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565A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565A
KR20090012565A KR1020070076491A KR20070076491A KR20090012565A KR 20090012565 A KR20090012565 A KR 20090012565A KR 1020070076491 A KR1020070076491 A KR 1020070076491A KR 20070076491 A KR20070076491 A KR 20070076491A KR 20090012565 A KR20090012565 A KR 2009001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composition
hair loss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금강실리테크(주)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금강실리테크(주), 김상진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565A/ko
Publication of KR2009001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두피부위의 모발 성장효과를 나타내어 탈모의 예방 및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조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모세혈관의 혈행 개선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여 모근의 상피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모근을 자극하여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살균 및 보습을 통해 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탈모가 진행 중인 모발에서 보이는 탄력의 부족을 보충하여 모발이 흩날리는 현상을 감소시켜 탈모가 진행 중인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탈모, 육모, 산수유, 포도씨, 선삼, 상황버섯, 산수유,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생강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Hair Loss or Stimulating Hair Growth Containing Natural Extract}
본 발명은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의 요인으로는 생리적 측면을 요인으로 하는 신체의 내적인 요인과 외부환경에 의한 외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외적인 요인으로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긴장으로 혈액의 순환이 원만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혈관의 위축에 따른 영양공급의 부족과 오염된 환경에 의한 탈모, 두피의 건조에 의한 탈모 등이 있으며, 생리적 측면을 요인으로 하는 신체의 내적인 요인으로는 남성호르몬(androgen)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테스토스테론을 DHT(dihydrotestosterone)로 변환 시켜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5-알파 환원효소(5-alpha reductase)의 활성증가 등이 주요 요인이다. 이 외에도 모낭에 살고 있는 털 진드기인 모낭충도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모발의 수는 대략 10만개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문헌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나 매일 약 100개 정도가 자연스럽게 빠지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대부분의 동물의 경우에는 계절에 따라 털이 한꺼번에 빠지고 새로 털이 나는 털갈이를 하고 있으나 사람에게 있어서는 매일 약 100개 정도가 새로 태어나고 또 매일 100개 정도가 빠지면서 항상 비슷한 개수를 유지하게 된다. 모발의 밀도도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80~300개/cm2 , 굵기는 100μm 정도로 보고 되어 있으며, 탈모가 진행되는 사람에게서는 밀도와 굵기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탈모증은 중년남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alopecia, androgenic alopecia)과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으로 대별되는데 남성형 탈모증은 두정부와 전두부에서 시작되며 원형탈모증은 비교적 경계가 분명한 원형 내지 타원형의 모양을 띤다.
모발이 태어나서 빠질 때까지를 생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3단계로 나누는데, 발생기를 포함하여 4단계로 나누기도 한다. 발생기(return to anagen)는 배아세포의 활발한 세포분열에 의해 새로운 모발이 태어나는 시기를 말하는데 같은 모낭 내에는 휴지기의 모발과 공존해 있으면서 휴지기 모발의 탈락을 유도하게 된다. 이 기간은 사람의 체질, 나이, 질병의 유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새로운 모발의 발생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통한 탈모 방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생장기(anagen)는 모유두에서 활발한 세포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시기로 대략 남성은 3~5년, 여성은 4~6년 정도 성장을 하므로 전체 모발의 약 80~85%가 이에 해당한다. 생장기의 기간을 늘리는 것은 탈모를 예방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탈모예방 및 육모제품의 대부분은 이시기를 연장시키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퇴행기(catagen)는 세포분열이 점차 멈추어가는 시기로 대략 3~4주 정도 만에 모발의 성장을 멈추게 되는데 일부 탈모예방 및 육모제품은 생장기에서 퇴행기로 옮겨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휴지기(talogen)는 죽은 모발이 단순히 두피에 박혀있는 형태로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세혈관과 분리되어 있는 시기이다. 대략 3개월 정도이며 물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빠지게 된다.
모발의 생장에 가장 큰 방해를 하는 물질은 남성호르몬(androgen)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인데 모낭 주위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5-알파 환원효소가 테스토스테론을 DHT로 변환 시킨다. DHT는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한 후 핵의 전사에 영향을 주어 단백질 합성을 지연시켜 모발의 성장기를 단축시킨다. 그 결과 모낭의 크기를 축소시켜 모발의 굵기와 밀도를 감소시켜 결국은 탈모로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억제 시키거나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합성을 억제 또는 저해 한다면 탈모를 예방할 수가 있게 된다. 뽕나무 추출물은 TGF-β1이라는 단백질과 수용체가 결합하여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증식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저해한다.
