제거력은 없고 오히려 피부 가려움 및 건조에 따른 피부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인성 냄새를 가릴 수 있는 방향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강한 향으로 냄새를 덮어 버리기만 하기에 효과가 일시적이며 냄새가 서로 혼재되어 오히려 불쾌한 냄새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성과 부작용이 적은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함유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205201-0000호에서는 고추, 감잎, 녹차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활성산소종 (ABTS radical)을 직접 제거하고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펠링 반응의 결과를 토대로 다른 알데하이드계 악취물질보다 노네날의 농도를 특이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10-2013-0086395호에서는 편백수, 녹차, 위치하젤추출물 및 탄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조성물로 바디 클렌징제를 제조한 후 순면 패치를 이용하여 노인성 냄새가 감소하였고, 원인 물질인 노네날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4537-0000호에서는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형 탄닌 및 가수분해형 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SPME-GC 방법을 이용하여 노인성 체취 소취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율피 추출물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도토리껍질, 포도씨, 감잎, 녹차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을 경우에는 더 높은 소취력을 확인하였다. 제10-1248056-0000호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 고삼, 황금, 산초, 백두홍 및 이끼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노인들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9-헥사데센산과 같은 노폐물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피부의 과산화 지질로 인해 발생하는 균들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균/방부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함유된 발명이 증가되고 있으나 사용된 재료가 많고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노인성 냄새 원인 물질인 노네날에 대한 직접적인 제거력에 있어서는 효과가 미비하다.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는 가지과(Solanaceae) 식물인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er) 또는 영하구기(Lycium babarum L, 寧夏拘杞)의 뿌리껍질을 말한다. 예로부터 지골피는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해열·강장제로써 해수(咳嗽), 토혈(吐血), 다한(多汗) 등의 요법에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경통증 및 근육통증과 관절의 무력감을 잡아주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선행기술 1(KR 10-2017-0133561, 공개일자 2017.12.06)은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원지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및 원지 및 지골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품 조성물은 두피에 대한 부작용 없이 비듬 생성을 억제하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특허인 노인성 냄새의 소취력과는 무관한 특허이다.
선행기술 2(KR 10-0981407-0000, 공개일자 2010.09.03)는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잎 추출물 40 ∼80중량%, 지부자 추출물 10 ∼50중량% 및 지골피 추출물 10 ∼50중량%를 혼합한 천연항균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 ~ 20.0중량%를 함유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그람음성 세균과 양성 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에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방부 능력이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부 자극도 거의 없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본 특허인 노인성 냄새의 소취력과는 무관한 특허이다.
선행기술 3(KR 10-1002797-0000, 공개일자 2010.12.14)은 피탄트리올과 천연항균복합제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탄트리올이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Propionibacterium acnes)의 세포막을 교란시켜 연잎, 지부자, 지골피로부터 추출된 천연항균복합체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특허인 노인성 냄새의 소취력과는 무관한 특허이다.
선행기술 4(KR 10-2156540-0000, 공개일자 2020.09.10)는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근육섬유 위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근육섬유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합성을 유도하며, 안전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특허인 노인성 냄새의 소취력과는 무관한 특허이다.
