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19B1 -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19B1
KR101665319B1 KR1020150103834A KR20150103834A KR101665319B1 KR 101665319 B1 KR101665319 B1 KR 101665319B1 KR 1020150103834 A KR1020150103834 A KR 1020150103834A KR 20150103834 A KR20150103834 A KR 20150103834A KR 101665319 B1 KR101665319 B1 KR 10166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hair loss
year
alfal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애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5010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신체 거부반응이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일반적인 화학 약품에 비해 뛰어난 양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Function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alopecia}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년봉 추출물,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탈모를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용도에 관한 발명이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로서,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성모는 색깔이 없고 얇은 연모와는 달리 빠질 경우 미용상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5만 ~ 7만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있고, 하루에 약 50개 ~ 70개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이 정상적이다. 반면 취침 후 또는 머리를 감고나서 빠진 머리카락의 수가 100을 넘으면 병에 의한 탈모가 진행되는 것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탈모는 임상적으로 흉터가 형성되는 탈모와 흉터가 형성되지 않는 탈모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모낭이 파괴되어 모발이 재생되지 않는 반흔성 탈모로, 루푸스에 의한 탈모, 독발성 모낭염, 모공성 편평 태선, 화상 및 외상에 의한 탈모가 이에 해당된다. 후자는 모낭이 유지되어 증상이 사라진 후 모발이 재생되는 비반흔성 탈모로, 유전성 안드로겐성 탈모, 원형 탈모, 곰팡이 감염에 의한 두부 백선, 휴지기 탈모, 발모벽, 모발생성 장애 질환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자가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 이식술을 시행하거나, 미녹시딜과 같은 바르는 약, 피나스테라이드와 같은 먹는 약 등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모발 이식술은 통증이 수반되고, 마취에 대한 부담으로 탈모 환자들이 꺼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약물 치료법의 경우 발기 부전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피에서 모발이 감소하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고,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신체에 거부반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약재인 일년봉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므로 신체 거부반응이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일반적인 화학 약품에 비해 뛰어난 양모 효과가 있다.
도 1은 동물실험에서 털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동물실험에서 털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일년봉 추출물의 제조
일년봉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분쇄물 중량의 7배 부피량(w/v)의 60% 에탄올을 첨가하여 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식으로 2회에 걸쳐 반복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한 뒤 진공농축하고, 덱스트린을 혼합한 뒤 열풍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는다.
아래 실험에서 사용될 일년봉 추출물은 일년봉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일년봉 분쇄물 200kg의 7배 부피량(w/v)의 60% 에탄올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주정 추출하는 방식으로 2회에 걸쳐 반복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한 뒤 진공농축하고, 덱스트린을 혼합한 뒤 열풍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일년봉 추출물 50kg을 얻는다.
2) 알팔파 추출물의 제조
알팔파를 선별하여 분쇄한 뒤, 분쇄물 중량의 10배 부피량(w/v)의 80% 에탄올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식으로 총 3회에 걸쳐 반복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한 뒤 감압농축을 한 후에 덱스트린을 혼합한 뒤 열풍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는다.
아래 실험에서 사용될 알팔파 추출물은 알팔파를 선별하여 분쇄한 뒤, 알팔파 분쇄물 200kg의 15배 부피량(w/v)의 50% 에탄올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식으로 총 3회에 걸쳐 반복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한 뒤 감압농축을 한 후에 덱스트린을 혼합한 뒤 열풍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알팔파 추출물 60 kg을 얻는다.
3) 일년봉 추출물과 알팔파 추출물의 복합물
1)에서 추출된 일년봉 추출물과 2)에서 추출된 알팔파 추출물을 각각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제조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년봉 추출물 또는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에 의한 탈모 개선 또는 발모 및 양모 효과를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1: 동물실험에서 발모 효과 측정
<1-1> 시험대상
5주령의 C57BL/6 수컷 생쥐{(주)샘타코바이오코리아, 대한민국}를 1주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뒤 12시간 단위로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고, 실내온도 18 내지 23℃, 습도 60%를 유지하는 공간에서 사육하였다. 사료는 고형사료를 공급하였고, 사료 및 급수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1-2> 제모 및 시료의 도포
<1-1>의 시험대상 수컷 생쥐를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제1 실험군 및 제2 실험군으로 각각 5마리씩 분류하였다. 이발기를 이용해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제1 실험군 및 제2 실험군의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등 부위 털을 1차적으로 제거한 뒤, 2차적으로 제모제를 발라 모낭이 눈에 보이지 않을 때까지 제거하였다. 1일 후, 음성대조군은 vehicle액(propylene glycol : water : ethyl alcohol in a ratio of 5:3:2)을, 양성대조군은 3% Minoxidil sulfate (Sigma, USA)를, 제1 실험군은 2% 일년봉 추출물 용액을, 제2 실험군은 2%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 용액을 붓을 이용하여 제모한 등 부위에 같은 양으로 30일간 도포하였다.
<1-3> 발모 효과 평가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등 부위의 시료도포 부위 조직을 적출하여 와트만 페이퍼에 펴서 붙인 후 개체 당 2 곳의 털의 밀도를 제곱미터 당 평균값으로 분석하여 음성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Student’s T-test를 이용한 통계처리로 유의성을 검증하여 음성대조군 또는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p<0.05 vs. 음성대조군; # p<0.05 vs. 양성대조군).
