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097B1 -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097B1
KR101114097B1 KR1020080117695A KR20080117695A KR101114097B1 KR 101114097 B1 KR101114097 B1 KR 101114097B1 KR 1020080117695 A KR1020080117695 A KR 1020080117695A KR 20080117695 A KR20080117695 A KR 20080117695A KR 101114097 B1 KR101114097 B1 KR 10111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ginseng
extra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056A (ko
Inventor
문성호
민대진
이존환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0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포닌을 풍부하게 함유한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인삼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약해진 모근과 두피에 작용하여 모근에 영양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근과 두피를 건강하게 복구하는 모근 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인삼수, 6년근, 저온용출, 검은콩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모발 화장료 조성물, 모근 강화

Description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6 years root Panax Ginseng water}
본 발명은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포닌을 풍부하게 함유한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인삼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약해진 모근과 두피에 작용하여 모근에 영양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근과 두피를 건강하게 복구하는 모근 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들의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 을 완화시키는 효능과 더불어 모근을 강화하고 탈모를 방지하며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모발과 두피는 신체의 일부분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처럼 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이에 최근 샴푸,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에서, 세정 및 정전기 방지 이외에 모근에 영양을 증진시키고 탈모와 두피의 노화를 막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들에 있어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한 생약추출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증진시키려 하고 있는데, 이같은 성분들은 유효 성분의 불안정화로 인한 모발의 손상회복 효과가 부족하여 약해지고 노화된 모근과 두피에 영양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삼의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안정화시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인삼수를 다량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모근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인삼수를 다량 함유하여 우수한 모근 강화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6년근 인삼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과는 달리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인삼수를 함유함으로써 인삼의 주요 수용성 효능 성분을 안정하게 다량 함유할 수 있고 탈모의 원인이 되는 약해진 모근와 두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모근에 영양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근과 두피를 건강하게 복구하는 모근 강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검은콩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하여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모근 강화 효과를 증진시키며 약해지고 가늘어진 모발에 작용하여 영양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6년근 인삼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6년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한 Panax ginseng 품종으로서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생한다. 인삼 뿌리는 약용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고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의 뿌리는 비대근(肥大根)으로 원뿌리와 2~5개의 지근(支根)으로 되어 있고 미황백색이다. 지근의 수는 토질, 이식방법, 비료, 수분 등에 의해서 차이가 있으나 분지성이 강한 식물이며 그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 때에 한다. 인삼의 효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인삼은 예로부터 불로, 장생, 익기(益氣) 및 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세포 재생, 주름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피와 모발에서는 영양을 공급해 주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고 탈모와 머리가 희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6년근 인삼은 1년에 딱 3개월, 9월에서 11월까지만 수확하며, 이 시기에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이 가장 많다. 보통 인삼은 4년근부터 유효 성분이 생성되어 6년근이 되면 최고조에 이르고, 7년근 이상은 속이 하얗게 변해 가치가 없어진다. 이에 사포닌 함량이 가장 높은 6년근 인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가온을 통한 열수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제형들과는 달 리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법으로 용출하여 인삼의 주요 수용성 효능성분을 안정하게 포함하는 인삼수를 다량으로 조성물에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6년근 인삼수는 6년근 인삼로부터 얻은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저온 용출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6년근 인삼에 정제된 물을 넣고 상온에서 6시간 이상 용출한 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6년근 인삼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30.0중량%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5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검은콩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검은콩은 콩과 Glycine max 품종으로서 식용작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이고 줄 모양의 편평한 타원형이며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완전히 익으면 꼬투리가 터져서 종자가 흩어진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 모양과 편평하고 둥근 모양 등으로 다양하고 크기도 매우 다양하다. 종자의 빛깔은 황색, 검은색, 연한 갈색, 초록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종자 빛깔이 검은 것을 검은콩(흑두)이라고 한다. 최근 들어 검은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곡류로서 섭취뿐만 아니라 음료를 통해서도 섭취되고 있다. 또한 화장품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건성피부에 보습 효과, 가려움 진정 및 탈모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검은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검은콩을 에탄올에 가온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고 필터페이퍼(filter paper)를 이용하여 한번 더 여과하고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과의 혼합을 통해서 흑두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자인(Thujae semen)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occidentalis)) 측백나무과 Curpressaceae의 종자로써 난원형에서 긴타원형 또는 긴원주형이고 길이는 3~5mm, 지름은 2~3mm이다. 바깥 면은 엷은 황색 내지 황백색이고, 오래된 것은 점차 변하여 황갈색이 되며 많은 유지(fatty oil)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자의 바깥 면은 흔히 얇은 막질의 내종피로 싸여있고, 끝은 대개 뾰족하며 원삼능형으로 진한 갈색의 점이 있으며 아래쪽은 둔한 원형으로 색이 엷다. 백자인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백색 내지 황백색이고 배유가 많으며 풍부한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다(대한약전외 한약 규격집). 백자인은 양심안신(養心安身), 윤장통편(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으며(동양학개론), 동의보감의 모발편 삼성고(三聖膏) 처방에는 부자, 만형자 및 백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콧수염이나 머리털이 빠진 것을 다시 나오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백자인은 육모 활성을 높게 하는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 저해활성도 있어 탈모증상에 유용한 물질로써 사용될 수 있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3) 31, 91-98).
