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477B1 -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477B1
KR101355477B1 KR1020110055502A KR20110055502A KR101355477B1 KR 101355477 B1 KR101355477 B1 KR 101355477B1 KR 1020110055502 A KR1020110055502 A KR 1020110055502A KR 20110055502 A KR20110055502 A KR 20110055502A KR 101355477 B1 KR101355477 B1 KR 10135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alopecia
grow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519A (ko
Inventor
김정철
김문규
성영관
한인숙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4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01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and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06Glycol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콜린산(glycolic acid)을 포함하는 알파 하이드록시산 (alpha-hydroxy acid, 일명 AHA)으로 알려진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LPHA-HYDROXY ACID}
본 발명은 글리콜린산(glycolic acid)을 포함하는 알파 하이드록시산 (alpha-hydroxy acid, 일명 AHA)으로 알려진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모낭은 마치 식물의 구근에서 줄기가 자라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구근 모양의 부분을 모구(毛球)라고 한다. 이 모구의 가장 아래쪽 중심에는 모유두(毛乳頭)가 있고 여기에는 모세혈관이 거미줄처럼 망을 형성하고 있다. 모유두를 둘러싼 부위를 모기질(毛基質)이라고 부른다. 모기질은 모기질 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분열이 아주 활발한 곳으로 털의 생산 공장에 해당한다. 모기질 세포에서 분화되어 피부 표면으로 이행함에 따라 각화 되는데 이 각화된 구조물의 제일 안쪽이 털(모간, 毛幹)이다.
이 털은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모수질(毛髓質), 모피질(毛皮質), 모소피(毛小皮)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이 털을 초소피(모근초 : 내측모근초(內側毛根墅) + 외측모근초(外側毛根墅))가 둘러싸고 있다. 모구에 있는 모기질 세포 사이에는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데 이 멜라닌 세포에서 생산되는 멜라닌이 나중에 털을 형성할 세포에 의해 탐식 되어 멜라닌의 양에 따라 모발의 색깔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인체의 모발은 약 10 만 내지 15 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 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과산화물, 세균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증은 선천성 탈모증과 후천성탈모증으로 나뉜다. 선천성 탈모증은 태어날 때부터 머리카락이 없는 것이고 후천성탈모증은 점차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일컫는다. 특히, 후천성 탈모증에는 비반흔성 탈모증과 피부의 병변을 발견할 수 없으나 병적인 피부에서의 탈모증, 그리고 반흔성탈모증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및 기타 탈모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머리카락은 하루에 50~100여개 정도가 빠진다고 한다. 이렇게 빠진 뒤 다시 생성되지 않아 머리카락의 수가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증상을 남성형 탈모증이라 한다. 이는 흔히 장년성 또는 약년성 탈모증이라고도 한다.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유형에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25세가 지난 뒤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최근에는 20세 전반의 남성에게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남성형 탈모증은 정수리 쪽에서부터 둥글게 벗어지는 경우와 이마의 양쪽이 M자형으로 머리가 띄엄띄엄 나는 경우, 이마가 전체적으로 벗겨지는 U자형인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남성형탈모의 원인으로서는 현재로 밝혀진 바로는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크다. 하지만 유전자가 있다고 해서 모두 발현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자의 발현에 관계하는 요인은 역시 남성 호르몬이다. 즉 남성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남성이 여성보다 대머리가 많으며, 사춘기 이전에는 대머리가 되지 않으며 사춘기 이전에 거세한 사람에게는 대머리가 없다. 또한, 몇 가지의 원인으로서 다음의 설이 있다.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으로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불균형에서 온다는 호르몬설을 들 수 있다. 즉, 앞머리 부분에서 정수리에 있는 모발의 성장을 억제하는 남성 호르몬이 증가하여 이런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인종차에 따른 설이 있는데 인종에 따라서도 탈모의 비율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상태는 아니나 통계상으로 볼 때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우리나라가 탈모의 확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남성형 탈모증은 후진국보다는 선진국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실제고 원시민족에게서는 탈모증을 찾아볼 수 없다는 보고도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도 그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난다고 한다.
원형탈모증이란 머리카락이 원형을 이루며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원형탈모증은 남성형 탈모나 여성형 탈모가 아닌가 하고 혼동하는 경우도 있으나 머리카락이 빠지는 부위와 크기는 물론이고 원인 또한 전혀 다르다.
