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802B1 -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 - Google Patents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802B1
KR100516802B1 KR10-1999-7009844A KR19997009844A KR100516802B1 KR 100516802 B1 KR100516802 B1 KR 100516802B1 KR 19997009844 A KR19997009844 A KR 19997009844A KR 100516802 B1 KR100516802 B1 KR 10051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transistor
output
oscilla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248A (ko
Inventor
베르호에벤크리스티안요하네스마리아
Original Assignee
테크니쉐 유니버시테트 델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니쉐 유니버시테트 델프트 filed Critical 테크니쉐 유니버시테트 델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2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36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2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07Stabilisation of output, e.g. using crystal

Abstract

본 발명의 공진기는 공진 소자와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구비한다. 선택 회로는 동기화 입력이 제공되는 1차 발진기에 의해 형성되고, 1차 발진기의 출력은 공진 소자의 여진 입력에 접속되고, 공진 소자의 출력은 발진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상기 1차 발진기의 동기화 입력에 접속되며, 공진기의 출력 신호는 공진 소자 또는 발진기로부터 도출된다.

Description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RESONATOR HAVING A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A RESONANCE MODE}
본 발명은 1차 발진기(1)로 형성된 공진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공진 소자(2)를 구비한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표준형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공진 발진기(resonator oscillators)는 잘 알려진 네가티브 임피던스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되는데, 예컨대 1989년 델프트 공과 대학(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 발행한 씨.에이.엠.분(C.A.M. Boon)의 "고성능 네가티브 피드백 발진기의 설계(Design of High-Performance Negative-Feedback Oscillatirs"란 제목의 학위 논문(PhD thesis)과, 1996년 쿨루워 아카데미 출판사(Kluwer Academic Publishers)에 의한 "아날로그 회로 설계(Analog Circuit Design)"에서 발행된 제이.에이치.휴이징(J.H.Huijsing) 등의 "저 잡음 발진기(Low-Noise Oscillators)"란 제목의 논문에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진기에서, 소정의 공진 모드는 동조 회로(tuned circuit)에 의해 선택된다.
지금까지 사용된 공진기는 공진 회로가 고가이면서, 전자 회로내의 다른 부품에 비해 파손되기 쉬우며, 나아가 소정의 필수 부품과의 집적화가 곤란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1980년 2월 13일 발행된 제4권, 제18호 (E-171) 및 1979년 12월 12일 발행된 54-157461A의 일본 특허 초록에는 압전 소자 형태의 공진 소자를 구비한 공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진 모드는 펄스 방향이 선택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선택된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는 1차 발진기가 아니며, 선택의 종류도 본 발명의 공진기와는 완전히 다르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공진기는 압전 소자의 최소 고유 발진수(minimum natural oscillation number)를 확보하는 데에만 목적을 둘 뿐이며, 오버톤(overtone) 모드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를 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회로의 다양한 지점에서의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동기화 포착 범위의 한계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간단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미국 특허 제3,581,235호는 저항성으로 크로스 커플링된 2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크리스탈을 포함한 공진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크로스 커플링에 의해, 크리스탈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임계 영향과 대조해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임피던스 영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공진기보다 개선된, 청구항의 전제부에 언급하는 형태의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전술한 단점들이 제거되고, 공진기의 부수적인 문제와 다이렉트 브레이크스루(direct breakthrough)의 문제를 피할 수 있으면서,한편 높은 모드에서 공진기를 용이하게 여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커패시터와 이 커패시터를 교대로 충방전시키는 제어 입력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스위치 가능한 전류원과 2개의 비교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교기의 한쪽 입력들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 가능한 전류원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다른쪽 입력들은 각각 기준 신호원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은 메모리 회로에 연결되고, 이 메모리 회로의 출력 신호는 제1 비교기에서 출력이 나올 때에는 제1 레벨을 갖고 제2 비교기에서 출력이 나올 때에는 제2 레벨을 가지며, 상기 메모리 회로의 출력 신호는 상기 공진 소자의 입력과 상기 스위치 가능한 전류원의 제어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공진 소자의 출력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원을 변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와 공지된 공진기의 동작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은 요건에서 분명해진다. 즉,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고유 주파수는 크리스탈의 공진 주파수보다 다소 높아야만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1차 발진기의 고유 주파수는 크리스탈의 공진 주파수와 거의 동일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고유 주파수와 본 발명의 1차 발진기의 고유 주파수는 둘다 상기 공진 주파수 또는 그의 더 높은 고조파보다 다소 높거나 또는 다소 낮아야 한다.
