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69860A2 -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69860A2
WO2012169860A2 PCT/KR2012/004599 KR2012004599W WO2012169860A2 WO 2012169860 A2 WO2012169860 A2 WO 2012169860A2 KR 2012004599 W KR2012004599 W KR 2012004599W WO 2012169860 A2 WO2012169860 A2 WO 201216986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extract
beans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5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69860A3 (ko
Inventor
전희영
김승훈
김채욱
신현정
서대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280038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02660A/zh
Priority to US14/124,602 priority patent/US9572765B2/en
Publication of WO201216986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9860A2/ko
Publication of WO201216986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9860A3/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61Q7/02Preparations for inhibiting or slow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Definitions

  •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comprising soy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loss preventing or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extract.
  • Hair cycl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hases: growth, degeneration and rest.
  • anagen is the period when active cell division occurs in the dermal papilla and the growth of new hair is promoted, and hair grows only during this period.
  • Each hair has a growth period of about 3 to 5 years for males and 4 to 6 years for females. Thus, about 80 to 85% of hair corresponds to growth.
  • Catagen is a period in which cell division gradually stops and takes about three to four weeks.
  • talogen is the period when the hair papilla is atrophy and the hair is separated from the capillaries and simply embedded in the scalp. About three months and the hair at rest is easily pulled out by physical stim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moting hair health.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d ⁇ C 5 alcohol of ⁇ to 70% (v / v) concentra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ir health promo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C ⁇ C 5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1% to 70% (v / v).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lower alcohol, specifically, a lower concentration of lower alcohol as an active ingredient, thereby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f capillaries It nourishes epithelial cells of hair roots and stimulates hair roots to induce activ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Therefore, it inhibits the progress of hair loss and at the same time promotes hair growth, and further prevents the aging of the hair and scalp, and is excellent in improving hair health. In addition, for each hair, it is excellent in promoting hair growth by promoting the transition from the resting phase to the growth phase.
  • 1 is a picture showing the degree of hair growth of the mous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soybean extract.
  • hair los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hair falls off the scalp or a condition in which the hair is coarse or thin
  • hair loss prevention means preventing and suppressing hair loss as described above.
  • Promoting hair growth means not onl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new hair, but also keeping the existing hair healthy.
  • Hair growth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or sunlight,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sease of the individual, hormones, delivery, and exposure to radiation or other drugs.
  • the main causes of hair loss can be divided into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 Physiological aspects of the body include 5-alpha reductase, which increases the secretion of sebum by converting testosterone and testosterone, known as a type of androgen, into dihydrotestosterone (DHT).
  • DHT dihydrotestosterone
  • External factor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include lack of nutrients to the hair roots due to blood vessel atrophy caused by poor blood circulation and dry scalp.
  • the blood vessels are expanded to nourish the hair root, or the ingredients that act the same as the hair constituents are directly supplied to the hair root, or a detergent or sebum secretion inhibitor is used.
  • a detergent or sebum secretion inhibitor is used.
  • Vitamin E, unsaturated fatty acids or anthocyanins contained in soybeans, such as black soybeans, are known to be able to dilate blood vessels and thus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So far, research on soybeans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terms of how to isolate and purify th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pharmacological activity.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its use. Moreover, also in the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high concentration organic solvent which is the extraction method normally used for natural water has been mainly used. In addition to the known ingredients, soy extract has several unknowns, some of which may have useful pharmacological effects on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useful component may not be extracted by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using a high concentration organic solven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taken the recognition of the extraction methods commonly used in natural product extraction, but obtained extracts from soybeans using low concentration organic solvents as extraction solvents, and this extract is more potent than hair extracts extracted with high concentration organic solvents. It has been found to have hair growth promoting and hair health promoting effect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hair comprising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d ⁇ C 5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 70% (v / v) as an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and hair health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motion.
  • the soybean extract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 activation of the dermal papilla cells to promote proliferation and to expand the capillaries to activate the blood circulation to nourish the hair root. It also promotes transition to the growth phase for hair at rest. Therefor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may prevent hair loss, promote hair growth, further prevent hair aging, increase hair gloss, and strengthen hair root to enhance hair health.
  • th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ybean extract extracted using a low concentration organic solven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rganic solvent includes CrC 5 alcohol.
  • the d-Cs alcohol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 mixed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e, ethane, isopropyl alcohol, n-propyl alcohol n-butane and isobutanol, specifically Ethane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centration of the d ⁇ C 5 alcohol is 1 to specifically 1 to
  • the soybean includes all the soybean extrac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or promoting hair health.
