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052A -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052A
KR20070092052A KR1020060021965A KR20060021965A KR20070092052A KR 20070092052 A KR20070092052 A KR 20070092052A KR 1020060021965 A KR1020060021965 A KR 1020060021965A KR 20060021965 A KR20060021965 A KR 20060021965A KR 20070092052 A KR20070092052 A KR 2007009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weight
extract
growth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660B1 (ko
Inventor
조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2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6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하며,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하수오, 측백엽, 모발 성장

Description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도 1은 실시예 2-1의 1차 모발 성장 효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각 사진은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모발 성장 정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2-1의 1차 모발 성장 효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평균 모발 길이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2의 2차 모발 성장 효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각 사진은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모발 성장 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2의 2차 모발 성장 효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평균 모발 길이 및 두께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2-2의 2차 모발 성장 효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각 사진은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모발 두께와 치밀도를 나타낸다.
모발은 생명과 관계있는 것은 아니지만 성적인 매력을 제공해주며 모발은 태양광선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고 눈썹이나 속눈썹은 햇빛이나 땀방울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콧속의 털은 외부자극 물질을 걸러내는 작용이 있으며 피부 가 접히는 부위의 모발은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모발은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 및 발가락의 말단부 피부와 점막의 경계부, 귀두부를 제외하고는 피부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몸의 여러 부위에서 모발은 생물학적, 형태학적으로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태아에서 시작하여 노인에 이를 때까지 자라는 모발은 특성이 항상 변하고 있으며 정상 생리조건 상태에서 하나의 동일한 모낭이 계속하여 다른 종류의 모발을 만들고 있다. 우리 인체의 피부를 덮고 있는 모발의 종류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1) 취모(배냇머리, 솜털, lanugo) ; 태생기때 즉, 어머니 배 안에서 태아가 발생하여 약 20 주간이 되어 그 인생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가늘고 연한 색깔의 모발로 출생 무렵에 탈락되고 연모로 대치된다. 2) 연모(솜털, vellus hair) ; 몸 대부분을 덮고 있는 섬세한 털을 말하며 인체 부위에 따라 풍부한 색소를 갖게 되며 굵고 튼튼한 종모로 대치된다. 3) 중간모(indeterminate hair, intermediate) ; 연모와 종모 사이에서 구분이 애매한 모발을 말한다. 구별은 그 길이보다 그 직경에 따르는데 대부분의 연모는 그 직경이 20~40 마이크론이며, 대부분의 종모는 60~120 마이크론이다. 4) 종모(성모, 종말털, terminal hair) ; 성인의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수염, 겨드랑이 및 음부의 털은 모두 종모이다. 연모가 종모로 대치되는 정도는 유전적 소인 및 내분비기관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두피의 모발은 남자, 여자, 한국인, 서양인 모두에서 종모로 변하게 되는데 가슴털은 일부의 한국인 또는 더 많은 서양 남자 성인에서만 종모로 변하게 되고 대부분의 여자에서는 연모로써 남는다. 겨드랑이 및 외음부도 모든 인종의 성인 남녀에서 종모를 보이며 남 성형 대머리는 반대로 종모에서 솜털로 바뀌는 것인데 그 정도는 역시 각 개인의 내분비 기능과 유전적 소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모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모낭은 마치 식물의 구근에서 줄기가 자라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구근 모양의 부분을 모구(毛球)라고 한다. 이 모구의 가장 아래쪽 중심에는 모유두(毛乳頭)가 있고 여기에는 모세혈관이 거미줄처럼 망을 형성하고 있다. 모유두를 둘러싼 부위를 모기질(毛基質)이라고 부른다. 모기질은 모기질 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분열이 아주 활발한 곳으로 털의 생산 공장에 해당한다. 모기질 세포에서 분화되어 피부 표면으로 이행함에 따라 각화 되는데 이 각화된 구조물의 제일 안쪽이 털(모간, 毛幹)이다. 이 털은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모수질(毛髓質), 모피질(毛皮質), 모소피(毛小皮)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털을 초소피(모근초 : 내측모근초(內側毛根墅) + 외측모근초(外側毛根墅))가 둘러싸고 있다. 