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349A -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349A
KR20000031349A KR1019980047340A KR19980047340A KR20000031349A KR 20000031349 A KR20000031349 A KR 20000031349A KR 1019980047340 A KR1019980047340 A KR 1019980047340A KR 19980047340 A KR19980047340 A KR 19980047340A KR 20000031349 A KR20000031349 A KR 2000003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ir
extrac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현순
김만욱
양재원
박명한
전병선
김나미
이종태
박채규
Original Assignee
박명규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1998004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349A/ko
Publication of KR2000003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증을 예방하고 탈모된 머리에서 다시 머리카락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발모제는 인삼과 한약제 천궁, 한련초, 보골지, 당귀, 측백엽, 홍화, 적하수오, 녹각을 50∼70%의 에탄올로 냉침 또는 50∼80℃에서 가온추출한 후, 추출액을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당약엑기스를 녹이고 여과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판토텐산 칼슘, 피리독신-염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과일향 등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50% 에탄올에 혼합 용해하여서 된 발모제이다.

Description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탈모증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탈모된 머리가 다시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과 생약성분이 함유된 발모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은 모낭의 손상여부에 따라 비반흔성 탈모증과 반흔성 탈모증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모낭이 파괴된 탈모는 모발의 재생이 불가능하다. 남성형 탈모를 비롯한 비반흔성 탈모는 이론적으로 모발이 다시 성장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약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남성형 탈모의 치료연구동향을 보면 서양의학에서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이용한 전신적 투여 또는 병변내 주사와 국소 도포방법, 미녹시딜(minoxidil)을 이용한 병변내 주사와 도포방법이 있으며, 그 밖에 스쿠아린산(squaric acid), DPCP(Diphenylcyclopropenone), DNCB(Dinitrochlorobenzene) 등을 이용한 국소 접촉 면역요법 등 여러 방법이 환자의 고유한 병변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미녹시딜은 혈압강하제로 개발 사용되어 오다가 1986년 휘들러 바이스(Fiedler-weiss)의 "미녹시딜 처방에 의한 발모효과"(Arch Dermatol, 122: 180-182, 1986)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이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미녹시딜 용액을 도포하여 그 유효율이 투여 8주에 41.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은 경구투여 하였을 때 빈맥, 오심, 심막염, 피로, 호흡곤란 및 남성에게서 여성형 유방증후군 등이 나타나는 등 전신적인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으며, 국소도포의 경우에는 심한 소양증 및 접촉피부염이 보고 되고 있고, 란코프(Ranchoff)등도 미녹시딜을 국소 도포하여 정상혈압을 가진 환자 30명 중 7명에서 의의있게 혈압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하였다(J. Am. Acad. Dermatol 12; 586, 1985).
한의학에서는 변증시치(辨證施治)를 기본으로 임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역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가 없고, 근래 중국에서 장광(章光)101등 발모제 처방이 보고되고 있으나 정확한 내용은 발표되지 않고 있다.
탈모증은 유전적 요인을 비롯하여 음식물, 공해,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외모를 중시하고, 영상문화가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탈모증은 개인의 사기 저하를 유발하고 미관을 해치며, 정신건강에 해가 되므로 꼭 극복되어야 할 질병이라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모증을 극복하기 위한 다수의 치료법이 서양의학과 한의학에서 개발되었으나 뚜렷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서 발모를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탈모증의 원인, 변증, 치료법 및 처방 등을 검토 연구하여 인삼성분의 발모효과에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한약제를 찾아내고, 조합하는 수많은 연구를 거듭한 끝에 인삼을 주로한 발모제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낭이 파괴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반흔성 탈모는 제외하고, 이론적으로 모발이 다시 성장할 수 있는데도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약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남성형 탈모를 비롯한 비반흔성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발모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발모제는 인삼 및 한방처방에 의한 여러 가지 한약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제로는 천궁, 한련초, 보골지, 당귀, 측백엽, 홍화, 하수오, 녹각 등의 성분이 기본으로 함유되는데, 이들은 모근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모세포의 활동을 활성화 시켜 모발을 재생시키는 인삼의 효능에 부가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상승적 생발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또,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당약 엑기스, 판토텐산 칼슘(Ca-Panthothenic acid), 피리독신-염산(Pyridoxine-HCL),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50% 에탄올로 구성된 부재료 성분은 주성분의 피부침투효과, 보습효과, 약효의 지속성 등을 높이기 위해 배합된다. 또한 산뜻한 과일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인삼 0.2중량부와 천궁 0.9중량부, 한련초 0.9중량부, 보골지 0.9중량부, 당귀 1.1중량부, 측백엽 0.7중량부, 홍화 0.7중량부, 적하수오 1.4중량부, 녹각 0.2중량부로 된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에 당약엑기스 0.1중량부,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중량부, 판토텐산 칼슘 0.05중량부, 피리독신-염산 0.1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1.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 발모제의 제조방법은 인삼과 천궁, 한련초, 보골지, 당귀, 측백엽, 홍화, 하수오, 녹각을 50∼70%의 에탄올로 냉침 또는 50∼80℃에서 가온추출한 후, 추출액을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당약엑기스를 녹여 여과한다. 다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판토텐산 칼슘, 피리독신-염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과일향을 배합성분 비율에 따라 배합하고 50% 에탄올에 혼합 용해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조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0.2g과 천궁 0.9g, 한련초 0.9g, 보골지 0.9g, 당귀 1.1g, 측백엽 0.7g, 홍화 0.7g, 적하수오 1.4g, 녹각 0.2g을 칭량하여 혼합한 다음, 50% 에탄올 100㎖를 가하고,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수욕조상에서 70℃로 6시간 추출한다. 이 추출액을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여기에 당약엑기스 0.1g을 녹인다. 다음, 이 생약추출액에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g, 판토텐산 칼슘 0.05g, 피리독신-염산 0.1g, 프로필렌 글리콜 1.0g, 글리세린 1.0g, 레몬향료 0.1g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고 50% 에탄올을 가하여 전체량이 100㎖가 되도록 정량하여 발모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천궁 3.6g, 한련초 3.6g, 보골지 3.6g, 당귀 4.3g, 측백엽 2.9g, 홍화 2.9g, 하수오 5.4g을 칭량하여 혼합한 다음, 70% 에탄올 200㎖를 가하고,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수욕조상에서 상온으로 1일간 추출한다. 다음 별도로 백삼 0.7g과 녹각 0.7g에 70% 에탄올 100㎖를 가하고, 같은 조건으로 2일간 추출한다. 이 둘을 여과하여 그 여액을 혼합한 다음 당약엑기스 0.4g을 녹이고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4g, 판토텐산 칼슘 0.2g, 피리독신-염산 0.4g, 프로필렌 글리콜 4.0g, 글리세린 4.0g, 사과향료 0.8g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고 50% 에탄올을 가하여 전체량이 400㎖가 되도록 정량하여 발모제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발모제를 가지고 발모촉진 효능에 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환자선정은 20-49세 사이의 남성형 탈모가 진행중인 남성환자 20명을 대상으로 8개월간 실시하였으며, 이들에게 약물을 1일 2회 이상 환부에 적량 도포하고 발모효과를 육안 관찰하였다. 치료 효과의 판정은 약물투약을 시작한 후 24주째의 모발 재생 정도를 투약전과 비교하여 아주 호전, 호전, 무반응, 악화 등의 4단계로 분류 판정하였다.
판 정 기 준 인원수(명)
아주 호전 성장모의 증가를 육안으로 뚜렷이 구분 7
호전 연모가 출현한 경우 2
무반응 치료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음 10
악화 탈모가 더욱 심해져 치료 중단 1
상기 표 1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남성형 탈모 환자 20명의 병변 부위에 본 발명 발모제를 도포한 결과 성장모의 증가가 육안으로 뚜렷이 구별되어 아주 호전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환자가 35%인 7명이었으며, 연모가 출현하여 호전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환자는 10%인 2명으로, 결과를 종합하면 유효하다고 판정할 수 있는 아주 호전과 호전이 45%인 9명이었다. 유효하다고 판정된 9명의 연모와 성장모가 처음으로 출현한 시기에 있어서는 연모의 출현이 발모제 투여 후 평균 49.8일 이었으며, 이후 연모와 성장모의 수는 실험 종료 24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연령군별에 따른 효과는 20대는 25%였고 30대와 40대는 모두 50%의 유효성을 보여주었으며, 환자의 연령과 유효율의 상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한의학적 처방의 문헌적 고찰과정을 거쳐 생약재를 선발하고 이들의 동물 및 임상학적 실험을 통해 효능 및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 피부에 도포시 피부의 안정성을 전문의료기관(충남대 의대 피부과)에서 확인하여 병변인에게 도포하였으며, 임상실험결과 발모효과가 양호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적은 발모제품으로 확인 되었다.

