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95B1 -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95B1
KR102251495B1 KR1020190023403A KR20190023403A KR102251495B1 KR 102251495 B1 KR102251495 B1 KR 102251495B1 KR 1020190023403 A KR1020190023403 A KR 1020190023403A KR 20190023403 A KR20190023403 A KR 20190023403A KR 102251495 B1 KR102251495 B1 KR 10225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oss
hair
present
alopeci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983A (ko
KR102251495B9 (ko
Inventor
양민규
김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Publication of KR2019010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983A/ko
Priority to KR102021005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95B1/ko
Publication of KR10225149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9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므로, 탈모의 예방, 개선,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모 촉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탈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선천적인 요인(유전적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환경, 식습관, 자가면역질환)으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 중 하나이다. 전세계적으로 탈모인구는 1억 4천만명이상으로 전 세계인구의 14%가 탈모 환자이고, 국내 탈모 인구는 해마다 증가하여 1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특히 외모에 가장 민감한 시기인 20~30대 탈모 환자 비율이 48.5%로 가장 많은 연령층이다.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남성호르몬, 노화, 유전 및 영양의 불균형으로 탈모가 발병하게 되고 연모화 현상으로 모발이 가늘고 힘이 없어지며 성장기가 단축되어 휴지기 또는 퇴행기에서 모발의 탈락이 형성되고 모낭의 위축으로 모낭에 영양공급이 안되어 모낭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결국 탈모가 진행하게 된다.
탈모증의 치료법에 관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없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신응양진단 등 탈모에 관계되는 몇몇 복용하는 처방들이 있고, 호마유(참깨) 등을 탈모 부위에 마사지한다든지, 특정 한약처방을 주침해서 바르는 방법과 특정 혈위를 자극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효과에 있어서는 개인적 차이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의 탈모증 치료방법으로는, 호르몬설과 관련하여 여성 호르몬을 주재로 한 제제가 있으나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발모제로는, 처음에는 혈액 순환 촉진을 위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다가 이를 사용하는 환자들 사이에서 부작용으로 발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이후, 발모용 원료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승인받아 발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국특허 제3,382,247호의 미녹시딜(6-Amino-1,2-dihydro-1-hydroxy-2-imino-4-phenoxypyrimidine)및 미국특허 제 5,215,894 호에서 언급된 머크사의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가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과 피나스테리드는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를 통해 탈모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우울증 및 성기능장애등에 대한 부작용이 있고 장기간 복용을 하여야 하며 치료 중단 시 다시 탈모가 시작되는 부작용 및 독성에 대한 보고서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시판중인 탈모치료제는 효과가 미흡하거나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독성과 부작용이 보고됨에 따라 외과적인 수술방법을 찾는 환자들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장기간 복용에도 독성이 적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천연물 약제에서 추출 및 분리 정제한 탈모치료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한편, 중대가리풀(Centipeda minima)은 현화식물문,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중대가리풀속의 한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호주, 시베리아 동부,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민속의약으로 비염, 부비동염, 진통, 부기감소, 항암, 간 보호, 신경 보호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잎과 줄기를 그대로 비벼서 콧구멍에 넣고 하룻밤을 지내면 만성 말라리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도 눈병·콧병 및 치통에 사용한다. 그러나 발모효과 또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의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1013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7667호 미국특허 제5,215,8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탈모 치료제 및 발모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계속하던 중, 중대가리풀 추출물 및/또는 이의 분획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휴지기(telogen) 또는 퇴행기(catagen)에 있는 모낭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인해 성장기 (anagen)로 들어갈 수 있다. 성장기 모낭의 가장 큰 특징은 모낭의 가장 밑에 위치하고 있는 털망울이며, 이 털망울은 피하 지방층 아랫부위까지 위치하여 모낭의 길이가 가장 길며, 증식성이 높은 미분화된 세포들로 싸여 있다. 성장기에 모낭의 수가 많아지면 피부는 검은색으로 변하게 되고 피부의 두께는 가장 두꺼워진다. 모낭의 성장기는 발육개시초기부터 예를 들어 대략 2주 정도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중대가리풀은 Centipeda minima의 학명을 가지며, 꽃이 달린 전초를 아불식초라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중대가리풀의 입수 방법에 제한은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중대가리풀은 생(生) 중대가리풀, 분쇄물, 건조물, 건조 분쇄물, 발효물,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에 있어서 중대가리풀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다. 