모구에 있는 모기질 세포 사이에는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데 이 멜라닌 세포에서 생산되는 멜라닌이 나중에 털을 형성할 세포에 의해 탐식 되어 멜라닌의 양에 따라 모발의 색깔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인체의 모발은 약 10 만 내지 15 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 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 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과산화물, 세균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증은 선천성 탈모증과 후천성탈모증으로 나뉜다. 선천성 탈모증은 태어날 때부터 머리카락이 없는 것이고 후천성탈모증은 점차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일컫는다. 특히, 후천성 탈모증에는 비반흔성탈모증과 피부의 병변을 발견할 수 없으나 병적인 피부에서의 탈모증, 그리고 반흔성탈모증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및 기타 탈모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머리카락은 하루에 50~100여개 정도가 빠진다고 한다. 이렇게 빠진 뒤 다시 생성되지 않아 머리카락의 수가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증상을 남성형 탈모증이라 한다. 이는 흔히 장년성 또는 약년성 탈모증이라고도 한다.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유형에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25세가 지난 뒤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최근에는 20세 전반의 남성에게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남성형 탈모증은 정수리 쪽에서부터 둥글게 벗어지는 경우와 이마의 양쪽이 M자형으로 머리가 띄엄띄엄 나는 경우, 이마가 전체적으로 벗겨지는 U자형인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남성형탈모의 원인으로서는 현재로 밝혀진 바로는 유전적인 요인 이 가장 크다. 하지만 유전자가 있다고 해서 모두 발현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자의 발현에 관계하는 요인은 역시 남성 호르몬이다. 즉 남성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남성이 여성보다 대머리가 많으며, 사춘기 이전에는 대머리가 되지 않으며 사춘기 이전에 거세한 사람에게는 대머리가 없다. 또한, 몇 가지의 원인으로서 다음의 설이 있다.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으로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불균형에서 온다는 호르몬설을 들 수 있다. 즉, 앞머리 부분에서 정수리에 있는 모발의 성장을 억제하는 남성 호르몬이 증가하여 이런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두피 긴장설이 있는데 머리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여 두개골은 성장하는데 이에 맞춰 두피가 성장하지 못함으로써 두피가 당겨져서 엷게 되어 모세혈관이 압박되고 모유두의 영양이 부족하여 끝에 머리가 벗겨진다는 설인데 최근에는 이러한 설이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인종차에 따른 설이 있는데 인종에 따라서도 탈모의 비율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상태는 아니나 통계상으로 볼 때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우리나라가 탈모의 확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남성형 탈모증은 후진국보다는 선진국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실제고 원시 민족에게서는 탈모증을 찾아볼 수 없다는 보고도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도 그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난다고 한다.
원형탈모증이란 머리카락이 원형을 이루며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원형탈모증은 남성형 탈모나 여성형 탈모가 아닌가 하고 혼동하는 경우도 있으나 머리카락이 빠지는 부위와 크기는 물론이고 원인 또한 전혀 다르다. 또한 남성형 탈모는 생리적인 현상인데 반하여 원형탈모증은 병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탈모의 시작은 크기가 보통 직경 2~3cm정도에서부터 비롯되어 점차 진행될수록 수적으로나 크기 역시 증대되어 간다. 그러다 끝내 머리 전체가 탈모 되는 수도 있다. 특히, 원형탈모증 중에서도 머리 뒷부분이나 옆부분에 나타난 탈모 현상은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사행성 탈모증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형탈모증에 있어 25세 이하의 유병률이 75%이상이며, 인종의 차나 민족적이 차이는 물론이고 남녀의 차이도 없이 누구에게서나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원형탈모증은 털이 빠지는 범위에 따라서도 각기 이름이 다르다. 점차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악성 원형탈모증이라 하고, 악성 탈모가 더욱더 진행되어 머리카락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두 탈모증, 온몸의 털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신 탈모증이라고 한다. 원형탈모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대두하고 있으나 뚜렷한 정설은 없는 편이다. 처음에는 기생출설이 제창되다가 다음에는 곰팡이설, 그 후 다시 세균이 원인이라는 설이 대두하였다. 1900년대 초부터는 정신·신경적인 원인이 원형탈모증을 발생시킨다고 하였으며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남성형 탈모증 및 원형 탈모 외에도 내분비 이상에 의한 탈모, 영양 장애, 대사의 이상에 기인하는 탈모, 약물에 의한 것이나, 염증, 감염 종양 기타 공해, 스트레드 등 탈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현재로서는 아쉽게도 완벽한 탈모치료제는 없고, 현재까지 시중에 나와 있는 발모제나 탈모치료제를 보면 피부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모근에 영양을 공급해 주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아직도 탈모에 관한 만족할만한 특효약이 없는 가운데, 현재 의약품으로 등록되어 약효를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는 FDA 승인을 얻은 로페시아와 미녹시딜 밖에 없다.