전립선은 일반적으로 남성호르몬의 분비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립선 치료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성분을 복용한 사람들에게서 털이 많이 나는 부작용이 발견되어 조사를 한 결과 피나스테라이드는 테스토스테론을 DHT로 전환시키는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DHT생성이 억제되므로 대머리 상태의 연모가 다시 굵고 긴 머리로 성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졌다. 2001년도에 워싱턴 DC에서 개최 된 제 59차 미국 피부학회 총회에서 5년에 걸친 피나스테라이드에 대한 임상실험 결과 1년사용 후 86% 정도의 탈모 방지효과와 복용한 군의 66% 정도에서 발모 현상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는데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그 효과가 많이 감소되고 성욕감퇴, 발기부전 및 사정장애 등의 부작용도 함께 보고하였다.
Minoxidil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는데 부작용으로 털이 굵어진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Minoxidil의 육모에 대한 작용 메카니즘은 모포(毛包) 내에서 Minoxidil이 Minoxidil sulfate로 변환하여 SUR 리셉터(receptor)를 활성화시켜 모유두 세포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매개로 하는 혈관내피증식인자(VEGF)의 발현을 촉진하여 장년성 탈모환자의 탈모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noxidil은 탈모 예방에는 효과가 있으나 새로운 머리카락이 나는(발모) 경우는 많지 않고 주로 잔털이 굵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을 중단하면 탈모가 다시 시작하므로 계속 발라야 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여성호르몬의 감소가 남성형 탈모에 관여하여, 뼈 형성단백질(born morphogenetic protein-2 ; BMP-2)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 모포기능을 저하시켜 모발이 가늘어지고 빠지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5-Aminolevulinic acid(ALA)은 인간은 물론 토마토, 적포도주 등의 동식물에 존재하는 천연아미노산으로 철(Fe)과 결합하여 모근에 있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시토크롬(cytochrom)을 증가시켜 에너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육모효과를 나타낸다.
천연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등에 관한 특허로는 난초추출물을 이용한 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 추출물을 이용한 특허 제0161338호, 녹두, 들깨, 참깨, 멸치, 효모농축액 등을 이용한 특허 제0260673호, 인삼, 당귀, 하수오, 호도, 단삼, 홍화 등의 추출물을 이용한 특허공개 90-13934호, 소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특허공개 96-40346호, 원잠아, 잠종, 번데기 등의 추출물을 이용한 특허공개 90-5952호 등의 많은 특허와 생약의 육모효과에 관한 연구(Takuji Yamaguchi 등), 인도약초 Coleus forskohlii의 육모제로의 응용(Tasuo Hayashi), 모포에서 바라본 생약의 육모효과(Ryuichiro Kuwana 등)등의 보고가 있다.
이상과 같은 해결방법 외에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혈관 확장제, 모발의 구성성분과 같은 영양성분 공급, 모근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원의 공급, 모낭충을 죽이기 위한 살균제, 과잉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한 세정제 및 피지분비 억제제, 두피의 건조를 막기 위한 보습제 등이 탈모 방지제 및 육모제의 구성성 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탈모는 단순한 한두 가지의 요인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결과물임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를 예방하고 육모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스크리닝한 천연물질들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천연물질들로 구성된 조성물이 상호간에 서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야만 탈모방지와 육모에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최적의 조성비로 조성되었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물질 중에서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이 모세혈관의 혈행을 개선시켜 모근의 상피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모근을 자극하여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살균 및 보습을 통해 탈모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수유, 상황버섯, 석 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 상황버섯 추출물 : 석창포 추출물 : 검은콩 추출물 : 검은깨 추출물 : 당귀 추출물 : 생강 추출물이 1 : 0.1~1 : 0.1~1 : 1 : 0.1~1 : 1 : 0.1~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거나 각각의 천연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용매 내에서 한 번에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어진다.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가시적 또는 효과적인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0 중량% 초과하면 피부자극이 발생하여 소비자가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은 포도씨 추출물, 녹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고추씨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더 함유한다. 2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이 발생하여 소비자가 사용을 기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의 천연추출물은 유효성분의 인체에 대한 전달을 감안하여 최적의 logP 값과 최소의 자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탄소수가 낮은 저급알코올류를 중심으로 정제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다.