본 발명에서, 중대가리풀은 잎, 꽃잎, 뿌리, 줄기, 열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예컨대 중대가리풀 초본 전체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초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은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중대가리풀의 꽃이 달린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 등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나,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예를 들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추출물은 추출물 뿐만 아니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희석액, 농축물, 건조물, 발효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중대가리풀로부터 형성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이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감압 추출법 환류 추출법, 열수 추출법, 고온 가압 추출법, 초고압 추출법, 효소 추출법, 용매 추출법, 냉침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용출법, 압착법, 가열 추출법, 속슬렛 추출법 또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예를 들어, 증류수, 정제수, 무균수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바람직하게,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일 수 있다. 위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바람직하게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 % 내지 90 중량%일 수 있고, 15 % 내지 85 중량%, 20 내지 80 중량 %, 21 내지 75 중량 %, 22 내지 73 중량, %, 23 내지 70 중량 %, 25 내지 65 중량 %, 25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 25 내지 50 중량 %, 25 내지 45 중량 % 또는 25 내지 40 중량 % 일 수 있다. 더 낮은 함량으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의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생산 단가 측면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투여 대상에 따라 유해하고 자극적일 수 있는 추출 용매로의 알코올 성분을 최소화하여 인체 등의 적용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위와 같은 장점과 함께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충분히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약 30 중량 % 메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약 70 중량 % 메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약 30 중량 %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약 70 중량 %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수득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추출액을 분획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는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X), 에틸 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CHCl3), 디클로로메탄(CH2Cl2)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획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아세테이트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메탄올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3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7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에탄올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3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중대가리풀의 7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로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은 추출물로부터의 분획 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킴으로써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충분히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추가의 정제 과정을 더 수행하여 수득된 결과물로 정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정제는 이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과,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가 제거되거나,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예를 들어, 여과지 또는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예를 들어, 감압 농축기 또는 회전 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분무건조법 또는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의 방법은 증발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결 건조시에는 -50 내지 -70 ℃에서 3 내지 4일 동안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고,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0.01 μg/mL 내지 2,000 μg/mL의 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탈모는 피부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증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본 발명에서, 모발은 머리의 모근 및 모낭, 머리카락 및 속눈썹과 겉눈썹, 수염, 겨드랑이, 음모, 신체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모든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탈모는 구체적으로 영양장애성 탈모, 내분비장애성 탈모, 혈관장애성 탈모, 장년성 탈모, 결발성 탈모, 원형 탈모, 신경성 탈모, 비강성탈모, 트리코틸로 마니아, 악성탈모, 여성형 탈모, 남성형 탈모, 안드로겐성 탈모, 휴지기 탈모, 두부 백선, 전두 탈모, 감모증, 유전성 단순 감모증, 전신 탈모약제성 탈모, 기계적 탈모, 외상성 탈모, 압박성 탈모, 생장기 탈모, 비강성 탈모, 매독성 탈모, 지루 탈모, 증후성 탈모, 반흔성 탈모 및 선천성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탈모는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이 분야에서 탈모로 분류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이 탈락한 상태에서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이 성겨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상태에서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이 가늘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상태에서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예방 또는 개선의 관점에서 모발의 성장을 유지하고 모발이 가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 또는 발병이 억제되거나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반드시 탈모의 완전한 발병 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거나, 이전에 나타냈던 개체의 증상이 억제되거나, 감소되거나 또는 호전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서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현탁화제, 