1차 발진기의 고유 주파수는 공진기의 출력 신호의 소정 주파수와 거의 동일하게 선택되는 것이 좋다. 동기화가 행해질 때, 발생된 주파수는 공진 소자에 의해 궁극적으로 완전히 결정된다.
주파수 결정 부품으로 1차 발진기의 고유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은 동기화가 유지되는 범위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진기의 임의의 부수 공진이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소정의 주파수로서 신뢰성 있는 공진이 되도록 발진기의 동기화 감도를 얻기 위하여, 증폭기가 공진 소자의 출력과 1차 공진기의 동기화 입력 사이에 편입된다.
바람직하게는, 1차 발진기의 출력 신호는 방형파이다.본 발명의 추가의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공진기는 공진 소자(2)와 발진기(1)를 구비한다. 이 공진 소자(2)는 크리스탈 또는 기타 하나 이상의 공진 상태로 공진이 가능한 소자이면 좋다.
발진기(1)는 1차 발진기라 하고, 이후 이를 "이완 발진기(relaxation oscillator)"라 칭하며, 커패시터와 같은 주파수 결정 소자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 발진기(1)의 주파수는 공진기의 바람직한 주파수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정해진다. 이완 발진기의 출력(Uo)에서의 출력 신호는 공진 소자(2)의 여진 입력(Ie)으로 공급된다. 이 출력 신호는 방형파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진 소자(2)의 출력(U2)에는 그 주파수가 소정의 바람직한 공진기 주파수와 동일한 신호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 공진 소자(2)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V)를 통해 이완 발진기(1)의 동기화 입력(Is)으로 공급된다. 이완 발진기의 반전 시각에 영향을 줌으로써 이러한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동기화 방형파에 대한 이완 발진기의 감도를 제한함으로써, 동기화가 일어나는지의 여부가 공진기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만일 동기화가 되면, 이완 발진기로부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공진이 유지될 것이다. 만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진 소자(2)와 발진기(1)로 구성되는 루프에 의해 공진이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종속 공진을 억제하면서 바람직한 발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한 동기화 범위는 정확한 감도를 선택하고 이완 발진기의 적절한 고유 주파수를 선택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만일 1차 발진기의 출력 신호로서 방형파가 선택된 경우, 시스템은 공진기의 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 다이렉트 브레이크스루(direct breakthrough)에 높은 민감성을 갖게 될 것이다. 다이렉트 브레이크스루의 고역 통과 특성의 결과로서, 이 다이렉트 브레이크스루는 주로 이완 발진기의 후속 반전의 동기화에 앞서 제거될 것이다. 따라서, 동기화의 발생은 공진의 다이렉트 브레이크스루에 좌우되지 않을 것이다.
양호한 특성을 갖는 공진 소자는 하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그 출력 신호의 진폭은 급격히 커지게 되고, 공진 소자의 입력 및 출력간의 위상은 0으로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진 소자는, 예컨대 공진 소자 내의 위상차의 결과로서 상당한 잡음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에 의해서만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보다 상세한 도면이 도 2이다. 공진기의 공진 소자(2)에는 개별적으로 특정된 기능을 갖는 1차 발진기가 추가된다.
1차 발진기 또는 이완 발진기는 적분 기능, 비교 기능, 적분 부호의 전환 기능 및 메모리 기능을 갖는다.
적분은 커패시터(C)에 의해 형성되며, 이 커패시터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원(I1)에 의해 충전된다. 전환 기능은 화살표 P4 및 P5 로 나타나 있다. 커패시터(C)는 한 방향으로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며, 다른 방향으로의 전류는 커패시터(C)를 방전시킬 것이다. 전류원(I1)을 반복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전류원(I1)과 커패시터(C)간의 접속점에서 톱니파 전압(UZ )을 생성한다. 비교 기능은 비교기(COMP1, COMP2)에 의해 이루어진다. 톱니파 전압(UZ)은 비교기(COMP1, COMP2)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비교기(COMP1, COMP2)의 다른쪽 입력에는 기준 신호원(Er1, Er2)이 접속된다.
