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991A -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991A
KR20100080991A KR1020090000236A KR20090000236A KR20100080991A KR 20100080991 A KR20100080991 A KR 20100080991A KR 1020090000236 A KR1020090000236 A KR 1020090000236A KR 20090000236 A KR20090000236 A KR 20090000236A KR 20100080991 A KR20100080991 A KR 2010008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black
blue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민대진
안수미
이존환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0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991A/ko
Publication of KR2010008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한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약해진 모근과 두피에 작용하여 모근에 영양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근과 두피를 건강하게 복구하는 모근 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검은콩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모발 화장료 조성물, 모근 강화

Description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hair root}
본 발명은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한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하며,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모발과 두피는 신체의 일부분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처럼 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고 유해환경 등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며 모근을 강화하고 탈모를 방지하며 두피의 노화를 막고 모발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이에 최근 샴푸,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에서, 세정 및 정전기 방지 이외에 모근에 영양을 증진시켜 탈모와 두피의 노화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토시아닌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의 유효 성분들을 안정화시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모근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다량 함유하여 모근 강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두피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검은콩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제형과는 달리 블루베리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안토시아닌성분의 배가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탈모의 원인이 되는 약해진 모근와 두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모근에 영양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근과 두피를 건강하게 복구하는 모근 강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흑진주 추출물, 로열젤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하여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모근 강화 효과를 증진시키며 약해지고 가늘어진 모발에 작용하여 영양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 이외에 흑진주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검은콩은 콩과 Glycine max 품종으로서 식용작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이고 줄 모양의 편평한 타원형이며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완전히 익으면 꼬투리가 터져서 종자가 흩어진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 모양과 편평하고 둥근 모양 등으로 다양하고 크기도 매우 다양하다. 종자의 빛깔은 황색, 검은색, 연한 갈색, 초록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종자 빛깔이 검은 것을 검은콩(흑두)이라고 한다.
최근 들어 검은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곡류로서 섭취뿐만 아니라 음료를 통해서도 섭취되고 있다. 또한 화장품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건성피부에 보습 효과, 가려움 진정 및 탈모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정콩 1알에는 단백질 40%, 탄수화물 35%(25%는 식이성 섬유, 10%는 올리고 당), 지질 20%, 비타민 5%, 안토시아닌, 칼슘,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이 들어 있다. 콩 단백질과 안토시아닌, 비타민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의 손상을 막아 노화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검은콩에는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성분이 들어 있으며, 검은콩의 비타민 E나 불포화 지방산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 또한,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탈모방지에 도움이 되어 탈모방지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검은콩 껍질의 검은색 색소성분인 안토시아닌 성분이 주요 효능원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검은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검은콩을 에탄올에 가온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고 필터페이퍼(filter paper)를 이용하여 한번 더 여과하고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과의 혼합을 통해서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블루베리는 북반구를 중심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도 정금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먹을 수 있다. 원예학적인 면에서 블루베리는 높이가 5m 내외로 자라는 하이부시베리(high bush berry:V. corymbosum)와 높이가 30cm 내외로 자라는 로부시베리(low bush berry:V. angustifolium var. laevifolium)로 한정된다.
블루베리는 블루색으로 상징되는 안토시안색소와 당분의 새콤달콤함, 점성이 있는 펙틴 그리고 은은한 향기에 있다. 성분 중에 식물섬유가 100g당 4.5g으로 있 고 미네랄, 칼슘, 철분, 망간이 많다. 다섯 개의 안토시아니딘 델피니딘, 시아니딘, 멀비딘, 페투니딩, 페오니딘에 세 개의 당(글루코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이 각각 한 개씩 결합한 형태로 청자색 색소성분인 안토시아닌 색소는 과피에 많으며 15종류의 안토시아닌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전에는 미국 인디언이 블루베리를 식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열매와 잎의 엑기스는 이전부터 괴혈병과 비뇨기병,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었다. 1976년에는 이탈리아의 Inverni Della Beffa 사의 블루베리 제품이 의과용의 의약품으로 승인되어 안과, 혈관장애질환에 유효한 평가를 얻어 프랑스, 스페인, 일본 등 수개국에서 의약품으로서 인가를 받아 생산되고 있다. 눈 망막의 로돕신 재합성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며 암 순응 촉진 효과의 기능을 한다. 또한 피부의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을 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루베리 추출물은 저온 추출공법을 이용하여 얻은 것으로서, 블루베리 열매와 하이드로글라이콜릭 용매(부틸렌글라이콜 : 물 = 50 : 50)를 1 : 4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반복 순환시켜 제조한다.