Claims (6)

  1. 인삼 0.2중량부와 천궁 0.9중량부, 한련초 0.9중량부, 보골지 0.9중량부, 당귀 1.1중량부, 측백엽 0.7중량부, 홍화 0.7중량부, 적하수오 1.4중량부, 녹각 0.2중량부로 된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에 당약엑기스 0.1중량부,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중량부, 판토텐산 칼슘 0.05중량부, 피리독신-염산 0.1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1.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인삼과 천궁, 한련초, 보골지, 당귀, 측백엽, 홍화, 적하수오, 녹각을 50∼70%의 에탄올로 냉침 또는 50∼80℃에서 가온추출한 후, 추출액을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제조한 생약 추출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백삼 또는 홍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로 과일향을 0.1∼0.2중량부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5. 인삼과 한약제 천궁, 한련초, 보골지, 당귀, 측백엽, 홍화, 적하수오, 녹각을 50∼70%의 에탄올로 냉침 또는 50∼80℃에서 가온추출한 후, 추출액을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한 후, 당약엑기스를 녹이고 여과하여 여기에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판토텐산 칼슘, 피리독신-염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과일향 등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50% 에탄올에 혼합 용해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수욕조상에서 70℃로 6∼24시간 추출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80047340A 1998-11-05 1998-11-05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1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40A KR20000031349A (ko) 1998-11-05 1998-11-05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40A KR20000031349A (ko) 1998-11-05 1998-11-05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49A true KR20000031349A (ko) 2000-06-05