용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습윤제, 감미제 및 보존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하고 다양한 제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환제, 분말, 산제, 과립, 펠렛, 캡슐, 트로키(troches), 로젠지(lozenge),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제, 에어로졸제, 연고, 액제, 로션제, 패취제, 도포용 분말, 오일, 크림, 겔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는 예를 들어, 복강 투여, 직장 투여, 피하 투여,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흉부 투여, 뇌혈관 투여, 경피 투여 및 모발 투여를 들 수 있고,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것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부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한 양의 수준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건강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중대가리 추출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2,000 mg/kg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500 mg/k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수일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당 1회 내지 20회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일에 2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기간은 통상의 기술자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건강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주 내지 52주 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 분획물 및 탈모는 앞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탈모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 또는 발병이 억제되거나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반드시 탈모의 완전한 발병 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탈모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정도가 감소되거나 호전되거나 진행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대가리풀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 드링크제, 분말제, 정제 및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의 용어와 호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인 작용으로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식품의 냄새, 맛 또는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예를 들어, 풍미제, 증진제, 탄산화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 부틸히드록시톨루엔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및 개량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vitamin),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 또는 드링크제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모노사카라이드(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 분획물 등은 앞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솔젤, 현탁액, 에멀젼, 페이스트, 마이크로캡슐, 오일, 왁스, 에어졸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은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랜징폼, 헤어오일,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헤어스프레이, 패치, 연고제, 경고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및 분말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안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예를 들어, 겔화제,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 분획물 등은 앞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솔젤, 현탁액, 에멀젼, 페이스트, 마이크로캡슐, 오일, 왁스, 에어졸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은 예를 들어, 소독청결제, 욕용제, 물티슈, 연고, 크림, 로션, 비누, 샴푸, 린스, 에센스, 스프레이 및 패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예를 들어, 겔화제, 활성제, 보존제, 충전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서, 중대가리풀, 추출물, 분획물 등은 앞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식품,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발모"는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의미하며,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 양모 또는 육모의 의미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크게 촉진함으로써 발모 촉진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약학적, 식품,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는 예를 들어, 복강 투여, 직장 투여, 피하 투여,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흉부 투여, 경피 투여를 들 수 있고, 조성물을 두피 또는 모발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것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을 두피 또는 모발에 도포하거나 분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성장 촉진 보조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발성장 촉진 보조성분은 5알파-환원효소 억제 성분, 모근 및 모낭세포 활성 성분, 모낭세포 혈류 증강 성분, 살균 성분, 비듬방지제, 각질 연화제, 청량제, 보습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량(또는, 유효한 양)"은 바람직한 효과를 전달하기에는 매우 충분하지만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충분히 방지할 정도의 적절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체내에 투여되는 양은 투여 경로, 투여 대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개체는 동물을 말하며,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한 치료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이러한 개체의 바람직한 예로 인간과 같은 영장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며,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생장기로 빠르게 이행시킴으로써 모발의 육모와 그 자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특히 중대가리풀은 천연물로서 부작용 및 독성이 없기 때문에 도포, 분무 및 식용 등 다양한 투여 경로로 이용이 