  • the soybean comprises black beans or colored beans.
  • the soybean is frosted soybean, soybean, taetae, green soybeans (cheongtae), green beans, green beans, fence beans, green beans, red beans,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ybean sprouts, bean sprouts, sesame beans and soybeans.
  • black bean is a generic term for beans whose color of the grain husk is black.
  • Examples of the black soybea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eo tae, seomok tae and talgo, etc.
  • the name of black beans can be variously called by the influence of region, classification, and dialect.
  • black bean extract refers to a material extracted from black beans through various extraction methods, and includes, for example, a material extracted using an organic solvent, various fractions of the extracted material, and the like. .
  • the term "colored-bean” refers to a bean having a color of grainy color, and a bean having a color such as red, yellow, or blue as well as black.
  • Comprehensive Examples of the colored bean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eoritae, Seomoktae, Hwagotae, Taegeuk, Green Daebean, River Kidney Beans, Stains Kidney Beans, Korean Beans, Mung Beans, Red Beans, Soybeans, Bean Sprouts, Sesame Beans, or Soybeans. It is not.
  • the name of colored beans can be variously called by the influence of region, classification and dialect.
  • the term "colored soybean extract” refers to a substance extracted from colored soybeans through various extraction methods, and includes, for example, a substance extracted using an organic solvent, various fractions of the extracted substance, and the like. do.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0.0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d ⁇ C 5 alcohol of 1% to 70% (v / v) " concentr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ovided in any formulation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the oil phase in solution, aqueous phase,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the aqueous phase in oil phase, suspensions, solids, gels, powders, pastes, foams or aerosol compositions.
  • Compositions of such formulations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ubstances, other ingredients that can give a synergistic effect to the main effect within a range not impairing the main effect.
  •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tamin, a polymer peptide, a polymer polysaccharide and It may comprise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ngo lipid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isturizer, an emulsifier, a surfactant, a UV absorber, a preservative, a disinfectant, an antioxidant, a pH adjuster, an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 a perfume, a cooling agent, or a restricting agent. have.
  • the blending amount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nding amount may be 0.01 to 5% by weight, specifically 0.01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soy extract extracted with d ⁇ C 5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1% to 70% (v / v).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formulated into tablets, granules, drinks, caramel,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and synergistic effects may occur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other ingredients. have.
  • Dosage determin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s within the level of one skilled in the art, the daily dosage of which is for example from 0.1 mg / kg / day to 5000 mg / kg / day, more specifically from 50 mg / kg / day to It may be 500 mg / kg / 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ge, health condition, and complications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d ⁇ C 5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1% to 70% (v / v).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exhibit an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moting hair health.
  •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parenterally, rectally, topically, transdermally, intravenously, intramuscularly, intraperitoneally, subcutaneously.
  •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be tablets (! 3 ⁇ 4 ⁇ ), pills ' ( ⁇ ), soft and hard capsules, granules, powders, fines, liquids, emulsions or pelle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gels, injections, drops, suppositories, patches or sprays.
  • the formulations can be easily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s of the field, such as surfactants, excipients, hydrat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salts or buffers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colorants, spices, stabilizers, preservatives, Preservatives or other commonly used auxiliaries can be used as appropriate.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weight, pathology and severity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r the judgment of the prescriber.
  • Dosage determination based on these factors is within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its daily dosage may, for example, be from 0.1 mg / kg / day to 5000 mg / k g / day, more specifically from 50 mg / kg / day to 500 mg / kg.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 300 g of dried kidney beans were immersed in 1.5 L of an aqueous solution of 20% (v / v) ethane at a temperature of 60 ° C., and refluxed for 3 hours, followed by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extract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repare a powder sample. The yield was 3-15%, and the prepared powder was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300 g of the dried bean sprouts beans were immersed in 1.5 L of an ethanol solution of 20% (v / v) at a temperature of 60 ° C., and refluxed for 3 hours, followed by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extract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repare a powder sample. The yield was 3 ⁇ 15%, and the prepared powder was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Example 18 Preparation of Fence Bean Butane Extract 25 g of 20% (v / v) ethane obtained in Example 11 was dissolved in 25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extracted with 250 ml of n-butane twice using a separatory funnel. The obtained butanol layer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freeze drying to prepare a sample. The yield was 5 ⁇ 15%, and the prepared samples were kept until use.
