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499B1 -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499B1
KR101974499B1 KR1020170058972A KR20170058972A KR101974499B1 KR 101974499 B1 KR101974499 B1 KR 101974499B1 KR 1020170058972 A KR1020170058972 A KR 1020170058972A KR 20170058972 A KR20170058972 A KR 20170058972A KR 101974499 B1 KR101974499 B1 KR 10197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hair
cosmetic composition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449A (ko
Inventor
김회기
Original Assignee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니핀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부한 탄산 및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초정 탄산수를 활용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모발의 윤기 및 탄력 개선을 통해 모발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초정탄산수 35 ~ 55 중량%와, 천연복합추출물 1 ~ 25 중량%와, 살리실산 0.1∼5 중량%와, 아연피리치온 0.1∼5 중량%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15 ~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learing Scalp Keratin And Dandruff, And Improving Hair Using Containing Chojeo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정 탄산수를 활용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모발의 윤기 및 탄력 개선을 통해 모발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대부분 단백질과 젤라틴으로 구성되는데, 모발의 손상이나 탈모는 노화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 외에도 최근에는 유전적 요인, 유해 환경, 각종 스트레스 등 후천적 영향에 의해 연령이나 성별을 가리지 않고 급증하고 있다.
또한, 두피 표면에서 자연히 떨어져 나오는 각질(角質)에 지방이나 먼지가 묻어서 생기는 비듬은 염증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두피에 각질이 과하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두피 상태로서, 이러한 비듬 현상의 심화는 두피의 혈행 불량에 의해 모근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비강성 탈모(枇糠性脫毛)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비듬의 원인으로는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lae)가 지목되어 왔고, 대부분의 비듬 치료제들은 피티로스포름 오발레를 억제하는 아연 피리치온이나 피록톤올아민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항비듬제들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들을 과량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그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미용을 위한 염모제나 펌제 등 화학제의 빈번한 사용에 따른 두피 및 모발의 손상이 심각한 상황이고, 스트레스, 영양분 결핍 및 기타 환경적 영향에 의한 모발의 손상 역시 급증하고 있으며, 스트레스는 두피의 모근에 혈액량을 감소시켜 두피의 영양이 결핍되므로, 두피가 점점 얇아져 모근이 부실해지고 모발을 가늘게 만든다.
한편, 탄산온천(炭酸溫泉)에 몸을 담그면 피부가 유연해지고 몸속부터 개운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탄산수(炭酸水)에서 발생하는 탄산 기포가 피부 위에서 미세하게 움직여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또한 탄산가스가 체내로 흡수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량이 증가해 산소 전달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탄산수는, 포함된 탄산가스에 의해 약산성을 띠며, 탄산가스가 피부 장벽층 넘어 체내로 흡수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시켜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탄산수을 이용하는 경우, 탄산수의 약산성에 의하여 모발 염색제나 펌제에 의해 잔류하는 화학성분의 잔류 알칼리를 중화시켜 알칼리 잔유물을 제거하는 한편 모발 본래의 pH 밸런스를 유지하고, 천연탄산수에 포함된 탄산가스 및 미네랄 등에 의하여 두피에 쌓여 있는 비듬이나 각질을 제거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098021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풍부한 탄산 및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초정 탄산수를 활용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모발의 윤기 및 탄력 개선을 통해 모발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초정탄산수 35 ~ 55 중량%와, 천연복합추출물 1 ~ 25 중량%와, 살리실산 0.1∼5 중량%와, 아연피리치온 0.1∼5 중량%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15 ~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초정탄산수는 탄산칼슘(CaCO3) 500 ~ 700 ppm과, 칼슘(Ca) 20 ~ 300 ppm과, 마그네슘(Mg) 2 ~ 50 ppm을 포함하는 초정탄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은,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병풀추출물 7~10중량%, 쌀겨추출물 7~10중량%, 마치현추출물 7~10중량%, 파파야열매추출물 7~10중량%, 서양민들레추출물 7~10중량%, 아르니카꽃추출물 7~10중량%, 쓴쑥추출물 7~10중량%, 서양톱풀추출물 7~10중량%, 겐티아나추출물 7~10중량%, 구기자추출물 7~10중량%, 어성초추출물 7~10중량% 및 녹차추출물 7~10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연피리치온은, 디소듐-EDTA, 트리소듐-EDTA, 테트라소듐-EDTA, 및 디포타슘-ED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킬레이팅제에 의하여 가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초정탄산수 및 천연복합추출물과 같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염색이나 펌 등의 헤어시술에 사용되는 화학제에 의한 모발 손상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키고, 특히 알칼리계 염모제를 통한 모발의 손상을 초정탄산수의 낮은 산도(pH)를 통해 중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을 통해 유수분막을 형성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모발을 부작용 없이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 및 아연피리치온을 더 포함함으로써, 두피에 생성된 각질 및 비듬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은, 초정탄산수와,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복합추출물과, 살리실산(salicylic acid)과,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및 기타 첨가물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초정탄산수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 지역에서 용출되는 냉광천의 탄산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초정탄산수는 1969년 국립지질광물연구소로부터 우수성을 확인받았고, 1980년에는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준 인준을 받은 탄산수이다.