<1-4> 시험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Minoxidil sulfate를 도포한 양성대조군은 털의 밀도가 음성대조군에 비해 42% 높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일년봉 추출물을 도포한 제1 실험군은 털의 밀도가 음성대조군에 비해 58% 높게 측정되었으며,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도포한 제2 실험군은 털의 밀도가 음성대조군에 비해 210%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일년봉 추출물의 발모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고, 일년봉과 알팔파 추출물이 혼합될 경우 일년봉 단독일 때보다 3배 이상 발모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활성 억제 평가
<2-1> 시험재료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는 위스타(Wistar) 쥐의 부고환에서 얻었다. 관류하여 혈액을 제거하고 부고환을 적출하여 0.25 M sucrose, 1 mM dithiothreiotol,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PBS를 가하여 균질화하고, 4℃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였다. 상층액을 거즈로 여과하고, 4℃ 3,000 rpm에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5-알파 환원효소의 효소 반응은 Mitamura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진행하였다{Mitamura K, Ogasawara C, Shiozawa A, Terayama E, Shimada K (2005) Determination method for steroid 5a-reductase activity using liquid chromatography/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mass spectrometry. Anal Sci 21:1241~1244}.
효소액 0.1 ml에 50% 에탄올을 녹인 다양한 농도의 시험액 50㎕ (제1 실험군: 일년봉 추출물; 제2 실험군: 일년봉 추출물과 알팔파 추출물의 복합물; 양성 대조군: 피나스테리드; 음성 대조군: 50% 에탄올), 100 mM McIlvaine buffer (pH 5.0) 610 ㎕, 0.4 mM testosterone 20 ㎕을 첨가하여 반응 용액을 만들고, 34 mM NADPH 20㎕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dichloromethane에 p-hydroxybenzoic acid n-hexyl ester를 녹인 용액(0.01 mg/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정지된 용액을 잘 혼합하여 9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을 제거하고, dichloromethane층을 질소를 이용해 제거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테스토스테론 양을 측정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법을 이용하여 HPLC를 실시하였으며,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은 피크-면적 비로 아래 계산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계산식 1]
효소 활성 억제율(%) = 100 × Csample / Ccontrol
C: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
Csample: (시험물질 피크 면적비) - (음성대조군 피크 면적비)
Ccontrol: (반응을 시작하지 않았을 때의 피크 면적비) - (음성대조군 피크 면적비)
<2-2> 시험 결과
5-알파 환원효소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은 전환율(%,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을 낮추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저해도(%)가 높을수록 탈모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년봉 추출물 또는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도(%)가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농도(㎍/㎖) DHT 전환율(%) 5AR 활성 억제율(%)
대조군 - 36.2±0.4 -
제1 실험군 50 27.8±0.5 26.6
100 23.4±0.5 38.3
제2 실험군 50 19.1±1.1 49.6
100 9.1±0.8 76.6
피나스테리드 250 6.8±0.4 81.8
특히 제1 실험군과 제2 실험군은 각각 50㎍/㎖과 100㎍/㎖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이 낮았으며, 5AR 저해율은 높았다. 따라서 일년봉 추출물,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은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탈모의 원인이 되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을 억제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3: 인체실험을 통한 탈모 개선 평가
<3-1> 인체시험 대상자 및 투여 방법
일년봉,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통한 혈중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감소 및 탈모개선 인체효능평가를 위하여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15인의 남·여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지원자는 무작위로 5인씩 세 군으로 나누어 제1 실험군은 일년봉 추출물을, 제2 실험군은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그리고 음성 대조군은 위약(덱스트린)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각각 400 mg을 12주간 매일 섭취하도록 하였다.
<3-2> 탈모 개선 및 양모 평가 방법
시험자를 통한 육안 평가는 피험자의 두피를 사진 촬영한 후, 2명의 시험자가 발모 정도를 7단계의 척도로 각각 평가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탈모 개선 및 양모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3: 매우 감소; -2: 중간 감소; -1: 약간 감소; 0: 변화 없음; +1: 약간 증가; +2: 중간 증가; +3: 매우 증가).
또한, 표 2의 설문지를 통한 자가 평가를 통해 탈모가 진행 중인 피험자 스스로 탈모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자가 평가 검사는 아래의 각각의 항목에 대해 3단계의 척도로 평가하는 3-point rating scale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질문에 대해 호전, 변화 없음, 악화 중에 해당하는 것에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결과는 각 실험군의 전체 피험자수 중에서 호전, 변화 없음, 악화로 각각 답변한 사람의 인원수 비율을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번호 질문
1 두정부 탈모 부위의 크기 변화
2 정수리에서의 탈모
3 전두부 탈모 변화
4 모발 탈락
5 모발의 질
6 전체적인 만족도
<2-2> 탈모 증상 개선 및 양모 기능성 평가 결과
시험자의 육안 평가를 통해 탈모 증상 개선을 확인한 결과,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실험군과 제2 실험군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탈모 증상이 개선되며 발모 및 양모가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을 섭취한 제2 실험군에서 8주 후, 중간 정도의 발모 효과가 나타났다.
4주 및 8주 후에 시행한 피험자의 자가 평가에서도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실험군과 제2 실험군의 탈모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모발의 질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자각 혹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일년봉 추출물,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추출물은 모발의 양모와 탈모 증상 예방하거나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군\기간 0주 4주 8주
대조군 - 0.0 0.1
제1 실험군 - 0.5 1.0
제2 실험군 - 1.0 2.2
번호 질문 답변 대조군 제1 실험군 제2 실험군
4주 8주 4주 8주 4주 8주