Pharmacia & Upjohn은 오래전에 미녹시딜 제제를 개발, 혈관 이완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 약제를 복용하게 되면 부작용으로 머리, 팔, 다 리 등의 전신에 털이 2-4cm까지 자라는 것에 착안하여 바르는 발모제로 2% 미녹시딜액을 만들어 로게인(Rogaine)이란 이름으로 발매를 하였고 최근 미녹시딜 제제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다른 회사에서 유사품을 만들어 값싸게 판매하기 시작하자, 5%액을 만들어 팔고 있다. 미녹시딜의 발모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 확장 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혈류량 증가 모델은 미녹시딜이 모근을 구성하는 주요세포인 모유두(dermal papilla)에서 혈관 확장에 관련된 성장 인자인 혈관내피성장 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최근의 보고(Br. J. of Dermatol., 1998; 138; 407∼411)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증명된다. 또한, 미녹시딜의 발모효과 기전에 있어 혈관 확장 효과 이외에도 체외 배양 중인 모근의 모유두 세포 활성화(Skin Pharmacol., 1996; 9; 3∼8) 및 모낭 조직 배양에서 모낭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보고(J. Invest. Dermatol., 1989; 92; 315∼320) 등은 미녹시딜이 모근에 직접적인 성장 인자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미녹시딜 제제는 부작용으로 두피 건조, 소양감,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이 있고, 이는 주로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또는 액상 기제 때문이며, 2% 액 사용 시에는 약 7%, 5% 액을 사용 시에는 좀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도 매우 중요한 부작용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국소 도포를 중지할 경우 발모 효과가 2개월 내에 중지되어 다시 탈모가 된다는 것이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상품명: 프로페시아(Propecia))는 남자들이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 사용하는 치료제이다. 그런데 이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던 사람들 중에서 부작용으로 머리털이 새로 나는 것을 보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1997년 하반기에 미국 식품 의학국(FDA)으로부터 남성형 탈모증 환자의 치료에 대한 약효와 안전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Merck사가 개발한 프로페시아는 피나스테라이드 1mg으로서 테스토스테론이 5α-디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5α-리덕타제의 저해제이다. 하지만, 발기불능, 성욕감퇴, 사정량 감소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여성과 어린이에 있어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임산부나 임신의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서의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 외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발모제로는, 제일 제당의 “직공모발력”이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그 주성분은 단일 물질로서 PDG (펜타데칸산 글리세라이드) 이다. 한독 화장품 모발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스펠라 707”이 그 뒤를 잇고 있으며, 행인, 당귀, 인삼, 동충하초 등 12종의 생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시중에는 다음과 같은 발모, 모발 성장 촉진제가 유통되고 있으나 그 효능은 기대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난다모 (인디안 비누 성분), 닥터모 (태평양 화학, 산수유 추출물이 주성분), 모리나가 (대원 제약, 검정콩, 들깨 등 자연 식품으로 구성), 그로비스 뷰티 (경인 제약, 측백잎 성분과 천연 지방산 원료), 솔표 모생천 012 (조선무약, 인삼, 솔잎, 키토산 추출물 주성분) 및 NBH 958 ((주) 코스타월드,생약 발효 추출물로 제조).