메모리 기능은 도면의 실시예에는 S-R 래치(L)로 실시된다. 비교기(COMP1)의 출력은 래치(L)의 S 입력에 접속되고, 비교기(COMP2)의 출력은 래치(L)의 R 입력에 접속된다. 래치의 출력(Q)은 공진 소자(2)의 여진 입력(Ie)과 전류원(I1)의 제어 또는 전환 입력(P3)에 접속된다. 공진 소자(2)의 출력(U2)에서의 출력 신호는 기준 신호원(Er1, Er2)을 변조시키며, 이것은 화살표 P1 및 P2로 도식적으로 표시된다.
1차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V amp 는 커패시터(C) 양단의 톱니파( Uz)의 진폭이고, 이로써 발진기 주파수는 충전 전류를 선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형으로 동조될 수 있다. 발진기의 주기는 발진 진폭 또는 커패시터(C)의 값을 선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전류가 커패시터에서 적분되므로, 발진기는 동기화되고 비교기의 기준 신호원을 변조함으로써 로크될 수 있다. 공진 소자의 출력 신호는 기준 신호원(Er1, Er2)의 전압에 용이하게 가산될 수 있다. 회로는 공진 소자로부터 발생하여 제로점을 지나는 사인파의 통과가 1차 발진기를 동기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공진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증폭기의 선형성에 관해 특정한 요구가 없으며, 간단한 리미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공진기내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공진기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공진기의 안정 상태 발진 조건을 나타낸다. 이 경우, 1 ㎒에서 공진하고 불과 10의 양호도(quality factor) Q를 갖는 소자를 공진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Ul" 은 래치의 방형파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Uz"는 1차 발진기의 커패시터 양단의 삼각파 전압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Ur"은 공진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충전 상태에서 방전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의 이완 발진기(relaxation oscilator)의 반전이 공진 소자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기 또는 트리거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충전 전류와 방전 전류에서의 부정합과 잡음, 기준 레벨에서의 부정합과 잡음, 동기화 통로에서의 지연 등의 회로 구성 요소의 비이상적인 특성은 신호의 위상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들 비이상적인 특성의 영향은 동기화 통로에서의 증폭 계수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소자의 출력단과 기준 신호원의 변조 입력단 사이에 증폭기를 설치함으로써 비이상적인 특성을 제거할 수 있다.
포착 범위의 한계는 도 4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4는 발진기의 3가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에서, 발진기는 포착 범위의 중앙에 있다. 공진기의 주파수는 1차 발진기의 고유 주파수에 정확하게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용 방형파를 획득하기 위해 비교 레벨은 공진 소자의 출력 신호에 의해 변조된다. 도 4의 (a)에서, 1차 발진기는 가능한 (동기화된) 최고 주파수를 갖는다. 도 4의 (c)에서, 발진기는 가능한 (동기화된) 최저 주파수를 갖는다. 커패시터의 충전 전류는 이들 도면 모두에서 동일하다.
변조 레벨 Emod의 진폭 및 동일하지만 극성이 다른 비교기 레벨 E1 및 Eh의 진폭이 정의된다. 비교기 레벨 E1 및 Eh의 절대값이 E와 동일하게 설정되면, 1차 발진기의 포착 범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공진기의 공진이 이들 한계내에 있지 않다면, 거의 모든 천이가 1차 발진기에 의해 시동될 것이고, 시스템이 동기화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상세도이다.
비교기는 NE527에 의해, 래치는 74 HCT02에 의해 실시되며, 커패시터는 커패시터 C1 및 Cv의 병렬 접속에 의해 형성된다. 이 커패시터 회로는 트랜지스터 T1에 의해 충전되고, 트랜지스터 T2에 의해 방전된다. 충전에서 방전으로 또는 방전에서 충전으로의 전환은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래치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비교기의 비교 레벨은 저항 (R1 및 R2) 또는 (R3 및 R4)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에 의해 형성된다.
공진 소자의 출력 신호는 저항(R5, R6)을 통해 전압 분배기의 저항의 접속점에 각각 공급되는데, 즉 전압 분배기에 의해 설정된 비교기의 기준 전압에 더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의 단순 구성을 나타낸다.