  • Example 8 The 20% (v / v) ethane obtained in Example 8 was dissolved in bean sprout bean extract lg in 10 ml of distilled water, and extracted twice with 10 ml of n-butanol using a separatory funnel. Dried to prepare a sample. The yield was 5-15%, and the prepared sample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Example 12 25 g of the 20% (v / v) ethanol soybean extract obtained in Example 12 was dissolved in 250 mi of distilled water, and extracted twice with 250 ml of n-butane using a separatory funnel, followed b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followed by freeze drying. To prepare a sample. The yield was 5 ⁇ 153 ⁇ 4, and the prepared sample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Example 6 20% (v / v) ethane obtained in Example 6 was dissolved in 10 ml of kidney bean extract lg in distilled water, and then extracted with n-butane to 10 ml twice using a separatory funnel.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to prepare a sample. The yield was 5 ⁇ 15%, and the prepared sample was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the frost extract was obtain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yield was 7-20%, and the prepared powder was stored at low temperature until use.
  • DP cells were first prepared in 96-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0 4 cells / well per well.
  • Examples 1 to 4 and Examples 1 to 3 were dissolved in DMSCKDimethyl sulfoxide or ethane, respectively, and then serial dilution was performed with DMEM medium having a 5% FBS serum concentration so that the final concentration was lOppm. .
  • DMEM medium having a 5% FBS serum concentration so that the final concentration was lOppm.
  • DMEM medium having a 5% FBS serum concentration
  • MT solution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2 mg /, one for each well After addition, it was left for 4 hours in the same incubator. If the MTT reagent is determined to be absorbed by intracellular mitochondria, remove the supernatant, add DMS0,
  • Examples 1-4 dermal papilla cell growth promoting effect was better.
  • the soybean papilla cell proliferation promoting effect of Example 2 which is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20% ethanol, was the be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alcohol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omoting hair papilla cell proliferation, preven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and further promoting hair health.
  •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3 added to the medium production method is the same as in Test Example 1.
  • DMEM containing 10% FCS was added, cells were taken, and placed in EP tubes and centrifuged at 6000 rpm.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he remaining cell solution was suspended in PBS, and cell counts were measured using a hemocytometer. Based on this, the capillary expandability of Examples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was calculated. It is shown in the table below.
  • Example 2 which is a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20% ethanol was the best. Therefore, Alcolo extract can be seen that the soybean extract has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scalp capillaries, promoting hair health,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 Example 2 and 4 were used to evaluate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the mouse.
  • the dorsal hair of 47 53 day old mice (C57BL / 6) was removed with an electric clipper.
  • Mouse hair of this 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grow immediately because it is in the resting phase.
  • the mice with good back skin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include 5-7 mice per group, and then reared in a separate case.
  • the group that consumed cereal feed containing no soy extract was used as a control.
  • changes in the hair removal site of each group were observed, and a photograph thereof is shown in FIG. 1.
  • the hair of each newly grown mouse at the epilation site was collected by an electric clipper and weighe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 the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ethanol promoted the growth of mouse hair. This can also be seen in the appearance shown in Figure 1 and the hair weight of Table 3.
  • the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2 ethanol was very effective in promoting hair growth.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oybean extract extracted with alcohol has an excellent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 soybean extract 100 mg of soybean extract, 50 mg of soy extract, 180 mg of soybean oil, 2 mg of palm oil, 8 mg of palm oil oil, 4 mg of lead wax and 6 mg of lecithin were mixed and layered 400 mg per 1 capsu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a soft accelerator is prepared.
  • Seomoktae extract 100 mg of Seomoktae extract, 10 g of glucose, 2 g of citric acid and 187.8 g of purified water are mixed and layered in a bottle.
  • the final dose of the contents is 200 ml.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s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health foods, but may be modified arbitrarily, and the above ingredients may b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 the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for preparing a health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ream i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he table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내지 70%(v/v) 농도의 C1~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명칭】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기술분야】
<1> 본 발명은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2> 대부분의 동물들은 계절에 따라 털이 한꺼번에 빠지고 새로 털이 나는 털갈 이를 하나, 사람은 전체 약 10만개 정도의 모발 중 매일 100개 정도가 빠지고, 또 한 매일 약 100개 정도가 새로 태어나면서 항상 비슷한 개수를 유지한다.
<3> 모발의 주기 (hair cycle)는 성장기, 퇴행기 , 휴지기의 3주기로 크게 나눌수 있다. 그 중 성장기 (anagen)는 모유두에서 활발한 세포 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모발 의 성장이 촉진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만 모발이 성장한다. 각 모발은 대략 남성은 3~5년, 여성은 4~6년 정도의 성장기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약 80~85%의 모 발이 성장기에 해당한다. 퇴행기 (catagen)는 세포 분열이 점차 멈추어 가는 시기로 대략 3~4주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휴지기 (talogen)는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발이 모 세혈관과 분리되어 단순히 두피에 박혀 있는 시기이다. 대략 3개월 정도이며 휴지 기에 있는 모발은 대개 물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빠진다.