수월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및 발모 촉진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1에서 시험물질투여군, 양성대조군 1 및 양성대조군 2의 피부를 7일째까지 매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1에서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투여군, 양성대조군 1(1, 2) 내지 2(3)의 17일째 피부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1에서 육안검사를 통한 발모효능평가점수의 결과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1에서 17일차의 육안검사를 통한 발모효능평가점수의 결과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5은 실시예 1-2에서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투여군, 양성대조군 1 및 2의 조직을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1에서 정상개체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투여군(중대가리풀 추출물), 양성대조군 1(Tofacitinib) 및 양성대조군 2(Minoxidil)의 피부를 12일째까지 매일 관찰하여 발모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2-1의 시험 기간 동안 마우스의 몸무게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2-1의 시험 기간 동안 발모 효능 평가 점수를 수치화한 결과이다. (도 8의 A: 일자별 발모 효능 평가 점수, 도 8의 B: 12일차 발모효능 평가 점수)
도 9는 실시예 2-2의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투여군(중대가리풀 추출물), 양성대조군 1 및 양성대조군 2의 조직을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초기 성장기(Anagen_Early, A/e), 후기 성장기(Anagen_late, A/l), 초기 퇴행기(Catagen_early, C/e), 휴지기(telogen, t)
도 10은 실시예 3-1의 시험 기간 동안 마우스의 몸무게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3-1의 시험 기간 동안 발모 효능 평가 점수를 수치화한 결과이다. (도 11의 A: 일자별 발모 효능 평가 점수, 도 11의 B: 12일차 발모효능 평가 점수)
도 12는 실시예 3-2의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투여군(중대가리풀 분획물(MC: 디클로로메탄))의 조직을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초기 성장기(Anagen_Early, A/e), 후기 성장기(Anagen_late, A/l), 초기 퇴행기(Catagen_early, C/e), 휴지기(telogen, t)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중대가리풀 추출액의 제조
중대가리풀은 2017년 8월에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수확된 중대가리풀(Centipeda minima)의 건조된 지상부(구입처: 괴산약초유기농산물협동조합)를 2017년 9월에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구입한 중대가리풀 1.0 kg를 실온에서 80% 메탄올(MeOH)로 2회 추출(각 15.0 L × 3일)한 후 여과하여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5: 중대가리풀 추출액의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감압하여 증발시켜 193.2 g의 조추출물(crude extract)을 획득하고, 다시 800 mL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HX (800 mL × 3), CH2Cl2 (800mL × 4), EtOAc (800mL × 3), 및 n-BuOH(800 mL × 3)을 이용하여 극성이 증가하는 순차적 방향으로 계통적 용매분획법을 수행하여, 각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예 2(HX (23.0 g)), 제조예 3(CH2Cl2 (9.0g)), 제조예 4(EtOAc (9.0g)) 및 제조예 5(n-BuOH (32.7 g))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11: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제조
중대가리풀은 2018년 8월에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수확된 중대가리풀(Centipeda minima)의 건조된 지상부(구입처: 괴산약초유기농산물협동조합)를 2018년 9월에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구입한 중대가리풀은 각 추출물 별로 1.0 kg를 실온에서 에탄올(EtOH) 30%, 에탄올(EtOH) 70%, 에탄올(EtOH) 100%, 30% 메탄올(MeOH), 70% 메탄올(MeOH) 또는 100% 메탄올(MeOH)로 각각 2회 추출(각 15.0 L × 3일)한 후 여과하여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12-17: 중대가리풀 추출액의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2 내지 5에서의 분획물 제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예 6-11의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순차적 방향으로 계통적 용매분획법을 수행하고 각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제제예 1: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의 제조
에탄올과 글리세린를 혼합한 용매(65% : 5%)를 이용하여 제조예 3의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함량이 총 5% 농도가 되도록 토닉제형의 시험물질을 조제하였다.
제제예 2-13: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시험물질의 제조
증류수에 5% Tween 80과 5% 글리세린를 혼합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예 6 내지 17의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디클로메탄 분획물 각각을 함량이 총 20% 농도가 되도록 하여 시험물질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퇴행기 억제 동물모델 효능시험을 통한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탈모 예방, 치료, 개선 효과, 및 발모 촉진 효과 확인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퇴행기 억제기에서의 발모 효능 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수컷 C57BL/6 마우스(5주령)를 구입 후 1주일간 순화하여 몸무게가 16 내지 21 g인 동물을 선정하였다. 제모 시 피부 손상이 발생한 동물 또는 피부색인 검은색인 경우 생장기가 이미 진행된 상태로, 본 실험에 부적절하여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군은 각각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 투여군, 양성대조군 1, 2로 분리 하였으며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은 각각 1마리, 시험물질 투여군은 3마리, 양성대조군 1은 2마리, 양성대조군 2는 1마리로 군분리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은 용매 또는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며 음성대조군은 용매만 투여받은 군, 시험물질군은 제조예 3의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며, 양성대조군 1은 Minoxidil 투여 군이고, 양성대조군 2는 샴푸트리(Litsea glutinosa)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제조예 3의 토닉제형(제제예 1)을 100 μL 투여량으로 하루에 2번 6시간 간격으로 등쪽 피부에 7일간 도포하였고, 퇴행기유도 약물인 덱사메타손(페리덱스, 녹십자)을 0.1% 1 mL을 제모 부위에 5일간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 1과 2는 5% 농도로 100 μl를 도포하였다.