선행기술 5(KR 10-2020-0060563, 공개일자 2020.06.01)는 쿠코아민 B(kukoamine B)가 고순도로 함유된 구기자 뿌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기자 뿌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면역세포, 특히 대식세포에 대하여 현저한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분비량과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iNOS의 발현 및 NO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본 특허인 노인성 냄새의 소취력과는 무관한 특허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지골피 (Lycii Radicis Cortex) 및 물과 에탄올의 혼합 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노인성 냄새의 유발 성분인 노네날의 제거 효과를 확인하고, 항산화 효과 및 노네날로부터의 피부 보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7-0133561 KR 10-0981407-0000 KR 10-1002797-0000 KR 10-1002797-0000 KR 10-2020-0060563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인성 냄새 유발 성분인 노네날을 제거할 수 있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저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필름층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함유된,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개인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세탁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은 쿠코아민 B(Kukoamine B)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는 특유의 노인성 냄새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내어 냄새의 주 원인이 되는 성분인 노네날 제거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노네날로부터의 피부 세포 손상을 막아줌으로써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미용제품 조성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소취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기자 추출물, 구기엽 추출물, 구기지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노네날, 지골피 추출물 및 72시간동안 진행한 반응물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KA: Kukoamine A; KB: Kukoamine 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네날과 쿠코아민 B(Kukoamine B)와의 결합으로 생성된 화합물에 대한 분자량 및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농도에 따른 피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인성 냄새 유발 성분인 노네날을 제거할 수 있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지골피는 구기자나무 또는 영하구기의 뿌리껍질을 햇볕에 말린 것을 의미하고, 구기지는 구기자나무 또는 영하구기의 가지를 햇볕에 말린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인성 냄새 유발하는 원인 물질인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제거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인성 냄새의 유발 물질은 노네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인성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과 결합을 하여 냄새가 감소되거나 악취가 나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형성하여 노인성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노인성 냄새는 노네날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 외에도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cosmetically-acceptable)"은 용어가 설명하는 성분 및 요소가 과도한 독성, 부적합성, 불안정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 없이 조직(예를 들면, 피부)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30 내지 92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5 내지 92 중량%; 다른 실시예에서는 40 내지 80 중량%)의 화장품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화장품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물(예를 들어, 탈이온 증류수); 에멀젼(예를 들어, 수중유 에멀젼 또는 유중수 에멀젼); 알코올(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과 같은 C1-4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글리콜(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글리세린; 부틸 셀로솔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면 폴리머(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젤란 검과 같은 점도 증가 성분(예를 들면,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점도 증가 성분)을 포함하는 수계 운반체(aqueous based vehicle)를 포함할 수 있다. 점도 증가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목적하는 점도에 따라 약 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점도 증가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에 대해서,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약 1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범위 또는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피부 착색제, 분산제, 용해제(dissolvent), 방부제 및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의 예는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용해제는 휘발성이어서, 제품이 더 빨리 건조되도록 돕고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용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용해제는 변성 알코올(denatured 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용해제는 약 1 중량% 내지 약 3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방부제는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을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케어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중량%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케어 활성제는 UV 방사선 흡수제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케어 활성제는 물리적 차단제(예를 들어, 적색 바셀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아연) 및 화학적 흡수제(예를 들어, 1-(4-메톡시페놀)-3-(4-tert-부틸페닐) 프로판-1,3-디온(INCI: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INCI: 벤조페논-3); 디옥시벤존; 술리소벤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산; 아밀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옥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4-비스(히드록시프로필)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25)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4-비스(히드록시 