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63A -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63A
KR20110005363A KR1020090062850A KR20090062850A KR20110005363A KR 20110005363 A KR20110005363 A KR 20110005363A KR 1020090062850 A KR1020090062850 A KR 1020090062850A KR 20090062850 A KR20090062850 A KR 20090062850A KR 20110005363 A KR20110005363 A KR 2011000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extract
weigh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308B1 (ko
Inventor
김상범
고두진
김태원
최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09006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61K36/835Aquil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동의보감에 수록된 금주녹운유 처방에 포함된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이,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의 분리 배양을 이용한 육모 성장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 예방, 개선 및 양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발개선, 생약 복합 추출물, 산삼 부정근 추출물

Description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HAVING EFFECT OF DEPILATION PREVENTION AND GOOD HAIR}
본 발명은, 모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과 동의보감의 금주녹운유 처방의 생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의 원인은 남성호르몬에 의한 작용, 혈액순환의 불량으로 인한 혈류량 감소로 인한 모근부의 신진대사 기능저하,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비듬균이나 세균에 의한 두피 손상,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과도한 샴푸, 건조, 헤어스타일링 등으로 인한 두피 및 모발의 자극과 화학 세정성분에 의한 두피의 천연 보습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이 손상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회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의 과도한 증가로 탈모 및 모발 손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연령대 및 성별의 제한 및 경계 또한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모발의 개수는 약 10만에서 12만 개이다. 모발은 발생, 성장, 퇴행, 휴지기라는 라이프 사이클이 있으며 휴지기에 돌입한 머리카락이 보통 하루에 50~100개 정도 빠지는 것이 정상이다. 모발은 일정기간 자라면 빠지고 새로운 모발이 난다. 손톱이나 발톱과는 달리 '자라고-쉬고-빠지고'하는 주기를 가지는 것이다. 털갈이를 하는 동물의 경우 전체 털의 모주기(毛週期)가 동일하기 때문에 털이 동시에 빠지고 새로 나는 이른바 털갈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모발은 각각 독자적인 모주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털갈이 없이 항상 일정한 모발 수를 유지하게 된다. 인간 모발의 경우는 3년 자란 후 빠지고 다시 그 자리에서 3개월 후 새로 모발이 난다. 모발은 약 10~12만 개가 있으며 이 중 하루에 70여 개가 빠지며 3개월 전에 빠진 70여 개의 모발은 새로 자라나게 되어 모발은 항상 10~12만 개를 유지한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 내지 6년에 걸쳐서 반복되는데, 이 결과 하루 평균 5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모발은 두피에 뿌리를 두고 혈액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장기간에 걸쳐 모세혈관이 축소되고 두피가 얇아져 모발이 정상적으로 발육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그 부위의 머리카락은 점점 가늘어지면서 특정 부위의 머리카락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수명이 짧아진 머리카락은 쉽게 빠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빠진 모공에서는 머리카락이 다시 나지 못하게 되어 결국은 빈모 증세가 나타난다. 또한, 모발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에너지의 생성을 방해한다고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은 모낭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5α-환원효소의 작용으로 그 활성도가 보다 증가한 DHT (Dihydrotesosterone)로 변하고, 활성된 DHT는 안드로겐 수 용체와 결합함으로써 모발의 성장기를 단축하고, 모낭의 크기를 위축시킴으로써 모발을 점차 가늘게 만들며 결국에는 탈모를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탈모 현상으로 인한 빈모 증세를 방지하면서 두피의 모공에서 활발한 양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탈모 방지제 및 양모 촉진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제로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제제를 들 수 있다. 미녹시딜은 전립선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사용상 부작용으로 양모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양모제로 더 유명해진 약물이다. 그러나 미녹시딜 제제는 과다 사용 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즉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켜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머크(Merck)사에서 개발한 프로페시아(propecia)는 남성호르몬 신진대사 효소인 5α-환원효소 억제제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사용시에는 그 약효가 유효하지만, 약의 사용을 중지하면 수개월 후 비복용자와 같이 탈모가 다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격이 높고 복용 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는 양모와 탈모방지에는 특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반면에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탈 모환자들은 탈모증상을 완치하지는 못하지만 여러 가지 양모 촉진제들을 번갈아 사용해 가면서 일시적인 개선효과에 