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533B1 -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533B1
KR101541533B1 KR1020120122810A KR20120122810A KR101541533B1 KR 101541533 B1 KR101541533 B1 KR 101541533B1 KR 1020120122810 A KR1020120122810 A KR 1020120122810A KR 20120122810 A KR20120122810 A KR 20120122810A KR 101541533 B1 KR101541533 B1 KR 10154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growth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437A (ko
Inventor
박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빠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빠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12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5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이에 의해 탈모 방지, 발모를 촉진하고 비듬 생성을 억제하고 두피의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환경을 개선하고 탈모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fall-out of hair, growing hair, preventing of generating dandruff and relieving inflammation of scalp}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는 상황에서 모발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식생활 변화, 내·외적 환경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탈모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모발은 자외선 차단, 완충작용 등과 같이 두피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사람의 인상과 외모를 결정짓는 미용학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탈모는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 증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여성들의 사회 활동의 증가 등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한다.
모발은 두피기저부에 있는 기질세포의 계속적인 증식으로 피부가 함입된 구조인 모낭에서 생성되고, 다양한 성장단계를 포함한 모발 주기를 가진다(Reynolds et al. 1991). 퇴화기에서 대부분 모낭각질형성세포의 세포사멸이 일어나며 색소 생성 중단, 세포외 기질의 재구성이 일어난다. 또 모유두의 수축이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모낭은 퇴화된다(Piao YJ, Seo EY, Kim JS. The Influence of Testosterone PRopionate on the Expression of Seceral Growth Factors in Human Scalp Dermal Papilla Cell. Joi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2: 9:29-34).
모낭주기의 조절에 있어 다양한 성장인자 및 싸이토카인이 관여하는데 예를 들어, EGF(epidermal growth factor), TGF-a (transforming growth factor-a), TGF-b (Transforming growth factor-b), KGF(keratinocyte growth factor), IGF (insulin like growth factor), 인터루킨-1(interleukin-1), bHGF (basic fibrovlast growth factor),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등이 포함된다(Wagana P, Haikou M, Klepetsanis P, Giannopoulou E, Ioannou PV, Sophia GA. In vivo distribution of arsonoliposomes: Effect of vesicle lipid composition. Journal of Pharmaceutics. 2008: 347:86-92).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탈모의 정확한 원인으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수많은 화합물의 화학적 반응 및 여러 가지 산화, 환원 반응 등 내적 요인과 흡연, 음주, 스트레스, 자외선 등 외적 요인에 의해 생성되며(Halliwell, B., Antioxidant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 Rev . Nutr . 16:33-49, 1996; Morrissey,P.A. and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 Dairy . J. 8:463-472), 상체 내에서 자유 라디컬(Free radical)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OS)은 DNA분절과 단백질의 불활성화 및 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상체기능을 저하시킴으로서 여러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Valko,M., Leibfritz, D., Moncol,J.,Cronin,M.T.,Mazur,M. and Telser,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 J. Biochem.Cell. Biol . 39:44-84).
활성산소가 남성형 탈모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나 일부 경우에 있어 탈모를 악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 예로, 원형탈모 환자의 경우에 지질의 과산화를 막는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글루타디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와 같은 효소의 두피 내 함량이 정상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탈모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Ahmet A, Ercan A, Hakan E.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scalp of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2: 29: 85-90; Rafet K, Ferah A.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oxidant/antioxidant status, and serum nitric oxide levels in alopecia areata. Medicine Science Monit . 2005: 11: 296-299).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 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서 미녹시딜과 피나스테라이드가 잘 알려져 있다. 미녹시딜의 발모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혈관확장을 통한 영양공급 증가, 포타슘 채널 오프닝효과 및 모유두세포의 세포사멸 억제 효능 등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Han JH, et al., Effect of minoxidil of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ermal papilla cells of hyman hair follicle., J Dermatol Sci , 34, pp.91-98, 2004).
탈모 또는 발모의 용도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 시판 중인 제품들의 경우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두피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FDA 승인을 받은 미녹시딜의 경우 탈모 치료제로 적용할 경우 체내 향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한 성기능 감소나 알레르기, 우울증, 국소염증 등의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하여 그 적용 위험성이 있다.