상기 천연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정제수 : 에탄올 :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1~5 : 1 : 1~5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로, 상기 부피비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혼합추출물들은 조성물에 적용시 육모 및 탈모예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상기 추출물들을 함유한 조성물은 첩포시험결과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의 부피비를 벗어난 용매로 천연물을 추출하는 경우 가시적 또는 효과적인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을 하지 못하거나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산수유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 열매로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 및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이 포함되어 있으며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도 함유되어 있다.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으며, 요통, 조로예방, 신장기능을 강화해주며 여성의 월경과다 및 출혈조절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과 콩팥을 보하며 과로하거나 신체가 노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에 효과가 있고, 성기능을 높이며 뼈를 보호해 주고 머리를 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황버섯에는 면역증가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진 mannose, galactose, glucose와 같은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암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좋은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종양 억제율이 약 96%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다. 대구대학교 생물학과 송치현 교수는 자연산 상황버섯은 3~5배의 면역 활성효과를 증가시킨다고 발표하였으며, 일본 국립암센타의 치하라 박사팀은 고형암에 대하여 96.7%의 종양저지율과 전이억제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생명공학 연구소 유익동 박사는 자연산 상황버섯 균사체에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다당체 신 물질이 소화기 관련 암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면역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상황버섯은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창포는 수검초, 석창초 등의 이름으로 불리 우는데 다른 풀보다 먼저 자라기 때문에 이때부터 밭을 갈기 시작하였다고 해서 양기가 무성하다는 뜻을 지닌 창포(菖蒲)라고 붙여진 것으로 머리를 맑게 하며 기억력을 좋게 하고 몸이 따뜻하게 되어 오래 살게 된다고 하였다. 정유 성분에는 진정 작용이 있어서 마음이 불안한 사람에게 쓰면 더욱 좋다고 하며 습진이나 피부병으로 가려울 때는 석창포 달인 물로 아픈 부위를 씻으면 개선된다고 한다. 석창포의 뿌리는 안색을 좋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다분비가 원인인 남성형 탈모증을 극복하는 천연물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 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남성형 탈모의 원인이 되는 호르몬인 DHT의 작용을 억제하여 탈모를 예방하거나 역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자연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isoflavon)은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뼈, 혈관 등에 존재하는 에스트로 겐 수용체에 작용하여 남성호르몬 과다에 의한 탈모증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검은깨에는 기억력과 집중력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레시틴과 기미 피부노화 방지효과 및 혈액순환 촉진효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비타민E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불포화지방산 외에 필수아미노산, 피부건조증 아토피 질환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B 등이 함유되어 있어 두피에 영향주어 흰머리와 탈모를 예방하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당귀는 미나리과 참당귀(한국당귀)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angelica속 식물로 맵고 쓰며 따뜻한 성질이 있는데, 따뜻한 성질은 심장의 화(火)와 같은 작용을 하며 기름기가 많아 수(水)에 속하는데 수와 화의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갖추고 있어 인체 내에서 피가 생성되는 원리와 유사하여 피를 만드는 조혈작용이 있어 빈혈에 좋고 어혈을 풀며 지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부지역에 자생분포하고, 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당귀가 나쁜 피를 없애고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해 주며, 아랫배의 종양과 부인의 하혈을 멎게 하고 몸 안의 장부를 보하며 새살을 나게 해 준다고 전하고 있다. 따라서 당귀는 고혈압과 자궁근육의 수축을 억제하여 긴장도를 완화시켜 자궁근육을 이완하여 피가 잘 돌게 하고 배변을 원활히 하여 골반강안의 장기의 충혈도를 덜어준다. 또한, 노이로제, 불면, 신경과민, 히스테리, 자율신경 실조증에 많은 도움이 된다. 이 외에도 당귀는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스트레스 감소, 혈액개선 작용 등이 있어 육모에도 효과가 있다.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강을 불에 구워 말린 것을 흑강이라 하는데 생약명이 생강이다. 주성분은 진저롤과 쇼가올이며 2천년 전의 중국의 의서에도 기술되어 있을 정도로 모든 한방처방의 거의 절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재이다. 열이 많고 매운 맛이 강하며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위발한, 복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이 안 되어 손발이 차고 냉증이 있으며 부종이 잘 나타나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수분 배설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신진대사와 혈행이 좋아져 기미나 거친 피부 등이 개선되고 피부가 깨끗해지고 디아스타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를 돕는다. 생강의 방향 신미성분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발한 해열약, 혈행 장해 등에 이용되고 있다. 향기 성분은 진저롤과 쇼가올인데 이 정유들이 매운 성분과 어울려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을 한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상승효과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혈액의 점도를 낮추며 약물의 빠른 전달효과와 해독효과가 있어 피부에 좋으며 원형탈모증에 효과가 있다.