【발명의 내용】
【기술적 과제】
<4>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올 제공 하고자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5> 본 발명의 일측면은 \ 내지 70%(v/v) 농도의 d~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 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6>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1% 내지 70%(v/v) 농도의 C广 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7>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식품 또는 약 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저급 알코올, 구체적으로 저농도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모세 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 여 모근의 상피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모근을 자극하여 모유두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따라서 탈모의 진행을 억제함과 동시에 육모를 촉진하고, 나아가 모발과 두피의 노화를 방지하고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각 모발에 있어,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이행을 촉진함으로써 육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뛰어나 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9> 도 1은 콩 추출물 적용에 따른 마우스의 모발 성장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 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10> 본 명세서에서 "탈모" 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 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 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를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 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11>
<12> 모발의 성장은 온도 또는 일광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 개체의 영양 상태와 질환 유무, 호르몬, 분만 여부, 방사선 또는 각종 약물에의 노출 여부 등 여러 가 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탈모의 주 요인은 크게 생리적인 측면의 신체 내적인 요 인과 외부 환경에 의한 외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생리적인 측면의 신체 내적 인 요인으로는 남성호르몬 (androgen)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과 테스토스테론을 DHT(dihydrotestosterone)로 변환 시켜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5-알파 환원효소 (5-alpha reductase)의 활성 증가를 예로 들 수 있다. 외부 환경에 의한 외적인 요인으로는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혈관 위축에 따른 모근에로의 영양 공급 부족, 두피 건조 등을 들 수 있 다. 이를 토대로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기 위해서, 혈관을 확장시켜 모근 에 영양 공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모발의 구성 성분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성분을 직접 모근에 공급하거나, 세정제 또는 피지 분비 억제제를 이용하여 모근 부위의 과잉 피지를 제거하거나, 보습제를 이용하여 두피의 건조를 막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13> 검은콩을 예로 들 수 있는 콩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E, 불포화 지방산 또 는 안토시아닌은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콩에 관한 연구는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의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콩 자체의 의약적 용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도, 천연 물에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추출 방법인, 고농도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 방법 을 주로 사용해 왔다. 콩 추출물에는 밝혀진 성분 외에 여러 미지의 성분들이 있으 며, 이들 중 일부는 인체에 유용한 약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그 유용한 성분은 통상의 고농도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방법에 의해서는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추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에 대한 인식에 세벗어나, 저농도의 유기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콩으로부터 추출물을 획득 하였고, 이 추출물이 고농도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보다 더 강력한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짐을 밝혀냈다.
<14>
<15> 이에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내지 70%(v/v) 농도의 d~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콩 추출물은 모 유두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 및 모세 혈관을 확장시켜 혈 액 순환을 활성화하여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지기의 모발에 대해 성장기로의 이행을 촉진한다. 따라서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며 , 나아가 모발의 노화를 방지하고 모발의 윤기를 높이며, 모근을 강화하여 모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6>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저농도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 면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CrC5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d-Cs 알코올은, 예를 들 어 , 메탄을, 에탄을, 이소프로필알코을, n-프로필알코올 n-부탄을 및 이소부탄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흔합 용매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탄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d~C5 알코올의 농도는 1 내지 구체적으로 1 내지
40%(ν/ν) , 더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OT(v/v),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5%(v/v)일 수 있다.
<17>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콩은 그 추출물이 탈모 방지, 육모 촉진 또는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지는 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콩은 검은콩 또는 유색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콩은 서리태 서 목태, 혹태, 황태, 푸르대콩 (청태), 강낭콩 얼룩강낭콩, 울타리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콩, 선비콩 및 대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 다.
<18> 본 명세서에서 "검은콩 (black bean)" 이란, 낟알 껍질의 색이 검은 빛깔을 띠는 콩을 총칭한다. 상기 검은콩의 예로는, 서리태, 서목태 및 혹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검은콩의 명칭은 지역이나 분류, 방언의 영향 등에 의해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검은콩 추출물" 이란, 다양한 추출 방법을 통해 검은콩에서 추출된 물질을 총칭하며, 예를 들어, 유기 용매 등을 이용하여 추출된 물질, 추출된 물질에 대한 다양한 분획물 등을 포함한다.