프로필)아미노벤조에이트; 디에탄올아민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페노에이트(INCI: 옥토크릴렌); 2-에틸헥실-2-히드록시벤조에이트(INCI: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글리세릴 아미노벤조에이트; 트리에탄올 아민 살리실레이트;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 디히드록시 아세톤을 갖는 로손;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4-메틸벤질리딘 캠포; 아보벤존;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비닐기 함유 아미드; 신남산 아미드; 설폰화 벤즈이미다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2-히드록시벤조에이트(INCI: 호모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UV 방사선 흡수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케어 활성제는 UV 방사선 흡수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UV 방사선 흡수제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케어 활성제는 UV 방사선 흡수제이며 1-(4-메톡시페놀)-3-(4-tert-부틸페닐)프로판-1,3-디온; 2-에틸헥실-2-히드록시벤조에이트; 2-에티헥실-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페노에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2-히드록시벤조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방사선 흡수제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1 내지 7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 내지 6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6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55 중량%의 선케어 활성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선케어 활성제는 UV 방사선 흡수제이고 1-(4-메톡시페놀)-3-(4-tert-부틸페닐)프로판-1,3-디온; 2-에틸헥실 2-히드록시벤조에이트; 2-에티헥실-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페노에이트 및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을 포함하는 UV 흡수제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0 내지 20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0.5 내지 15 중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 내지 10 중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2 내지 5 중량%의 SPF 부스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SPF 부스터는 활성 성분은 아니지만 제제에 존재하는 자외선차단 활성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적합한 SPF 부스터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나트륨 벤토나이트, 고순도 백색 나트륨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하이드로겔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선택적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택적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선택적 첨가제는 방수제, 연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방향제, 탈취제, 발한 억제제 활성제, 피부 냉각제, 보습제, 레올로지 조절제, 미용 조절제, 비타민, 피부 보호제, 오일, 유화제, 계면활성제, 펄라이저, 일관성 인자, 증점제, 고지방화제, 안정화제, 중합체, 실리콘 오일, 지방, 왁스, 레시틴, 인지질, 충전제, 안료, 착색제, 광 관리 분말 및 입자, 보습제, 클렌저, 헤어 트리트먼트 활성제, 비듬 방지제, 스킨 케어 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색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색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색 성분은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수성 안료 분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색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색 성분은 Ext. D&C 옐로우 No. 2, Ext. D&C 바이올렛 No. 2, FD&C 레드 No. 4, FD&C 레드 No. 40, FD&C 옐로우 No. 5, FD&C 옐로우 No. 6, FD&C 그린 No. 3, FD&C 블루 No. 1, D&C 옐로우 No. 7, D&C 옐로우 No. 8, D&C 옐로우 No. 10, D&C 옐로우 No. 11, D&C 바이올렛 No. 2, D&C 레드 No. 6, D&C 레드 No. 7, D&C 레드 No. 17, D&C 레드 No. 21, D&C 레드 No. 22, D&C 레드 No. 27, D&C 레드 No. 28, D&C 레드 No. 30, D&C 레드 No. 31, D&C 레드 No. 34, D&C 레드 No. 33, D&C 레드 No. 36, D&C 그린 No. 5, D&C 그린 No. 6, D&C 그린 No. 8, D&C 블루 No. 4, D&C 오렌지 No. 4, D&C 오렌지 No. 5, D&C 오렌지 No. 10, D&C 오렌지 No. 11, D&C 브라운 No. 1, 알루미늄 분말, 안나토(annatto), 비스무트 시트레이트,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브론즈 분말, 캐러멜, 카민(carmine), β카로틴, 녹색 수산화크롬, 녹색 산화크롬, 구리 클로로필린, 구리 분말, 디히드록시아세톤, 페릭 암모늄 페로시아나이드(ferric ammonium ferrocyanide), 페릭 페로시아나이드(ferric ferrocyanide), 구아닌(guanine), 산화철, 망간 바이올렛, 운모, 은, 이산화 티타늄, 울트라마린(ultramarine), 산화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색조 화장품 제제는 색 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색 성분은 적어도 1종의 산화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4 내지 9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4.5 내지 8.5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5.0 내지 8.0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제는 5.5 내지 7.5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크림, 수용액, 오일, 연고, 페이스트, 젤, 로션, 밀크, 폼(foam), 현탁액, 스틱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또는 모발의 보호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태양에 대한 노출로부터의 UV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 건성 피부의 예방 및 치료, 민감한 피부의 보호, 피부 색조 및 질감의 개선, 결점 마스킹, 및 표피 수분 손실의 억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에 퍼스널 케어 제제를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UV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퍼스널 케어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저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필름층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 을 함유된, 노인성 냄새 제거용 패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패치"는 종래의 약물 저장소 또는 약물 매트릭스 패치, 또는 비제한적인 예에서 경피 약물 전달 기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저장소 설계의 일 실시양태에서, 저장소는 기저필름이거나 기저필름층과 점착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미세다공성 또는 비다공성일 수 있는 속도 조절 막을 통해서 방출된다.