실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 후 사진촬영으로 발모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에 동물을 희생시켜 피부조직 병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모효능 육안 검사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전체 제모부위(용매 또는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도포부위)에서 검은색을 띄거나(생장기), 발모가 시작되는 부위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ImagePro Plus 5.0, Cybernetics, USA)으로 이미지분석을 실시하여 %로 수치화하였고, 수치화된 데이터는 그래프 제작프로그램(Prism 5.0, Graphpad, USA)을 이용하여 수치화된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육안 검사
마우스 피부를 육안으로 검사한 결과,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물질 투여군은 투여 3일차에 생장기로 이행하는 경향이 다른 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18.5%, 20.4%, 32.8%) 양성대조군 1(0.1%, 0.3%) 및 양성대조군 2(0.4%)에서는 발모가 관찰되지 않았다. 투여 7일차에는 시험물질 투여군(84.9%, 88.2%, 97.0%)에서 가장 우수한 발모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행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덱사메타손 0.1%를 투여한 결과, 투여 이후에도 최종적으로 17일차에 시험물질 투여군(93.5%, 96.7%, 98.2%)에서는 우수한 발모효능을 육안으로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피부조직 병리시험을 통해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좀 더 명확히 확인 한 결과, 양성대조군 1(6.1%, 21.2%) 및 양성대조군 2(3.3%)에서는 시험물질 투여군과 같이 확실한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 그리고 발모의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피부조직 병리시험
피부조직 병리시험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을 이용한 H&E 염색으로 실시하였고, 희생된 동물의 피부조직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고정(fixation), 수세(washing), 투명(clearing), 파라핀 침투(paraffin infiltration), 포매(embedding), 박절(microtome cutting), 염색(staining) 및 판독과정을 거쳐 모낭의 생성 및 발모현상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에서 초기 성장기(Anagen_Early, A/e)는 털이 막 새로운 발육을 시작했다는 것이며, 후기 성장기(Anagen_late, A/l)와 초기 퇴행기(Catagen_early, C/e)는 털의 발육이 한창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후기 성장기(Anagen_late)와 초기 퇴행기(Catagen_early)는 조직학적으로 털망울의 위치가 유사하고, 조직의 절편에 따른 형태변화를 고려할 때 구분하는데 명확하기 않은 경우가 자주 있게 되는 것을 감안해야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기 성장기(Anagen_late)와 초기 퇴행기(Catagen_early) 단계의 모낭은 유사한 발육단계로 보고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기초로 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 음성대조군에서는 특이적인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1 및 양성대조군 2에서는 최소한의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 정도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물질투여군에서만 특이적으로 우수한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 그리고 발모의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탈모 예방, 치료, 개선 효과, 및 발모 촉진 효과 확인
중대가리풀 추출물의 퇴행기 억제기에서의 발모 효능 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수컷 C57BL/6 마우스(5주령)를 구입 후 1주일간 순화하여 몸무게가 20 내지 24 g인 동물을 선정하였다. 제모 시 피부 손상이 발생한 동물 또는 피부색인 검은색인 경우 생장기가 이미 진행된 상태로, 본 실험에 부적절하여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군은 각각 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물질 투여군, 양성대조군 1, 2로 분리하였으며 정상군은 3마리, 음성대조군은 4 마리, 시험물질 투여군은 각각 4마리 양성대조군 1(Tofacitinib)은 4마리, 양성대조군 2(Minoxidil)는 4마리로 군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은 용매 또는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며 음성대조군은 용매만 투여받은 군이며, 시험물질군은 제조예 6, 8, 9 및 11의 중대가리풀 추출물(30 또는 100 %에탄올, 또는 30 또는 100 % 메탄올)을 각각 투여한 군이며, 양성대조군 1은 Tofacitinib 투여군이고, 양성대조군 2는 Minoxidil을 투여한 군이다.
제제예 2, 4, 5 및 7의 시험물질 조제액 각각을 100 μL 투여량으로 하루에 2번 6시간 간격으로 등쪽 피부에 7일간 도포하였고, 퇴행기유도 약물인 덱사메타손(페리덱스, 녹십자)을 0.1% 1 mL을 제모 부위에 시험물질투여 이틀 전부터 투여를 시작하여 시험 종료일인 12일간 반복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 1과 2는 5% 농도로 100 μl를 도포하였다.