1

두정부 탈모 부위의
크기 변화
호전 20 20 20 60 60 80
변화없음 80 60 80 40 40 20
악화 20

2

정수리에서의 탈모
호전 20 20 40 40 100
변화없음 100 40 80 60 60
악화 40

3

전두부 탈모 변화
호전 40 60 100
변화없음 100 80 100 60 40
악화 20

4

모발 탈락
호전 20 20 40 80 60 100
변화없음 80 40 60 20 40
악화 40

5

모발의 질
호전 20 20 40 40 80
변화없음 100 40 80 60 60 20
악화 40

6

전체적인 만족도
호전 20 20 40 60 60 100
변화없음 80 40 60 40 40
악화 40

Claims (2)

  1. 일년봉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일년봉 및 알팔파 복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일년봉 및 상기 알팔파가 7:3의 비율로 혼합되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103834A 2015-07-22 2015-07-22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6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34A KR101665319B1 (ko) 2015-07-22 2015-07-22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34A KR101665319B1 (ko) 2015-07-22 2015-07-22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319B1 true KR101665319B1 (ko) 2016-10-12

Family

ID=5717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34A KR101665319B1 (ko) 2015-07-22 2015-07-22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336A (ja) * 2005-08-12 2007-03-22 Takehito Kono 育毛物質
KR20110005363A (ko) * 2009-07-10 2011-01-1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336A (ja) * 2005-08-12 2007-03-22 Takehito Kono 育毛物質
KR20110005363A (ko) * 2009-07-10 2011-01-1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8725B (zh) 一种含二氨基嘧啶氧化物和吡咯烷基二氨基嘧啶氧化物的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151718B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US20140113887A1 (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stimulating hair growth
CN115317429A (zh) 含重组胶原蛋白具有修护舒缓功效的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眼霜及制备方法和应用
CN113750014B (zh) 一种防脱育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120949B (zh) 一种水光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665319B1 (ko)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23021B1 (ko) 하이드록시 데카노익애씨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50029043A (ko) Gpcr19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6427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mixture comprising silicon and biotin and methods of use
CN115887329A (zh) 一种抗敏、舒缓、修护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60085011A (ko) 홍화자 추출물 또는, 홍화자 및 빈랑자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지분비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339134B (zh) 一种防治脱发组合物、防治脱发产品及其制备方法
CN113499271A (zh) 一种抗敏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31881B (zh) 一种防皮肤干裂的藏绵羊油
KR101484685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045261A1 (ja) Cd39遺伝子の発現低下の抑制剤
EP0954321B1 (en)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gold and a corticosteroid
US2015011829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hair loss
KR101135285B1 (ko) 엘라직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증진용 조성물
JPH06135821A (ja) 養毛料
EP4342442A1 (en) Composition with endothelin inhibiting effect,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JP7411196B2 (ja) Xvii型コラーゲン維持強化剤
KR101957845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30140298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and pdrn and use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