<19> 본 명세서에서 "유색콩 (colored-bean)"이란, 낟알 껍질의 색이 질은 빛깔을 띠는 콩을 총칭하며, 검은색 뿐만 아니라 적색, 황색 또는 청색 등의 빛깔을 띠는 콩을 포괄한다. 상기 유색콩의 예로는, 서리태, 서목태, 혹태, 황태, 푸르대콩, 강 낭콩, 얼룩강낭콩, 을타리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콩, 선비콩 또는 대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색콩의 명칭은 지역이나 분류, 방언 의 영향 등에 의해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색콩 추출물"이란, 다양한 추출 방법을 통해 유색콩에서 추출된 물질을 총칭하며, 예를 들어, 유기 용 매 등을 이용하여 추출된 물질, 추출된 물질에 대한 다양한 분획물 등을 포함한다.
<20>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01 내지
90 중량 %, 구체적으로 1 내지 70 중량 %,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50 중량 %의 콩 추출 물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 %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21>
<22> 본 발명의 일측면은 1% 내지 70%(v/v) "농도의 d~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 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23>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견,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견,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 (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 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 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24>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 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보습제 ,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 방부제, 살 균제 ,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 (制汗) 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 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 구체적으로 0.01 3 중량 %일 수 있다.
<25>
<26> 본 발명의 일측면은 1% 내지 70%(v/v) 농도의 d~C5 알코을로 추출한 콩 추 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27>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 제, 드링크제, 캐러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 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 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과 동시에 적 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28>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으며 ,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 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9>
<30> 본 발명의 일측면은 1% 내지 70%(v/v) 농도의 d~C5 알코을로 추출한 콩 추 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 면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고, 육모를 촉진하며, 모발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31>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 은 정게 (!¾劑), 환제' (丸劑),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게 (顆粒劑), 산제, 세립제, 액제, 유탁게 (乳獨濟) 또는 펠렛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 구 투여를 위한.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 주사제, 점적제, 좌제 (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 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수 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층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32>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 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 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3>
<34>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 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 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5>
<36> [실시예 1 내지 4] 10%, 20%, 50% 및 70% 에탄을 서리태 추출물의 제조
<37> 건조된 서리태 1kg을 50°C의 온도에서 각각 10%, 20%, 50% 및 70%(v/v)의 에 탄올 용액 10L에 침지하여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동 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 하였다. 수율은 7~20%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38>
<39> [실시예 5] 20% 에탄을 서목태 추출물의 제조
<40> 건조된 서목태 1kg을 60°C의 온도에서 20¾>(v/v)의 에탄올 수용액 5L에 침지 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은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 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 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41>
<42> [실시예 6] 20% 에탄을 강낭콩 추출물의 제조
<43> 건조된 강낭콩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을 수용액 1.5L에 침 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 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44>
<45> [실시예 7] 20% 에탄을 얼룩강낭콩 추출물의 제조
<46> 건조된 얼룩강낭콩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을 수용액 1.5L 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47>
<48> [실시예 8] 20% 에탄을 콩나물콩 추출물의 제조
<49> 건조된 콩나물콩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올 용액 1.5L에 침 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 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50>
<5i> [실시예 9] 20% 에탄올 황태 추출물의 제조
<52> 건조된 황태 1k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을 용액 5L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 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냉동 보관하였다.
<53>
<54> [실시예 10] 20% 에탄올 푸르대콩 추출물의 제조
<55> 건조된 푸르대콩 300g을 6( 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을 용액 1.5L에 침 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 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넁동 보관하였다.
<56>
<57> [실시예 11] 20% 에탄을 울타리콩 추출물의 제조
<58> 건조된 울타리콩 1kg을 60°C의 온도에서 20¾(v/v)의 에탄올 용액 5L에 침지 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 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 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59>
<60> [실시예 12] 20% 에탄을 대두 추출물의 제조
<6i> 건조된 대두 1kg을 60°C의 온도에서 2 0(v/v)의 에탄을 용액 5L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 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¾>이었으 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62>
<63> [실시예 13] 20% 에탄올 거두 추출물의 제조
<64> 건조된 거두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을 용액 1.5L에 침지하 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 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넁장 보관하였다.
<65>
<66> [실시예 14] 20% 에탄올 적두 추출물의 제조
<67> 건조된 적두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올 용액 1.5L에 침지하 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 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68>
<69> [실시예 15] 20% 에탄올 혹태 추출물의 제조
<70> 건조된 혹태 300g을 60°C의 온도에서 20%(v/v)의 에탄올 용액 1.5L에 침지하 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3~15%이었 으며 ,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71>
<72> [실시예 16] 서리태 부탄을 추출물의 제조
<73> 실시예 2에서 얻어진 2 (v/v) 에탄을 서리태 추출물 25g을 증류수 250ml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25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올 층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 조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넁동 보관하였다.