실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 후 사진촬영으로 발모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에 동물을 희생시켜 피부조직 병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모효능 육안 검사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전체 제모부위(용매 또는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도포부위)에서 검은색을 띄거나(생장기), 발모가 시작되는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전체 제모 부위에 시험물질 및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을 도포한 부위의 면적 중 10% 이하 생장기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1점, 10% 내지 30% 생장기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2점, 30% 내지 50% 생장기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3점, 50% 내지 80% 생장기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4점, 80% 내지 100% 생장기 증상 및 발모가 시작되는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5점으로 평가하여 발모효능평가점수를 수치화된 그래프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1: 육안 검사
마우스 피부를 육안으로 검사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물질 투여군은 투여 7일 후 5일차(+12 day)에 생장기로 이행하는 경향이 다른 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투여 7일 후 5일차의 각각의 투여군에서의 발모 효능은 아래 표 1과 같았다.
시험군 발모효능 (%)
Tofacitinib 25
Minoxidil 45
EtOH 30% 65
EtOH 100% 70
MeOH 30% 95
MeOH 100% 90
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중대가리풀 추출물 투여군에서 우수한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여 기간 동안의 몸무게 변화 및 발모효능 평가 점수 수치를 도 7 및 8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 기간 동안 마우스의 몸무게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대가리풀 추출물 투여군에서 시험 기간동안 유의적으로 발모 효능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 기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우수한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8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종 평가일인 12일 차에 양성대조군들보다 더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위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추출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 그리고 발모의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 피부조직 병리시험
피부조직 병리시험은 12일차에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을 이용한 H&E 염색으로 실시하였고, 희생된 동물의 피부조직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고정(fixation), 수세(washing), 투명(clearing), 파라핀 침투(paraffin infiltration), 포매(embedding), 박절(microtome cutting), 염색(staining) 및 판독과정을 거쳐 모낭의 생성 및 발모현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 음성대조군에서는 특이적인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1 및 양성대조군 2에서는 최소한의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 정도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만 특이적으로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중대가리풀 분획물의 탈모 예방, 치료, 개선 효과, 및 발모 촉진 효과 확인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대가리풀 분획물을 이용하여 탈모의 예방, 치료, 개선 및 발모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군은 용매 또는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며 음성대조군은 용매만 투여받은 군이며, 시험물질군은 제조예 12, 14, 15, 및 17의 중대가리풀 분획물(30 또는 100 %에탄올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또는 30 또는 100 % 메탄올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각각 투여한 군이다.
제제예 8, 10, 11 및 13의 시험물질 조제액 각각을 100 μL 투여량으로 하루에 2번 6시간 간격으로 등쪽 피부에 7일간 도포하였고, 퇴행기유도 약물인 덱사메타손(페리덱스, 녹십자)을 0.1% 1 mL을 제모 부위에 시험물질투여 이틀 전부터 투여를 시작하여 시험 종료일인 12일간 반복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 1과 2는 5% 농도로 100 μl를 도포하였고, 나머지 실험 방식은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3-1: 육안 검사
시험물질 투여군은 투여 7일 후 5일차(+12 day)에 생장기로 이행하는 경향이 다른 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을 아래 표 2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표 2는 투여 7일 후 5일차의 각각의 투여군에서의 발모 효능을 나타낸다.