진주는 예전부터 값비싼 보석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중국에서는 보기 드문 보석이라는 뜻의 “진주”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토닉, 진정제, 해열제로써 상류층에서만 사용되었다.
진주에 대한 화학적 연구는 최근에야 이루어져, 영국의 E. Fremy는 진주를 희석된 산성용액에 녹였을 때, 불용성으로 남는 유기물질을 콘키올린(Conchiolin)이라 이름 붙였다. 과거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오를 대접하기 위해 그녀 의 진주귀걸이를 식초 안에 담구어 주었다. 칼슘 카보네이트가 격렬하게 녹은 후에 남아있는 밝고 노란 얇은 층인 콘키올린(Conchiolin)은 경단백질(scleroprotein)의 일종임이 밝혀졌는데, 이 콘키올린(conchiolin)은 20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각질층의 보습성분, NMF(natural moisturizing factor)와 유사한 성분이다. 이러한 콘키올린(conchiolin)은 모발의 유실된 아미노산을 보충하여 모발 밀도를 높이고, 모발을 윤택하고 건강하게 해주는 20여종의 혼합 아미노산이 863.23mg/100ml나 함유되어 있어, 피부나 보습에 좋은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모발에 우수한 보습효과를 준다고 알려진 분자량 500~1000의 펩티드 형태로 되어 있어 더욱 우수한 효과를 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흑진주 추출물은 흑접패에서 얻은 천연 진주 추출물로써 옛부터 유럽의 황후 귀족들에 의해 비장되어 온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흑진주는 핑크나 실버 등의 진주에 비해 훨씬 그 수가 적었다. 흑접패의 분포지역으로는 인도양이나 태평양의 적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 한정되어 있지만 일본에는 오끼나와까지 분포되어 있다. 옛부터 타히티, 피지 등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지역이 다산지역으로서 유명하고 이 외에도 파나마, 이집트, 마다카스카르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타히티산의 흑진주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흑진주 추출물은 흑진주 껍데기와 흑진주를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산을 가하여 탈회한 후 여과, 수세하여 콘키올린(conchiolin)을 얻는다. 이 콘키올린(conchiolin)에 다시 산을 가하여 가수분해하고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탈염탈색정제를 하여 최종적으로 흑진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로열젤리는 내역봉들이 다량의 화밀과 화분을 먹고 만들어 낸 물질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각종 미량 원소를 고루 함유한 영양 물질로 그 효과가 크게 입증되어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있어 양봉 사업에서 그 비중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생로열젤리에는 비타민류나 그 밖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여성의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아세틸콜린의 신경전달물질과 근육, 뼈, 치아 등을 젊게 하며 노화방지를 하는 타액선 호로몬인 파로틴유사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10-HDA의 성분과 미지의 물질인 R-물질 등도 함유되어 있어 정신불안 갱년기 장애, 혈압이상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인정되었다.
이밖에 알려진 로열젤리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각종 외부 환경에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손상된 조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재활을 돕는 진정효과, 세균이나 병원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상처부위 치료를 도와 트러블 피부에 효과가 있는 항균효과, 박테리아 및 병원균 침입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건강을 보강하여 활력을 높여 주는 면역 증강 효과, 탄력을 잃은 피부 조직에 긴장을 부여하고 유해산소에 의한 조직 산화를 예방 및 지연 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는 수렴 및 노화 예방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추출물의 총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사용감과 방부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 이다.
