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14B1 -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14B1
KR102179114B1 KR1020190034506A KR20190034506A KR102179114B1 KR 102179114 B1 KR102179114 B1 KR 102179114B1 KR 1020190034506 A KR1020190034506 A KR 1020190034506A KR 20190034506 A KR20190034506 A KR 20190034506A KR 102179114 B1 KR102179114 B1 KR 10217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moisturizing
ski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795A (ko
Inventor
조혜진
소희
임한솔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독성이 전혀 없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피부에 전혀 무해하다.

Description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MOISTURIZING OR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COMRPISING BILOBED GREWIA EXTRACT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는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및/또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외부 유출을 막는 보호기능이다.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각질층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형성 세포는 각화과정 중 천연보습인자와 세포간 지방질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이로인해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인,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또는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요인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 들어서 공해 물질 등의 여러 요인들로 성인 아토피, 건조 피부 질환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분 공급량을 증가시키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보습제들은, 피부에 자극감을 주거나, 유분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 노폐물 순환을 방해하거나,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이에, 천연물을 이용한 보습제들도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충분한 보습력을 나타내는 보습제는 개발되지 않았다.
10-2018-0119550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효과 유지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독성이 전혀 없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피부에 전혀 무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장구밥 나무(Grewia parviflor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다.
상기 "장구밥 나무"는,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로서, 우리나라 중부지방 서해안에 자생하며, 타이완, 일본, 중국 남부 등에 분포한다. 피나무속 식물들에 비해서 열매는 견과가 아니라 장과, 꽃대는 꽃싸개잎이 없고, 잎자루는 짧으므로 구분된다. 이 종에 비해 잎이 피침상 타원형으로 좁은 것을 좀장구밥나무로 구분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장구밤나무, 잘먹기나무라고도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 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피부는 인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항 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벽 기능, 외부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감각 기능, 체온 조절 기능 등이 가장 대표적인 피부의 기능에 속하며 이들은 모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 할을 한다. 다양한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질층은 단순한 장벽 기능뿐 아니라 내부의 살아있는 세포층, 즉 표피층이나 진피층의 기능 및 역할, 구조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다. 각질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각질층 내에 존 재하는 각질세포간 지질의 구조와 기능 등에 대한 연구도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수의 피부 질환에 있 어서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거나, 주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각질세포간 지질의 성분 변화에 따른 구조적인 변형 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지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질세포 간 지질은 라멜라 구조라 불리는 여러 층의 지질막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다. 피부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면, 지질의 분비와 합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항상성 유지 반응의 나타나게 되며, 피부장벽 기능이 손상된 피부에 각질세포간 지질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외용 제제를 도포하게 되면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 질환들, 예컨대, 아토피, 피부 건조증, 건선, 각화증 등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갈매 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매 나무(Rhamnus davurica Pall.)"는 갈매나무과 (Rhamnaceae) 갈매나무 속(Rhamnus)속의 식물로서 우리나라 및 일본, 중국 등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갈매나무속 식물은 그 나무껍질과 열매에 안트라퀴논 (anthraquinone) 화합물이 들어 있어 설사약으로 쓰인다. 갈매나무는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높이는 3m가 되는 잎 지는 떨기나무이다. 긴 달걀 모양 또는 버들잎 모양의 잎이 마주 붙거나 어긋나게 붙는 것이 특징이며,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서리자, 나무 껍질과 뿌리를 각각 서리피, 서리근이라 하여 해열, 이뇨,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이뇨제(利尿劑) ·완하제(緩下劑)로 사용해왔다. 민간요법으로는 설사와 변비 개선 용도, 항암 용도로도 사용되어 왔다.
상기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은, 각 나무의 뿌리, 잎, 줄기, 열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전초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병용함으로써,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메탄올,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은, 순서대로 1~5: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1~3:1~3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이 상기 함량 비율로 포함될 때 가장 우수한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 각각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에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모두가 포함될 경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의 총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가장 우수한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비누, 및 클렌징 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일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로션 제형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은, 유중수형, 수중유형, 실리콘 중수형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카보머,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정화제는, 콜레스테롤, 수소 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류, 베헤일 알코올, 및 세테아릴 알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드링크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장구밥 나무 추출물의 제조
장구밥 나무 전초 100g을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고 에탄올 수용액을 시료 중량의 20배(2L) 양을 가하여 실온에서 72시간 침지 추출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4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고 그 결과 약 8g(약 8중량%)을 수득하였다. 건조한 추출물은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2] 갈매 나무 추출물의 제조
갈매 나무 전초 100g을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고 에탄올 수용액을 시료 중량의 20배(2L) 양을 가하여 실온에서 72시간 침지 추출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4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고 그 결과 약 8g(약 8중량%)을 수득하였다. 건조한 추출물은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3~7]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제조예 3: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5:1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1:5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6:1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1:6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조예 1을 포함하여, 스테아릴 알코올 2중량%, 식물성 오일 2중량%, 카보머 0.3 중량%, 향료 및 방부제 적량 및 잔부의 물을 이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조예 2를 포함한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조예 3을 포함한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조예 4를 포함한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조예 5를 포함한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3 %의 제조예 6을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3 %의 제조예 7를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제조예 1~5를 사용하지 않고, 1.5 %의 1,3-부틸렌 글리콜과 1.5%의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5를 사용하지 않고, 1.5 %의 1,3-부틸렌 글리콜과 1.5%의 솔비톨을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5를 사용하지 않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피부 보습 지속력 측정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30~40대 성인 남, 녀 50명에게 (실시예 1~7,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12시간,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3