포도씨 추출물에는 피크노제놀(pycnogenols)이라고 불렸던 procyanidol oligomers(PCO)가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E 보다 50배, 비타민C 보다 20배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진 식물성 천연물질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수용성과 지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모든 타입의 세포막에 침투할 수 있어 활성산소의 손상으로부터 뇌세포들을 보호하는 작용이 탁월하며 인체 전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다. 퇴화되거나 약해진 모세혈관을 강화시켜주며 혈소판이 엉기는 것을 막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고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전신말단에 흐르는 혈 류를 증가시켜 혈압을 떨어뜨려준다. 또한 항산화 물질로서 작용하는 PCO는 종양을 유발시킬 수도 있는 세포의 변이원성을 복구시켜 주기도 한다. 또 피부의 콜라겐을 합성시키면서 보존을 도와주어 피부의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화장품크림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알러지 반응을 조정하는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유발 화합물의 분비를 저해하여 다양한 알러지 반응을 조절하고 있다. 포도씨종자유는 또한 알러지 반응과 통증과 염증에 관계하고 있는 체내 화학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를 봉쇄하기도 하여 탈모방지 및 육모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綠茶)는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찌거나 열을 가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시켜 말린 것으로 생리활성이 높은 폴리페놀류인 카테킨(catechin)과 탄닌(tannin)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카페인, 비타민 및 많은 무기염류가 다량 들어 있어 전 세계에 걸쳐 널리 애용 되고 있다.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는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하는 활성 산소가 세포의 여러 부위를 공격하게 되는데 이런 활성 산소가 세포를 공격하기 전에 빨리 제거하여야 한다. 녹차추출물은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과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녹차의 주성분인 카테킨류는 성인병 예방과 후천성 면역결핍증, 바이러스와 충치 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살균능력을 가지고 있어 충치예방 치약이나 소취제와 같은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커피 속의 카페인은 주성분이 클로로겐산으로 녹차 속에 있는 카테킨 등의 성분이 없기 때문에 체내에 바로 흡수되면서 강한 카페인의 활성과 함께 동맥경화나 심장질환을 일으키는데 반해 녹차의 카페인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카테킨과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이 일어 나지 않는다. 따라서 녹차는 항산화효과를 증가시켜 모발의 성장을 유도할 수가 있다.