이 공진기의 구성은 2개의 트랜지스터(T3, T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3)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는 저항(R7, R8)을 통해 전원 전압(UB)의 한쪽 극성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3, T4)의 에미터는 기준 신호원(IR1, IR2)을 통해 전원 전압(UB)의 다른쪽 극성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3, T4)의 에미터 사이에는 발진기의 주파수 결정 부품으로서 커패시터(C)가 접속되어 있다. 공진 소자는 트래지스터(T3, T4)의 콜렉터 사이에 편입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3)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동작의 공진기를 2개의 트랜지스터, 1개의 커패시터 및 소수의 저항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더 높은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공진해야만 하는 크리스탈 발진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획득된 공진기의 높은 안정성을 제외하더라도, 이 공진기 회로는 매우 소형이며 저가이다.
본 공진기 회로는 기존의 고조파 발진기에 비해, 완전하게 집적화될 수 있으며, 공진기가 소정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데 요구되는 추가의 필터링은 부분적으로 집적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공진기 회로는, 예컨대 칩상에서 미세 기계 가공(micromachin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2포트 공진기를 공진으로 유도하는 데에도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공진기는 일반적으로 특히 크로스토크로 인해 많은 장애를 겪는데, 이 장애가 본 발명의 회로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칩 상에서 구현되어야만 하는 공진기를 공진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제조 방식으로 인해, 이들 온-칩 공진기는 다이렉트 크로스토크(브레이크스루)를 종종 겪는데,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는 크로스토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소형 센서를 원하는 응용에서 공진 동작하는 센서에도 적합하다.

Claims (10)

  1. 공진 소자(2)와; 이 공진 소자(2)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되어 공진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를 구비하는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회로는 1차 발진기(1)로 형성되고,
    상기 1차 발진기(1)는,
    커패시터(C)로서, 이 커패시터(C)를 교대로 충방전시키는 제어 입력에 의해 스위치 가능 전류원(I1)에 연결되는 것인 커패시터(C)와;
    2개의 비교기(COMP1, COMP2)로서, 이들 비교기의 제1 입력들은 상기 커패시터(C)와 상기 스위치 가능 전류원(I1)의 접속점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들의 제2 입력들은 각각 기준 신호원(Er1, Er2)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들은 메모리 회로(L)에 연결되며, 이 메모리 회로(L)의 출력 신호는 제1 비교기가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1 레벨을 갖고 제2 비교기가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2 레벨을 갖는 것인 2개의 비교기(COMP1, COMP2)
    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회로(L)의 출력은 상기 공진 소자(2)의 입력과 상기 스위치 가능 전류원(I1)의 제어 입력에 연결되고,
    상기 공진 소자(2)의 출력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원(Er1, Er2)을 변조시키는 것인 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소자(2)의 출력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원(Er1, Er2)의 전압에 가산되는 것인 공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소자(2)의 출력과 상기 기준 신호원(Er1, Er2) 사이에 증폭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회로(L)는 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트랜지스터(T3)와 제2 트랜지스터(T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2개의 콜렉터는 콜렉터 저항(R7, R8)에 의해 공급 전압(UB)의 한쪽 극성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들은 에미터 저항에 의해 상기 공급 전압(UB)의 다른쪽 극성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의 베이스는 다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3)와 제2 트랜지스터(T4)의 에미터 사이에는 커패시터(C)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3)와 제2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 사이에는 공진 소자(R)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인 공진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1999-7009844A 1997-04-24 1998-04-24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 KR10051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5895A NL1005895C2 (nl) 1997-04-24 1997-04-24 Resonator met een selectieschakeling voor het selecteren van een resonantiemode.
NL1005895 1997-04-24
PCT/NL1998/000229 WO1998048511A1 (en) 1997-04-24 1998-04-24 Resonator having a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a resonance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248A KR20010020248A (ko) 2001-03-15
KR100516802B1 true KR100516802B1 (ko) 2005-09-26

Family

ID=1976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844A KR100516802B1 (ko) 1997-04-24 1998-04-24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225872B1 (ko)
EP (1) EP0978164B1 (ko)
JP (1) JP2001521703A (ko)
KR (1) KR100516802B1 (ko)
AT (1) ATE248460T1 (ko)
AU (1) AU7085598A (ko)
BR (1) BR9808996A (ko)
CA (1) CA2288121C (ko)
DE (1) DE69817552T2 (ko)
ES (1) ES2202839T3 (ko)
NL (1) NL1005895C2 (ko)
NO (1) NO324663B1 (ko)
PT (1) PT978164E (ko)
TW (1) TW418559B (ko)
WO (1) WO1998048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7938C2 (nl) * 2001-04-25 2002-10-29 Univ Delft Tech FM-demodulator.