상기 화학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예방하고자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모 또는 발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 및 발명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시오가피, 송엽, 송화, 교맥, 생지황 및 지모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조성물(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51586호); 백두옹, 대산,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낭충 살균 기능을 갖는 발모촉진조성물(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14473호) 등의 다수 특허가 출원되어 공개되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종래 화장료 조성물들은 실질적으로 탈모예방 또는 비듬방지에 만족스러운 효과를 지닌 제품이 없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탈모의 원인은 다양하다. 모세혈관의 병변이나 압박 등에 의한 혈행장애로 인해 모발을 구성할 수 있는 영양물질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한 경우, 또는 생리적 물질이 과도하게 누적되어 삼투압의 항상성에 장애를 초래함으로 인한 두피세포의 이상이 생긴 경우, 모낭주기의 이상에 의한 세포사멸 이상, 피지분비 과잉에 의한 각질, 노폐물로 두피환경 악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등 무수하게 많은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최종 결과로 탈모가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문제만 해결해서는 탈모가 개선되지 못한다. 따라서 다양한 원인을 한꺼번에 개선시킬 수 있고 탈모완화 및 두피환경 개선 효능에 시너지효과를 줄 수 있는 복합물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두피 건강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에 효과를 가지면서, 각종 부작용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α-리덕타아제 억제 활성, 세포활성효과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져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듬균 생성 억제 활성을 가져 비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두피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력이 뛰어나고 피부 안정성이 좋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하수오 추출물, 상기 고삼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및 상기 MSM 각각은 0.001 내지 20중량%; 상기 IGF-1 및 상기 PDGF 각각은 0.001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의 첨가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배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는 0.01 내지 20중량%,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5α-리덕타아제 억제 활성, 세포활성효과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져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균 생성 억제 활성을 가져 비듬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두피의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이 뛰어나고 피부 안정성이 좋아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의 세포활성효과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의 5α-리덕타아제 저해효과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실험 결과 그래이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수오(Polygonimultiflori Radix)는 마디풀과 식물로써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과 스티베네(stibene)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다. 안트라퀴논 화합물 중 하나인 에모딘(emodin)은 항균,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tano et al. 1999). 이 밖에도 하수오는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효능과 함께 혈당 및 혈중 지질함량 감소작용 등이 있고(Yin et al. 1992), 혈기를 돋우며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여 골수를 메우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g et al. 1988; 이계호 등 2003).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은 원주형이며 바깥 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세로 주름이 뚜렷하고 가로로 긴 피목(皮目)이 있다. 주피를 벗기면 황백색을 띠며 꺾은 면은 약간 섬유성이다. 고삼은 하초습열로 인한 이질, 대하, 음부소양증,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며 방광열로 인하여 소변을 잘 못보고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약리효과로는 백혈구감소증 치료, 항방사능작용, 관상동맥혈류량 증가, 심장근육 강화, 혈당 낮추는 작용, 항종양, 항균, 면역기능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출처: 두산백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본초로서 단맛 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을 6~14% 함유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한약의 구성성분으로 쓰여 그 안전성이 오래 전부터 입증되어 왔다. 또한 감초의 주성분인 길리시리진은 사포닌 계통으로 알레르기, 만성간염 및 바이러스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백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감초는 글리시리자(glycyrrhiza)속 식물의 뿌리로서, 4000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거담제로 사용되던 차이니즈 허브로써, 기품을 멈추고, 열을 내리고, 위를 편안하게 하며, 긴급한 상황을 완화시켜 주며, 다른 다양한 허브의 효과를 상승시킨다.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은 뼈, 근육, 신경, 혈관, 조직들을 형성하게 하고 손상된 세포의 재생을 돕고 세포사멸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D.L. Roith. et al., Dev . Biol 1980;75:315).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는 혈소판유래 성장인자로서, 2개의 긴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이황화 결합(sulfide bond)으로 연결된 이중체 단백질이다. PDGF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유전형질의 발현에 의해 PDGF-AA, PDGF-BB, PDGF-AB의 세 가지의 이중체 단백질을 포함한다. 