약물 저장소 구획에서, 약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고체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중합체 막의 외부 표면은 약물 상용성 저자극성 접착 중합체의 점착층이 적용될 수 있다. 약물 매트릭스 설계의 일 실시양태에서, 이는 항상 두 유형의 알려진 약물-함유 접착 시스템 및 매트릭스 분산 시스템을 포함하여야 한다. 약물-함유 접착 시스템의 일 실시양태에서, 약물 저장소는 또한 접착 중합체에 약물을 분산시키고, 이후 용매 캐스팅에 의한 약용 중합체 접착제를 확산시키거나 또는 접착제 (핫 멜트 접합체)를 불투과성 기저필름층으로 용융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비약용 접착 중합체층은 저장소의 상부에 적용될 수 있다. 매트릭스 분산 시스템의 일 실시양태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친수성 또는 친유성 중합체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다른 적용에 있어서, 접착제를 약물 저장소의 표면에 적용하는 대신, 이를 적용하여 주변 접착을 형성한다. 상기 종래의 약물 저장소 및 약물 매트릭스 스타일 패치를 포함하는, 피부에 위치할 수 있는 패치의 모든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로서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를 씻기 위한 개인 세정용 조성물, 또는 세정제의 형태일 수 있다. 세정제는 사용자에게 풍부한 비누거품 그리고 모발 및 피부를 위해 신선하고 깨끗한 느낌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 예를 들어, 샴푸, 바디 워시, 얼굴 세정제, 액체 비누 등은 계면활성제의 조합과 함께 제형화된다. 일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정 및 거품형성 특성을 제공하여 피부 및 모발로부터 오염물의 신속하고 완전한 제거를 허용한다. 알킬 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는 이들이 풍부한 거품을 제공하고 비용 효과적이므로 이러한 역할에 있어서 도처에서 사용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의 "이차" 계면활성제는 보통 점도를 구축하거나, 용해도를 개선하거나, 거품을 안정화하거나, 거품형성을 증대시키거나, 온화함을 개선하기 위해 포함된다. 가장 일반적인 이차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칸올아미드(예로, 코카미드 MEA, 라우라미드 MEA, 또는 코카미드 DEA) 및 베타인(예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인 개인 세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오일 성분, pH 조정제, 살균제, 항염증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염류, 펄화제, 스크럽제, 향료, 냉감제, 색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식물 엑기스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성분은, 각 제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른 용도, 예를 들어, 냉감제를 향료로서 사용하거나, 다른 용도와의 병용으로서, 예를 들어, 냉감제와 향료로서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은, 헹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성 성분이란, 물과 상분리되는 소수성의 물질이며, 유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고급 알코올 (탄소수 10 이상), 실리콘유 등이 포함된다.
계면 활성제로서, 성분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알케닐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 테르황산에스테르염, 술포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황산에스테르염, 모노아실글리세린황산 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인산, 에테르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은, 세정 후의 촉촉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개인 세정용 조성물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H 4 이상, 5 이상, 5.5 이상, 6 이상, 7 이상이고/이거나, 7.5 이하, 7.2 이하, 7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의 pH는 4 내지 7.5, 5 내지 7.2, 5.5 내지 7.2, 또는 6 내지 7이다.
pH를 조절하기 위한 pH 조정제로는, 무기산, 유기산 등,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제제 중의 석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기산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리콜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은, 크림상, 페이스트상 등의 반고체상, 또는 비누 등의 고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크림상 또는 페이스트상이란, 유화제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액상이 아닌 페이스트 또는 크림 형태, 즉 실온에서 유동성이 없거나, 있어도 작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인 세정용 조성물이 페이스트상인 경우, 25 ℃에서의 점도는, 10,000 mPa·s 이상, 800,000 mPa·s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노네날 제거를 위한, 세탁용 세제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세탁용 세제 조성물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 외에도 계면활성제, 전해질, 가용화제, 및/또는 증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명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기가 탄소수 9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인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올레핀 설포네이트, 2차 알칸 설포네이트, 알파 설포네이트 메틸/에틸 에스테르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9 내지 15의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일 실시예에서는, 탄소수 12 내지 15의 알킬기를 가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또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알칸 설포네이트,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소수 14 내지 16의 알칸 설포네이트, 또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올레핀 설포네이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올레핀 설포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설포네이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알파 설포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물, 예를 들면 코코넛유, 팜 커널유, 우지 지방산의 알파-설포네이트 메틸/에틸 에스테르화물과 같은 것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일차 또는 이차 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터 화합물, 1 내지 6개의 에틸렌 옥사이드가 포함된 지방족 일차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터 화합물, 에톡시화된 2차 알콜이나 알킬페놀의 황산 모노에스터 화합물, 설페이티드 지방산 알카놀아마이드, 설페이티드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 또는 이차 알코올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지방산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용 세제 조성물은 점증효과를 얻고 유효 입자 및 기포들의 분산안정성을 높이기위하여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질로는,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초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구연산염, 황산염, 폴리인산염, 피로인산염, 트리인산염, 테트라인산염, 규산염, 메타규산염, 폴리규산염, 탄산염, 수산화물, 알칼리금속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 내 음이온의 카운터 양이온으로는 소듐,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탁용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용화제로는 계면활성제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직쇄 또는 분지상의 부탄올,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카르복실산 