JP4945856B2 (ja) * 2001-05-28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発振回路
US6956443B2 (en) 2001-06-07 2005-10-18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Differential oscillator circuit including an electro-mechanical resonator
EP1265352B1 (fr) 2001-06-07 2011-08-10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Circuit oscillateur différentiel comprenant un résonateur électromécanique
US7106130B2 (en) * 2003-09-05 2006-09-12 Delta Electronics, Inc. Variable frequency PWM controller circuit
US7741920B2 (en) 2006-02-10 2010-06-22 Broadcom Corporation Quadrature oscillator with simplified amplitude, phase and frequency control
JP5145988B2 (ja) * 2007-02-27 2013-0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振回路、発振器
US7847648B2 (en) * 2008-10-13 2010-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scillator with delay compensation
DE102008053670A1 (de) 2008-10-29 2010-05-12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Taktsignalen für Gleichspannungswandler
US9479134B2 (en) * 2013-03-04 2016-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sition detecting system
JP6100641B2 (ja) * 2013-07-29 2017-03-22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差動発振器
US9810744B2 (en) * 2014-01-02 2017-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sonant inductive sensing with reduced noise fold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2471A1 (de) * 1968-06-22 1972-02-10 Triumph Werke Nuernberg Ag Impulsgenerator
US3581235A (en) * 1969-02-19 1971-05-25 Burroughs Corp Crystal stabilized high frequency transistor multivibrator
US3961284A (en) * 1975-08-01 1976-06-01 Burroughs Corporation Oscillator control circuit
JPS5946446B2 (ja) * 1978-06-01 1984-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励発振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02839T3 (es) 2004-04-01
DE69817552T2 (de) 2004-03-25
PT978164E (pt) 2003-12-31
NO324663B1 (no) 2007-11-26
CA2288121A1 (en) 1998-10-29
EP0978164B1 (en) 2003-08-27
ATE248460T1 (de) 2003-09-15
CA2288121C (en) 2005-07-05
NL1005895C2 (nl) 1998-10-27
BR9808996A (pt) 2000-10-03
EP0978164A1 (en) 2000-02-09
KR20010020248A (ko) 2001-03-15
AU7085598A (en) 1998-11-13
NO995152D0 (no) 1999-10-22
TW418559B (en) 2001-01-11
US6225872B1 (en) 2001-05-01
NO995152L (no) 1999-12-16
WO1998048511A1 (en) 1998-10-29
DE69817552D1 (de) 2003-10-02
JP2001521703A (ja)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802B1 (ko) 공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갖는 공진기
WO2002073789A1 (en) Automatic tuning of vco
US7199674B2 (en) Low phase noise, wide tune range saw oscilla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6380816B1 (en) Oscillator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7414482B2 (en) Resonance mode selection using a resonator-synchronized second-order oscillator
US5721515A (en) High stability single-port saw resonator oscillator
US4994765A (en) Stabilized gated oscillator utilizing a ceramic resonator
JP2001024436A (ja) 電圧制御発振回路
US20050122177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frequency synthesizer
JPH08154029A (ja) 共振回路
JP2576193B2 (ja) 発振回路
CA217270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mpensating frequency deviations of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ing a second oscillator
JPS62290214A (ja) 位相同期発振器
JP4145696B2 (ja) 圧電発振器
JP2004328533A (ja) 周波数切替水晶発振器
JP2000183651A (ja) 発振器回路
JPH1065444A (ja) 電圧制御発振器及びこの発振器を使用したpll 周波数シンセサイザ
JPH0936657A (ja) 電圧制御発振器
JP2005159573A (ja) 周波数切替式発振器
JP2005340979A (ja) Plo型変調器
JPH03190404A (ja) 弾性表面波発振回路
JPH11195985A (ja) Pllシンセサイザ
JPH11284506A (ja) 基準発振信号出力回路
JP2002368540A (ja) 圧電発振器
JPS6242602A (ja) 周波数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