또한 남성형 탈모는 생리적인 현상인데 반하여 원형탈모증은 병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탈모의 시작은 크기가 보통 직경 2~3cm정도에서부터 비롯되어 점차 진행될수록 수적으로나 크기 역시 증대되어 간다. 그러다 끝내 머리 전체가 탈모 되는 수도 있다. 특히, 원형탈모증 중에서도 머리 뒷부분이나 옆부분에 나타난 탈모 현상은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사행성 탈모증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형탈모증에 있어 25세 이하의 유병률이 75%이상이며,인종의 차나 민족적이 차이는 물론이고 남녀의 차이도 없이 누구에게서나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원형탈모증은 털이 빠지는 범위에 따라서도 각기 이름이 다르다. 점차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악성 원형탈모증이라 하고,악성 탈모가 더욱더 진행되어 머리카락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두 탈모증, 온몸의 털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신 탈모증이라고 한다. 원형탈모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대두하고 있으나 뚜렷한 정설은 없는 편이다. 처음에는 기생출설이 제창되다가 다음에는 곰팡이설, 그 후 다시 세균이 원인이라는 설이 대두하였다. 1900년대 초부터는 정신·신경적인 원인이 원형탈모증을 발생시킨다고 하였으며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으 로 알려져 있다.
상기 남성형 탈모증 및 원형 탈모 외에도 내분비 이상에 의한 탈모, 영양 장애, 대사의 이상에 기인하는 탈모, 약물에 의한 것이나, 염증, 감염 종양 기타 공해, 스트레드 등 탈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한편, 모발의 성장은 모낭의 상피세포 (epithelial cell)와 진피세포 (dermal cell)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그것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왕성한 성장기인 anagen, 수축기인 catagen 그리고 휴지기인 telogen의 사이클을 순환한다. 모발 성장의 핵심은 모낭의 진피유두 (dermal papilla, DP)이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모낭 상피세포 (hair matrix cell)에게 모발 성장인자 혹은 저해인자를 방출하여 성장 혹은 퇴화상태로 순환한다.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인허된 발모 전문의약품은 2가지이며 피나스테라이드 (MSD의 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화이자의 로게인)이다. 피나스테라이드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된 약물로 남성형탈모 치료효과를 가지며 탈모원인이 되는 남성호르몬 DHT를 생산하는 5-알파환원효소의 기능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반면, 미녹시딜은 원래 혈관이완 작용으로 고혈압을 조절하는 약이었지만 복용하는 환자에서 털이 24까지 자라는 현상을 관찰하고 발모제로 개발되었다. 부작용은 거의 없으나, 최대효과를 가지려면 하루 2회-6개월 이상 도포하여야 하며, 사용을 중지하면 그 효과가 사라진다. 이는 모발 상피세포를 증식시키고 동물모델에서 휴지기에서 성장기 유도를 자극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활성 메카니즘은 완전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성장인자-관련 그리고 혈류증가 효과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20~30%의 환자들은 이 두 종류의 약물들에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새로운 치료법 즉 이들 메카니즘과 다른 보상효과가 있는 물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발모제품의 타깃으로는 모발성장 촉진, 혈액순환 개선, 영양결핍 해결, 두피염증 완화, 그리고 5-알파환원효소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 등을 개발하고 있고, 항-안드로겐성 약물, 비-안드로겐성 약물, 천연물 그리고 이미 개발된 약물과의 상승효과를 일으키는 물질등도 탐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모발 성장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콜린산(glyco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린산(glycolic acid)의 농도는 10-1~10-6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젖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젖산의 농도는 10-1~10-6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의 농도는 10-1~10-8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콜린산(glycolic acid)를 인체의 국소 부위에 4일 이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젖산을 인체의 국소 부위에 4일 이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인체의 국소 부위에 4일 이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유효 화합물 이외에, 보조 성분을 추가 함유할 수 있다. 보조 성분으로는 비타민, 미네랄, 혈행 개선제, 두피 침투제, 피부 자극제 및/또는 보습제가 해당된다.