또한, 현재까지 국내에는 많은 종류의 발모제 관련 특허가 공개, 등록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최근 공개 특허는 아래와 같다.
공개번호 2005-0119525호는 엘라직산(ellagic acid)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공개번호 2004-0016331호는 설상화(한련초 꽃), 흑지마, 사과락, 치자, 박하, 뽕나무 및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다. 공개번호 2005-0064581호는 인삼 잎 추출액에 12가지 한약재로써 부자, 영능향, 만형자, 천궁, 백지, 천초, 숙지황, 산약, 산수유, 목단피, 택사, 백복령을 주 성분으로 하고 있다. 공개번호 2005-0050321호는 홍화유에 자연동 미세분말을 혼합시킨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공개번호 2004-0062238호는 태반추출물, 인삼추출물, 천궁추출물 및 마늘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공개번호 2005-0040652호는 자하거 엑기스, 인삼추출물, 산수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고, 공개번호 2004-0011864호는 당귀, 국화꽃, 박하, 인삼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공개번호 2004-0001683호는 솔잎, 은행잎, 뽕뿌리 등의 엑기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며, 공개번호 2003-0080496호는 목화 등의 성분인 고시폴 (gossypol)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화학 제품 및 천연물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어도, 아직은 효능이 확실한 우수한 제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탈모 인구가 20세 이상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23 % 가량인 350만 명으로 추산되며, 여성과 소아 탈모 인구를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은 점을 감안할 때, 우수한 제제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성장 전반에 대해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새로운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 추출물의 구성 약재 중 하나인 하수오는 예로부터 복용할 경우, 백발이 검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강장 작용 및 정력 증진 효과가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안스라퀴노이드, 크리소팜올, 에모딘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레시틴도 함유하고 있어, 두뇌의 혈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측백엽은 수염과 눈썹을 나게 하고, 토혈, 이질 등을 치료하며, 병원성 트리코모나스 또는 임질균을 억제하고, 피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당귀는 한방에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두피의 혈행을 좋게 하고, 피를 맑게 하여, 모발과 모근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숙지황은 흰머리를 검게 하고 골수, 뼈, 힘줄을 튼튼하게 하며, 두피의 혈행을 좋게 하고 두피와 모발의 생육을 도우며,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마는 엽록소, 카로틴 등의 색소 외에 탄수화물과 알긴산이 많이 있고, 요오드, 비타 민 B2,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그 중, 알긴산은 중금속과 콜레스테롤의 체외 배출을 도우는 한편, 요오드는 모발 발육에 필요한 갑상선 호르몬의 주원료이기도 하다. 복분자는 유기산, 당류, 비타민 C등이 풍부하여, 모근의 영양을 공급하고, 혈행을 좋게 한다. 나머지 약재들은 상승 작용으로 인해 더욱 약효를 증폭시킨다. 즉, 본 발명의 발모 촉진 조성물은 모낭 상피와 말초 혈관에 작용하여 모세포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는 하수오, 측백엽, 백작약, 골쇄보, 당귀, 상백피, 구기자, 황정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모발 강화와 내분비 부조화를 치료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있으며,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상백피를 함유한다.
상기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하수오, 측백엽 등 혼합 약재의 알코올 추출물이거나 열수 추출물이다. 알코올 추출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는 알코올 추출이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반면, 열수 추출은 유효 성분뿐만 아니라, 기타 리그닌 등의 비유효성분도 함께 추출함으로써 단위 그람당의 효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은 하수오, 측백엽 등의 12가지 약재 외에, 보조 성분을 추가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조 성분으로는 비타민, 미네랄, 혈행 개선제, 두피 침투제, 피부 자극제 및/또는 보습제가 해당된다.