특히 PDGF-A인자는 간엽세포와 내피세포, 골모세포, 연골세포 그리고 골저 치유 후반에서의 파골세포 등에서 발현되는 것이다. 성장인자란 유사분열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polypeptide)로 정의되고 자신이 작용하는 세포에서 분비되거나, 인접세포에서 분비되어 다양한 조직 및 세포에서 합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PDGF는 창상 치유에 관여하는 성장인자 중 하나이다. PDGF는 Ross들(1974)과 Kohler와 Lipton(1974)에 의하여 동맥내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물질이 혈소판에서 분비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발견되었고, Antoniades들(1979)이 이를 분리 정제하여 PDGF라 명명하였고, PDGF의 기원은 혈소판의 알파 과립(alpha granule)이지만, 혈소판뿐만 아니라 단핵세포, 대식세포, 내피세포 및 골기질 등에서도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PDGF는 섬우모세포, 평활근세포, 골세포 등과 같은 간엽기원의 세포들을 자극하는 것을 알려져 있고, PDGF는 골개조 부위로 조골세포의 이주를 유도하는 화학주성인자로서 작용하므로 골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질분열 촉진인자이며, Hicklin들(1994)에 따르면 PDGF는 골세포농축배양에서 DNA합성률, 세포수, 교원질과 비교원질 단백질 등의 합성을 증가시켰으며 배양된 연골모세포에서도 DNA합성과 염기성인산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며, Owen들(1982)은 사람의 이배체 섬유모세포에 PDGF가 작용할 경우 DNA합성과 총단백질량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정성욱, “혈소판유래성장인자로 처리된 동결건조동종탈회골의 백서두개골결손부이식시 조직치유에 미치는 영향”, 2003).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PDGF는 PDGF-A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SM(methylsulfonylmethane)은 식이유황으로서 소나무(해송)에 농축되어 있는데 전체 질량의 34%가 유황으로 천연물 중에서 황을 가장 많이 함유한 물질 중의 하나이다. 또한, 식이유황은 흰색의 냄새가 없는 결정체로서 독성이 없어서 동물 사료에서 유황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졌다 (Jang HD, Yoo JS, Chae SJ, Park SL, Kim IC, Park JC, Jung HJ, Kim YH, Kim IH, Seok HB. 2006. Effects of dietary of methyl sulfonyl methan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growing-finishing pigs. Korean J Intl Agric 18: 116-120). 유황의 알려진 기능으로는 함유황아미노산(메티오닌, 시스테인)의 구성 성분이고, 항산화 및 해독 작용을 하는 글루타치온의 구성 성분이며, 콜라겐 및 당단백의 구성 성분이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점성 다당류의 구성성분이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각종 성장 인자의 작용에 필수적이다 (Jang HD, Yoo JS, Chae SJ, Park SL, Kim IC, Park JC, Jung HJ, Kim YH, Kim IH, Seok HB. 2006. Effects of dietary of methyl sulfonyl methan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growing-finishing pigs. Korean J Intl Agric 18: 116-120; Cho JH, Min BJ, Kwon OS, Shon KS, Jin YG, Kim HJ, Kim IH. 2005. Effects of MSM (methyl sulfonyl methan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Ca and N in pi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61-365).
MSM(메틸설포닐메탄)은 강한 냄새와 독성을 가진 광물성 유황과는 달리 무독 무취로서 영양보충, 건강보조식품,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며, 통증완화, 염증완화, 혈관팽창 및 혈류 증강, 피부손상 복귀 작용 및 물질을 운반하는 작용이 강해 피부, 인체의 세포막 깊숙이 투과되어 효능을 발휘한다 (Yung CS, Choi HG, Jang SW, Yoo BK. 2009. The effect of methylsulfonylmethane on hair growth promotion of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Biomolecules & Therapeutics , 17(3) 241-248).
상기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하수오 추출물, 상기 고삼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및 상기 MSM 각각은 0.001 내지 20중량%; 상기 IGF-1 및 상기 PDGF 각각은 0.001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하수오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상기 고참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상기 감초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상기 MSM 0.001 내지 15중량%, 상기 IGF-1 0.0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PDGF 0.001 내지 1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수오 추출물, 상기 고삼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각각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하수오, 고삼 및 감초 각각을 건조 및 분쇄하고, 상기 시료 중량의 약 0.5 내지 20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클롤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페트로레움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실온에서 약 0.1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 바람직하게는 초임계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의 첨가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배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는 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은 1쇄 1친수가인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염 2개가 리신을 스페이스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펩티드 골격(Glu-Lys-Glu)을 가지며, 제미니형 양친매성을 나타낸다 (ROSEN M, Geminis J., A New Generation of Surfactants, CHEMTECH , 23,30, 1993). 또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비타민, 계면활성제, 점증제, pH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안료, 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될 수 있다.