고삼은 소태에 버금가는 쓴맛을 지닌 식물로서 예부터 강한 항 알러지, 항균작용이 있어 뿌리를 말린 것을 이용하여 습진, 여드름 등 각종 피부염의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인체의 유익한 균을 활성화시키고 잡균을 제거하는 역할이 있어 화장품에 응용되고 있다.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노석선 교수는 ‘고삼 추출물이 분자생물학적으로 모발에 미치는 연구결과’에서 고삼 추출물은 남성형 탈모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5-알파 환원효소라는 효소의 성능을 강력히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남성 호르몬에 고삼 추출물을 섞으면 탈모를 유발하는 활성화된 남성 호르몬이 크게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고삼 추출물이 모발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각질형성 세포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실험에서 털을 깎은 쥐에게 정기적으로 고삼 추출물을 발랐을 때 털이 자라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선삼(仙蔘, sun ginseng)이란 홍삼에 미량 함유된 특유의 약효성분을 대폭 강화시킨 새로운 형태의 가공인삼을 말하는데 선삼의 주성분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3, Rg5, Rk1 등이다. 이 물질은 백삼이나 수삼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들로 대한약학회 5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선삼이 산삼보다 약 10배 이상의 항암효과가 있으며 노화의 원인이 되는 인체의 신진대사과정에서 피할 수 없이 생성되는 과산화물질을 산삼보다 8배 이상 제거해 주는 작용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특이성분인 진세노이드 Rg3는 혈관 내피에서 혈관확장인자인 NO를 유리시켜 혈관을 확장 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혈소판의 응집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소판이 응집하면 혈관을 막아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뇌졸증이나 치매 등이 걸릴 확률이 높아지며 탈모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삼의 효능은 항암 이외에 뇌졸증이나 치매 등의 혈액순환기계 질병의 예방 및 치료와 항산화 효과를 이용한 노화방지 및 육모에 효과적임을 알 수가 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으로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人蔘之幹 亦有生熟二等…”이라 하여 인삼을 증숙(蒸熟)한 것과 날것(백삼)이 있다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홍삼의 사포닌성분은 당뇨 유발 물질인 알록산(alloxan)과 스트렙토조토신(STZ)을 제거해 당뇨병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홍삼 특유의 사포닌 성분인 G-Rh2와 비사포닌 물질로서 지용성 분획물(석유에테르 추출물)중 중요 함유성분인 polyacetlen 성분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생체 내 자연 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증진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추출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과 홍삼의 비사포닌 성분들은 생체의 지질과산화 억제작용과 유해산소(활성산소)로 야기되는 피부조직의 노화와 탈모 등의 퇴행성 변화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으며 지질대사와 관련된 각종 효소의 활성이 촉진되어 혈중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킨다. 단백질 합성 촉진인자인 프로스티졸(prostisol)이 간의 재생율을 촉진하여 간 독소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간세포의 괴사 등 조직학적 병변을 경감시키며 그 외에도 지구력 촉진, 두뇌 활동 촉진, 면역증가, 빈혈 치료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고추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풀로 한방에서는 고추 열매를 번초(蕃椒) 또는 당신(唐辛)이라고 하며 피를 잘 통하게 하여 신경통이나 근육통의 치료제로 쓰기도 하였다. 고추의 주성분인 캡사이시노이드(capsaicinoide)를 피부에 바르면 통증이나 열을 감지하는 피부 감각신경 말단으로부터 CGRP(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라는 물질을 방출하고 CGRP는 체내에서 인슐린 유사성장 인자(IGF―1)의 증가를 촉진하는데, 이 IGF―1은 세포를 활성화하여 피부노화를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고추의 주성분은 항산화에 의한 세포 노화방지, 항균, 스트레스 억제, 면역 증강, 가려움증 치료 효과 등이 있으며, 붉은 색소 중 일부 성분은 카로틴으로 분해가 되면 콜라겐을 합성하는 물질인 비타민A로 바뀐다. 또한 비타민A. C가 풍부한데 비타민C는 사과의 40배, 귤의 2배에 달한다. 탈모증에는 고추의 주성분을 알코올로 추출하여 머리에 바르고 마사지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고추가 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촉진 및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기 때문이다.
하수오(何首烏)는 적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thunb.)의 덩이뿌리로 다년생 덩굴성 초본인 마디풀과(polygonaceae) 중 박주가리과에 속하며 하수오(何首烏), 백수오(白首烏) 큰조롱, 은조롱 또는 새박덩굴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수오는 강장, 빈혈에 효과가 있으며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동맥경화, 피로회복 등 자양강장약으로 이름 높은 약초로 뿌리에는 anthraquinone류를 함유하며 주로 chrysophanol과 emodin monomethylether, rhein, physcione, chrysophanic acid과 anthrone 등이 들어 있는데 이들 성분들은 뇌를 튼튼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몸의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과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아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손 곱히고 있는데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고 조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의 동의학 사전에 의하면 강장작용, 조혈기능 강화작용, 피로회복 촉진작용, 진정작용이 있으며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머리를 검게 만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은 육모 및 탈모예방을 위한 화장품 및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 팩, 헤어왁스 등의 두발제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의 주요성분 외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다른 성분들을 배합하여도 된다. 상기 성분 외에 첨가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차단제, 방부제, 살균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색소, 향료, 알코올, 유기안료, 무기안료, 유지성분 및 기능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모발 성장촉진 조성물로 사용되는 히노키티올, 고추팅크,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벤질, 초산토코페롤, 살리실산 또는 L-멘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성분 외에 통상 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다른 성분들은 성분자체가 육모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은 혈행촉진, 영양공급, 모모세포 활성, 호르몬, 긴장완화, 보습, 살균, 모낭충 제거, 에너지 공급, 두피자극, 피지제거, 피지분비 억제 등 다양한 탈모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저해시킴으로서, 탈모 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가 있다.
