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10A -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10A
KR20140107010A KR1020130021464A KR20130021464A KR20140107010A KR 20140107010 A KR20140107010 A KR 20140107010A KR 1020130021464 A KR1020130021464 A KR 1020130021464A KR 20130021464 A KR20130021464 A KR 20130021464A KR 20140107010 A KR20140107010 A KR 2014010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scalp
effec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553B1 (ko
Inventor
이혜정
안준호
강예나
Original Assignee
케일럽 멀티랩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일럽 멀티랩 (주) filed Critical 케일럽 멀티랩 (주)
Priority to KR102013002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5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ulfur as an exocyclic substituent, e.g. pyridine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 구기자, 하수오, 하늘타리, 홍삼 및 은행잎을 알코올 또는 열수 추출하여 얻은 생약추출물과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의 화학성분의 복합조성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탈모방지, 발모촉진,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 가려움 방지효과,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성 향상효과 및 갈라짐 방지효과를 보이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이를 토대로 두피 및 모발의 개선을 위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염색제, 모발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등의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with effect on hair growth}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예방,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모발생장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감초, 하수오, 하늘타리, 구기자, 홍삼 및 은행잎 추출물과 식약청에서 탈모방지 효능으로 인정받은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조성물로 이루어진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모발의 개수는 약 10만 내지 12만개이다. 모발은 발생, 성장, 퇴화, 휴지기라는 라이프 사이클이 있으며 휴지기에 돌입한 머리카락이 보통 하루에 50 내지 10개 정도 빠지는 것이 정상이다. 모발은 일정기간 자라면 빠지고 새로운 모발이 난다. 손톱이나 발톱과는 달리 ‘자라고-쉬고-빠지고’하는 주기를 가지는 것이다. 털갈이를 하는 동물의 경우 전체 털의 모주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털이 동시에 빠지고 새로 나는 이른바 털갈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모발은 각각 독자적인 모주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털갈이 없이 항상 일정한 모발 수를 유지하게 된다.
모발은 성장기(Anagen), 퇴화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주기를 돌며 발모와 탈모를 반복하며 유지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시기인 퇴화기(Cate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시기인 휴지기(Telogen), 모유두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발을 탈모시키는 시기인 발생기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Anagen Stage; 2~7년)는 모발이 성장하는 기간이다. 성장기 단계는 다시 2단계로 나누어진다. 모발이 모구로부터 모포로 나가려는 모발 생성 단계와 딱딱한 케라틴이 모낭 안에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퇴행기까지 자가성장을 계속한다. 성장기의 수명은 2~7년이며 전체 모발(10~15만개)의 89~90%를 차지하고 생장기 단계에서 모발은 한 달에 1~1.5㎝ 정도 자란다. 음식물, 호르몬, 비타민의 영향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퇴행기(Categen Stage; 2~3주)는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과정이 느려지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케라틴을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퇴화기의 수명은 2~3주이며 전체 모발의 1%를 차지한다. 모구부가 수축하여 모유두로 나눠지며 모낭에 둘러싸여 위쪽으로 올라간다. 이때 세포분열은 정지하고 있다.
휴지기(Telogen Stage; 3개월)는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은 차츰 쪼그라들며, 모근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빠진다. 모발이 없어지는 시기로서 다음 생장기 단계가 시작될 때까지의 수명은 3~4개월이다. 전체 모발의 4~14% 해당(분만 후 30~40%)되며 이 시기의 모발은 강한 브러싱에 의해서도 쉽게 탈모된다.
