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42B1 -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42B1
KR102075842B1 KR1020180113464A KR20180113464A KR102075842B1 KR 102075842 B1 KR102075842 B1 KR 102075842B1 KR 1020180113464 A KR1020180113464 A KR 1020180113464A KR 20180113464 A KR20180113464 A KR 20180113464A KR 102075842 B1 KR102075842 B1 KR 10207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parts
hair loss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경
Original Assignee
조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경 filed Critical 조문경
Priority to KR102018011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이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stimulating hair growth comprising effective microorganism fermentation liquid of medicinal herb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모주기를 가지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반복하며 생성, 성장 및 탈락하는데, 그 결과 전체 모발의 약 15%에 해당하는 모발이 휴지기와 퇴행기에 놓여 있어 일일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고 재생산된다. 이러한 모발의 생장주기는 약 3∼6년을 사이클로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모발주기의 성장기(anagen)에 해당하는 기간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짧아져 퇴행기와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모발이 탈락하는 수가 평균치보다 많아지는 것을 말하며, 원인으로는 유전적 안드로겐 호르몬의 작용, 국소혈류 장애에 의한 영양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 자가면역질환, 내분비 장애가 있으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며, 전술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는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성장기로 빨리 갈 수 있도록 하고, 짧아진 성장기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모발이 자라는 모근의 뿌리부분은 모구(hair bulb)라고 하고, 그 아랫부분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모유두라고 한다. 모유두는 모발의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모유두에는 혈관이나 신경이 있고, 바로 그 위에 있는 모모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모유두의 수는 태어날 때 결정되는데, 모유두가 없어지고 그 수가 감소할수록 모발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 생활습관의 변화, 사회 환경에 의한 과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비정상적인 탈모를 유발하고 있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청년 및 장년과 여성 탈모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머리카락이나 털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정상보다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탈모는 모발이 휴지기 상태에서 빠지는 일반적인 탈모 현상(휴지기 탈모, telogen effluvium)과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인 성장기 탈모 현상(anagen effluvium)으로 구별할 수 있는 데,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후자를 일컫는다. 탈모증의 형태에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조기 탈모증, 여성 탈모증(androgen alopecia in women), 매독성 탈모증, 장년성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등이 있다.
탈모를 위해 개발된 가장 대표적인 탈모방지제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직접적인 탈모 원인 물질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는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 제제의 경우는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투여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복용에 주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발모제 또한 FDA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은 제제이지만, 여성에게는 투여할 수 없고 피부자극, 가려움, 홍조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남녀 모두에게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7934호에는 EM 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 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이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한련초(Eclipta prostrata), 구기자(Lycium chinense), 갈근(Pueraria lobata)차, 솔잎(Pinus densiflora), 당귀(Angelica gigas),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석창포(Acorus gramineus),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검은콩(Glycine max), 자소엽(Perilla frutescens), 녹차(Thea sinensis)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천궁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련초 10~25 중량부, 구기자 10~25 중량부, 갈근차 10~25 중량부, 솔잎 10~25 중량부, 당귀 10~25 중량부, 하수오 10~25 중량부, 백하수오 5~10 중량부, 석창포 5~10 중량부, 구절초 5~10 중량부, 검은콩 5~10 중량부, 자소엽 5~10 중량부, 녹차 5~10 중량부 및 천궁 5~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련초 15~20 중량부, 구기자 15~20 중량부, 갈근차 15~20 중량부, 솔잎 15~20 중량부, 당귀 15~20 중량부, 하수오 15~20 중량부, 백하수오 6~8 중량부, 석창포 6~8 중량부, 구절초 6~8 중량부, 검은콩 6~8 중량부, 자소엽 6~8 중량부, 녹차 6~8 중량부 및 천궁 6~8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련초 16~17 중량부, 구기자 16~17 중량부, 갈근차 16~17 중량부, 솔잎 16~17 중량부, 당귀 16~17 중량부, 하수오 16~17 중량부, 백하수오 7~8 중량부, 석창포 7~8 중량부, 구절초 7~8 중량부, 검은콩 7~8 중량부, 자소엽 7~8 중량부, 녹차 7~8 중량부 및 천궁 7~8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은 유산균, 효모, 고초균 및 광합성세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로도슈도모나스 캡슐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M 원액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천궁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2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천궁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EM 원액을 100~15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발효는 25~40℃에서 2~5개월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0~40℃에서 2~4개월 동안 발효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한약재 EM 발효액은
1) 1~5ℓ의 정제수, 1~10g의 쌀가루, 100~300g의 황설탕 및 5~20g의 천일염을 혼합한 후 100~500 ㎖의 EM 원액을 추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을 첨가하고, 5~10ℓ의 정제수를 추가한 후 25~45℃에서 1~5개월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3ℓ의 정제수, 5g의 쌀가루, 200g의 황설탕 및 10g의 천일염을 혼합한 후 300 ㎖의 EM 원액을 추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을 첨가하고, 7ℓ의 정제수를 추가한 후 30~40℃에서 3개월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피부 외용제는 크림, 젤, 패취, 연고, 경고제, 로션제, 액제, 유탁액, 파우더제 또는 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액제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한약재 EM 발효액의 제조
본 발명의 EM 발효 및 비발효액은 하기 표 1의 배합으로 혼합하였다.
용기에 40℃의 정제수를 3ℓ 채운 후 쌀가루, 황설탕 및 천일염을 혼합하고, 그 후 E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을 추가로 첨가하고, 7ℓ의 정제수(40℃)를 채운 후 골고루 섞어주었다.