먼저, 비타민 B1, B2, B6, B12, C, 판토텐산 칼슘, 니코틴산 아미드, 엽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과 아연, 철,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혼합 사용하면,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비타민과 미네랄은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타민 B1, B2 및 C가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3 중량% 및 0.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혈행 개선제는 혈행을 원활하게 하는 목적과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하기 위해서 첨가하며, 감마 또는 알파 리놀레익산, 올레익산, EPA, 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혈행 개선제는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피 침투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트리톤 X(Triton-X), 다양한 계면활성제 또는 포비돈을 사용하며,두피 깊숙한 진피층에로의 약제 성분의 침투 효과를 증강하기 위해 사용한다. 특히, 피부자극제인 멘톨을 추가하여 피부 자극성을 증가하면 약제 성분의 피부 진피층으로의 작용 효능을 더욱 증대한다. 이때, 디메틸 설폭사이드, 트리톤-X, 포비돈 등의 두피 침투제는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으로 각각 1 내지 20 중량%로, 멘톨 등의 피부 자극제는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으로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두피 침투제인 디메틸 설폭사이드, Triton-X 및 포비돈은 각각 별도로 사용할 경우,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디메틸 설폭사이드는 1.0 내지 20 중량%, Triton-X는 1.0 내지 10.0중량% 및 포비돈은 1.0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대머리 등의 오래된 두피층은 보통의 약효 성분이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발모,육모제가 그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중, 두피 침투제로서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가 바람직하며, DMSO는 저분자 화합물로서, 생체막을 잘 통과하고, 다른 물질들의 세포막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DMSO는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을 제거시키는 항산화 작용도 있다. DMSO는 물, 알코올 기타 거의 모든 유기, 생화학 물질을 용해하는 뛰어난 장점이 있어, 핵자기 공명 분석기 등에서 생체 고분자의 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DMSO가 두피 침투를 돕는 기전은 확실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탁월한 용해력으로 단백질 등 고분자를 순간적으로 녹이는 기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보습제는 최종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증가시켜 약효의 지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며, 글리세린이 바람직하고, 최종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첨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품 제조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가공 및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제는 투여 후에,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과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과립제, 액제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미각을 돋우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phyllin)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콜,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은 두피 도포, 경구 등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두피 도포 투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성장 촉진제로 사용되는 최종 조성물의 1일 두피 도포량은 1g 내지 100g의 범위이다. 그러나, 실제 도포량은 도포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도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리콜린산을 비롯한 AHA들을 모낭 상피세포 및 진피세포를 자극하여 그들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그 결과에 따라 모낭재건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유효성이 입증된 모발성장 조절 검색법을 이용하여 탈모 치료약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동물을 이용한 실험과 인체모낭 조직을 이용한 배양실험을 실시하여 그들의 모발성장 효과를 검색하였다. 동물실험에서는 확실한 성장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인체모낭 조직배양 검색법에서는 원모발이 가지고 있는 성질에 따른 변이가 커서 실험간 주의깊은 해석이 요구되었지만, 검색법 간의 유의성이 발견되었고 성장효과를 보여주었다.
글리콜린산(glycolic acid)이 아주 적은 농도로도 휴지기의 모발을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모발성장 효과가 증명되어 이를 발모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적용 후 모발의 상피세포(keratinocyte) 증식이 크게 증가하고 모유두 세포 및 모유두(dermal papilla)의 크기도 증가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젖산(lactic acid)등에서도 관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C57BL6 동물을 이용한 모발성장 효과 검색
쥐의 등에 있는 털을 전기면도기로 면도한 뒤 각종 AHA 물질 1M을 첫 번째 주 에만 4번 도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그리고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 비해 확실히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모발성장을 유도하였다 (도 2).
그 중 글리콜린산의 농도별 처리에서는 0.5M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험 시작한 첫 날 하루 200ul의 면봉을 이용한 도포 후에도 확실한 모발성장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3).
인체모낭 조직배양을 이용한 유효성 검사.
인체모낭조직에 농도가 다른 GA (10 -2 ~10 -10 )를 넣고 4, 7일째 자라나온 길이를 측정한 결과, 10-2에서는 독성을 보였고, 10-4~10-8M에서는 대조군보다 약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10 M에서는 대조군에 대비 확실한 모낭 성장을 보였다(도 4).
다시 같은 방법으로 10-8~10-12 M 농도로 실험한 결과, 10-10M에서 가장 높은 모발성장을 보여 주었다 (도 5).