탈모는 정상적인 현상이나 정상인 사람이 성장기 상태의 모발이 많은데 비해 탈모증(Alopecia)인 사람은 휴지기 상태의 모발이 많아 눈으로 보이는 탈모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탈모증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특징은 모발의 소형화에 있다. 탈모가 진행될수록 성장기의 기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모발은 점점 소형화된다. 따라서,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는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성장기로 빨리갈 수 있도록 하고, 짧아진 성장기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노화에 따른 영향이 탈모에 가장 밀접하게 작용을 한다. 과거 탈모는 유전에 의한 것이라 인식되었지만 최근 탈모는 노화의 한 현상이고 그 시기가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앞당겨진다는 점이 큰 문제이다.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은 크게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alopecia), 여성용 탈모증(female pattern hair loss)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밖에 탈모증으로는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기타원인에 의한 탈모증으로 나눌 수 있다.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의 성징을 나타나게 하며 사춘기의 근육의 발달, 남성 기관의 발달 등에 작용하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 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테스토스테론이 5 알파-리덕타아제(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여 모낭을 성장기 단계에서 퇴화기 단계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에 의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모발의 성장과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성장인자 중에서 전이 성장 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GF-β는 생체에서 세포자멸(apoptosis)을 유발함으로써 모낭의 퇴행기를 유도한다. Philpott 등이 인체 모낭을 기관 배양할 때 TGF-β1을 배양액에 추가하면 모낭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보고한 이후로 여러 연구에서 TGF-β가 모낭 성장에 억제적인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Philpott MP, Green, MR, Keakey T. Human hair growth in vitro, J Cell Sci. 1990;111; 948-954).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의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의 모양과는 좀 다르게 머리 앞부분은 빠지지 않고 중간 부분의 머리만이 주로 탈모된다. 여성의 탈모증은 5 알파-리덕타아제와의 연관 관계가 남성보다 적다. 따라서 5 알파-리덕타아제를 억제시키는 약물은 폐경기 이후의 탈모증 여성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다. 이러한 탈모증을 위한 치료제로는 주로 미녹시딜이나 에스트로겐이 사용되고 있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원형 또는 난원형의 탈모가 일어나며, 두부 백선이나 발모벽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미녹시딜을 환부에 바르거나 인위적으로 환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사회 발달에 따른 환경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도 탈모의 증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탈모 현상은 환경 및 사회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특히 잦은 퍼머, 염색, 스트레스, 심한 다이어트 등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남성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여성에게서도 그 증상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생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다. 또한, 두피 생리기능 저하로서 비듬이 많이 생기면 모발의 표피 출구인 모구가 막히고 세균 번식에 의해 두피가려움증, 염증 수반으로 탈모가 발생되거나, 두피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장애로 두부 피하조직 말초 혈관의 혈류량 감소에 의해 모발 성장에 이상을 일으킴으로써 탈모가 발생되거나, 기타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 스트레스 등에 의해 탈모가 진행된다. 그리고, 더위, 추위, 비바람 등의 기상변화, 대기 중의 오염물질, 담배 연기 등 생활 환경으로부터의 외부 자극으로 인해 면역력 저하에 따른 탈모가 남녀노소 불문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탈모인구는 20세 이상 성인남성 기준으로 23% 가량인 35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여기에 여성과 소아 탈모 인구까지 포함하면 잠재 탈모 환자는 더욱 늘어난다. 현재 국내 탈모 방지 및 발모제 시장규모는 대략 2천억 원 수준이지만 앞으로 4~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판 발모제 가운데 의약품은 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등 2종이며, 지난해 4월 말부터 국내 시판된 미국 MSD사의 프로페시아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최초의 대머리 치료 전문의약품이다. 프로페시아는 현재까지 나온 유일한 경구용 탈모 방지약으로 그 화학명은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이다. 이 피나스테라이드는 과거 수년 간 프로스카라는 상품명으로 노년층의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는 데 쓰였으며, 이후 임상 실험을 통해 남성의 탈모 치료에도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임이 입증되어 1998년에 미국의 식품의약청(FDA)의 인증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이 약의 작용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효소의 활동을 억제시켜 탈모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호르몬의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근본적인 탈모의 원인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대머리 증상이 시작되었거나 심하지 않은 1,500명 이상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프로페시아를 복용한 남성의 83%에서 머리가 빠지는 증상이 멈추었고, 가는 머리가 굵어지는 호전을 보인 반면 17%에서는 계속 탈모가 진행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 제품은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가 뛰어나지만 100명 중 1~2명 꼴로 성욕감퇴, 발기력 저하, 정액량 감소 등이 나타나나 성생활에 있어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고 보고되었다. 이런 부작용은 사용을 중지하면 수 주 내에 대부분 회복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FDA가 공인한 또 하나의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지난 88년부터 일반의약품으로 시판됐으며, 1일 2회 머리에 바르는 약으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약품이 ‘마이녹실’, 한미약품이 ‘목시딜’, 중외제약이 ‘볼드민’등의 상품명으로 이 약을 판매하고 있다. 의약외품으로는 제일제당이 지난 해 초 내놓은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인 ‘직공모발력’과 태평양제약의 탈모방지제인 ‘닥터모’가 선두다툼을 벌이고 있다.