<74>
<75> [실시예 17] 서목태 부탄을 추출물의 제조
<76> 실시예 5에서 얻어진 20%(v/v) 에탄을 서목태 추출물 lg을 증류수 10ml에 녹 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1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을 층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냉동 보관하였다.
<77>
<78> [실시예 18] 울타리콩 부탄을 추출물의 제조 <79>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20%(v/v) 에탄을 울타리콩 추출물 25g을 증류수 250ml 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25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 올 층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넁동 보관하였다.
<80>
<8i> [실시예 19] 푸르대콩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82>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20%(v/v) 에탄올 푸르대콩 추출물 lg을 증류수 10ml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올 1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을 층 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 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83>
<84> [실시예 20] 황태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85> 실시예 9에서 얻어진 20%(v/v) 에탄을 황태 추출물 lg을 증류수 10ml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1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올 층을 감 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된 시 료는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86>
<87> [실시예 21] 콩나물콩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88> 실시예 8에서 얻어진 20%(v/v) 에탄을 콩나물콩 추출물 lg을 증류수 10ml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올 1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올 층 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 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89>
<90> [실시예 22] 대두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91>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20%(v/v) 에탄올 대두 추출물 25g을 증류수 250mi에 녹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25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올 층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¾이었으며, 제 조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저온 보관하였다.
<92>
<93> [실시예 23] 강낭콩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94> 실시예 6에서 얻어진 20%(v/v) 에탄을 강낭콩 추출물 lg을 증류수 10ml에 녹 인 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n—부탄을 10ml로 2회 추출한 후 얻어진 부탄올 층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5~15%이었으며, 제조된 시료는 사용시까지 저은 보관하였다.
<95>
<96> [비교예 1] 물을 이용한 서리태 추출물의 제조
<97> 건조된 서리태 1kg을 100 °C의 온도에서 물 10L에 침지하여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 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7~2OT이었으며, 조제된 분 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98> .
<99> [비교예 2] 75%에탄올을 이용한 서리태 추출물의 제조
<ιοο> 건조된 서리태 1kg을 50°C의 온도에서 100¾)(v/v)의 에탄을 용액 10L에 침지 하여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액 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였다. 수율은 7~20¾> 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101>
<102> [비교예 3] 100%에탄을을 이용한 서리태 추출물의 제조
<i03> 100%(v/v)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리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율은 7~20%이었으며, 조제된 분말 은 사용시까지 저온에서 보관하였다.
<104>
<105> [시험예 1]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 평가
<106> 쥐수염 모유두세포 (Rat Vibrissa dermal papillae cell; 온도 민감 T항원올 인코딩한 폴리오마바이러스 라지 Τ 유전자 (polyomavirus large T gene)를 PVG 쥐수 염 모유두세포 (vibrissa dermal papilla cell)에 트랜스펙션하여 만든 PVGDPLTt sa 6이다. 이하, DP 세포라 한다.)를 이용하여 콩 추출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 과를 평가하였다.
<107> 먼저 DP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약 104 세포 /웰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버교예 1 내지 3을 DMSCKDimethyl sulfoxide) 또 는 에탄을에 각각 용해시킨 후, 5% FBS 세럼 농도를 가지는 DMEM 배지로 순차적 희 석 (serial dilution)하여 최종 농도가 lOppm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이 첨가된 배지 를 각각 웰 당 첨가한 후, 37 °C, 5% C02 배양 기에서 약 3일간 배양하였다. 2mg/ 의 농도로 조제된 MT 용액을 각 웰 당 씩 첨가한 후, 동일한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MTT 시약이 세포 내 미토콘 드리아에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0를 첨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 '게 프로마잔 (formazan) 염색 (dye)을 녹여내었다. 그런 다음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15nm 파장에서 O.D. 값을 측정하고, 미리 만들어둔 표준 곡선에 맞추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 수를 기초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능 (%)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에 나타내었다.