안료 및 향료는 일반적으로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토닉, 스케일링 등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데 물, 에탄올,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경화피마자유, 방부제 또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향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라일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유화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점증제 또는 방부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스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의 제조
1-1. 추출물의 제조
하수오, 고삼, 감초 각각을 건조 및 분쇄하고, 각 시료 60g을 진공백에 담아 물 540g을 첨가한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0MPa(1,000 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하수오, 고삼, 감초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또는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상기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하수오, 고삼 및 감초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복합체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고삼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감초 추출물 0.001 내지 15중량%, MSM(OptiMSM, ㈜로하스피아) 0.001 내지 15중량%, IGF-1(Sh-oligopeptide-2, 바이오에프디엔씨(Bio-FD&C)), 0.001 내지 10중량% 및 PDGF-A(Sh-polypeptide-58, 바이오에프디엔씨(Bio-FD&C)) 0.001 내지 10중량%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IGF-1 및 상기 PDGF-A는 물질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리포좀 형태로 제조하여 나머지 성분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는 헤어용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용 화장수를 하기 표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중량%, 부틸렌글리콜 1.0 중량%, 글리세린 0.5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 중량%,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0.307 중량%, PEG-4000 0.5 중량%를 정제수에 가열, 혼합 용해하여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2 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5 중량%, 메틸파라벤 적량, 및 향료 적량을 에탄올 18.0 중량%에 용해한 것을 상기 수성 혼합물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으로서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수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0.05 0.05 0.05
2 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3 글리세린 0.5 0.5 0.5 0.5
4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 - - 1.0
5 PEG-4000 0.5 0.5 0.5 0.5
6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0.307 - 0.307 -
7 폴리소르베이트-80 0.2 0.2 0.2 0.2
8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2 0.2 0.2 0.2
9 에탄올 18.0 18.0 18.0 18.0
10 메틸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1 트리에탄올아민 0.05 0.05 0.05 0.05
12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3. 본 발명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는 헤어 영양유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영양유액을 하기 표2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지터블왁스 0.5 중량%, 세탄올 0.5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중량%, 스테아린산 0.6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6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0.5 중량%, 밀납 0.5 중량%, 파라빈왁스 0.5 중량%, 향료를 따로 혼합하여 가열 용해하여 알코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0.1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 중량%, PEG4000 0.5 중량%, 농글리세린 4.00 중량%, 부틸렌글리콜 6.00 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08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8 중량%, 적량의 방부제 및 나머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것에 상기 알코올 혼합물을 넣어 교반 냉각시켜 헤어 영양유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4 내지 비교예6으로서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수를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1 베지터블왁스 0.5 0.5 0.5 0.5
2 세탄올 0.5 0.5 0.5 0.5
3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0.8 0.8 0.8
4 스테아린산 0.6 0.6 0.6 0.6
5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0.6 0.6 0.6 0.6
6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0.5 0.5 0.5 0.5
7 밀납 0.5 0.5 0.5 0.5
8 파라핀왁스 0.5 0.5 0.5 0.5
9 스쿠알란 3.0 3.0 3.0 3.0
10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1.2 1.2
11 세스퀴올레인산 0.8 0.8 0.8 0.8
12 실시예 1-2 복합체 조성물 0.1 - - 0.1
13 소듐 디라우로일그루타민산리신 1.0 - 1.0 -
14 PEG 4000 0.5 0.5 0.5 0.5
15 농글리세린 4.0 4.0 4.0 4.0