각 약의 부작용이 여기저기 산재해 있어,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관리차원의 탈모방지 제품을 사용하는 여성이나 젊은 사람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평상시 매일 사용하는 샴푸 조성물에 탈모방지에 도움을 주는 유효성분을 함유시켜 탈모를 미리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모발관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상기와 같은 탈모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추출물(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와 발명이 활발히 진행되며, 본 발명자들은 탈모 방지, 모발 성장 효과를 지니는 조성물에 관한 등록 특허로써, 전엽음양곽, 하늘타리, 강진향, 뱀무 및 조구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대한민국특허 제10-0970126호) 특허를 갖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에 힘입어, 탈모예방을 위한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비누 등의 각종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양하게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실질적으로 비듬방지, 두피 가려움 및 탈모예방에 만족스러운 효과를 지닌 제품이 없고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건강한 육모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생약제 추출물인 감초, 구기자, 하수오, 하늘타리, 홍삼 및 은행잎 추출물과 식약청에서 탈모방지 효능을 인정받은 성분들인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한 복합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에 비해 탈모 방지효과, 발모효과,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 가려움 방지효과,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성 향상효과 또는 갈라짐 방지효과가 우수한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이 조성물을 토대로 두피 및 모발의 개선을 위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염색제, 모발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 등의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초, 구기자, 하수오, 하늘타리, 홍삼 및 은행잎을 알코올 추출 또는 열수 추출하여 얻은 생약추출물과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의 복합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조성물에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성분으로서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추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고,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염색제, 모발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와 같은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모근 세포로의 원활한 혈액 순환 뿐만 아니라, 두피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두피를 청결하게 하여 모근과 두피에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손상되고 힘없이 가늘어진 모발을 건강하게 발모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하는 각 주요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수오 (Cynanchum silfordii Hemsley)는 여뀌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초본으로 산삼과 견줄만한 약성을 인정받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독이 없다. 머리를 검게 할 목적으로는 사용할 때 검은 콩, 검은 깨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다. (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318, 영림사, 1998). 특히,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두피와 모발의 노화방지제로서 효과적이며 항산화작용과 수렴 작용 등을 통한 피부와 두피 노화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크리소파닉산(chrysophanic acid),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안트로넨(anthronene), 레인(rhein), 전분이다.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피부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 합성 및 히아루론 산 합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감초의 생리활성의 주성분으로는 글리시리친(Glycyrrhizin),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마니톨(mannitol)등이다.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L., 과루인)는 박과(Cucurbit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 흔히 자라는 덩굴식물이다. 베타시토스테롤(Beta sitosterol),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올레익산(Oleic acid), 사포닌(Saponins),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트리코산틴(Trichosanthin)등의 성분이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하늘타리의 뿌리를 천화분, 과루근이라 하며 종기와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 염증을 가라앉히고 농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한다. 천화분 약침 제제는 악성포도태와 상피세포암종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편, 일월서각, 1994)
