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297A -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297A
KR20100026297A KR1020080085254A KR20080085254A KR20100026297A KR 20100026297 A KR20100026297 A KR 20100026297A KR 1020080085254 A KR1020080085254 A KR 1020080085254A KR 20080085254 A KR20080085254 A KR 20080085254A KR 20100026297 A KR20100026297 A KR 2010002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ir loss
stems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회영
Original Assignee
이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회영 filed Critical 이회영
Priority to KR102008008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297A/ko
Publication of KR2010002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각 재료별 추출물을 샴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이루어진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백피, 헤나 잎, 창포, 봉삼(백선피), 돈태반

Description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Shampoo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본 발명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각 재료별 추출물을 샴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이루어진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태어날 때 모낭의 수가 정해지므로 모낭의 숫자 이상으로 새로운 모발이 생겨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탈모는 모발의 소모 형상과 같다.
탈모증의 가장 흔한 유형은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으로 과학명으로는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ic alopecia)이라고도 한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건강한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면서 짧아지고 모발이 약하여 쉽게 부서지는 축소화(miniaturization)가 진행되어 결국 잘 보이지 않는 솜털로 된다.
탈모 유전자에 의해 탈모되는 경우도 있으나 안드론겐, 즉 주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이것의 대사물인 DHT는 일부 모낭을 위축시켜 활동을 정지시키는 탈모의 생리적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직접 탈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은 테스토스테론에 5-알파 리덕타아제(5-a reduct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대사물질인데 모낭 세포의 특정 부분과 결합하여 탈모와 연관된 일련의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또한 DHT는 모발의 생장 주기 중 생장기를 짧게 하고 휴지기를 길게 하여 결국 생장주기를 거듭할수록 모발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은 체모의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DHT는 머리카락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다만 턱수염과 머리카락의 탈모에만 영향을 미친다.
탈모가 일어나는 부분에는 5- 알파 리덕티아제 효소의 활성이 높다. 요즘 탈모증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페시아(propecia)는 바로 상기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하여 5-알파 리덕타아제 효소를 절반정도 가지고 있는 반면 아로마타아제(aromatase)라는 효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바, 이 아로마타아제는 특히 앞머리의 모발선 근처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아로마타아제는 DHT의 생성을 억제하고 있어 여성들에는 탈모의 유형이 남성과 다르게 나타난다. 탈모의 유전자가 없는 사람도 신체적 노화에 따라 모낭의 축소화가 일어나면서 탈모현상이 일어난다.
현재 남성형 탈모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외용제제 중에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제품인 미녹시딜(minoxidil)은 본래 강력한 혈관확장제로서 경구용 고혈압치료제로 개발된 것이며 혈관확장에 따른 혈류의 개선으로 모낭의 혈류량이 증가되어 모발의 성장이 촉진되는 사실을 알게 되어 탈모증 치료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또 FDA의 승인을 받은 다른 탈모증 치료제로 프로페시아(화학명:finasteride)는 테스토스테론을 남성형 탈모의 원인인 DHT로 전환시키는 5- 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함으로서 탈모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한 발모제인 미녹시딜은 효과가 뚜렷하지 않고 또 프로페시아는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진행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 단점이 있다.
탈모증에 대한 치료제재의 선행기술로 알려진 것으로는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공개특허공보 제2000-38214호), 난초과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특허 제157663호), 녹두분과 대두분 등 곡분과 홍합분을 함유하는 조성물(특허 제260673호), 한방에서 사용하는 상백피와 측백엽 및 생강 등의 즙을 함유하는 조성물(특허 201589호)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확실한 탈모방지와 발모되는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각 재료별 추출물을 샴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이루어진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제조방법의 특징은,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추출액을 완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통해 추출된 각 원료의 추출액을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의 추출액별로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의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을 배합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제조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1공정은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 각각의 우너료를 세절 분세한 후, 각각의 재료별 분세물을 일정의 건조중량에 대해 물 또는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콘 함유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10배의 용량으로 가한 뒤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 출기에서 60~100℃로 2~8시간 가열하거나 상기의 용매에 O~5O℃에서 90일간 침적하여 유효성분물 1차 추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을 강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시킨 추출물에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콘 아미노산 등을 조추출이 잠길 정도로 가한 후, 다시 냉각 콘텐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8시간 동안 50-100℃로 2차 추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필터를 사용 여과하여 잔유물(혹은 잔사)을 취득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은 잔유물을 50~120℃로 냉각 콘덴서 추출기에서 8시간동안 가열하여 3차 추출화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잔사를 버리고 여과된 여액만을 완전강압 농축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우수한 항 비듬 효과, 가려움증 완화효과 및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 및 탈모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조성물로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의 추출물을 사용하며, 돈태반액을 첨가하여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뽕나무 뿌리껍질을 지칭하는 상백피는 한의학에서 폐열로 인한 해수와 천식을 치료하며 이뇨 작용이 있어, 급성신우염이나 허약성부종에 쓰이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코피와 각혈에도 사용한다. 또한 유행성 간염 등에도 쓰인다. 더욱이 알려진 약리작용은 진해, 이뇨, 혈압강하, 진정, 진통, 해열, 진경,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상백피 추출물을 샴프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두피의 청결과 진정효과가 뛰어나며, 사람의 모발성장과 영양의 관계하여 부드럽고 탄력 있는 머릿결을 유지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또한, 헤나 잎에는 로소니아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로소니아는 모발을 윤기 있게 해주고 항균과 살균작용이 있어 손상된 모발 치유에도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탁월한 항균 살균 작용으로 두피 가려움증 비듬 등과 같은 질환을 개선시켜 두피를 건강하게 해주게 된다.