<108> 【표 1]
Figure imgf000013_0001
<109>
<ιιο> 상기에서 볼 수 있듯이, 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각각 7¾(v/v), 100%(v/v) 로 추출한 비교예 2 및 3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특히 20% 에탄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인 실시예 2의 모유두 세포 증 식 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은 모유두 세 포 증식을 촉진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며 나아가 모발 건강을 증진하 는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111>
<112> [시험예 2] 모세혈관 확장 효과 평가
<ιΐ3> K+ 채널이 열리면 미토제네시스 (mitogenesis)가 활성화되고 혈관 평활근
(vascular 'smooth muscle)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확장된다. 한편, K+ 채널이 차단되 면 NIH3T3 섬유아세포 (fibroblast)의 증식이 저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료 처리에 의해 NIH3T3 섬유아세포의 성장이 촉진되면, K+ 채널이 열린다고 볼 수 있 고, 나아가 혈관 확장이 촉진된다고 볼 수 있다.
<ιΐ4> 먼저 NIH3T3 섬유아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10 세포 /웰의 농도로 시
드 (seed)하고ᅳ 10% FCS( fetal calf serum) 및 2mM L-글루타민을 포함하며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각각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과 3이 첨가된 배지로 교체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과 3이 첨가된 배지 제조 방법은 시험예 1과 같다. 배지를 제거 한 후 PBS Ca /Mg 없음)로 세척하고, 0.5ml TE(trypsin-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10% FCS가 포함된 DMEM를 가하고 세포 를 취한 다음 EP 튜브에 담아 6000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 은 세포액을 의 PBS에 현탁한 후 혈구 계산기 (hemocytometer)를 사용하여 세 포 수를 측정하였다ᅳ 이를 기초로 실시예 내지 4 및 비교예 1과 3의 모세혈관 확 장능을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115> 【표 2】
Figure imgf000014_0001
<116>
<Π7> 상기에서 볼 수 있듯이, 물과 7 (v/v)로 각각 추출한 비교예 1 및 3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모세혈관 확장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20% 에탄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인 실시예 2의 모세혈관 확장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알코을로 '추출한 콩 추출물은 두피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 고 탈모의 진행을 억제하며 육모를 촉진함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 다-
<118>
<119> [시험예 3] 모발 성장 촉진 효과 평가
<120> 실시예 2와 4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생후 47 53일된 마우스 (C57BL/6)의 등 부위 털을 일렉트릭 크립퍼 (electric clipper)로 제거하였다. 상기 연령의 마우스 모발은 휴지기에 들어선 상태이므로 바로 성장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 중 등 부위 피부가 양호한 마우스들을 골라 한 군당 5~7마리의 마우스가 포함되도록 3개의 군으로 나눈 후, 별도의 케이 스에서 사육하였다. 실시예 2와 4가 각각 로 포함되도록 한 시리얼 사료를 식 이를 통하여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시리얼 사료를 섭취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23일 후 각 군의 제모 부위 변화를 관찰하고 그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모 부위에 새로 성장한 각 마우스의 모발을 일 렉트릭 크립퍼로 수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121> 【표 3】 . ·
Figure imgf000014_0002
<122> <123> 상기에서 볼 수 있듯이, 에탄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은 마우스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는 도 1에 나타나는 외관 및 표 3의 모발 무게에서도 알 수 있다. 특히, 2 에탄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매우 뛰어났다. 따 라서 알코을로 추출한 콩 추출물은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24>
<125> 아래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 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126>
<127> [제형예 1] 연질 캅셀제
<128> 서리태 추출물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대두유 180 mg, 팜유 2 mg, 팜경 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흔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술당 400 mg씩 층진하여 연질 갑셀제를 제조한다.
<129>
<130> [제형예 2] 정제
<i3i> 을타리콩 추출물 100 mg, 포도당 10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 이트 4 mg을 흔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C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한다.
<132>
<133> [제형예 3] 드링크제
<134> 서목태 추출물 100 mg, 포도당 10 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흔합 하고 병에 층진한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한다.
<135>
<136> [제형예 4] 건강 식품
<137> 서리태 추출물 1000 rag
<138> 비타민 흔합물
<139>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140> 비타민 E 1.0 rag
<i4i> 비타민 B1 0.13 rag
<142> 비타민 B2 0.15 rag
<:143> 비타민 B6 0.5 rag
<144> 비타민 B12 0.2 [返
<145> 비타민 C 10 mg <146> 비오틴 ·. 10 ig
<i47> 니코틴산아미드 1.7 mg
<i48> 엽산 50
<149> 판토텐산 칼슴 0.5 mg
<150> 무기질 흔합물
<i5i> 황산제 1철 1.75 rag
<152> 산화아연 0.82 mg
<153> 탄산마그네슘 25.3 mg
<154> 겨 U인산칼륨 15 mg
<155> 제 2인산칼슘 55 rag
<156> 구연산칼륨 90 nig
<157> 탄산칼슘 100 rag
<158> 염화마그네슘 24.8 rag
<159>
<160>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흔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 분을 흔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161>
<162> [제형예 5] 크림
<163>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쩨조한다.