구기자는 가지과 식물인 구기 혹은 영화구기의 성숙한 과실로 베타인, 다당, 지방,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코틴산, 비타민C 및 칼륨, 철, 인, 구리, 아연 등의 미량 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모발용 제품에 적합하다. 발모제에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면 탈모를 예방, 치료하고, 멜라닌 색소가 신속하게 생성되어 두발이 검고 윤택해지기 때문에, 인체에 필요한 미량 원소가 부족함으로 인해 머리가 노랗거나 하얗게 변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뛰어나다. 피부각질에도 효과적이며 자외선 및 피부의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므로 화장품에 쓰면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윤택해지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홍삼은 수삼을 껍질 채 찌고 건조시켜 수분함량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 중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띄어 매우 단단한 형태로 원형을 유지시킨 인삼이다. 75%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는 수삼의 상태보다 가공건조를 통한 수분감소로 세균과 곰팡이, 미생물의 오염을 막고,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켜 저장, 운반이 용이하다. 인삼의 대표적 유효성분인 사포닌 정량방법과 품질관리의 발달로 가공과정 중 사포닌의 분해를 최대한 억제하게 되었고, 사포닌 외 말톨, G-Rh2 등 유효성분이 추가로 생성된다.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은행(Ginko biloba L.)으로부터 추출되며 은행잎에는 인체의 프리라디칼(유해산소) 제거, 항산화작용, 세포막 보호, 혈관질환개선, 혈압 강하작용 등을 가진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혈액순환 개선, 혈전 제거, 혈액 노화 예방, 피부노화 억제, 건성 피부 보호 및 얼굴의 잔주름을 막아주는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과 더불어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잎 추출물은 잎의 플라보노이드와 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종합성분으로써 프라본그리코사이드류, 징코닉애씨드, 징코게틴, 징코화이드 A,B,C,M, 텔펜락톤류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flavonoids), 테르펜계 화합물(terpenes)과 탄닌인 프로안토시아니딘류(proanthocyanidins)이며, 그 밖에 알킬페놀류(alkylphenols)가 있다. 은행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화학적으로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flavonol glycosides)와 바이플라본류(biflavones)로 분류할 수 있으며 바이플라본류에는 시아도피티신(sciadopitysin), 징크게틴(ginkgetin), 이소징게틴(isoginkgetin), 바일로베틴(bilobetin), 아멘토플라본(amentoflavone) 등이 보고 되었으며,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에는 비당체(aglycone)의 종류에 따라 캠페롤(kaempferol), 퀘르세틴(quercetin) 및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의 배당체로 대별될 수 있다. 테르펜류 화합물은 징골리드(ginkgolide) A,B,C 및 J와 바일로발리드(bilobalide)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특히 이소람네틴(isorhamnetin)과 퀘르세틴(quercetin)은 관상 혈관을 확장시켜 두피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징크게틴(ginkgetin)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강하 작용을 한다. 이들은 또한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피부진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어 은행잎의 추출물을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다.
징크피리치온은 1930년대 항균제와 항진균제로 개발된 약물로서, 그 이후로는 두피의 지루성 피부염과 습진, 무좀, 백반증, 건선 등의 다른 피부질환에 사용되었다. 피지선의 과도한 분비를 진정시키는데, 피지선은 피부 밑에 위치해서 모낭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피부와 모발을 부드럽게하고, 윤기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징크피리치온이 진균과 세균을 모두 억제할 수 있어서 피부의 염증을 줄이며 인설, 홍반, 가려움증에도 사용되고 있다.
비오틴은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수용성 비타민 B이다. 1936년 처음 분리되어 1943년에 합성되었다. 다수의 효소 시스템에 필수적이며 동식물을 통해 섭취한 비오틴은 단백질과 결합하여 소장 상부에서 효소와 접촉할 때까지 방출되지 않는다. 소장 하부에서도 흡수되며 이곳에서는 유익균에 의해 생합성 되기도 한다. 비오틴 함유 효소는 탄수화물 및 지방 대사에 의한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며, 지방 생합성 및 단백질 대사 부산물 배설에 관여한다. 효소 함유 비오틴은 카복실화 반응, 탈 카복실화 반응, 탈 아미노 반응에 참여한다. 비오틴은 모발을 건강하게 하고 흰머리, 대머리를 방지하는 비타민이며 엉킨 머리 증후군에 도움이 된다.
덱스판테놀은 비타민 B5 전 단계 물질로 손상된 피부에 신속하게 흡수되 세포 에너지를 생성시키고 조직 재생 능력을 증진시키며 피부에 적절한 유, 수분을 공급해 건조하고 거칠어진 피부를 빠르게 개선시키고 피부에 생긴 염증 및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 밖에 피부 보습막을 형성해 수분 손실을 막아주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해 피부 탄력을 유지해준다. 덱스판테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음식에 첨가해 섭취해도 무방한 성분으로 등급을 내릴 정도로 매우 안전한 평가를 받았다.