시험군 발모효능 (%)
EtOH 30% 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40
EtOH 100% 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50
MeOH 30% 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45
MeOH 100% 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65
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중대가리풀 분획물 투여군에서 우수한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여 기간 동안의 몸무게 변화 및 발모효능 평가 점수 수치를 도 10 및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 기간 동안 마우스의 몸무게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대가리풀 분획물 투여군에서 시험 기간동안 유의적으로 발모 효능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기간동안 중대가리풀 분획물을 투여한 시험군들에서 우수한 발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 11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종 평가일인 12일 차에 발모 효능이 현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중대가리풀 분획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개선, 그리고 발모의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2: 피부조직 병리시험
피부조직 병리시험은 12일차에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을 이용한 H&E 염색으로 실시하였고, 희생된 동물의 피부조직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고정(fixation), 수세(washing), 투명(clearing), 파라핀 침투(paraffin infiltration), 포매(embedding), 박절(microtome cutting), 염색(staining) 및 판독과정을 거쳐 모낭의 생성 및 발모현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 음성대조군에서는 특이적인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중대가리풀 분획물을 투여한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만 특이적으로 모낭의 생성 및 발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중대가리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며,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생장기로 빠르게 이행시킴으로써 모발의 육모와 그 자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장애성 탈모, 내분비장애성 탈모, 혈관장애성 탈모, 장년성 탈모, 결발성 탈모, 원형 탈모, 신경성 탈모, 비강성탈모, 트리코틸로 마니아, 악성탈모, 여성형 탈모, 남성형 탈모, 안드로겐성 탈모, 휴지기 탈모, 두부 백선, 전두 탈모, 감모증, 유전성 단순 감모증, 전신 탈모약제성 탈모, 기계적 탈모, 외상성 탈모, 압박성 탈모, 생장기 탈모, 비강성 탈모, 매독성 탈모, 지루 탈모, 증후성 탈모, 반흔성 탈모 및 선천성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중대가리풀 분획물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획용매의 분획물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중대가리풀 분획물은 중대가리풀 디클로로메탄 분획용매의 분획물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중대가리풀은 중대가리풀의 전초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에어로졸제, 연고, 액제, 로션제, 패취제, 도포용 분말, 오일, 크림 및 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영양장애성 탈모, 내분비장애성 탈모, 혈관장애성 탈모, 장년성 탈모, 결발성 탈모, 원형 탈모, 신경성 탈모, 비강성탈모, 트리코틸로 마니아, 악성탈모, 여성형 탈모, 남성형 탈모, 안드로겐성 탈모, 휴지기 탈모, 두부 백선, 전두 탈모, 감모증, 유전성 단순 감모증, 전신 탈모약제성 탈모, 기계적 탈모, 외상성 탈모, 압박성 탈모, 생장기 탈모, 비강성 탈모, 매독성 탈모, 지루 탈모, 증후성 탈모, 반흔성 탈모 및 선천성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영양장애성 탈모, 내분비장애성 탈모, 혈관장애성 탈모, 장년성 탈모, 결발성 탈모, 원형 탈모, 신경성 탈모, 비강성탈모, 트리코틸로 마니아, 악성탈모, 여성형 탈모, 남성형 탈모, 안드로겐성 탈모, 휴지기 탈모, 두부 백선, 전두 탈모, 감모증, 유전성 단순 감모증, 전신 탈모약제성 탈모, 기계적 탈모, 외상성 탈모, 압박성 탈모, 생장기 탈모, 비강성 탈모, 매독성 탈모, 지루 탈모, 증후성 탈모, 반흔성 탈모 및 선천성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용액, 솔젤, 현탁액, 에멀젼, 페이스트, 마이크로캡슐, 오일, 왁스 및 에어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중대가리풀의 30 내지 100 중량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영양장애성 탈모, 내분비장애성 탈모, 혈관장애성 탈모, 장년성 탈모, 결발성 탈모, 원형 탈모, 신경성 탈모, 비강성탈모, 트리코틸로 마니아, 악성탈모, 여성형 탈모, 남성형 탈모, 안드로겐성 탈모, 휴지기 탈모, 두부 백선, 전두 탈모, 감모증, 유전성 단순 감모증, 전신 탈모약제성 탈모, 기계적 탈모, 외상성 탈모, 압박성 탈모, 생장기 탈모, 비강성 탈모, 매독성 탈모, 지루 탈모, 증후성 탈모, 반흔성 탈모 및 선천성 탈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용액, 솔젤, 현탁액, 에멀젼, 페이스트, 마이크로캡슐, 오일, 왁스 및 에어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90023403A 2018-02-28 2019-02-27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5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59A KR20210058772A (ko) 2018-02-28 2021-05-06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4228 2018-02-28
KR1020180024228 2018-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59A Division KR20210058772A (ko) 2018-02-28 2021-05-06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983A KR20190103983A (ko) 2019-09-05
KR102251495B1 true KR102251495B1 (ko) 2021-05-13
KR102251495B9 KR102251495B9 (ko) 2022-07-20

Family