설페이트, 카르복실산 설포네이트염, 우레아, 하이드로 카르복실레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점제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크산탄 검과 같은수용성 고분자,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는 상부층을 농후하게 하고 정치 시에 분리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폴리에테르가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의 이러한 부류의 예로는 PEG (160)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12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글루캄 (Glucam) DOE 120 (PEG 120 메틸 글루코즈 디올리에이트); PEG 변형된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팜에이트 또는 탈로우에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의 저감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노인성 냄새의 저감을 목적으로, 특히 노인성 냄새의 원인인 노네날의 제거 또는 저하를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고형화하여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구현예로서, 지골피 또는 구기지를 물(H2O),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C2H5OH)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혼합비에 따라 지골피 또는 구기지의 노인성 냄새 원인 물질인 노네날의 소취 효과가 있는 유효 물질 추출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는 구기자나무(chinese matrimony vine)의 근피(rhizodermis)로, 구기자나무의 전체 뿌리(Root)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기지는 구기자나무의 근피로, 구기자나무의 가지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 또는 구기지는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표면적이 넓어져 지골피 또는 구기지에 함유된 유효 물질을 추출하기에 용이하여 추출 수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지골피 또는 구기지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여과, 농축 또는 건조 과정은 수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분무 건조법, 동결 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a) 분쇄되거나 분쇄되지 않은 지골피 또는 구기지를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지골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b)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45℃ 감압 조건에서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 효과를 위한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인성 냄새의 주 원인 물질인 노네날과 반응시키기 위하여 반응물은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반응을 진행하고 이를 37.5 ℃로 유지되는 중탕기에서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는 체내와 유사한 조건으로 반응을 확인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로서, 상기 노인성 냄새 유발 물질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인성 냄새 유발하는 원인 성분인 노네날을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 중의 노인성 냄새 제거에 효과적인 성분은 쿠코아민 B(Kukoamine B)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인성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과 결합을 하여 냄새가 감소되거나 악취가 나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형성하여 노인성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구매한 구기자의 뿌리 껍질인 지골피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지골피 분말을 얻었다. 물과 에탄올 50:50 혼합 비로 1~4시간동안 환류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여 지골피 분말을 제거하고 여액을 45℃ 감압 조건에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지골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노네날 소취력 평가
노인성 냄새 주 원인이 되는 물질인 노네날에 대한 소취력 평가를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행하였다. 구체적으로 0.1 mM 노네날이 함유된 1 ml 인산염완충용액에 상기 실시예 1을 1, 10, 100 mg/ml 농도로 첨가하여 37.5 ℃로 유지한 중탕기에 24시간 교반시키고, 이후 반응물은 HPLC 분석을 통하여 노인성 냄새 소취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Peak area 소취력 (%)
노네날 645.396
실시예 1 1 mg 493.250 23.574
10 mg 90.554 86.004
100 mg 32.815 94.901
상기 표 1과 도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노네날이 더 낮게 검출되어 소취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장 높은 농도에서는 95%정도의 우수한 소취 효과가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생성 화합물 확인
구기자 나무의 부위별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매인 구기자, 구기자 나무의 잎 (구기엽), 가지(구기지), 및 뿌리껍질(지골피)로부터의 추출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노인성 냄새의 주 원인 물질인 노네날의 소취력에 대한 유효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 mM 노네날이 함유된 1 ml 인산염완충용액에 상기 실시예 1을 100 mg/ml 농도로 첨가하여 37.5 ℃로 유지한 중탕기에 72시간 교반시키고, 이후 반응물은 HPLC 및 LC-MS 분석을 통하여 생성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상기 구기자, 구기엽, 구기지, 및 지골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기자, 구기엽, 구기지, 지골피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골피 추출물에 의해 검출되는 노네날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지골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쿠코아민 B(Kukoamine B)도 동일하게 낮게 검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새로 생성되는 피크들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노네날과 지골피 추출물에 함유된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새로운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추출 용매에 따른 지골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활성 검정법을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Kenny, Smyth et al. 2013).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μl에 에탄올 내 0.25 mM DPPH 용액 100 μ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mg 5 mg 2.5 mg 1.25 mg 0.625 mg
항산화력 (%) 51.258 43.782 38.083 25.796 10.36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골피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력이 높아졌으며, 가장 높은 농도에서는 50%이상의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지골피 추출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피부 세포 보호 효과 확인
실시예 5.1. HaCaT 세포의 배양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인간 정상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 ATCC)는 10% 우태아혈청(FB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는 37℃5% CO2 조건으로 유지하고 48-well plate에 4×104 cell/well이 되도록 분주된 후 24시간 배양 후 상기 조성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배양하였다.