본 발명의 백자인 추출물은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측백나무의 종자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여과, 농축한 후 5배 용량의 물과 5배 용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진탕하여 층을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의 수분을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여과, 농축하면 백자인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은콩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사용감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포닌 성분이 풍부한 6년근 인삼수와 대표적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검은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활발한 혈액순환을 통해 모근 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삼수, 검은콩 및 백자인 추출물에는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나이 들어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작용하여 영양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샴푸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세정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나트륨,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와 양이온성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컨디셔너 성분들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3급 아미도아민과 4급 암모늄화합물, 고융점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과 임의 성분으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4급 암모늄화합물은 알킬(14-22)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4-22)디메틸 암모늄 클로라 이드, 수소화 탈로우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되며, 3급 아미도아민은 예를 들면 코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또한 아민류는 L-글루타믹산, 락틱산, 염산, 말릭산, 석씨닉산, 아세트산, 퓨마릭산, 시트릭산, EDTA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융점 화합물로는 지방알코올계, 지방산계, 지방알코올 유도체, 탄화수소계 등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이 포함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폴리알킬실록산계, 폴리아릴실록산계, 폴리알킬아릴실록산계,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과 사이클로폴리실록산 및 적당한 알킬 아미노 치환 화합물, 아모디메티콘 등을 포함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인삼을 저온 용출하여 제조한 인삼수가 갖는 모근 강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6년근 인삼 10g을 물 1000ml에 넣은 후 실온(18~25℃)에서 6시간 동안 저온 용출하고 0.45㎛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인삼을 넣지 않은 물을 포함하고, 비교예 2는 6년근 인삼 10g을 물 1000ml에 넣은 후 1시간 동안 가열(90~100℃)하고 0.45㎛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6년근 인삼 - 10g 10g
1000ml 1000ml 1000ml
추출 조건 - 1시간 가열 (90~100℃) 6시간 저온용출 (18~25℃)
[시험예 1] 모근 강화 효능 평가
모근 강화 실험은 Wnt 활성도를 측정하여 모근 강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Wnt 신호전달과정(signaling)은 발생 과정에서 세포의 분화 운명을 결정하는 개체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신호전달 과정이다. 또한 Wnt는 발생이 끝난 이후에도 세포의 증식과 분화의 조절자로 작용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많은 종류의 암들이 과도한 Wnt 신호전달과정(signaling)과 연관되어 있다. Wnt는 배아 발생기에서는 모낭의 형성을 유도하고, 출생 이후에는 모발 줄기세포(hair stem cell) 및 모발주기(hair cycle)를 조절해서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Wnt 신호전달과정의 활성화는 모낭의 생장기(anagen phase)를 유도해서 모근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실험을 위한 세포배양은 하기와 같다. 생쥐 배아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인 C3H/10T 1/2(ACTT)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0.5% 불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NEAA)이 들어 있는 MEM-α(최소필수배지-α, Minimum Essential Medium-α, GIBCO)에 넣고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플라스미드 트랜스펙션(plasmid transfection)은 Wnt의 활성화를 감시할 수 있는 TOP-Luc 플라스미드(인비트로젠(invitrogen) 사(社))와 β-gal 플라스미드가 사용되었다. 트랜스펙션은 리포펙타민 2000(Lipofectamine 2000, Invitrogen)을 이용하고 제조사가 제공하는 실험 방법을 참조하여 진행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C3H 세포를 24웰에 2x104 셀/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고, Opti-MEM(Gibco)에 1㎍의 플라스미드들과 6㎕의 Lipo2000을 섞어 DNA-Lipo 콤플렉스(complex)를 형성시킨 후, 세포 위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세포 내에 플라스미드를 도입시켰다. 플라스미드 도입 4~6시간 후에는 PBS로 두 번 세척하고 원래의 배양 배지로 교체 배양하여 세포의 회복을 도와주었다.