니코틴산아미드는 나이아신(Niacin)의 산 아미드로서 나이아신아미드라고도 하며 식품 중의 나이아신은 대부분 이 형태로 존재한다. 나이아신은 니코틴산으로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는 지방에서 발생하는 피부병의 일종인 펠라그라(Pellagra)의 예방 치료에 효과가 있고 개의 흑설병에도 효과가 있는데 니코틴산아미드도 이와 같은 항펠라그라 인자이다. 탈수소효소의 조효소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물질인 코인히드로게나아제 I 및 II는 니코틴산아미드리보오스 인산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며 또한 니코틴산아미드는 만성 알코올 중독, 협심증, 동상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며 나이아신과 같이 NAD, NADP의 구성 성분이 되어서 비타민 효과를 나타낸다. 혈액 순환 촉진에 도움이 되며 고지혈증을 개선하고 혈압을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탄력을 회복시켜주며, 주름살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 등이 있다.
여기서, 용해보조제는 구체적으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보습제는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다.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pH 조절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될 수 있다.
금속이온봉쇄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될 수 있다.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항염증성분은 구체적으로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라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콜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용제는 구체적으로 에탄올, 정제수, 트윈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될 수 있다.
착색제와 착향제는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비듬생성 방지,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성장촉진을 위한 헤어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비누, 헤어팩,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상기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우는, 약제학적으로 적합하며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용매,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이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투여를 위해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텍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모 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감초, 구기자, 하수오, 하늘타리, 홍삼, 은행잎 알코올 또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혼합물이 적절한 용매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 상태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생약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한약재는 하수오 4~10 중량부, 하늘타리 2~5 중량부, 구기자 2~5 중량부, 감초 2~5 중량부, 홍삼 2~5 중량부, 은행잎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와 제조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촉진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의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알코올 추출방법으로는 상기 각각의 천연 생약들을 깨끗이 세척한 후,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5이하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70~95% 에탄올을 중량 비율로 3배 내지 8배 가하여,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 추출하고, 냉각시키지 않고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지 또는 통상의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다. 걸러진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나 통상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건조시키면 최종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통사 500g의 천연물을 추출하여 감압 과정을 마치면 250g의 농축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은 최종 알코올 추출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2
열수추출방법으로는, 상기 각각의 천연 생약들을 깨끗이 세척한 후, 3배 내지 8배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알코올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하되 85℃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여과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물을 절반 양 정도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다. 이 두 가지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가열 농축하여 최종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통상 500g의 천연물을 추출하여 감압 과정을 마치면 250g의 농축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은 최종 열수 추출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알코올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
탈모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헤어샴푸)
상기 천연 생약추출액 500g, 올리브계면활성제 60g, 코코베타인계면활성제 40g, 실크아미노산 10g, 네츄럴베타인 10g, 뷰플렉스 9g, 징크피리치온 10g, 니코틴산아미드 6g, 덱스판테놀 6g, 비오틴 10g, EDTA-2NA 2.4g, 산도조절제를 포함하여 샴푸 1,6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탈모방지, 비듬생성 방지, 두피 가려움증 예방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헤어토닉)
상기 천연 생약추출액 552g, 실크아미노산 6g, 네츄럴베타인 6g, 뷰플렉스 6g, 나트로틱스 12g, 알코올 3g, 페페민트 오일 3g, 레조시놀 0.6g, 멘톨 0.3g, 덱스판테놀 1.2g 산도조절제를 포함하여 헤어토닉 600g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헤어샴푸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샴푸(제품명 : 엘라스틴 볼륨컨트롤 샴푸, 제조원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및 탈모방지샴푸(제품명 : 려, 제조원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를 탈모가 이미 진행되거나 탈모환자로 구성된 30~50세 남자 30명을 각 10명씩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에는 본 발명의 헤어샴푸, B그룹에는 일반샴푸, C그룹에는 탈모방지샴푸를 40일 동안 1일 1회 샴푸하도록 한 후 아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두피 상태 및 탈모 감소에 대한 피험자 설문조사
상기 A, B, C 그룹에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헤어샴푸와 헤어토닉 또는 타사의 헤어샴푸와 헤어에센스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두피 상태 및 탈모 감소와 모발 생성에 대한 느낌을 설문지 조사한 결과,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설문 내용은 헤어샴푸와 헤어토닉(헤어에센스)의 사용 후 두피 가려움이 줄어들었는지, 사용 후 비듬생성이 줄어들었는지, 사용 후 탈모가 감소하였는지, 모발이 생성되었는지의 여부였으며, 설문결과 두피 가려움증 및 비듬생성 감소, 탈모 또한 감소하고 모발의 생성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아래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한 헤어샴푸를 사용한 A그룹에서 일반 샴푸 및 타사의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한 B, C그룹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설문내용 A(피험자 수/명) B(피험자 수/명) C(피험자 수/명)
사용 후 두피가려움증이 줄어들었다. 10 4 3
사용 후 비듬생성이 줄어들었다. 9 3 3
사용 후 탈모가 감소하였다. 9 1 2
사용 후 모발이 생성이 증가하였다. 10 0 3
(2) 모발의 인장 강도 비교 시험
모발의 인장 강도 시험이란 모발이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지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써, 상기 A, B, C 그룹의 각 피험자의 헤어샴푸와 헤어토닉(헤어에센스)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이 나타내었다.