상기 초정탄산수는 용존 상태의 유리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최고 1200 ppm 함유되어 있고, 게르마늄은 8 ~ 22 ppm으로 시판되는 생수의 1000배에 달하며, 20여 가지의 다양한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탁월하며, 특히 미네랄 밸런스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모발의 필요 영양소로는 단백질, 칼슘, 요오드 등이 대표적인데, 단백질의 섭취가 부족해지면 우리 몸은 단백질을 비축하기 위해 생장기에 있던 모발을 휴지기 상태로 전환하여 모발의 손상을 유발하고, 심하게는 탈모로 이어지고, 또한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은 단백질처럼 직접적으로 모발을 구성하는 요소는 아니지만,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 미네랄이 부족하면 모발에 영양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고, 두피의 환경에도 영향을 끼쳐 모발은 점점 가늘어지고 약해져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초정탄산수는 탄산칼슘(CaCO3) 500 ~ 700 ppm과, 주요 미네랄로써 적어도 칼슘(Ca) 20 ~ 300 ppm, 마그네슘(Mg) 2 ~ 50 pp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량의 게르마늄(Ge), 망간(Mn) 또는 셀레늄(Se)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초정탄산수를 약산성으로 유지하며, 염색이나 펌 등의 헤어시술 후 모발 및 두피에 잔류하는 알칼리계의 화학성분을 중화시킬 뿐만 아니라, 탄산 기포가 두피 위에서 미세하게 움직여 두피의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키는 한편, 탄산가스가 체내로 흡수되면서 두피의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량이 증가해 산소 전달이 빨라져 모발의 손상을 예방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칼슘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피부 건강 유지에 기여하고, 피부의 보습인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기 마그네슘은 세포 대사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 수행하며,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고, 보습인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셀레늄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피부 세포 활성화와 항산화 작용 및 피부질환 개선에 기여하며, 게르마늄은 유해 물질을 체외로 배출시키며 대사 활동을 촉진시켜 유전자 및 생명 현상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기 게르마늄에 함유된 산소를 방출하면 혈관 내에 많은 양의 산소가 공급되므로, 모세혈관들이 확장되어 두피의 혈류가 개선되고 세포가 부활되어 세포 내 반응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모발의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성분인 단백질과 이를 합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미네랄 성분이 적정량 함유된 초정탄산수를 이용함으로써, 모발이 점점 가늘어지고 약해져서 발생하는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초정탄산수를 채수한 후 무기질 성분 분석 방법인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분석 방법에 따라 적정량의 탄산칼슘과 미네랄이 함유된 초정탄산수로 선별하고, 선별된 초정탄산수는 필터(millipore filter, 0.45um)로 여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제된 초정탄산수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초정탄산수에 포함된 탄산칼슘과 미네랄의 농도에 따라 정제수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포함한다.