또한, 창포 뿌리와 줄기는 살충약으로 효과적이며 머릿결을 탄력 있고 부드럽게 유지시켜준다.
또한, 봉삼(백선피)는 습열로 인한 피부발진, 피부미란, 습진, 풍진,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피부염, 신경성 피부염과 급성간염으로 인한 황달, 습열성 하지마 비에 쓰며 해수, 인후건조, 번갈에도 사용하기도 하며, 약리작용으로 해열작용과 피부진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는데, 대머리, 탈모증, 피부염, 체내세포재생, 각종 암과 염증예방, 및 치료제로 효과가 있다.
또한, 태반은 어떤 생명체에게 영양을 제공하고 살아 숨쉬게 하는 거라서 피부에 영양을 주고 재생을 돕기 때문에, 아토피성 여드름 피부재생촉진작용 보습작용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돈 태반을 사용한다.
상술한 원료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료의 추출물을 생성하는 공정과; 추출된 원료 추출물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에 배합하는 공정으로 구분되는데, 그 비율을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각 재료별 추출물을 샴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충진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료의 추출물을 생성하는 공정에는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 대해서만 진행되며, 돈 태반의 경우 액체화되어진 무균 돈태반액을 비율에 따라 사용한다.
원료 추출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해당 원료들 각각에 대해 별로도 진행되며, 그 전체적인 흐름은
제 1단계: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 각각의 우너 료를 세절 분세한 후, 각각의 재료별 분세물을 일정의 건조중량에 대해 물 또는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콘 함유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10배의 용량으로 가한 뒤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60~100℃로 2~8시간 가열하거나 상기의 용매에 O~5O℃에서 90일간 침적하여 유효성분물 1차 추출한다.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을 강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킨다.
제 3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시킨 추출물에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콘 아미노산 등을 조추출이 잠길 정도로 가한 후, 다시 냉각 콘텐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8시간 동안 50-100℃로 2차 추출한다.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필터를 사용 여과하여 잔유물(혹은 잔사)을 얻는다.
제 5단계: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은 잔유물을 50~120℃로 냉각 콘덴서 추출기에서 8시간동안 가열하여 3차 추출한다.
제 6단계: 상기 제 5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잔사를 버리고 여과된 여액만을 완전강압 농축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상기 제 6단계에서 농축되어진 액을 0.1∼5중량%씩 첨가하고, 돈태반은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충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샴프 조성물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추출액을 완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통해 추출된 각 원료의 추출액을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의 추출액별로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의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을 배합하는 제 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은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 각각의 우너료를 세절 분세한 후, 각각의 재료별 분세물을 일정의 건조중량에 대해 물 또는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콘 함유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10배의 용량으로 가한 뒤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60~100℃로 2~8시간 가열하거나 상기의 용매에 O~5O℃에서 90일간 침적하여 유효성분물 1차 추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을 강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시킨 추출물에 식물성 롤라겐, 고분자 화탈물, 실리 콘 아미노산 등을 조추출이 잠길 정도로 가한 후, 다시 냉각 콘텐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8시간 동안 50-100℃로 2차 추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필터를 사용 여과하여 잔유물(혹은 잔사)을 취득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은 잔유물을 50~120℃로 냉각 콘덴서 추출기에서 8시간동안 가열하여 3차 추출화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잔사를 버리고 여과된 여액만을 완전강압 농축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제조방법.
  3. 상백피와, 헤나 잎, 창포 뿌리와 줄기, 봉삼(백선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각 재료별 추출물을 샴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각각 0.1∼5중량%와 돈태반액 0.1∼1중량% 및 나머지 중량을 계면활성제재로 된 통상의 샴푸 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KR1020080085254A 2008-08-29 2008-08-29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00026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54A KR20100026297A (ko) 2008-08-29 2008-08-29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54A KR20100026297A (ko) 2008-08-29 2008-08-29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97A true KR20100026297A (ko) 2010-03-10

Family

ID=4217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54A KR20100026297A (ko) 2008-08-29 2008-08-29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2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39B1 (ko) * 2010-02-13 2013-01-07 정길동 발모제 제조방법
KR101540333B1 (ko) *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WO2017043669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에디쁘 천연 헤나를 이용한 염색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39B1 (ko) * 2010-02-13 2013-01-07 정길동 발모제 제조방법
KR101540333B1 (ko) *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WO2017043669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에디쁘 천연 헤나를 이용한 염색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1445553B1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6074306A (zh) 一种用于皮肤和头发养护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50129492A (ko) 두피 보호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와 그 제조방법
KR101888957B1 (ko) 하얀 민들레 추출액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0931093B1 (ko)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0780577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17325A (zh) 一种纯植物乌发生发防脱液及制备方法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96279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662B1 (ko) 천연 한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
KR20100026297A (ko)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251495B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165B1 (ko)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KR20130036959A (ko) 천연한방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