만족해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한방원료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한 양모 효과를 가지는 원료 개발을 위해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이하 ‘산삼 부정근 추출물’이라고 함)과 동의보감에 수록된 양모 관련 처방 원료로부터 양모 효과를 탐색한 결과 금주녹운유 처방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하 ‘금주녹운유 추출물’이라고 함)로부터 양모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양모와 탈모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성욕감퇴, 발기부전,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는 한방추출물 금주녹운유와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양모와 탈모방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동의보감에 수록된 금주녹운유 처방에 포함된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의 분리 배양을 이용한 육모 성장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 예방, 개선 및 양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은,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동의보감에 수록된 금주녹운유 처방에 포함된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금주녹운유는 동의보감 외형편에 수록되어 있는 한방 처방으로 머리털을 나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첨가된 한약재로는 만형자, 구릿대, 침향, 한련초, 방풍, 복분자, 생지황, 영릉향, 망초, 정향, 권백, 척촉화, 및 가자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은, 만형자, 구릿대, 침향, 한련초, 방풍, 복분자, 생지황, 영릉향, 망초, 정향, 권백, 척촉화 및 가자피의 추출물일 수 있다.
금주녹운유와 함께 예로부터 신비한 영약으로 취급되는 희귀식물로서 여러 다양한 질병치료제 및 보양제로 이용되어 온 산삼을 인공적으로 조직배양 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였다.
산삼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식물의 하나의 예로, 오갈과(Araliacea),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에 속하는 산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 인삼으로, 새싹이 나올 때, 꽃을 맺는 꽃대가 잎 및 줄기와 함께 나오는 현화식물에 속하면서 피자식물에도 속하며, 반음지성식물이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초'라 기록된 바 있으며, 예로부터 신비한 영약으로 취급되는 희귀식물로서 여러 다양한 질병치료제 및 보양제로 이용되어왔다.
임상학적 연구결과로 보고된 인삼의 효능으로는, 항당뇨 작용, 항암 작용, 심장 강화 및 혈압 조정, 간기능 강화, 위장기능강화, 스트레스 해소 및 강장 효과, 체력(정력) 증진, 뇌기능 강화, 노화 억제, 방사선 조사 방어작용, 빈혈 회복 효과 및 조혈 작용, 면역 기능 증진, 소염 작용 및 허약체질 개선 효과 등이 있다. 산삼의 효능은 인삼과 비슷하나 약리적 효과면에서 훨씬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산삼은 천종, 지종, 인종, 장뇌 이상의 4가지로 분류되는데, 상세하게는 자연적으로 산에서 나서 씨가 떨어져 생긴 천종(천연산삼), 야생동물이나 조류가 산삼 씨를 먹고 산중에 배설하여 자란 지종, 사람이 씨를 뿌려 자란 인종, 및 산삼의 종자를 채취하여 깊은 산속에 씨를 뿌려 야생상태로 인위적으로 양생시킨 장뇌(가삼)이다. 일반적으로는 야생산삼은 종자를 뿌려도 싹이 잘 나오지 않고, 설사 자란다고 해도 몇 년을 넘기지 못하고 썩어 없어지는 경우가 많아 재배가 쉽지 않은 아주 귀한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 10~90중량% 및 상기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10~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성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 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모발 개선용 조성물이 0.1~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모와 탈모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성욕감퇴, 발기부전,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는 한방추출물 금주녹운유와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양모와 탈모방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금주녹운유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주녹운유 처방의 한약재를 건조하고 세절하여 70% 에탄올 수용액 3 L에 1 kg이 되게 동량으로 첨가한 후 3일 동안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Whatman No.5, whatman international Ltd, 영국). 이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하여 금주녹운유 추출 분말 114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제조)
발명에 쓰인 산삼 부정근은 한국등록특허 제353636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조직배양하고, 대량증식한 것으로, 건조시킨 조직배양된 산삼 부정근 1㎏에 70% 에탄올 30㎏ 및 1,3-부틸렌글리콜 3㎏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3㎏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충분히 숙성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시켜 추출물을 얻고 다시 50~60℃에서 에탄올을 제거한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금주녹운유 추출물 30중량% 및 제조예 2의 산삼 부정근 추출물70중량%를 혼합하여 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의 분리 배양을 이용한 육모 효과 실험)
실시예에서 얻은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양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기배양법(Organ culture method)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Jindo and Tsuboi, Jpn. J. Dermatol., 107, pp769-779, 1997; Imai et al., Arch. Dermatol. Res., 284, pp466-471, 1993; Jindo et. al., J. Dermatol. 20, pp756-762, 1993; Philpott et al., J. Cell Sci., 97, pp463-471, 1990).