16 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17 카르복시폴리머 0.08 0.08 0.08 0.08
18 트리에탄올아민 0.08 0.08 0.08 0.08
19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 본 발명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는 헤어 트리트먼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를 하기 표3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지블왁스 1.00 중량%, 세탄올 0.9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0 중량%, 스테아린산 0.8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0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00 중량%, 밀납 1.50 중량%, 스쿠알란 6.00 중량%, 파라핀왁스 0.50 중량%, 카프릭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중량%, 디메치콘 0.5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20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8 중량%, 및 향료를 따로 혼합, 가열 용해하여 알코올 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1.0 중량%, PEG4000 0.5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5.0 중량%, 농글리세린 6.0 중량%, 부틸렌글리콜 6.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및 적량의 방부제를 잔량의 정제수와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것에 상기 알코올 혼합물을 넣어 교반 냉각시켜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7 내지 비교예9로서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수를 상기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1 베지터블왁스 1.0 1.0 1.0 1.0
2 세탄올 0.9 0.9 0.9 0.9
3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4 스테아린산 0.8 0.8 0.8 0.8
5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6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7 밀납 1.5 1.5 1.5 1.5
8 파라핀왁스 0.5 0.5 0.5 0.5
9 스쿠알란 6.0 6.0 6.0 6.0
10 카프릭카프리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3.0 3.0 3.0
11 디메치콘 0.5 0.5 0.5 0.5
12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1.2 1.2
13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14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0.1 - - 0.1
15 소듐 디라우로일그루타민산리신 1.0 - 1.0 -
16 PEG 4000 0.5 0.5 0.5 0.5
17 농글리세린 4.0 4.0 4.0 4.0
18 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19 카르복시폴리머 0.08 0.08 0.08 0.08
20 트리에탄올아민 0.08 0.08 0.08 0.08
2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2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복합체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각각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D(Superoxide Dismutade-lik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Marklund 등의 방법(Murklund, S. and Marklund, G. :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 J. Biochem ., 47, 468, 1974)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과 단독제제로서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각각의 시료용액 20㎕에 Tris-HCl 완충용액 (50mM tris + 10mM EDTA, pH 8.5) 260㎕와 7.2mM 피로갈롤(pyrogallol) 20㎕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5N HCl 1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의 양을 420nm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과 단독제제로서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의 각각 시료의 농도를 100ppm, 500ppm으로 2회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은 100ppm 농도에서는 약 80%에 달하는 SOD 유사활성을 보이고, 500ppm 농도에서는 90% 이상에 달하는 SOD 유사활성을 보이고 있어, 다른 단독제제인 메틸설포닐메탄(MSM), 하수오추출물, 고삼추출물, 감초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보다 더 강력한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은, 단독제제 중에서 가장 높은 약 40%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MSM보다 2배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단독제제들의 경우 농도가 100ppm에서 500ppm으로 증가하여도 SOD 유사활성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경우 농도가 100ppm에서 500ppm으로 증가할 경우 SOD 유사활성 역시 약 80%에서 약 90% 이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비듬균 억제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복합체 조성물의 비듬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각각의 비듬균 억제 효과와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비듬균 억제효과는 비듬균인 말라세지아 균(Malassezia furfur ATCC 12078)에 대한 항균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상기 실험 시료 그 어떤 것도 사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비듬균을 접종 및 배양하였다. 상기 말라세지아 균을 SDA(Sabouraud Dextrose Agar) 배지에 도말하여 접종하고, 그 플레이트 배지 중앙에 본 발명의 실시예 1-2 복합체 조성물과 단독제제로서 메틸설포닐메탄(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추출물을 도포한 후, 30±1℃ 에서, 2~3일간 배양하였다.