먼저, 비타민 B1, B2, B6, B12, C, 판토텐산 칼슘, 니코틴산 아미드, 엽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과 아연, 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추가할 수 있다. 이 러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혼합 사용하면,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비타민과 미네랄은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타민 B1, B2 및 C가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3 중량% 및 0.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혈행 개선제는 혈행을 원활하게 하는 목적과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하기 위해서 첨가하며, 감마 리놀레익산, EPA, 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혈행 개선제는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피 침투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트리톤 X(Triton-X) 또는 포비돈을 사용하며, 두피 깊숙한 진피층에로의 약제 성분의 침투 효과를 증강하기 위해 사용한다. 특히, 피부자극제인 멘톨을 추가하여 피부 자극성을 증가하면 약제 성분의 피부 진피층으로의 작용 효능을 더욱 증대한다. 이때, 디메틸 설폭사이드, 트리톤-X, 포비돈 등의 두피 침투제는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으로 각각 1 내지 20 중량%로, 멘톨 등의 피부 자극제는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으로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두피 침투제인 디메틸 설폭사이드, Triton-X 및 포비돈은 각각 별도로 사용할 경우,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디메틸 설폭사이드는 1.0 내지 20 중량%, Triton-X는 1.0 내지 10.0중량% 및 포비돈은 1.0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대머리 등의 오래된 두피층은 보통의 약효 성분이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발모, 육모 제가 그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중, 두피 침투제로서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가 바람직하며, DMSO는 저분자 화합물로서, 생체막을 잘 통과하고, 다른 물질들의 세포막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DMSO는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을 제거시키는 항산화 작용도 있다. DMSO는 물, 알코올 기타 거의 모든 유기, 생화학 물질을 용해하는 뛰어난 장점이 있어, 핵자기 공명 분석기 등에서 생체 고분자의 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DMSO가 두피 침투를 돕는 기전은 확실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탁월한 용해력으로 단백질 등 고분자를 순간적으로 녹이는 기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보습제는 최종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증가시켜 약효의 지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며, 글리세린이 바람직하고,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첨가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하수오, 측백엽 등의 추출물과, 상기 각종 비타민, 미네랄, 두피 침투제 등의 전체 성분을 용해하는 용매를 포함하며, 이러한 용매로는 물 또는 에틸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추출물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품 제조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가공 및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제는 투여 후에,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과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과립제, 액제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미각을 돋우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phyllin)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콜,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두피 도포, 경구 등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두피 도포 투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제로 사용되는 최종 조성물의 1일 두피 도포량은 10g 내지 300g의 범위이다. 그러나, 실제 도포량은 도포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도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현재 시판중인 대 조 약물들과 비교할 때,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제를 사용하여 ICR 마우스에서 피부 급성 독성, 50%치사량(LD50)을 측정한 결과 체중 Kg당 5g 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우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약재를 메탄올 및 에탄올로 40℃ 내지 9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건조시켜 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얻어진 농축 추출물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각의 천연 약재를 깨끗이 세척한 후,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70-95% 에탄올을 중량 비율로 3 배 내지 8배 가하여,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 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 추출하고, 냉각시키지 않고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지 또는 통상의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다. 걸러진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rotary evaoprator)나 통상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건조시키면 최종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통상 2.0 Kg의 천연물을 추출 하여 감압 과정을 마치면 750g 의 농축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은 최종 알코올 추출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1)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약재를 약재의 3 내지 8 배의 물로 85℃ 내지 11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여과하고 남은 고형분에 단계 1)에서 사용한 물 절반가량을 첨가하여 85℃ 내지 11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1) 및 단계 2)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가열 농축하여 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단계 3)에서 얻어진 농축 추출물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각의 천연 약재를 깨끗이 세척한 후, 배 내지 8배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알코올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하되 85℃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 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여과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물을 절반량 정도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다. 이 두 가지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분를 제거 한 후, 여과액을 가열 농축하여 최종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통상 2.0 Kg의 천연물을 추출하여 감압 과정을 마치면 700g 의 농축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은 최종 열수 추출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비율에 따라 약재 원료를 구입(경동 시장 약재상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원료의 조성 비율
천연 약재 조성비율(중량%)
하수오 12.0
측백엽 12.0
골쇄보 10.0
상백피 10.0
백작약 10.0
당귀 8.0
구기자 8.0
황정 8.0
숙지황 8.0
다시마 6.0
복분자 5.0
대추 3.0
1-1: 알코올 추출물 제조
상기 각각의 천연 약재 전체, 잎 또는 열매 총 중량 1k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70-95% 에탄올을 중량 비율로 4배 가하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75℃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콘덴서(reflux condenser)를 부착하고 가열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냉각시키지 않고,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지(Whatman사 제조 No. 1001100) 또는 통상의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걸러진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나 통상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건조시켜, 최종 추출물을 375g을 제조하였다.