Wnt 활성도 측정도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세부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에 플라스미드들을 도입시킨 후 24시간 동안 배양해서 안정화 시킨 후, 시험 물질들을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세포를 차가운 PBS로 두 번 씻고, 세포에 리포터 라이시스버퍼(reporter lysis buffer, Promega)를 15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얻어진 세포 용출액을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4℃에서 12,000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각 실험군의 Wnt 활성도는 세포 용출액에 루시페라아제 기질(Luciferase substrate, Promega)을 4:1비율로 혼합하고, 루미노메터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비교하였다. 또한 세포용출액에 동량의 2X β-갈락토시다아제 엔자임 에세이 버퍼(2Xβ-galactosidase enzyme assay buffer, Promega)를 처리하고 37℃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실험군의 β-갈락토시다아제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각 실험군의 Wnt 활성도를 각각의 β-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도로 나누어 플라스미드 도입 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정하였으며, 이 보정값을 통계 처리하여 최종 활성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6년근 인삼을 저온 용출한 실시예 1은 6년근 인삼을 열수 추출한 비교예 2 및 인삼수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Wnt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수 추출한 인삼수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비교예 1보다 낮거나 비슷한 정도의 Wnt 활성도가 관찰되었다. 이는 모근 강화에 효과적인 인삼의 유효 성분들이 높은 온도에서 불안정하여 열수 추출시 추출물 내에 다량 함유될 수 없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저온 용출한 6년근 인삼수는 Wnt 활성 효능이 뛰어나고, 이를 다량 함유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할 경우에 모근이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3]
통상의 샴푸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2~3 및 비교예 3의 샴푸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저온 용출 인삼수를 함유하였고, 실시예 3은 저온 용출 인삼수와 함께 검은콩 추출물 및 백자인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검은콩추출물은 모아캠, 백자인추출물은 한불화농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3은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인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였다.
조성 비교예 3
(중량%)
실시예 2
(중량%)
실시예 3
(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16 16 16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세틸알코올 0.6 0.6 0.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구아하이드록시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 0.2 0.2
향료 1.0 1.0 1.0
방부제 0.03 0.03 0.03
구연산 0.19 0.19 0.19
실시예 1의 저온 용출 인삼수 - 27.3 27.3
비교예 2의 인삼 열수 추출물 27.3 - -
검은콩추출물/백자인추출물 - - 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2] 사용 품질 시험
20~30세 여성 1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3 및 비교예 3의 샴푸를 2주일 동안 매일 사용하도록 한 후, 하기 설문항목에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설문항목 비교예 3 실시예 2 실시예 3
1. 기포가 잘 나고 기포 느낌이 좋다 5.4 5.5 5.5
2. 헹굼시 느낌이 좋고 손가락 통과가 잘된다 5.7 5.8 5.7
3. 반건조시 빗질이 쉽고 부드럽다 5.4 5.7 5.6
4. 건조 후 모발 손질이 쉽고 부드럽다 5.6 5.7 5.8
5. 건조 후 두피와 모근 부분의 개운함이 느껴진다. 5.1 5.9 6.2
6. 2주 후 모발의 풍성함이 느껴진다. 5.3 6.0 6.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저온 용출 인삼수를 포함하는 실시예 2~3을 사용한 경우에는 인삼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을 사용한 경우보다 사용 후 모근과 두피의 개운함과 2주 후 모발의 풍성함의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저온용출 인삼수, 검은콩 추출물 및 백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용출 인삼수만을 함유하는 실시예 2에서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저온 용출한 6년근 인삼수, 검은콩 추출물 및 백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사용시 품질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저온 용출한 6년근 인삼수와 함께 검은콩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와 모근에 Wnt 활성화를 통해 모근 강화의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감도 우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저온 용출한 6년근 인삼수의 Wnt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7)

  1. 6년근 인삼수, 검은콩 추출물 및 백자인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년근 인삼수가 6년근 인삼을 정제수에 넣고 저온 용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근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년근 인삼수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근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추출물 및 백자인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근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근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KR1020080117695A 2008-11-25 2008-11-25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695A KR101114097B1 (ko) 2008-11-25 2008-11-25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695A KR101114097B1 (ko) 2008-11-25 2008-11-25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056A KR20100059056A (ko) 2010-06-04
KR101114097B1 true KR101114097B1 (ko) 2012-02-21

Family

ID=4236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695A KR101114097B1 (ko) 2008-11-25 2008-11-25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923A (ko) 2012-11-07 2014-05-15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35B1 (ko) * 2014-11-19 2021-07-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349A (ko) * 1998-11-05 2000-06-05 박명규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349A (ko) * 1998-11-05 2000-06-05 박명규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923A (ko) 2012-11-07 2014-05-15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056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20070046027A (ko) 두피두발용 조성물
KR10144301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8858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KR20140107010A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430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92256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3574B1 (ko) 검은콩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097B1 (ko)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9762B1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KR20110001290A (ko) 발모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20000022127A (ko) 두부용 조성물
KR20100037906A (ko)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58921A (zh) 一种包含茶麸和迷迭香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99410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6297A (ko)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060848B1 (ko) 아르간오일 및 로얄제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35645B1 (ko) 천연식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KR101660915B1 (ko) 홍삼 추출물 함유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7966B1 (ko) 헤어케어 조성물
KR101362236B1 (ko) 생약재로 구성된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