Family

ID=1955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340A KR20000031349A (ko) 1998-11-05 1998-11-05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349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0A (ko) * 2000-10-21 2001-01-05 신민교 묵한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먹는 모발 영양제와 그제조방법
KR20020076834A (ko) * 2001-03-30 2002-10-11 최동재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US6689348B1 (en) * 2002-06-28 2004-02-10 Mo21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hair treatment
KR20040016331A (ko) * 2002-08-16 2004-02-21 (주)다모코스메틱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9550A (ko) * 2002-11-02 2004-05-12 김용옥 발모용 키트
KR100521157B1 (ko) * 2000-08-14 2005-10-14 한국인삼쌀주식회사 인삼 쌀 제조방법
KR100520935B1 (ko) * 1998-12-04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603122B1 (ko) * 2002-11-15 2006-07-20 최창원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73457B1 (ko) * 2002-04-01 2007-11-05 주식회사 헬스키퍼 발모촉진 효능을 지닌 조성물 및 그 이용 방법
KR100776754B1 (ko) * 2005-12-14 2007-11-28 이창구 모발 개선제
KR100778662B1 (ko) 2006-06-14 2007-11-2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천연 한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
KR100834108B1 (ko) * 2007-01-17 2008-06-02 (주)주환바이오.셀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114097B1 (ko) * 2008-11-25 2012-02-21 (주)아모레퍼시픽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9610A (ko) 2014-12-08 2016-06-17 (주)제누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항염 및 항균 효과 등을 가지는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94907A (ko) 2016-07-25 2016-08-10 (주)제누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항염 및 항균 효과 등을 가지는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10814A (ko) * 2017-07-21 2019-01-31 주식회사 제이지 발모제 조성물
KR102296279B1 (ko) 2021-04-15 2021-09-01 (주)새앙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9906B1 (ko) 2021-08-02 2022-02-09 (주)새앙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935B1 (ko) * 1998-12-04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521157B1 (ko) * 2000-08-14 2005-10-14 한국인삼쌀주식회사 인삼 쌀 제조방법
KR20010000830A (ko) * 2000-10-21 2001-01-05 신민교 묵한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먹는 모발 영양제와 그제조방법
KR20020076834A (ko) * 2001-03-30 2002-10-11 최동재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73457B1 (ko) * 2002-04-01 2007-11-05 주식회사 헬스키퍼 발모촉진 효능을 지닌 조성물 및 그 이용 방법
US6689348B1 (en) * 2002-06-28 2004-02-10 Mo21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hair treatment
KR20040016331A (ko) * 2002-08-16 2004-02-21 (주)다모코스메틱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9550A (ko) * 2002-11-02 2004-05-12 김용옥 발모용 키트
KR100603122B1 (ko) * 2002-11-15 2006-07-20 최창원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76754B1 (ko) * 2005-12-14 2007-11-28 이창구 모발 개선제
KR100778662B1 (ko) 2006-06-14 2007-11-2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천연 한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
KR100834108B1 (ko) * 2007-01-17 2008-06-02 (주)주환바이오.셀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114097B1 (ko) * 2008-11-25 2012-02-21 (주)아모레퍼시픽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9610A (ko) 2014-12-08 2016-06-17 (주)제누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항염 및 항균 효과 등을 가지는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94907A (ko) 2016-07-25 2016-08-10 (주)제누키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항염 및 항균 효과 등을 가지는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10814A (ko) * 2017-07-21 2019-01-31 주식회사 제이지 발모제 조성물
KR102296279B1 (ko) 2021-04-15 2021-09-01 (주)새앙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9906B1 (ko) 2021-08-02 2022-02-09 (주)새앙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571382B1 (en) 2021-08-02 2023-02-07 Saeang Co., Ltd.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1349A (ko)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CN108096091B (zh) 含冬虫夏草提取物的防脱发生发乌发组合物及制备方法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140255526A1 (en) Use of a ginseng extract to prevent and treat alopecia areata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20070067256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20090076671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003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1027519B1 (ko)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CN105232606B (zh) 一种用于痤疮治疗的外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43430A (ko)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4483B1 (ko) 홍삼, 당약, 천궁, 목단피 및 범부채를 함유하는 두피 및모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0729446B1 (ko) 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16270855B (zh) 一种治疗脱发的中药组合物
CN115869352B (zh) 一种治疗雄激素性脱发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414427B (zh) 治疗慢性皮肤瘙痒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048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50053393A (ko) 발모용 키트
KR20110068399A (ko) 탈모 예방 및 발모를 위한 천연 한방에센스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20049249A (ko)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