[제조예 1]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천연물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생강, 포도씨, 녹차, 고삼, 선삼, 홍삼, 인삼, 고추씨 및 하수오를 물로 세척하고 정제수로 헹구어 낸 후 상온에서 1일간 건조를 시킨 다음 세절하였다. 세절된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은 20 : 10 : 15 : 20 : 10 : 20 : 5의 무게비로 취하여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에 넣고 정제수, 에탄올(ethan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3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포도씨 및 고추씨를 70 : 30의 무게비로 취하여 정제수,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을 4 : 3 : 3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로 회전증발기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포도씨와 고추씨의 혼합추출물을 얻었으며, 녹차를 정제수,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이 6 : 2 : 2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매로 회전증발기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었으며, 하수오를 정제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이 4 : 2 : 1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매로 회전증발기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었으며, 고삼, 선삼, 홍삼 및 인삼을 33 : 14 : 20 : 33의 무게비로 취하여 정제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을 4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로 회전증발기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고삼, 선삼, 홍삼 및 인삼의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 비교제조예 1]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을 20 : 10 : 15 : 20 : 10 : 20 : 5의 무게비로 취하여 정제수를 추출용매로 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회전증발기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1]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천연물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사용하여 통상적인 헤어토닉의 제조방법에 따라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표 1] 구성성분 및 함량
Figure 112007055610389-PAT00001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초기 및 6주 사용 후의 탈모량 감소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의 탈모방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탈모증상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임상실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탈모증상이 있는 30~55세의 건강한 성인 남성 중 최근 1개월 이내에 2일 이상 약을 복용한 적이 없으며, 탈모치료제나 육모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품을 사용한 적이 없는 32명을 총 3개의 군(실시예 1 : 16명, 비교예 1 : 8명, 비교예 2 : 8명)으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출근 전과 퇴근 후 각각 1회씩 하루에 2회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사용량은 탈모부위의 두피가 흠뻑 젖을 수 있는 분량을 사용하도록 한 후 6주 후에 그 결과를 관찰 기록하였다. 세발제품은 피험자가 평상시에 사용하는 샴푸, 린스, 비누 등 종류에 상관없이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탈모예방 효과의 평가는 세발을 한 후 물로 머리를 헹구어 낼 때에 촘촘한 그물망을 대고 헹구도록 하였으며, 그물에 걸린 머리카락의 수를 세어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6주간 사용한 후 육안으로 보여지는 개선의 정도와 스스로 느끼는 심리적인 개선의 정도 및 세발시의 탈모량에 대한 피험자의 느낌에 대하여 5점 척도로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1의 조성물 사용초기와 사용 후기의 탈모 량 감소율(탈모 수, %)
Figure 112007055610389-PAT00002
[표 3] 비교예 1의 조성물 사용초기와 사용 후기의 탈모 량 감소율(탈모 수, %)
Figure 112007055610389-PAT00003
[표 4] 비교예 2의 조성물 사용초기와 사용 후기의 탈모 량 감소율(탈모 수, %)
Figure 112007055610389-PAT00004
문헌에 따르면 1일 탈모량은 대략 100개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나, 상기 표 1에서 얻어진 결과는 30~90개 정도로 샴푸를 할 때는 물론 일상생활 도중에도 많은 수의 머리카락이 빠져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한 초기의 탈모량과 6주간 사용한 후의 탈모량에는 유의성이 있는 17.9%의 개선효과가 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산수유, 상황버섯, 석창포, 검은콩, 검은깨, 당귀 및 생강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탈모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 6주 사용한 후 개선 정도
Figure 112007055610389-PAT0000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육안판정 정도가 평균 3.81점, 개선의 자각정도가 3.62점 및 탈모 정도가 3.43점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모발의 밀도 증가율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6주간 사용한 후의 모발의 밀도를 두피분석기(Professional scientific instrument, SIF-1)로 측정한 결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 131개(n=16)이었으나 6주 후에는 평균 136개로 늘어났다. 통상 6개월 정도 사용에 의해 약 10% 증가가 되는데 약 1개월 반 정도 사용한 결과 약 3.9% 정도 증가가 되어 매우 유의성이 있는 증가를 보였다.