아래의 인장강도결과는 각 피험자별로 헤어샴푸와 헤어토닉(헤어에센스)의 사용 전과 사용 후 각각 10개의 머리카락을 뽑아 측정한 인장강도의 평균값이다.
피험자 A B C
사용 전 (kg) 사용 후 (kg) 사용 전 (kg) 사용 후 (kg) 사용 전 (kg) 사용 후 (kg)
1 0.076 0.090 0.094 0.090 0.080 0.074
2 0.094 0.110 0.099 0.090 0.079 0.068
3 0.067 0.086 0.120 0.095 0.125 0.110
4 0.099 0.106 0.098 0.084 0.095 0.089
5 0.082 0.099 0.110 0.094 0.099 0.079
6 0.119 0.130 0.070 0.060 0.087 0.080
7 0.089 0.098 0.079 0.071 0.118 0.105
8 0.091 0.100 0.090 0.088 0.110 0.100
9 0.099 0.111 0.150 0.120 0.135 0.121
10 0.097 0.118 0.130 0.106 0.096 0.091
상기의 결과를 통해 일반 샴푸 및 시중의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한 다른 그룹은 모발의 인장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음에 비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사용한 A그룹의 피험자는 모발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3) 발모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상태 비교 시험
상기 A, B, C 그룹의 피험자의 각 헤어샴푸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발모 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 상태를 실험한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발모 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 상태는 육안, 돋보기, 현미경으로 새로 나는 모발의 수, 기존 모발 및 새로 자라는 모발의 두께, 두피 상태 등을 살펴본 결과이다.
구분 A (인원수/명) B (인원수/명) C (인원수/명)
발모상태 좋음 10 7 3
보통 0 3 5
변화없음 0 0 2
모발영양상태 좋음 9 7 4
보통 1 2 2
변화없음 0 1 4
세정상태 좋음 10 6 3
보통 0 4 3
변화없음 0 0 4
(4) 비듬 방지 효과 실험
비교적 비듬이 많은 10명을 선정하여 상기와 같이 조성된 헤어 샴푸와 헤어 토닉 또는 헤어컨디셔너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A군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1의 조성물로 제조된 헤어샴푸를 사용한 후, 상기 실시예 2-2의 조성물로 제조된 헤어토닉을 사용한 실험군이다. B군은 일반샴푸(제품명 : 엘라스틴 볼륨컨트롤 샴푸, 제조원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를 사용한 후 동일한 일반샴푸 헤어컨디셔너(제품명 : 엘라스틴 맥시마이징 볼륨 컨디셔너, 제조원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을 사용한 실험군이고, C군은 비듬방지샴푸(제품명 : 리엔(청윤비책라인), 제조원 : 엘지생활건강)를 사용한 후 동일한 비듬방지 헤어컨디셔너(제품명 : 리엔(청윤비책라인), 제조원 : 엘지생활건강)를 사용한 실험군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군의 임상실험 피험자들은 각각의 헤어샴푸와 헤어토닉 또는 헤어컨디셔너를 사용하고 시험종료 후 3일간 채집하여 누적된 비듬의 중량비교를 통해 비듬감소율을 평가하였으며, 비듬방지효과에 대한 설문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A (인원수/명) B (인원수/명) C (인원수/명)
평균 비듬 감소율(%) 72.5 21.8 37.3
비듬방지 효과가 있다 8 3 5
비듬방지 효과가 없다 0 6 3
잘 모르겠다 2 1 2
제제예 1
헤어샴푸의 제조
라우릴 POE(3) 황산에스테르 트리에탄올아민염(30%) 12.0%
라우릴 POE(3) 에스테르 나트륨염(30%) 23.0%
라우릴황산에테르나트륨염(30%) 5.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30%) 10.0%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릭액씨드에테르 2.0%
비오틴 3.0%
니코틴산아미드 2.0%
덱스판테놀 3.0%
EDTA-2Na 0.2%
향료 0.5%
복합생약추출물 7.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제예 2
헤어토닉의 제조
레조시놀 0.1%
멘톨 0.05%
덱스판테놀 0.2%
니코틴산아미드 0.1%
비오틴 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피마자유 5.0%
복합 생약 추출물 10.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적량
계 100.0%
제제예 3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세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복합 생약 추출물 2.5%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적량
계 100.0%
제제예 4
헤어로션의 제조
레조시놀 2.0%
멘톨 2.0%
판테놀 0.5%
피록톤올아민 0.1%
복합 생약 추출물 5.0%
향료, 색소 0.5%
정제수 적량
계 100.0%
제제예 5
헤어비누의 제조
복합 생약 추출물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 (수분 13%, 중량부) 적량
계 100.0%

Claims (3)