본 발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리콜린산를 포함하는 알파 하이드록시산 (alpha-hydroxy acid) 류들은 모발성장 효과를 나타내어서 모발성장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글리콜린산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C57BL/6를 이용한 GA, LA 그리고 TCA의 모발성장 효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털이 면도된 동물 등에 Q-water에 녹인 GA, LA 그리고 TCA 1M의 약물을 일주일에 4번 200ul씩 도포하고 4주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도에서 GA는 glycolic acid; LA는 lactic acid; TCA는 trichloroacetic acid를 나타냄).
도 3은 C57BL/6를 이용한 GA의 농도에 따른 모발성장 효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털이 면도된 동물 등에 Q-water에 농도별로 녹인 GA 약물을 한번만 200ul씩 도포하고 4주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인체모낭 조직배양을 이용한 GA의 모발성장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인체모낭조직에 농도가 다른 GA (10-2~10-10M)를 넣고 4, 7일째 자라나온 길이를 측정한 것.
도 5는 인체모낭 조직배양을 이용한 GA의 모발성장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인체모낭조직에 농도가 다른 GA (10-8~10-12M)를 넣고 5, 7, 9, 12일째 자라나온 길이를 측정한 것.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동물실험을 이용한 모발성장 검색
실험에는 C57BL/6, female, 6주령 (오리엔트바이오, 경기도)을 구입하여 3~4일 안정시킨다. Forane (중화제약)으로 마취하고,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 1~2일 지난 후, 해당하는 약물인 1M의 GA, LA 그리고 TCA를 200ul씩 도포 (topical application) 하고 4주간 관찰하고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다.
실시예 2: 인체모낭 조직배양을 이용한 모발성장 검색
조직배양에 사용될 모낭은 우선 윗부분을 잘라내고, 피부의 진피세포인 섬유아세포와의 오염을 막기 위해 모낭 주변 조직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모낭은 최대한의 성장을 위해서 epidermis와 sebaceous gland를 잘라내고 각 실험 조건 당 8~10개의 모낭을 넣고, William E media (W 412H, Sigma, St. Louis, MO, USA) 에서 배양하였다. Filar micrometer eyepiece (American Opical, NY, USA)를 사용하여 2~3일 마다 모낭의 길이를 측정하고 배양액을 교체하였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의 농도는 10-1~10-12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제.
  14.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제.
  15.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55502A 2011-06-09 2011-06-09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35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02A KR101355477B1 (ko) 2011-06-09 2011-06-09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02A KR101355477B1 (ko) 2011-06-09 2011-06-09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19A KR20120136519A (ko) 2012-12-20
KR101355477B1 true KR101355477B1 (ko) 2014-02-05

Family

ID=4790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502A KR101355477B1 (ko) 2011-06-09 2011-06-09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4866A1 (en) 2022-11-15 2024-05-23 R.C.F. Srl Topical formulations for hair growth stimulation containing oxidized form of low molecular weight carboxylic acids
CN116251086A (zh) * 2023-02-15 2023-06-13 江西中医药大学 乳酸及其衍生物在促毛发生长及缓解脱发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634A (ja) * 1994-05-10 1995-11-21 Toyo Beauty Kk 養毛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634A (ja) * 1994-05-10 1995-11-21 Toyo Beauty Kk 養毛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19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Fructus panax ginseng extract promotes hair regeneration in C57BL/6 mice
KR100761660B1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US9622963B2 (en) Methods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eventing loss of human hair
CN109731001A (zh) 新琼寡糖的新用途及含有新琼寡糖的组合物
CN114668679A (zh) 育毛剂
CN110302223B (zh) 一种用于修复毛囊的育发液制剂及其制备方法
US9839606B2 (en)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hairs
KR20230166109A (ko) 식물 유래 엑소좀-유사 나노소포 또는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3532720A (ja) 毛髪成長刺激方法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4506586A (ja) 化学療法及び放射線療法によって惹起される脱毛症(cria)を予防し、criaの衝撃を低減し、及びcria後の毛髪の再成長の出現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の新規な使用
KR101355477B1 (ko)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000038214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atoulis et al. A randomized, single‐blinded, vehicle‐controlled study of a topical active blend in the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KR20140092093A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167510B1 (ko) 인삼 사포닌 대사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15315267A (zh) 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肽及其用途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Merja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REGENDIL™ infused hair growth promoting product in adult human subject having hair fall complaints (alopecia)
CA2794919C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EP2730270B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Turlier et 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 hair lotion in women with acute telogen effluvium: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US775424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S60500619A (ja) 毛髪処理剤および毛髪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