<164> 【표 4】 ,
Figure imgf000016_0001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웅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1% 내지 70¾>(v/v) 농도의 d~C5 알코을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청구항 2】
1% 내지 70¾>(v/v) 농도의 d~C5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청구항 3】
계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rC5 알코을은 메탄을, 에탄을,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 올 및 이소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
【청구항 4】 - 저 1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콩은 서리태, 서목태, 혹태, 황태, 푸르대콩, 강낭콩, 얼룩강낭콩, 울타리 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콩, 선비콩 및 대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 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ᅳ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01 내지 90 중량 %의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6】
제 Γ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두피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는 조성물.
【청구항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청구항 8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청구항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CT/KR2012/004599 2011-06-09 2012-06-11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169860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8928.8A CN103702660A (zh) 2011-06-09 2012-06-11 用于预防脱发或促进毛发修复的含有豆提取物的组合物
US14/124,602 US9572765B2 (en) 2011-06-09 2012-06-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storation, comprising soy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97A KR20120136581A (ko) 2011-06-09 2011-06-09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1-0055597 2011-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9860A2 true WO2012169860A2 (ko) 2012-12-13
WO2012169860A3 WO2012169860A3 (ko) 2013-03-07

Family

ID=4729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599 WO2012169860A2 (ko) 2011-06-09 2012-06-11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72765B2 (ko)
KR (1) KR20120136581A (ko)
CN (2) CN107050097A (ko)
WO (1) WO20121698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714B2 (en) * 2015-11-19 2018-09-25 Avon Products, Inc. Peptid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hair
KR102457074B1 (ko) 2015-12-31 2022-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49710B1 (ko) * 2017-10-20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콩 배양조직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996A (ja) * 2003-10-15 2005-05-12 Sato Pharmaceutical Co Ltd 育毛剤
KR20050075474A (ko) * 2004-01-15 2005-07-2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콩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재생용 조성물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KR20100045045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100080991A (ko) * 2009-01-05 2010-07-14 (주)아모레퍼시픽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414A (ja) * 1982-11-29 1984-06-12 Sunstar Inc 毛髪保護用化粧料組成物
CN1736171A (zh) * 2005-07-28 2006-02-22 本溪市辽东新农业研究所 辽东青仁黑豆的选育生产方法及其食品的深加工方法
CN101115493A (zh) * 2005-08-12 2008-01-30 河乃建仁 生发剂
CN101254274B (zh) * 2008-03-27 2012-11-07 李洪元 一种治疗白发脱发的纳米中药组合物
JP5363800B2 (ja) * 2008-12-25 2013-12-11 ライオン株式会社 育毛剤組成物
CN102000311B (zh) * 2010-11-01 2011-12-21 袁志贤 一种具有生发作用的中药制剂的配方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996A (ja) * 2003-10-15 2005-05-12 Sato Pharmaceutical Co Ltd 育毛剤
KR20050075474A (ko) * 2004-01-15 2005-07-2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콩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재생용 조성물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KR20100045045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100080991A (ko) * 2009-01-05 2010-07-14 (주)아모레퍼시픽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50097A (zh) 2017-08-18
US20140093470A1 (en) 2014-04-03
US9572765B2 (en) 2017-02-21
KR20120136581A (ko) 2012-12-20
WO2012169860A3 (ko) 2013-03-07
CN103702660A (zh)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65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TW201206495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AGP-1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KR101965595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401090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secoiridoid glucoside derivatives
KR101965594B1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WO2012169860A2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TWI738671B (zh) 含有大豆皂苷的生長毛髮和/或修復毛髮促進用組合物
KR102251495B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647292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5816426B2 (ja) Cgrp応答性抑制剤
KR20120136583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4787908B1 (ja) 経口更年期症状改善剤
KR20190046685A (ko) 노나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06712B1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88468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JP5730549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2360927B1 (ko) 런시나트사이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TW201936169A (zh) 預防或改善皺紋的化妝料組合物、功能性食品組合物、藥物組合物及醫藥外品組合物
KR20190046697A (ko) 아이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RU279498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ыпадения волос или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волос
KR102435396B1 (ko) 이소프로스타노이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03212748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並びに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TWI353249B (en) 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KR20160071523A (ko)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96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2460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1.04.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96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