또한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모근강화에 대한 시너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검은콩 추출물의 함량을 블루베리 추출물의 함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의 함량비가 부피비로 5:5 ~ 9:1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피비로 8:2임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표적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활발한 혈액순환을 통해 모근 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검은콩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흑진주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에는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나이 들어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작용하여 영양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샴푸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세정성분인 합성계 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어떤 것도 선택 가능하며,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와 양이온성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컨디셔너 성분들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3급 아미도아민과 4급 암모늄화합물, 고융점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과 임의 성분으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4급 암모늄화합물은 알킬(14-22)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4-22)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소화 탈로우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되며, 3급 아미도아민은 예를 들면 코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또한 아민류는 L-글루타믹산, 락틱산, 염산, 말릭산, 석씨닉산, 아세트산, 퓨마릭산, 시트릭산, EDTA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융점 화합물로는 지방알코올계, 지방산계, 지방알코올 유도체, 탄화수소계 등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이 포함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폴리알킬실록산계, 폴리아릴실록산계, 폴리알킬아릴실록산계,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과 사이클로폴리실록산 및 적당한 알킬 아미노 치환 화합물, 아모디메티콘 등을 포함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검은콩 추출물:블루베리 추출물=8:2(v/v))의 혼합물을 함유한 것이며 비교예 1은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것이고, 비교예 2는 검은콩 추출물만을 함유한 것이며, 비교예 3은 블루베리 추출물만을 함유한 것이다. 상기 검은콩 추출물은 모아캠, 블루베리 추출물은 한주CN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함량비(%)는 배지 부피에 대한 추출물의 함량을 의미하는 것이고, 사용한 배지는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0.5% 불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NEAA)이 들어 있는 MEM-α(최소필수배지-α, Minimum Essential Medium-α, GIBCO)이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검은콩 추출물 - 1% - 0.8%
블루베리 추출물 - - 1% 0.2%
[시험예 1] 모근 강화 효능 평가
모근 강화 실험은 Wnt 활성도를 측정하여 모근 강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Wnt 신호전달과정(signaling)은 발생 과정에서 세포의 분화 운명을 결정하는 개체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신호전달 과정이다. 또한 Wnt는 발생이 끝난 이후에도 세포의 증식과 분화의 조절자로 작용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많은 종류의 암들이 과도한 Wnt 신호전달과정(signaling)과 연관되어 있다. Wnt는 배아 발생기에서는 모낭의 형성을 유도하고, 출생 이후에는 모발 줄기세포(hair stem cell) 및 모발주기(hair cycle)를 조절해서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Wnt 신호전달과정의 활성화는 모낭의 생장기(anagen phase)를 유도해서 모근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실험을 위한 세포배양은 하기와 같다. 생쥐 배아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인 C3H/10T 1/2(ACTT)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0.5% 불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NEAA)이 들어 있는 MEM-α(최소필수배지-α, Minimum Essential Medium-α, GIBCO)에 넣고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플라스미드 트랜스펙션(plasmid transfection)은 Wnt의 활성화를 감시할 수 있는 TOP-Luc 플라스미드(인비트로젠(invitrogen) 사(社))와 β-gal 플라스미드가 사용되었다. 트랜스펙션은 리포펙타민 2000(Lipofectamine 2000, Invitrogen)을 이용하고 제조사가 제공하는 실험 방법을 참조하여 진행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C3H 세포를 24웰에 2x104 셀/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고, Opti-MEM(Gibco)에 1㎍의 플라스미드들과 6㎕의 Lipo2000을 섞어 DNA-Lipo 콤플렉스(complex)를 형성시킨 후, 세포 위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세포 내에 플라스미드를 도입시켰다. 플라스미드 도입 4~6시간 후에는 PBS로 두 번 세척하고 원래의 배양 배지로 교체 배양하여 세포의 회복을 도와주었다.
Wnt 활성도 측정도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세부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에 플라스미드들을 도입시킨 후 24시간 동안 배양해서 안정화 시킨 후, 상기 비교예 1~3 및 실시예 1의 시험 물질들을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세포를 차가운 PBS로 두 번 씻고, 세포에 리포터 라이시스버퍼(reporter lysis buffer, Promega)를 15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얻어진 세포 용출액을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4℃에서 12,000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각 실험군의 Wnt 활성도는 세포 용출액에 루시페라아제 기질(Luciferase substrate, Promega)을 4:1비율로 혼합하고, 루미노메터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비교하였다. 또한 세포용출액에 동량의 2X β-갈락토시다아제 엔자임 에세이 버퍼(2X β-galactosidase enzyme assay buffer, Promega)를 처리하고 37℃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실험군의 β-갈락토시다아제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각 실험군의 Wnt 활성도를 각각의 β-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도로 나누어 플라스미드 도입 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정하였으며, 이 보정값을 통계 처리하여 최종 활성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검은콩 추출물만을 함유한 비교예 2를 처리한 경우 아무것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Wnt 활성도가 높지만, 블루베리 추출물만을 함유한 비교예 3을 처리한 경우는 비교예 1보다 Wnt 활성도가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모두 함유한 실시예 1을 처리한 경우는 비교예 2보다 훨씬 더 우수한 Wnt 활성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의 단독 사용시보다는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효과에 의하여 보다 우수한 Wnt 활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Wnt 활성 효능이 뛰어나고, 모근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2] 실시예 2~3 및 비교예 4의 제조