생후 3주령 래트로부터 분리한 진모 모낭(Vibrissa follcile)을 37℃, 5% CO2 항온기에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웰 플레이트의 각 웰당 500㎕의 William E medium을 넣고 각 웰 당 한 개의 모낭을 넣어서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 다. 배양 중에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고, 수용액 상태의 상기 추출물을 0.5, 1, 2.5, 5%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추출물이 모낭의 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시간에 따른 모낭의 성장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0일 및 14 일에 이미지분석기(Image analyzer, DP701 controller, Olympus)를 이용하여 배양한 모낭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 (vehicle)과 상대적인 모낭 성장률(%)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 료 성장률 (%)
vehicle 100
실시예 0.5% 99
1.0% 116
2.5% 132
5.0% 143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서 실시예의 조성물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고 약 43% 성장이 촉진되었고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성장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방 원료 조성물에 의한 모낭의 양모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5α-환원효소(reductase) 활성 실험)
실시예의 조성물이 모낭의 육모 효과가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활성 억제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래트 전립선 (Rat prostate) 5α-환원효소를 이용하여 첨가한 [3H]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 T)이 [3H]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3H]Dihydrotestosterone, DHT)로 전환되는 양을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ranck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8, pp1479-1487, 2000).
생후 7~8 주령인 윈스타 래트 (Wistar rat) 수컷으로부터 전립선을 분리하여 액체질소로 급랭하였다. 분리한 전립선의 무게를 측정하여 0.32 mM sucrose (Amresco Inc, USA)와 1 mM dithiothreitol (DTT, Sigma, USA)가 포함된 pH 6.5의 20 mM photassium phosphate buffer saline (PBS)를 1 g 당 5 ml 씩 첨가하였다. 전립선을 분쇄한 후, 1,000rpm으로 10분 원심분리하여 여과하고 그 상층액을 회수하여 초원심분리기(Ultra centrifuge, Beckman, USA)로 100,000 g로 90분 원심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5 ml 마이크로 튜브에 250 μg의 5α-환원효소, 120 nCi [1,2,6,7-3H]-T, 200 μM NADPH (Calbiochem, US) 및 실시예의 조성물을 첨가하고 40 mM PBS (pH 6.6)로 500 ㎕로 맞추어 37°C에서 30 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 ml의 ethyl acetate를 넣고 1,000 rpm에서 10분 원심분리하고 새로운 마이크로 튜브로 상층액을 옮겨 speed vac을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이것을 50 ㎕의 초산에틸을 가하여 녹이고 박막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Merck, Germany)판에 스폿한 후, TLC 챔버에 50% 에틸아세테이트와 50% 시클로헥산으로 구성된 전개용매를 넣어서 전개시켰다. 테스토스테론(T)은 UV 램프(UVGL-58, Upland, USA)를 사용하여 254 nm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은 10% 황산을 뿌린 후 가열하여 확인하였다. T 및 DHT 부위는 오려내어 신틸레이션 바이알(Scintilation vial)에 넣고 5 ml의 칵테일을 넣었다. 리퀴드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ation counter;LSC, Packard Instruments, 미국)를 사용하여 CPM (Counter Per Minute)을 측정하였고, 상기 실험에 따라 5α-환원효소 활성에 의한 테스토스테론(T)의 전환 율을 산출하고 대조군과 상대적인 5α-환원효소 저해율(%)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시 료 5a-환원효소 저해율 (%)
vehicle 0
실시예 0.5% 2.9
1.0% 10.3
2.5% 15.8
5.0% 26.2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에 의하여 모든 처리농도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저해율이 증가하여 5α-환원효소 활성이 최고 약 26 % 억제함을 보였다. 따라서, 한방 원료 조성물이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헤어토닉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 10.0%
레조시놀 0.1%
멘톨 0.05%
판테놀 0.2%
살리실산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피마자유 5.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100.0%
제형예 2(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 2.5%
세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0%
제형예 3(헤어로션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 5.0%
레조시놀 2.0%
멘톨 2.0%
판테놀 0.5%
피록톤올아민 0.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100.0%
(제형예 4 헤어비누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 (수분 13%, 중량부) 잔량