ID=678050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03A KR102251495B1 (ko) 2018-02-28 2019-02-27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10058859A KR20210058772A (ko) 2018-02-28 2021-05-06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59A KR20210058772A (ko) 2018-02-28 2021-05-06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51215B2 (ko)
EP (1) EP3760214A4 (ko)
JP (1) JP2021521264A (ko)
KR (2) KR102251495B1 (ko)
CN (1) CN112118854A (ko)
WO (1) WO2019168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4696A1 (en) * 2021-06-30 2024-04-03 D-Nature Co., Ltd. Functional composition for alopecia comprising centipeda minima-derived extract
KR102598042B1 (ko) * 2022-12-05 2023-11-03 주식회사 디네이쳐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829A (ja) 1999-02-24 2000-09-12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CN101518637A (zh) 2009-04-08 2009-09-02 苏玉林 一种治疗妇女子宫脱垂和肛门脱出的药物及制备方法
CN101843658A (zh) 2010-01-12 2010-09-29 潘金来 脱发生发防脱液
CN102824292A (zh) * 2012-09-22 2012-12-19 南京正亮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洗发香波
JP2013136551A (ja) 2011-12-28 2013-07-11 Kao Corp ケラチン繊維改質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1461A (en) 1965-11-01 1969-08-12 Upjohn Co 6-amino-4-(substituted amino)-1,2-dihydro-1-hydroxy-2-iminopyrimidines
US5215894A (en) 1992-02-25 1993-06-01 Merck & Co., Inc. Biological process for producing 17β-N-monosubstituted carbamoyl-11-oxo-4-aza-5-α-androst-3-one testosterone-5-α reductase inhibitors
JPH08231353A (ja) * 1995-03-01 1996-09-10 Shiseido Co Ltd 養毛料
US5804206A (en) 1997-03-06 1998-09-08 Bio-Botanica, Inc. Therapeu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using Centipeda cunninghami extract
JP2000344653A (ja) * 1999-06-04 2000-12-12 Kanebo Ltd 活性酸素消去剤及び皮膚化粧料
US20070190075A1 (en) 2003-10-09 2007-08-16 Advangen, Inc. C/O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 Science And Tech Hair growth stimulant composition
JP5215894B2 (ja) 2009-02-04 2013-06-1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制御回路、通信ノード、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98911B2 (en) 2010-11-02 2015-12-0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for treating hair loss disorders
CN103547282A (zh) * 2011-01-21 2014-01-29 Igisu株式会社 秃头症治疗剂
KR101810139B1 (ko) 2011-10-19 2017-12-19 (주)아모레퍼시픽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 2013-03-20 2014-09-30 이장수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4732A (ko) * 2014-12-17 2016-06-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슬꽃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2486B1 (ko) * 2015-08-24 2017-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중머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70055172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7667B1 (ko) 2017-07-24 2017-12-12 최기남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4366B1 (ko) * 2017-09-06 2019-07-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829A (ja) 1999-02-24 2000-09-12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CN101518637A (zh) 2009-04-08 2009-09-02 苏玉林 一种治疗妇女子宫脱垂和肛门脱出的药物及制备方法
CN101843658A (zh) 2010-01-12 2010-09-29 潘金来 脱发生发防脱液
JP2013136551A (ja) 2011-12-28 2013-07-11 Kao Corp ケラチン繊維改質剤
CN102824292A (zh) * 2012-09-22 2012-12-19 南京正亮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洗发香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1215B2 (en) 2022-06-07
WO2019168348A1 (ko) 2019-09-06
JP2021521264A (ja) 2021-08-26
KR20210058772A (ko) 2021-05-24
US20210138011A1 (en) 2021-05-13
KR20190103983A (ko) 2019-09-05
CN112118854A (zh) 2020-12-22
EP3760214A1 (en) 2021-01-06
EP3760214A4 (en) 2021-11-17
KR102251495B9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34316T3 (en) Novel cosmetic and /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08525462A (ja) しわの外観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41533B1 (ko)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JP6339189B2 (ja) 発毛および育毛促進用組成物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08577B1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5029556A (ja) 皮膚老化防止剤
KR102129409B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2710B1 (ko) 장미허브 추출물, 또는 이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7661B1 (ko) 울릉국화, 미역취 및 전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1523A (ko)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