피부 수분량(%) 도포전 30.2 30.8 30.5 30.5 30.4 30.5 30.2 30.5 30.4 30.1
12시간 후 43.5 42.8 52.7 48.3 47.8 44.1 44.6 39.1 39.4 34.2
24시간 후 40.5 38.9 50.5 45.2 44.7 41.2 40.1 31.2 31.9 30.2
장구밥 나무 추출물이나 갈매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을 도포한 경우는, 도포 후 12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어느 정도 유지되었지만, 24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반면, 장구밥 나무 또는 갈매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7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또한 비교예 1 내지 3 보다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7의 경우,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한 실시예 1 및 2 보다 더 높은 피부 수분량을 보였다.
또한,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1:1로 혼합한 경우 가장 우수한 피부 수분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1~5:1~5의 혼합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실시예 6 및 7과 같이, 상대적으로, 그 효과가 낮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건조증 개선 실험
상기 실험예 1의 실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자에게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를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피부 건조함 개선 효과 정도에 대하여 만족도를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및 미흡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시료
응답자수
매우 양호 14 12 23 19 18 14 13 5 2 0
양호 23 19 20 21 21 27 24 18 11 10
보통 8 13 6 8 9 6 9 20 29 27
미흡 5 6 1 2 2 3 4 7 8 13
그 결과,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가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7의 경우,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한 실시예 1 및 2 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특히, 장구밥나무와 갈매나무를 1:1로 혼합한 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양자 혼합 비율이 1~5:1~5를 벗어난 경우에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장벽 개선 효과 확인-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실험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계면활성제로서 독성이 강하여 피부 장벽을 악화시킨다고 알려져있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다. 즉, TEWL값을 시간 변화(2, 4, 6 및 8일)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경과일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피부장벽 회복율(%) 2일 49.5 49.7 55.8 54.7 53.3 50.9 50.8 41.2 40.2 36.7
4일 61.9 61.6 67.6 66.5 65.0 62.0 61.8 57.1 55.7 43.9
6일 82.4 81.9 88.2 87.6 86.9 82.4 82.5 65.8 64.8 52.2
8일 90.1 91.5 98.4 95.8 95.4 91.8 92.6 72.4 71.9 60.4
그 결과,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나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7이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모두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7의 경우, 경피 수분 손실량 개선 속도가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현저히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을 1:1로 혼합(실시예3)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회복률을 보였다.
또한, 장구밥 나무 추출물과 갈매 나무 추출물의 혼합 비율이 1~5:1~5를 벗어날 경우, 회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인체 유해성 테스트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여, 조성물의 인체 유해성 여부를 테스트 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는 20 내지 34세의 성인여성 6명과, 20내지 34세의 성인남성 6명으로 하였으며, 피험자의 팔부위 피부에 실시예 3의 로션 조성물을 4시간 간격으로 3회 도포하여 팔부위 피부의 자극을 살펴보았다.
아래의 표는 피험자의 피부의 외관상 변화, 피험자가 느끼는 가려움증, 따가움, 통증에 대한 결과이다.
피험자 피부의 외관변화 가려움 따가움 통증
여성 피험자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4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5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6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남성 피험자7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8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9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10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1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피험자1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그 결과, 상기 표에서와 같이 본원발명의 조성물은 인체 피부에 자극이 없는 무해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3.0
세테아릴 알코올 2.0
식물성 오일 2
카보머 0.3
스쿠알란 5.0
사이클로메치콘 4
트리에탄올아민 0.12
폴리솔베이트 1
EDTA-2Na 0.02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8)

  1. 장구밥 나무(Grewia parviflora Bunge) 추출물; 및 갈매 나무(Rhamnus davurica Pal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구밥 나무 추출물 및 갈매 나무 추출물을 순서대로 1~5: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장구밥 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5중량%로 포함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갈매 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5중량%로 포함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수용액을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90034506A 2019-03-26 2019-03-26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7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06A KR102179114B1 (ko) 2019-03-26 2019-03-26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06A KR102179114B1 (ko) 2019-03-26 2019-03-26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5A KR20200113795A (ko) 2020-10-07
KR102179114B1 true KR102179114B1 (ko) 2020-11-16

Family

ID=7288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506A KR102179114B1 (ko) 2019-03-26 2019-03-26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46B1 (ko) 2010-12-17 2013-08-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260A (ko) * 2013-12-23 2015-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매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제
KR20180119550A (ko) 2018-10-26 2018-1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46B1 (ko) 2010-12-17 2013-08-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ohamed Khadeer Ahamed 외 2인, Planta Med 2009, 75, pp.478-482 (2009.0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5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4688A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503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개선용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2179114B1 (ko)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46583B1 (ko)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502286B1 (ko)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2541771B1 (ko)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