W = ( T - D ) / 2
(W: 저지대의 폭(nm), T: 시료와 미생물 저지대의 전체 지름(nm), D: 시료의 지름(nm))
미생물 저지대의 크기는 상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고, 실험은 각각 3회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시험균주 시료 T(nm) D(nm) W(nm)
Malassezia furfur
(ATCC 12078)
실시예 1-2 복합체 조성물 75 20 27.5
메틸설포닐메탄(MSM) 40 20 10.0
하수오추출물 33 20 6.5
고삼추출물 26 20 3.0
감초추출물 28 20 4.0
대조군 20 20 0.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및 단독제제들인 MSM, 실시예 1-1의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은 일정 크기의 지지대를 형성하여 실험 시료들이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저지대의 폭이 27.5mm로 가장 넓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비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단독제제 중에서 저지대 폭이 10mm로 넓은 MSM의 약 3배에 달하여 본원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현저히 항균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세포활성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복합체 조성물의 세포활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각각의 세포활성효과와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양접시에서 배양 중인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에 트립신 0.5%를 처리한 후 인간 섬유아세포 1X10⁴개를 100㎕의 DMEM배양액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 serum)과 함께 혼합한 후 96웰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었다. 하루 동안 37℃, 5% CO₂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세포가 완전히 96 웰플레이트의 바닥에 붙으면 기존 배양액을 제거한 후 1㎍/ml 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과, 단독제제로서 메틸설포닐메탄(MSM), 실시예 1-1의 하수오추출물, 고삼추출물, 감초추출물 각각이 첨가된 소태아혈청 무첨가 DMEM배양액으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각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양액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48시간 동안 37℃, 5% CO₂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상기 각각의 시료가 첨가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멸균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잔여 배양액을 96웰 플레이트에서 완전히 제거하였다. 멸균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0.5mg/ml 의 농도로 녹여서 각 웰에 100㎕씩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37℃에 보관하였다. MTT가 녹여진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완전히 제거한 후 이소프로판올 100㎕를 처리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놔둔 후에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세포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과, 단독제제로서의 메틸설포닐메탄(MSM), 실시예 1-1의 하수오추출물, 고삼추출물, 감초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의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활성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세포활성은 약 65%를 나타내고, 단독제제인 메틸설포닐메탄(MSM), 실시예 1-1의 하수오추출물, 고삼추출물, 감초추출물은 모두 5% 미만의 세포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단독제제들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난 세포활성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5α- 리덕타아제 저해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복합체 조성물의 5α-리덕타아제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α-리덕타아제에 의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저해 효과를 다음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Schwartz JI, Tanaka WK. Steroid 5alpha-reductase inhibitors in androgen-depedent disorders. Curr Opin Chem Biol . 1997:1(2):254-259.
상기 5α-리덕타아제에 의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프래그 다우리(Sprague-dawley)계 흰쥐를 효창 사이언스(Daegu, Korea)에서 구입하였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니코티나마이드(nicotinamide), NADPH(adenine dinucleotide pohosphate), 수크로스(sucrose), 트리즈마 베이스(Trizma base)는 쉬마 케미컬(Sih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구입한 스프래그 다우리계 흰주는 7주령의 성숙한 암컷이다. 24시간 동안 절식한 흰쥐의 간을 절취하여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한 후 3~4배의 용량의 아이스 콜드 버퍼(ice cold buffer), 50mM Na₂HPO₄, 0.25M 수크로스 pH7.2에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간세포를 분쇄하여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현탁액에서 5α-리덕타아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현탁액을 초음파분쇄를 5분 동안 한 후 900 X g로 10분간 원심 분리를 수행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상등액을 9000 X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했으며 효소용액을 -80℃에서 동결보존 하였다. 상기 모든 과정은 0 ~ 4℃의 저온상태에서 수행하였다.
5α-리덕타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하트먼(Hartamann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기질로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한 5α-리덕타아제 용액과 반응시켜 대사산물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4.5mM의 테스토스테론(Sigma, C0, Mo, USA)을 본원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0.3mL에 10M Tris-HCl 버퍼(pH 7,2) 1ml를 혼합하고 1mM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Sigma, Co, Mo, USA)를 0.5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반응 조건으로는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3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디클로로메탄층을 남기고 후드(hood)에서 하루 방치하여 용매를 날려 버린 후 잔류물을 메탄올 3ml를 가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효소 저해율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이때 HPLC의 측정 조건으로 컬럼은 Shim-pack ODS (4.6㎛, 250 X 4.6mm)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메탄올: 물 혼합액(65:35)을 이용하였다. 유속으로는 1ml/min으로 하였고 검출파장은 UV 254nm에서 검출하였으며, 주입량은 0.02ml로 하였다.