1-2: 열수 추출물의 제조
4배의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알코올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하되 90℃에서 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여과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물을 절반량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하였다. 이 두 가지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 한 후, 여과액을 가열 농축하였다. 이때 1Kg의 천연물을 추출하여 가열 농축하여 350g의 농축 추출물이 얻어졌다.
1-3: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알코올 추출물과 보조 성분으로 표 2에 기재한 성분을 기재된 조성비로 첨가하여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하였다.
추가로, 표 2에 기재한 보조 성분 중 침투제를 제외시킨 것 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제외)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열수 추출물에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보조 성분을 첨가하여,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하였다.
최종 조성물의 성분 비율
성분 분류 성 분 조성비율(중량%)
천연물 주성분 하수오 측백엽외 10종 18.0
비타민 V-B1, B2, B6, B12, V-C 및 비오틴 3.0
미네랄 아연, 철, 칼슘 및 마그네슘 1.0
혈행 개선제 감마 리놀레익산, EPA 및 토코페롤 1.0
두피 침투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포비돈 8.0
피부 자극제 멘톨 1.0
보습제 글리세린 3.0
용매(기제) 정제수 및 에틸알코올 65.0
실시예 2: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동물 효능 시험
2-1: 1차 모발 성장 촉진 효능 시험
2-1-1: 시험군 설정
동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6주령의 C3H/HEN 마우스 수컷 40마리(샘타코 코리아)를 7일 동안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 조건의 실험실에서 적응시킨 후, 건강한 동물 30 마리들만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음용수로는 증류수를 자유 섭취시켰고 사료로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다. 적응 기간 중 건강에 이상이 없는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한 후, 평균 체중에 가까운 동물 20마리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동물을 무작위 선택하는 방법으로 5 마리씩 4군으로 분배하였고, 1군은 10% 에탄올 용액만을 도포하는 음성대조군으로, 2군은 모발 성장 효능이 알려진 미녹시딜 3% 제품(현대약품, 이하 제품 M)을 도포하는 양성대조군으로, 제3군은 두피 침투제를 포함하지 않은 군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중 두피 침투제가 제외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군으로, 제4군은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함유)예 1-4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도포하는 군으로 책정하였다.
1차 모발 성장 촉진 효능 시험에 사용한 시험군
도포 약물
제1군 10% 에탄올
제2군 미녹시딜 3%
제3군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제외)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제4군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제5군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2-1-2: 시험 약물 도포
C3H/HEN 마우스의 목뒤에서 꼬리 부분까지 등의 털을 우선 동물용 전기 이발기 (조아전자, 모델명 SM-127)로 제거한 후, 다시 치오글리콜산(thioglycolic acid)성분의 제모제(태극약품, 비키로 크림)를 바르고 10분 후에 부드러운 휴지로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제가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마우스가 경구 섭취하지 못하도록 제모제를 도포한 마우스는 케이지에 한 마리씩 넣어준 후 제모하였다. 제모 후 3일간 안정시킨 후, 각 시험 약물을 도포하였다.
음성 대조군인 제1군에는 10% 에탄올을 면봉을 사용하여 제모한 마우스의 등쪽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제2군도 마찬가지로 제품M을 마우스 당 각각 5ml씩 제모한 등쪽 피부에 면봉을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제3군은 본 발명의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제외)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물을 면봉을 이용하여 마우스 당 5ml씩 도포하였고, 제4군은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마우스 당 5ml씩 면봉을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제5군도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마우스 당 5ml씩 면봉을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도포는 25일 동안 계속 동일한 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하였고, 가장 육안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날 시점이 된 도포 14일후에 사진을 촬영하였고(도 1), 최종일에 마우스의 털을 각 부위(목뒤 2cm, 등 한가운데, 꼬리 위 1cm) 별로 뽑아 확대경으로 털길이를 측정하여 모발 성장 효능을 비교하였다(표 4, 도 2).