10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경우,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의 분리 배양을 이용한 육모 성장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 예방, 개선 및 양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 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동의보감에 수록된 금주녹운유 처방에 포함된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은, 만형자, 구릿대, 침향, 한련초, 방풍, 복분자, 생지황, 영릉향, 망초, 정향, 권백, 척촉화 및 가자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개선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10~90중량% 및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 10~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상기 한약재 천연 복합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어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모발 개선용 조성물이 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62850A 2009-07-10 2009-07-10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65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50A KR101654308B1 (ko) 2009-07-10 2009-07-10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50A KR101654308B1 (ko) 2009-07-10 2009-07-10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63A true KR20110005363A (ko) 2011-01-18
KR101654308B1 KR101654308B1 (ko) 2016-09-07

Family

ID=4361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50A KR101654308B1 (ko) 2009-07-10 2009-07-10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19B1 (ko) * 2015-07-22 2016-10-1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8008773A1 (ko) * 2016-07-05 2018-01-11 윤호영 국소용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WO2021002546A1 (ko) * 2019-07-02 2021-01-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903819A (zh) * 2021-02-10 2022-08-16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诃子果提取物及其制备方法、应用、含其的防脱发产品
KR20230078858A (ko) 2021-11-26 2023-06-05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열교환의 최적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소생산 및 일산화탄소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내구성을 갖는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73B1 (ko) * 2006-12-28 2007-12-04 안광주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73B1 (ko) * 2006-12-28 2007-12-04 안광주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금주녹운유"에 관한 [한국전통지식포탈] DB 자료 출력물(2007.12.06.)*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19B1 (ko) * 2015-07-22 2016-10-1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8008773A1 (ko) * 2016-07-05 2018-01-11 윤호영 국소용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CN108135830A (zh) * 2016-07-05 2018-06-08 尹好永 生产用于防止毛发脱落和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的方法
DE112016006721T5 (de) 2016-07-05 2018-12-20 Ho Young Yoo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Zusammensetzung zum Verhindern von Haarausfall und zum Fördern von Haarwuchs
WO2021002546A1 (ko) * 2019-07-02 2021-01-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903819A (zh) * 2021-02-10 2022-08-16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诃子果提取物及其制备方法、应用、含其的防脱发产品
KR20230078858A (ko) 2021-11-26 2023-06-05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열교환의 최적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소생산 및 일산화탄소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내구성을 갖는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08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US9408795B2 (en) Method for enhancing the growth and fullness of hair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WO2016046848A2 (en) Novel formulation of concentrated natural actives in oil-water microemulsion for hair fall prevention and increase in hair density
KR20120039384A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JP2010501551A (ja) 毛髪改善のための希土類元素の用途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430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2894A (ko) 한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터트티에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5005554A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29762B1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JP2000095649A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101252550B1 (ko)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6797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H1160450A (ja) 養毛剤
SE543379C2 (en) Composition and formulation comprising a Persicaria Capitata plant extract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101764264B1 (ko)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82054A (ko)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JP2001302528A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頭髪用剤及び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