  1. 감초, 구기자, 하수오, 하늘타리, 홍삼 및 은행잎을 알코올 추출 또는 열수 추출하여 얻은 생약추출물과,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의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에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염색제, 모발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와 같은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30021464A 2013-02-27 2013-02-27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4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64A KR101445553B1 (ko) 2013-02-27 2013-02-27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64A KR101445553B1 (ko) 2013-02-27 2013-02-27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10A true KR20140107010A (ko) 2014-09-04
KR101445553B1 KR101445553B1 (ko) 2014-09-29

Family

ID=5175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64A KR101445553B1 (ko) 2013-02-27 2013-02-27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5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172A1 (ko) * 2015-01-30 2016-08-04 현대약품 주식회사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09918B1 (ko) * 2016-01-13 2017-02-24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약재 추출물이 포함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087885A (zh) * 2021-05-08 2021-07-09 湖北山特莱新材料有限公司 一种循环再生聚酯切片的生产方法
CN114848516A (zh) * 2022-05-13 2022-08-05 媞颂日化用品(广州)有限公司 一种含生物素三肽-1的宠物用防脱护毛沐浴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98B1 (ko) * 2017-05-12 2019-09-05 (주)화니핀코리아 초정탄산수를 함유하는 모발 손상방지 및 모발 개선용 후처리제 화장료 조성물
KR101974499B1 (ko) * 2017-05-12 2019-05-02 (주)화니핀코리아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04B1 (ko) 2018-11-21 2020-03-10 (주)정코스메틱 비피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15055A1 (ko) * 2020-07-14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163A (ko)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알파인프로덕트 탈모방지 및 발모/육모촉진제
KR100970126B1 (ko) *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43530B1 (ko) * 2011-06-29 2013-03-20 김광우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172A1 (ko) * 2015-01-30 2016-08-04 현대약품 주식회사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7205908A (zh) * 2015-01-30 2017-09-26 现代药品株式会社 稳定性得到改善的含褪黑激素的育发、养发或生发促进用组合物
CN107205908B (zh) * 2015-01-30 2020-03-10 现代药品株式会社 稳定性得到改善的含褪黑激素的育发、养发或生发促进用组合物
KR101709918B1 (ko) * 2016-01-13 2017-02-24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약재 추출물이 포함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087885A (zh) * 2021-05-08 2021-07-09 湖北山特莱新材料有限公司 一种循环再生聚酯切片的生产方法
CN114848516A (zh) * 2022-05-13 2022-08-05 媞颂日化用品(广州)有限公司 一种含生物素三肽-1的宠物用防脱护毛沐浴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553B1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553B1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8361522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applications
KR10104977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KR20070092052A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6386A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35051A (ja) ニキビ改善剤及び皮膚外用品
KR102324672B1 (ko)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00333B1 (ko) 배암차즈기, 원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1243A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148227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