상기 살리실산은 pH가 2.4인 유기산의 하나인 식물성 호르몬으로서 버드나무 껍질에서 처음으로 추출된 이래 항염 및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에는 피부 각질의 제거, 여드름 개선 및 피부염 치료 및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살리실산은 피부에 형성된 각질을 연하게 하여 떼어내고 모공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로 인해 모공 속 피지의 배출을 돕고,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을 포함한다.
상기 아연피리치온 (Zinc pyrithione)은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비듬균 억제효과가 우수하여 비듬 방지용 샴푸와 같은 모발 제품의 기능성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연피리치온은 25℃의 물속에서 15 ppm 밖에 녹지 않는 수난용성의 고체입자로, 샴푸 등과 같은 수용성 매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매체에 안정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연피리치온은, 디소듐-EDTA, 트리소듐-EDTA, 테트라소듐-EDTA, 및 디포타슘-ED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킬레이팅제를 이용하여 아연피리치온을 가용화 한 아연피리치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초정탄산수 외에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복합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은 여러 종류의 천연식물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추출물"은 천연식물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임계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식물의 추출물들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천연복합추출물은, 병풀추출물, 쌀겨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파파야열매추출물, 서양민들레추출물, 아르니카꽃추출물, 쓴쑥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포함한다.
각 추출물의 특성과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병풀(Centella Asjatica)"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및 남태평양 등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잎과 줄기에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시드, 마데카식애씨드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증진 효능,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보습작용이 우수하여 피부의 가려움 및 자극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병풀추출물은 염모제나 펌제 등의 자극으로 약해진 두피를 진정시키고, 보습막 강화에 도움을 주며, 영양이 손실된 모발에 풍부한 영양공급 및 손상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쌀겨"는 쌀의 도정 공정에서의 주요한 부산물인데 도정된 쌀의 거의 8%에 달한다. 도정에 의해 생산된 쌀겨의 20~30%는 미강유의 생산에 사용되는 반면, 나머지 쌀겨는 폐기되거나 가축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쌀겨 추출물이 항산화, 항암 및, 항고지혈(antihyperlipidemia)작용을 포함하는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쌀겨 추출물은, 비타민B, E 등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두피 안의 노폐물를 제거하고, 또한 쌀겨 추출물에는 토코페롤과 같은 항산화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두피를 보다 더 건강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의 전초를 말하는 것으로서 오행초라고도 불리는데, 주성분으로는 ℓ-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 C8H11O3N), 도파민(dopamine, C8H11O2N), 알칼로이드(alkaloid), 칼륨염, 유기산 (사과산, 레몬산, 상아산), 아미노산(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알라닌) 등이며, 마른 물질은 조단백 4.5~6.6%, 조지방 3.7~5.8%, 조회분 25~27%, 단당류 2~3%, 사탕 4.4~6%, 물 분해되기 쉬운 다당류 9~14%, 녹말 0.2~2.5%, 비타민 B1과 C, 카로틴 9.4~17㎎%, 니코틴산 25~50㎎%, 토코페롤 2~6㎎%, 미량원소인 아연, 동, 망간, 니켈, 철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부자극 및 알러지 반응 진정작용, 피부 건조 예방 및 항염작용으로 노화예방, 항균및 항진균의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마치현 추출물은, 펌제나 염모제에 의한 헤어시술 후 민감해진 두피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비듬 및 모낭의 막힘을 억제하여 모발의 탄생에 도움을 주고 탈락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파파야(Carica papaya)"는 파파인 효소를 포함하는데, 파파인 효소는 단백질 분해 효소 중 하나로, 염증 치료 및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자극없이 피부세정 또는 각질제거를 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파파야열매 추출물은, 펌제나 염모제에 의한 두피 손상을 치료하고, 두피나 모발에 잔류하는 화학성분을 제거해 줄 뿐만 아니라 비듬 등의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춘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먹고,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서양민들레추출물은 타라솔, 타라세놀, 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루티오닌 성분은 소염(消炎)효능, 즉 염증발생에 관여하는 혈중 면역 글리불린의 농도를 낮추고, 제2제의 산화제를 사용함에 따라 유발된 세포의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두피보호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공하는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에서 식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류된 것은 민들레(Taraxcum platycarpum),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털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가 있다. 이중 민들레(Taraxcum platycarpum), 털민들레(Taraxacum mongolicum)와 같은 토종 민들레는 처음에 개화하기까지 몇 년이 걸리고 봄 한철에만 일회 번식하여 재배에 따른 생산성이 높지 못한 것에 반해 서양민들레는 사계절 꽃이 피고 자가수정을 하여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서양민들레 추출물의 활용이 더 유리하다.