통상의 샴푸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2~3 및 비교예 4의 샴푸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의 혼합물(검은콩 추출물:블루베리 추출물=8:2(v/v))을 함유하였고, 실시예 3은 상기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 혼합물과 함께 흑진주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상기 비교예 2에서 사용한 검은콩 추출물을 단독 함유하였다. 상기 검은콩 추출물은 모아캠, 블루베리 추출물은 한주CN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흑진주 추출물은 SEIWA KASEI, 로열젤리 추출물은 ㈜두레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조성 비교예 4
(중량%)
실시예 2
(중량%)
실시예 3
(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16 16 16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0.3 0.3 0.3
세틸알코올 0.6 0.6 0.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구아하이드록시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 0.2 0.2
향료 1.0 1.0 1.0
방부제 0.03 0.03 0.03
구연산 0.05 0.05 0.05
실시예 1의 검은콩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 0.8/0.2 0.8/0.2
비교예 2의 검은콩추출물 1.0 - -
흑진주추출물/로열젤리추출물 - - 0.1/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2] 사용 품질 시험
20~30세 여성 1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3 및 비교예 4의 샴푸를 2주일 동안 매일 사용하도록 한 후, 하기 설문항목에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설문항목 비교예 4 실시예 2 실시예 3
1. 기포가 잘 나고 기포 느낌이 좋다 5.4 5.5 5.5
2. 헹굼시 느낌이 좋고 손가락 통과가 잘된다 5.6 5.8 5.7
3. 반건조시 빗질이 쉽고 부드럽다 5.4 5.7 5.6
4. 건조 후 모발 손질이 쉽고 부드럽다 5.6 5.7 5.8
5. 건조 후 두피와 모근 부분의 개운함이 느껴진다. 5.1 6.0 6.2
6. 2주 후 모발의 풍성함이 느껴진다. 5.3 6.0 6.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2~3을 사용한 경우에는 검은콩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4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 후 모근과 두피의 개운함과 2주 후 모발의 풍성함의 항목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흑진주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도 함유하는 실시예 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보다 조금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사용시 품질면에 있어서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검은콩 추출물과 블루베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와 모근의 Wnt 활성화를 통하여 모근 강화의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감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검은콩추출물과 블루베리추출물의 Wnt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6)

  1.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흑진주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은 5:5~9:1의 부피비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근을 강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00236A 2009-01-05 2009-01-05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0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36A KR20100080991A (ko) 2009-01-05 2009-01-05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36A KR20100080991A (ko) 2009-01-05 2009-01-05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91A true KR20100080991A (ko) 2010-07-14

Family

ID=4264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36A KR20100080991A (ko) 2009-01-05 2009-01-05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9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860A2 (ko) * 2011-06-09 2012-12-13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17197A (ko) * 2012-07-31 2014-02-11 (주)아모레퍼시픽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80094820A (ko) * 2018-08-13 2018-08-24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100288A (ko) * 2018-08-30 2018-09-10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54058B1 (ko) * 2019-06-20 2020-09-09 (주) 티나인 블루베리 및 마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860A2 (ko) * 2011-06-09 2012-12-13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169860A3 (ko) * 2011-06-09 2013-03-07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US9572765B2 (en) 2011-06-09 2017-02-21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storation, comprising soy extract
CN107050097A (zh) * 2011-06-09 2017-08-1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预防脱发或促进毛发修复的含有豆提取物的组合物
KR20140017197A (ko) * 2012-07-31 2014-02-11 (주)아모레퍼시픽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80094820A (ko) * 2018-08-13 2018-08-24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100288A (ko) * 2018-08-30 2018-09-10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54058B1 (ko) * 2019-06-20 2020-09-09 (주) 티나인 블루베리 및 마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CN107296771A (zh) 一种去屑组合物及双料多效无硅油洗发露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922996B1 (ko) 천연물로 조성된 염모제
CN101965178B (zh) 含有植物的新芽提取物的用于抑制皮肤老化的组合物
KR20140107784A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CN105505635A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063875B1 (ko)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3612A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1965595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2002104924A (ja) 光老化防御剤
KR101063574B1 (ko) 검은콩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075842B1 (ko)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6831549B2 (ja) Abca12遺伝子発現促進剤
KR101114097B1 (ko) 6년근 인삼수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906A (ko)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1660915B1 (ko) 홍삼 추출물 함유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3761B1 (ko) 유니플라본을 함유한 새치 커버용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
KR20090102408A (ko) 모발 노화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