[수학식 1]
저해율(%) = (1 - 시료첨가군의 테스토스테론 량 / 무첨가군의 테스토스테론 량 ) X 100
상기 실험을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수회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본원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본원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은 5α-리덕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5α-리덕타아제 저해활성의 효과가 커지며, 특히 복합체 조성물 농도가 1000ppm에서 39%의 높은 5α-리덕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복합체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SM,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각각의 항염증 효과와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항염증 효과는 산화질소(Nitric Oxide)에 대한 저해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염증 자극원으로는 LPS(Lipopolysccharide)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로부터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은 변 등의 방법(byun, S. H., Yang, C. H. and Kim, S.C.: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a, IL-1β,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lysaccharide-activated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 J. Ori . Herbology ., 20, 7-16, 2005)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양은 NaNO₂의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적량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뿐만 아니라 단독제제인 메틸설포닐메탄(MSM), 실시예 1-1의 하수오추출물, 고삼추출물, 감초추출물 역시 염증자극원(LPS)에 대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이 산화질소의 양을 0.05(μg/ml) 이하로 나타나 다른 단독제제들 약 0.1(μg/ml) 의 산화질소 양을 생성하는 것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1-2 복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측정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로서 피부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분장치(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사)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의 보습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4 는 본원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및 보습제를 포함하여 여러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3은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또는 보습제(소듐 디라우로일그루타민산리신)의 포함 여부를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은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또는 보습제의 포함 여부를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는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또는 보습제의 포함 여부를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험 방법으로 35 ~ 55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5명씩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1일 1회씩 2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두피 부위에서 상기 수분장치를 이용하여 두피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 두피 동일 부위에서 상기 수분장치를 이용하여 두피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각 부분을 5회 측정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구분 보습력 구분 보습력 보습 증가 정도
비교예 1 10.79 실시예 2 12.35 1.56
비교예 2 11.29 0.50
비교예 3 11.35 0.56
비교예 4 19.30 실시예 3 21.78 2.48
비교예 5 20.27 0.97
비교예 6 20.44 1.14
비교예 7 25.74 실시예 4 27.47 1.73
비교예 8 25.82 0.08
비교예 9 26.73 0.99
비교예 1, 비교예 4, 비교예 7은 보습제(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두가지 모두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보습 증감력을, 실시예 2, 3, 4는 보습제(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 두 가지 모두의 사용에 의한 증감을, 비교예 2, 3, 5, 6, 8, 9에서는 각각 따로 사용할 경우의 보습력 증감을 나타낸다.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각각의 보습력 증가가 각각 1.56, 2.48, 1.73으로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보습력 증가의 합,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보습력 증가의 합, 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보습력 증가의 합보다 각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습력 증가의 측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제제가 보습제(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사용할 경우에 비해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7.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안정성 실험
피부 안정성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검자 90명(평균연령 25세, 연령분포 20내지 36세)을 대상으로 해이의 시험용 챔버(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팔의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 습진,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2-4 및 비교예 2, 3, 5, 6, 8, 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각각 0.5g씩을 시험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행하였으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6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e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기호 판정기준 평가 Mean Score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소자극 0 ~ 0.9
+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1.0 2.9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중자극 3.0 ~ 4.9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5.0 이상
- Negative 무자극 0
상기 실험 수행 결과는 하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자극도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자극도 = {[(±)수 X 1] + [(+)수 X 2] + [(++)수 X 3]} / 피험자수
구분 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2 10 0 1 3 6 0.5
비교예 2 10 0 1 4 5 0.6
비교예 3 10 0 2 4 4 0.8
실시예 3 10 0 1 2 7 0.4
비교예 5 10 0 1 3 6 0.5
비교예 6 10 0 1 3 6 0.5
실시예 4 10 0 1 4 5 0.6
비교예 8 10 0 4 4 5 0.6
비교예 9 10 0 5 5 4 0.7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가 비교예 2, 3, 5, 6, 8, 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더 안전하나, 실시예의 조성물 및 비교예 조성물은 모두 유의적으로 피부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8.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모발두께증가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시켜 제조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두께증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검자의 선정은 주변의 환경과 근무조건이 각기 다른 탈모증세를 보이고 있는 남녀 20명으로 하였다. 탈모증세의 여부는 모발 세척 시 모발이 탈락되는 개수에 따라 선정하였는 바, 통상 모발 세척 후 탈락된 모발의 개수가 100개를 초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들 피검자의 연령은 모발관리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30세 내지 60세까지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2.7세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3,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검자 20명에게 4개월에 걸쳐 사용하면서, 매 1개월에서 모발의 굵기를 측정하였다. 모발의 굵기 측정은 탈모 부위 1cm₂ 안의 A, B 두 곳을 지정하여 사용하기 전과 4개월 사용 후 모발을 채취하여 그 굵기를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모발굵기(㎛) 피검자1 피검자 2 피검자 3 피검자 4 피검자 5
A B A B A B A B A B
실시예2 사용전 44 46 50 53 54 52 54 51 51 52
4개월 85 88 92 90 89 85 80 85 93 91
실시예3 사용전 46 48 40 42 47 47 46 45 43 44
4개월 87 89 83 84 83 82 85 87 82 84
비교예1 사용전 48 47 48 48 49 47 50 51 59 50
4개월 48 48 49 48 48 47 51 53 58 52
비교예4 사용전 47 47 46 48 41 43 41 40 45 47
4개월 47 48 47 47 42 43 43 41 44 46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4는 사용전이나 4개월 이후나 모발굵기에 있어서 큰 변화가 없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복합체 조성물을 포함시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사용하기 전에 비하여 4개월 후의 모발굵기가 약 2배 정도 굵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모발굵기를 두껍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의 탈락모발 감소실험
상기 실험예 8에 사용된 시료 실시예 2 및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4를 시료로 하여, 탈락모발 감소실험을 수행하였다. 탈모 증세를 보이고 있는 남녀 20명에게 4개의 조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매일 삼푸 후 상기 시료들을 마사지 하듯이 가볍게 두드려준 다음 물로 세척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그 후 각 피검자들에 있어서 탈락된 모발의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탈락 모발 개수에 따른 선정자의 수는 하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다.