다음으로, "아르니카(arnica)"는, 학명이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로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한다. 고원의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는 20 내지 30cm이고 꽃은 6 내지 7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주로 꽃과 뿌리줄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아르니카 추출물은 항미생물 및 항진균제 성분으로서, 두피의 가려움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쓴쑥(Artemisia Vulgari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및 혈액응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쓴쑥 추출물은 펌제나 염모제에 의한 헤어시술 후 두피의 진정작용 등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L.)"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지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소염 작용, 살균 작용 및 지혈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발에 생성된 멜라닌의 이동을 막아, 흑모의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양톱풀 추출물은 펌제나 염모제에 의한 헤어시술 후 두피의 진정작용 등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겐티아나(Gentiana Lutea)"는 용담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풀로, 스페인, 남프랑스, 독일, 스위스 등지에 분포하며, 겐티아나의 뿌리는 위의 기능을 촉진하고 또는 이를 조절하는 약제인 건위제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겐티아나 추출물은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자유라디칼)로부터 피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생기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고, 피부 과민 반응을 차단하거나 축소시키는데 관여하고 손상받은 피부를 건강하게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겐티아나 추출물은 펌제나 염모제에 의한 헤어시술 후 손상을 받은 두피의 진정작용 등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구기자"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er)의 열매로서 예로부터 민간 치료제로 사용해 왔으며, carotenoids, choline, meliscic acid, zeaxanthin, physalin(dipalmity-zeaxanthin), betaine, β-sitosterol, vitamin B1, rutin과 불포화 지방산 등으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노화효과, 항균효과, 간 기능 개선, 혈압강하 및 항당뇨, 면역증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심혈관 관련 질환 예방 및 항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기자 추출물은 두피에 영양 공급, 각질 제거, 탈모 예방 및 백발 방지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어성초(Heartleaf Houttuynia)"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어성초 추출물은 두피의 피부 트러블을 제거하고, 비듬과 가려움증을 다스려주며, 두피를 청아하게 모발을 풍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녹차추출물(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은 녹차의 잎을 추출한 것으로, 항산화작용을 가지며, 폴리페놀과 카테킨 성분이 두피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비듬 및 각질을 덜어 주어 두피와 모발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Lauramide DEA),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를 포함하고, pH 조정제로서 락틱애씨드(Lactic Acid , 락트산),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를 포함하며, 방부재로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베타인(Betaine) 헤어컨디셔닝제로서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Hydrolyzed Keratin), 판테놀(panthen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ophosphoric acid), 점증제로서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금속이온봉쇄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칙향제로서 멘톨(menthol), 살균보존제로서 포타슘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그 외에 에탄올, 레시틴(lecithin), 에칠헥산디올(Quaternium-33 and Ethylhexandiol), 소듐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 1,2-헥산디올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탄산칼슘(CaCO3) 500 ~ 700 ppm과, 칼슘(Ca) 20 ~ 300 ppm과, 마그네슘(Mg) 2 ~ 50 ppm을 포함하는 초정탄산수 35 ~ 55 중량%와, 천연복합추출물 1 ~ 25 중량%와, 살리실산 0.1∼5 중량%와, 아연피리치온 0.1∼5 중량%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15 ~ 35 중량%를 포함하며, 크림타입으로 제형된다.