각 실험군 마우스 털의 평균 길이
실험군 평균 길이 (cm)
제1군 5.66
제2군 6.27
제3군 8.60
제4군 10.08
제5군 8.95
그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제3군, 제4군 및 제5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월등하게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또한, 제3군(침투제 불포함)과 제4군(침투제 포함)의 비교에서 뚜렷이 알 수 있듯이, 침투제 포함군의 모발 길이가 불포함군에 비해 17% 증가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에 두피 침투제가 함유될 경우, 보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4군과 제5군의 비교해 볼 때, 천연물의 알코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모발 길이에서 18% 정도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알코올 추출이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효과 있게 추출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2-2: 2차 모발 성장 촉진 효능 시험
2-2-1: 시험군 설정
6주령의 C3H/HE Slc 마우스 수컷 40마리(샘타코 코리아)를 7일 동안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 조건의 실험실에서 적응시킨 후, 건강한 동물 30마리들만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음용수로는 증류수를 자유 섭취시켰고 사료로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다. 선택된 동물을 무작위 선택하는 방법으로 5 마리씩 6군으로 분배하였고, 1군은 10% 에탄올 용액만을 도포하는 음성대조군으로, 2군은 직공모발력(CJ, 이하 제품 J)을 도포, 제3군은 스펠라 707(한독화장품, 이하 제품 S)을 도포하는 양성대조군으로, 제4군은 두피 침투제를 포함하지 않은 군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중 두피 침투제가 제외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군으로, 제5군은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함유)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군으로, 제6군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도포하는 군으로 책정하였다.
2차 모발 성장 촉진 효능 시험에 사용한 시험군
도포 약물
제1군 10% 에탄올
제2군 직공모발력
제3군 스펠라 707
제4군 보조 성분(두피 침투제 제외)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제5군 보조 성분이 첨가된 알코올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제6군 보조 성분이 첨가된 열수 추출물 함유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2-2-2: 모발 성장 조성물 도포
실시예 2-1-2와 동일한 방법으로, C3H/HE Slc 마우스의 목뒤에서 꼬리 부분까지 등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 후 3일 동안 안정시킨 후, 각 해당 실험 약재 5ml를 면봉을 사용하여 실험군별 해당 마우스의 제모한 등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도포는 25일 동안 계속, 동일한 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하였고, 가장 육안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난 도포 15일 후에 사진을 촬영하였고 (도 3), 최종일에 마우스의 털을 각 부위 (목뒤 2cm, 등 한가운데, 꼬리 위 1cm) 별로 뽑아 확대경으로 털 두께 및 길이를 측정 하고 (표 6 및 도 4), 전자 현미경(SEM)으로 모발의 두께와 그 치밀도(모발 성장 층간의 간격)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모발 성장 효능을 비교하였다 (도 5).
각 실험군 마우스 털의 평균 두께 및 길이
모발 두께(μm) 모발 길이(mm)
제1군 26.2 8.5
제2군 36.2 9.5
제3군 42.8 11.5
제4군 45.0 14.5
제5군 53.8 16.0
제6군 46.5 15.5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모 촉진 조성물을 이용한 제4군, 제5군 및 제6군이 다른 대조군과 비교할 때, 모발 길이 성장과 두께 향상에 큰 효과를 보이며,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도포한 마우스의 모발 층간 간격이 치밀하였다. 이는 모발의 밀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모발은 같은 길이의 모발이라도 탈모 저항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탈모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두피의 혈행을 원활히 하면서 호르몬 불균형을 제거하여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두피 침투제를 추가할 경우, 더욱 향상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9)

  1.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하수오 12 중량%, 측백엽 12 중량%, 골쇄보 10 중량%, 상백피 10 중량%, 백작약 10 중량%, 당귀 8중량%, 구기자 8 중량%, 황정 8중량%, 숙지황 8 중량%, 다시마 6 중량%, 복분자 5 중량% 및 대추 3 중량%로 이루어진 것인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비타민; 무기질; 감마 리놀레익산, EPA, 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혈행 개선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Triton-X 및 포비돈으로 이루어진 두피 침투제; 피부 보습제인 글리세린; 두피 자극제인 멘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두피 침투제를 발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범위로 추가로 함유하는 발모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도포제인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알코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인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7. 1)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약재를 메탄올 및 에탄올로 40℃ 내지 9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건조시켜 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얻어진 농축 추출물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1) 하수오, 측백엽, 골쇄보, 상백피, 백작약, 당귀, 구기자, 황정, 숙지황, 다시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약재를 약재의 3 내지 8 배의 물로 85℃ 내지 11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여과하고 남은 고형분에 단계 1)에서 사용한 물 절반가량을 첨가하여 85℃ 내지 110℃에서 1 내지 48시간 가열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1) 및 단계 2)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가열 농축하여 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단계 3)에서 얻어진 농축 추출물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또는 에틸알코올인 것인 방법.