상기 EM 혼합물은 직사광선을 피해 35±5℃에서 3개월 동안 발효하여 한약재 EM 발효액(실험예 1)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EM 원액은 (주)코넴바이오에서 생산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탈모 및 발모 효과의 비교를 위해 배합은 동일하나 발효를 하지 않은 비발효 혼합물을 비교예 1로 사용하였고, 어성초, 녹차 및 자소엽으로 제조한 EM 발효액을 비교예 2로 사용하였다.
재료명 용량(g)
실험예 1
(발효)
비교예 1
(비발효)
비교예 2
(발효)
정제수 10000 10000 10000
쌀가루 5 5 5
황설탕 200 200 200
천일염 10 10 10
EM 원액 300 300 300
어성초 112.00 112.00 140
한련초 18.67 18.67 -
구기자 18.67 18.67 -
갈근차 18.67 18.67 -
솔잎 18.67 18.67 -
당귀 18.67 18.67 -
하수오 18.67 18.67 -
백하수오 8.00 8.00 -
석창포 8.00 8.00 -
구절초 8.00 8.00 -
검은콩 8.00 8.00 -
자소엽 8.00 8.00 70.0
녹차 8.00 8.00 70.0
천궁 8.00 8.00 -
총합 10795 10795 10795
실시예 1. 탈모 및 발모 개선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한약재 EM 발효액(실험예 1), 비 발효액(비교예 1) 및 어성초, 녹차 및 자소엽 EM 발효액(비교예 2)의 탈모 및 발모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하기 표 2의 배합으로 통상의 샴푸 제조방법에 따라 샴푸로 제조한 후,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재료 용량 (g)
실험예 1
샴푸
비교예 1
샴푸
비교예 2
샴푸
실험예 1 200 - -
비교예 1 - 200 -
비교예 2 - - 200
계면활성제 200 200 200
에센셜 오일 0.5 0.5 0.5
실크아미노산 20 20 20
쿠퍼펩타이드 10 10 10
히알루론산 20 20 20
비타민 E 4 4 4
보존제 2.5 2.5 2.5
총합 457 457 457
평가는 평소 탈모가 진행되고 있다고 느끼는 성인 남녀 총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제1그룹에는 실험예 1의 샴푸, 제2그룹에는 비교예 1의 샴푸, 제3그룹에는 비교예 2의 샴푸를 이용하여 1일 1회 통상적인 방법으로 머리를 감도록 하여 3개월 후 두피 상태 개선 정도, 탈모방지 효과, 발모촉진 효과 및 세척력을 5단계 평가 척도(5: 매우 양호, 4: 양호,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로 나누어 스스로 점수를 평가하게 하였다.
실험예 1 샴푸 비교예 1 샴푸 비교예 2 샴푸
두피 상태 4.5±0.53 3.8±0.63 3.1±0.74
탈모 방지 4.6±0.52 3.8±0.79 4.0±0.47
발모 4.4±0.52 3.3±0.48 3.7±0.48
세척력 4.4±0.52 4.3±0.67 4.3±0.67
만족도 4.6±0.51 3.8±0.78 3.0±0.81
그 결과, 상기 표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 1 샴푸를 사용한 그룹의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비교예 2의 샴푸는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는 있었으나, 두피에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1을 이용하여 제조한 샴푸는 두피 자극 없이 두피 상태를 개선하고,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어성초(Houttuynia cordata), 한련초(Eclipta prostrata), 구기자(Lycium chinense), 갈근(Pueraria lobata)차, 솔잎(Pinus densiflora), 당귀(Angelica gigas),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석창포(Acorus gramineus),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검은콩(Glycine max), 자소엽(Perilla frutescens), 녹차(Thea sinensis)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혼합물에 유산균, 효모, 고초균 및 광합성세균으로 이루어진 EM(Effective Microorganism) 원액을 추가로 혼합한 후 발효시킨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 한련초, 구기자, 갈근차, 솔잎, 당귀, 하수오, 백하수오, 석창포, 구절초, 검은콩, 자소엽, 녹차 및 천궁 혼합물은 어성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련초 10~25 중량부, 구기자 10~25 중량부, 갈근차 10~25 중량부, 솔잎 10~25 중량부, 당귀 10~25 중량부, 하수오 10~25 중량부, 백하수오 5~10 중량부, 석창포 5~10 중량부, 구절초 5~10 중량부, 검은콩 5~10 중량부, 자소엽 5~10 중량부, 녹차 5~10 중량부 및 천궁 5~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및 광합성세균은 로도슈도모나스 캡슐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5~40℃에서 2~5개월 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180113464A 2018-09-21 2018-09-21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7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64A KR102075842B1 (ko) 2018-09-21 2018-09-21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64A KR102075842B1 (ko) 2018-09-21 2018-09-21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842B1 true KR102075842B1 (ko) 2020-02-10

Family

ID=6962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64A KR102075842B1 (ko) 2018-09-21 2018-09-21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130A (ko) * 2020-05-27 2021-12-07 이두환 식물 생약재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372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12B1 (ko) * 2015-08-18 2016-03-04 이해덕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12B1 (ko) * 2015-08-18 2016-03-04 이해덕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제12권, 제1호, 133-138쪽, 2014년02월 공개*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제12권, 제6호, 773-786쪽, 2014년12월 공개*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130A (ko) * 2020-05-27 2021-12-07 이두환 식물 생약재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13452B1 (ko) 2020-05-27 2022-07-01 이두환 식물 생약재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372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90094913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두피 강화용 조성물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97302B1 (ko)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2075842B1 (ko)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70076972A (ko)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3571A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580962B1 (ko) 미강 발효 추출물 및 비터 오렌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07919B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1316275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64488B1 (ko) 홍삼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712481B1 (ko) 자소엽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653727B1 (ko)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WO2021118323A1 (ko) 텐덤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3546B1 (ko) 대두 추출물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9869B1 (ko) 아커만시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0906B1 (ko) 엽록소 또는 색소가 제거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