실시예 5.2. 노네날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 확인
본 발명에서는 노인성 냄새 유발 물질은 노네날에 의한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손상에 대하여 상기 지골피 추출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피부 세포 보호 능력을 평가하고자 'WST-8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5.1에서 배양된 HaCaT 세포에 노네날 (150 μM)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지골피 추출물(0.1, 1, 10 μg/ml)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 2, 10, 50 μM)를 농도별 로 포함하고 FBS가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WST-8 용액을 well 당 20 μl씩 처리하여 CO2 인큐베이터 (37℃5% CO2)에서 3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석기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율(%)은 측정된 흡광도에서 blank 값을 빼준 뒤, 대조군 (Control) 흡광도에 대한 상기 추출물 첨가 well의 흡광도의 비로 계산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상기 지골피 추출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의 세포 증식 효과 실험 결과는 [표 3]과 [도 4]에 나타나 있다.
0.1 μg/ml 1 μg/ml 10 μg/ml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실시예 1 63.0968 6.5030 65.9684 8.2892 91.2611 9.3483
2 uM 10 uM 50 uM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세포증식율 (%) 표준 편차
쿠코아민 B 61.2406 4.6234 76.6692 8.4098 90.5865 6.5323
상기 표 3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골피 추출물을 세포에 10 μg/ml로 처리했을 때 노네날이 처리된 세포 생존율은 91%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쿠코아민 B를 10, 50 μM로 처리했을 때는 77%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지골피 추출물 및 쿠코아민 B(Kukoamine B)를 처리하지 않고 노네날만 처리된 세포는 55%정도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Claims (18)

  1.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소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소취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소취제 조성물.
  4.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화장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화장품 조성물.
  7. 기저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필름층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함유된,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패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는, 패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패치.
  10.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개인 세정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세정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세정용 조성물.
  13.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세탁용 세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세탁용 세제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세탁용 세제 조성물.
  16.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또는 저감용 건강기능식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노네날, 옥타날, 노나날 및 데카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제거함으로써 노인성 냄새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건강기능식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소취제 건강기능식품.
KR1020220118668A 2022-09-20 2022-09-20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KR20240039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68A KR20240039839A (ko) 2022-09-20 2022-09-20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68A KR20240039839A (ko) 2022-09-20 2022-09-20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39A true KR20240039839A (ko) 2024-03-27

Family

ID=9048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668A KR20240039839A (ko) 2022-09-20 2022-09-20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83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07B1 (ko) 2008-04-02 2010-09-10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797B1 (ko) 2008-06-17 2010-12-21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3561A (ko) 2016-05-25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0563A (ko) 2018-11-21 2020-06-01 (주)바이오믹스 구기자 뿌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07B1 (ko) 2008-04-02 2010-09-10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797B1 (ko) 2008-06-17 2010-12-21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3561A (ko) 2016-05-25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0563A (ko) 2018-11-21 2020-06-01 (주)바이오믹스 구기자 뿌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45615A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3601875B2 (ja) 化粧料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EP2100593B1 (de) Mischungen mit Collagensynthese steigernder Wirkung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KR101833018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8020970A (ja) プロトンポンプ機能促進剤
KR102431819B1 (ko) 당유자 및 황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118612A (ja) 皮膚外用剤
KR20240039839A (ko) 지골피 추출물 또는 구기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 소취제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59698A (ja) 皮膚状態改善用食品及び外用剤組成物
KR20230174401A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20180015153A (ko) 겐티오피크로시드 부재 겐티아나 추출물
JP4222973B2 (ja) エラスターゼの活性阻害剤および化粧品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JP2003238429A (ja) 線維芽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