또한,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은,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병풀추출물 7~10중량%, 쌀겨추출물 7~10중량%, 마치현추출물 7~10중량%, 파파야열매추출물 7~10중량%, 서양민들레추출물 7~10중량%, 아르니카꽃추출물 7~10중량%, 쓴쑥추출물 7~10중량%, 서양톱풀추출물 7~10중량%, 겐티아나추출물 7~10중량%, 구기자추출물 7~10중량%, 어성초추출물 7~10중량% 및 녹차추출물 7~10중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초정탄산수와 정제수를 합한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35 ~ 55 중량%로 포함된다.

Claims (3)

  1.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초정탄산수 35 ~ 55 중량%와, 천연복합추출물 1 ~ 25 중량%와, 살리실산 0.1∼5 중량%와, 아연피리치온 0.1∼5 중량%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15 ~ 3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초정탄산수는 탄산칼슘(CaCO3) 500 ~ 700 ppm과, 칼슘(Ca) 20 ~ 300 ppm과, 마그네슘(Mg) 2 ~ 50 ppm을 포함하는 초정탄산수이며,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은,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병풀추출물 7~10중량%, 쌀겨추출물 7~10중량%, 마치현추출물 7~10중량%, 파파야열매추출물 7~10중량%, 서양민들레추출물 7~10중량%, 아르니카꽃추출물 7~10중량%, 쓴쑥추출물 7~10중량%, 서양톱풀추출물 7~10중량%, 겐티아나추출물 7~10중량%, 구기자추출물 7~10중량%, 어성초추출물 7~10중량% 및 녹차추출물 7~10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연피리치온은, 디소듐-EDTA, 트리소듐-EDTA, 테트라소듐-EDTA, 및 디포타슘-ED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킬레이팅제에 의하여 가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방지 및 모발 개선용 후처리제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8972A 2017-05-12 2017-05-12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72A KR101974499B1 (ko) 2017-05-12 2017-05-12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72A KR101974499B1 (ko) 2017-05-12 2017-05-12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49A KR20180124449A (ko) 2018-11-21
KR101974499B1 true KR101974499B1 (ko) 2019-05-02

Family

ID=6460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972A KR101974499B1 (ko) 2017-05-12 2017-05-12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920B1 (ko) * 2019-01-28 2020-12-23 (주)나우코스 왕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왕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33879B1 (ko) *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세럼용 조성물
KR102033878B1 (ko) *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팩용 조성물
CN110227048B (zh) * 2019-07-22 2022-03-25 广州好迪集团有限公司 高效去屑止痒洗发液、护发液及发膜
KR102523118B1 (ko) * 2022-07-15 2023-04-19 김수진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058A (ja) 2008-08-27 2010-03-11 Hoyu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
KR101445553B1 (ko) * 2013-02-27 2014-09-29 케일럽 멀티랩 (주)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49A (ko) * 2007-11-28 2009-06-02 (주)아모레퍼시픽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980215B1 (ko) 2008-02-11 2010-09-07 (주)모모코스메틱 두피 각질 제거 또는 비듬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045328B1 (ko) * 2009-03-16 2011-06-30 진관용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20120108273A (ko) * 2011-03-23 2012-10-05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ol-M 성분 및 초정광천수를 함유한 두피 및 바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058A (ja) 2008-08-27 2010-03-11 Hoyu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
KR101445553B1 (ko) * 2013-02-27 2014-09-29 케일럽 멀티랩 (주) 발모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49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499B1 (ko)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CN107438427B (zh) 一种洗发香波
CN103816085B (zh) 紫茉莉种子胚乳提取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JPH1036283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655342B1 (ko) 초정 광천수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6074306A (zh) 一种用于皮肤和头发养护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4013564A (zh) 一种油茶蜂蜜润肤品
CN105505635A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939703B (zh)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CN104758231A (zh) 一种石榴籽抗氧化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042503B (zh) 可改善肌肤新陈代谢和抗衰老的护肤品组合物及制备方法
KR10088369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45599A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03081868A (ja) ストレス抑制剤
KR101520630B1 (ko)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 및 양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및 에센스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0639421B1 (ko) 탈모 방지용 샴푸 조성물 및 헤어팩 조성물
KR100760649B1 (ko)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4448A (ko) 초정탄산수를 함유하는 모발 손상방지 및 모발 개선용 후처리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