KR1020060021965A 2006-03-08 2006-03-08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076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65A KR100761660B1 (ko) 2006-03-08 2006-03-08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65A KR100761660B1 (ko) 2006-03-08 2006-03-08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052A true KR20070092052A (ko) 2007-09-12
KR100761660B1 KR100761660B1 (ko) 2007-10-04

Family

ID=3868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965A KR100761660B1 (ko) 2006-03-08 2006-03-08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6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58B1 (ko) * 2007-07-13 2008-03-10 박성웅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0958057B1 (ko) * 2008-02-25 2010-05-17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고삼, 상엽, 측백엽을 포함하는 두피를 보호하는 세정조성물
KR101896070B1 (ko) *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931854A (zh) * 2021-02-04 2021-06-11 江西建昌帮食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生发、助消化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90B1 (ko) 2007-04-13 2009-02-18 김성진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70126B1 (ko)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94261B1 (ko) 2010-05-11 2012-10-29 송시훈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11-30 최한섭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102308135B1 (ko) * 2019-11-14 2021-10-06 주형률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4272A (ko) 2020-09-10 2022-03-18 서준택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240216263A1 (en) * 2021-03-19 2024-07-04 Hyung-Ruel JU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s of corylus heterophylla and helianthus thberosu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261A (ko) 1999-11-08 2002-06-26 겜마 아키라 두피 두발용 조성물
KR20030036536A (ko) 2003-04-16 2003-05-09 송훈호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40030036A (ko) 2004-03-20 2004-04-08 주식회사 아이씨티랩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제 및 발모제
KR100554947B1 (ko) * 2005-10-18 2006-03-03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58B1 (ko) * 2007-07-13 2008-03-10 박성웅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0958057B1 (ko) * 2008-02-25 2010-05-17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고삼, 상엽, 측백엽을 포함하는 두피를 보호하는 세정조성물
KR101896070B1 (ko) *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931854A (zh) * 2021-02-04 2021-06-11 江西建昌帮食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生发、助消化组合物
CN112931854B (zh) * 2021-02-04 2023-09-12 江西建昌帮食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生发、助消化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660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660B1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CN103169631B (zh) 一种含有中药组合物的柔顺亮泽洗发水及制备方法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020098253A1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KR102443708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WO2011093656A2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MX2009001324A (es) Estimulante del crecimiento del cabello y metodo para la preparacion del mismo.
CN103271950A (zh) 一种雨生红球藻微胶囊粉的应用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12870333A (zh) 一种改善人脱发生发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110420150A (zh) 一种含有辣木籽提取物的抗衰老护肤品组合物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39145A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07334894A (zh) 一种治疗脂溢性脱发的组合物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76004B1 (ko) 양파껍질과 비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086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1694A (ko) 블랙베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발 질감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조성물
CN113230163B (zh) 水解酵母蛋白与菊苣根提取物联合在制备生发和育发产品中的用途
CN108686107B (zh) 用于促进发量增加之中草药组成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6390061A (zh) 一种外用防脱、育发的毛囊干细胞唤醒因子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55477B1 (ko)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048939B1 (ko) 발모촉진용 제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