모발 탈락 개수 인원 (명)
100 ~ 150 81 ~ 99 61 ~ 80 30 ~ 60
실시예 1 1개월 사용 1 1 2 1
4개월 사용 - - 2 3
실시예 2 1개월 사용 - 2 2 1-
4개월 사용 - 1 3 1
비교예 1 1개월 사용 3 2 - -
4개월 사용 3 1 1 -
비교예 4 1개월 사용 4 1 - -
4개월 사용 3 2 - -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 1-2의 복합체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모발 세척 후 마사지 하듯이 사용할 경우, 1개월 내지 4개월에 걸쳐 탈락하는 모발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1개월 또는 4개월 사용 한 후에도 탈락모발의 감소에는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하수오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IGF-1(Insulin like Growth Factor-1),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및 MSM(Methyl Sufonyl Methane)을 포함하는 복합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하수오 추출물, 상기 고삼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및 상기 MSM 각각은 0.001 내지 20중량%; 상기 IGF-1 및 상기 PDGF 각각은 0.00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보습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의 첨가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배의 비율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는 0.01 내지 20중량%, 상기 복합체 조성물은 0.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22810A 2012-11-01 2012-11-01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810A KR101541533B1 (ko) 2012-11-01 2012-11-01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810A KR101541533B1 (ko) 2012-11-01 2012-11-01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437A KR20140057437A (ko) 2014-05-13
KR101541533B1 true KR101541533B1 (ko) 2015-09-03

Family

ID=5088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810A KR101541533B1 (ko) 2012-11-01 2012-11-01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26A (ko) 2017-07-06 2019-01-16 농업회사법인(주)힐리안 산화질소수 및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574B1 (ko) * 2015-07-14 2017-08-30 (주)피앤피바이오팜 모낭 세포의 재생과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변이체 및 노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KR101779932B1 (ko) * 2015-09-15 2017-09-21 주식회사 스템랩 나노그(Nanog)를 도입한 양수 내 태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육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79062B1 (ko) * 2017-12-18 2020-0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세포 성장인자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216B1 (ko) * 2017-11-10 2019-10-01 (주)엑셀세라퓨틱스 Pdgf-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94707B1 (ko) * 2021-12-06 2022-05-06 (주)젠퓨어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2865A1 (en) 2010-03-18 2010-07-08 Shantha Totada R Methods of enhancing hair grow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2865A1 (en) 2010-03-18 2010-07-08 Shantha Totada R Methods of enhancing hair grow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26A (ko) 2017-07-06 2019-01-16 농업회사법인(주)힐리안 산화질소수 및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437A (ko)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834B (zh) Abnormal protein removal composition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533B1 (ko)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CA2895218A1 (fr) Extrait de graines de passiflo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dermatologiques ou nutraceutiques le comprenant
US20110250154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hydroxyltate fatty alcohols and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CA2924382A1 (fr) Extrait lipidique de graines de passiflores
KR20100128733A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13058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280769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JP3784962B2 (ja) 発毛抑制剤
TW201642849A (zh) 包括芝麻素之組成物、其製造方法及用於皮膚抗老化及皮膚美白應用之用途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324672B1 (ko)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30033631A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81157B1 (ko) 아미노산을 이용한 식물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