[실험예 4] 모발의 굵기 증가율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6주간 사용한 후의 모발의 굵기를 두피분석기(Professional scientific instrument, SIF-1)로 측정한 결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 77μm(n=16) 이었으나 6주 후에는 78μm로 2μm 정도가 늘어났다. 통상 6개월 정도 사용에 의해 약 2.7% 증가가 되는데 약 1개월 반 정도 사용한 결과 약 1.3% 정도 증가가 되어 매우 유의성이 있는 증가를 보였다.

Claims (7)

  1. 산수유 추출물 : 상황버섯 추출물 : 석창포 추출물 : 검은콩 추출물 : 검은깨 추출물 : 당귀 추출물 : 생강 추출물이 1 : 0.1~1 : 0.1~1 : 1 : 0.1~1 : 1 : 0.1~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포도씨 추출물, 녹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고추씨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이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 에탄올 :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1~5 : 1 : 1~5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노키티올, 고추팅크,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벤질, 초산토코페롤, 살리실산 또는 L-멘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팩 또는 헤어왁스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20070076491A 2007-07-30 2007-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090012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91A KR20090012565A (ko) 2007-07-30 2007-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91A KR20090012565A (ko) 2007-07-30 2007-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65A true KR20090012565A (ko) 2009-02-04

Family

ID=4068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491A KR20090012565A (ko) 2007-07-30 2007-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56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67B1 (ko) * 2009-11-13 2011-05-12 이소영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약물 전달 시스템
KR101136921B1 (ko) * 2009-06-12 2012-04-20 서재웅 헤어로션의 제조방법
KR101315969B1 (ko) * 2011-06-30 2013-10-08 주식회사 이롬 찔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3655257A (zh) * 2013-05-14 2014-03-26 广东太阳神集团有限公司 一种中药育发洗发露及其制备方法
KR101415992B1 (ko) * 2007-11-30 2014-07-08 (주)아모레퍼시픽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CN104116032A (zh) * 2013-04-25 2014-10-29 廖少波 一种具有乌发养颜功效的营养早餐及其制备方法
KR20160094058A (ko) 2015-01-30 2016-08-09 (주)에코솜 육모 및 비듬제거용 조성물
CN116803404A (zh) * 2023-08-24 2023-09-26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水溶性番茄浓缩物在制备减少脱发、育发的产品中的应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92B1 (ko) * 2007-11-30 2014-07-08 (주)아모레퍼시픽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136921B1 (ko) * 2009-06-12 2012-04-20 서재웅 헤어로션의 제조방법
KR101034567B1 (ko) * 2009-11-13 2011-05-12 이소영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약물 전달 시스템
KR101315969B1 (ko) * 2011-06-30 2013-10-08 주식회사 이롬 찔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4116032A (zh) * 2013-04-25 2014-10-29 廖少波 一种具有乌发养颜功效的营养早餐及其制备方法
CN103655257A (zh) * 2013-05-14 2014-03-26 广东太阳神集团有限公司 一种中药育发洗发露及其制备方法
KR20160094058A (ko) 2015-01-30 2016-08-09 (주)에코솜 육모 및 비듬제거용 조성물
CN116803404A (zh) * 2023-08-24 2023-09-26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水溶性番茄浓缩物在制备减少脱发、育发的产品中的应用
CN116803404B (zh) * 2023-08-24 2023-12-15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水溶性番茄浓缩物在制备减少脱发、育发的产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CN102641233B (zh) 一种具有嫩白保湿功效的大花红景天面膜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Rathi et al. Plants used for hair growth promotion: A review
CN106214592B (zh) 毛囊营养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00104646A1 (en)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03282041A (zh) 富含多酚的玛卡地上部分的提取物和包括其的组合物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70092052A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CN110420150A (zh) 一种含有辣木籽提取物的抗衰老护肤品组合物
KR20130105003A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412709A (zh) 一种具有止脱生发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80180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70067256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101709918B1 (ko) 한방 약재 추출물이 포함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094B1 (ko)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