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798B1 -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 Google Patents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798B1
KR100514798B1 KR10-2001-0082117A KR20010082117A KR100514798B1 KR 100514798 B1 KR100514798 B1 KR 100514798B1 KR 20010082117 A KR20010082117 A KR 20010082117A KR 100514798 B1 KR100514798 B1 KR 10051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adapter
rolling ro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203A (ko
Inventor
김종호
김종필
박진수
이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7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발생된 피로층의 연삭 제거를 취하기 위해 스터디 레스터 상에 위치되는 압연롤의 요크부 형상에 맞게 견고한 픽스처리를 자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압연롤의 피로층 연삭을 취하기 위해 행하는 초기작업과정을 비교적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견고한 픽스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연삭 작업시 압연롤의 안정된 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층의 효과적인 제거로 냉연코일 표면에 발생되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반적인 작업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AN AUTOMATIC GRINDER FOR A ROLLING ROLL}
본 발명은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발생된 피로층의 연삭 제거를 취하기 위해 스터디 레스터 상에 위치되는 압연롤의 요크부 형상에 맞게 견고한 픽스처리를 자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압연롤의 피로층 연삭을 취하기 위해 행하는 초기작업과정을 비교적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견고한 픽스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연삭 작업시 압연롤의 안정된 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층의 효과적인 제거로 냉연코일 표면에 발생되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반적인 작업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의 피로층을 제거하기 위해선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취하였다.
즉, 냉연공장의 각 압연라인에서 사용하던 압연롤(10)을 스터디 레스터(2)에 안치한 후에 일측에 위치된 헤드스톡(3)의 센터(4a)와 테일스톡(미도시하였음)의 센터로 압연롤(10)을 지지 고정하게 되어 있어, 롤요크부(6)의 모양에 맞는 돌리개(7)를 제작하여 롤요크부(6)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장착하였고, 또한 구동면판(8)의 아암(9)의 넓이를 수동으로 조정 및 고정시켜서 수작업으로 돌리개(7)를 장착과 탈착을 시키고 수동으로 구동면판(8)을 회전시켜 롤요크부(6)와 정렬시켜야 하므로 압연롤(10)의 피로층 연삭을 취하기 위해 행하는 초기작업과정을 비교적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어 작업 지연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연롤(10)의 가공시 표면의 조도 상태에 따라 압연롤(10)과 연삭기의 사이에는 진동이 발생되며 돌리개(7)와 구동면판(8)과의 장기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해 틈이 발생되어 돌리개(7)와 구동면판(8)과의 밀착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돌리개(7)가 압연롤(10)에서 밀려나와 구동의 안정성 미확보에 따른 불안정한 구동으로 인하여 롤의 떨림마크 및 충격마크, 이송마크 발생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여 롤 연삭품질 저하로 인한 냉연코일의 표면품질에 막대한 결함의 영향을 주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에 발생된 피로층의 연삭 제거를 취하기 위해 스터디 레스터 상에 위치되는 압연롤의 요크부 형상에 맞게 견고한 픽스처리를 자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압연롤의 피로층 연삭을 취하기 위해 행하는 초기작업과정을 비교적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견고한 픽스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연삭 작업시 압연롤의 안정된 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층의 효과적인 제거로 냉연코일 표면에 발생되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반적인 작업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내측 중앙에는 전방으로 부터 아답터와 아답터 하우징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고 있는 헤드스톡 스핀들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주위에는 전,후진 동작을 3단계로 취할 수 있는 수개의 이동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스톡과;
상기 헤드스톡의 이동실린더의 실린더축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정중앙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경에는 외경에 상기 관통공 내경과 연결을 취하는 수개의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내경에는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와 아답터 검출 레이저센서가 수개 설치되어 있는 회전 트랙이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고, 이 회전 트랙의 일측 하부에는 이에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인을 통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가 위치되어 있는 요크부 측정 하우징과;
압연롤을 안치시키는 스터디 레스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압연롤이 안치될 경우 이와 같은 상태를 자동 감지하는 롤감지 포토 센서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물인 아답터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답터(18)와 아답터 하우징(20)을 전방에 구비하고 있는 헤드스톡 스핀들(32)이 중앙에 회동과 전,후진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주위에는 전,후진 동작을 3단계에 걸쳐 취할 수 있는 수개의 이동 실린더(24)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스톡(30)이 연삭기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스톡(30)의 이동실린더(24)의 실린더축(22)에는 정중앙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54) 내경에는 외경에 상기 관통공(54) 내경과 연결을 취하는 수개의 지지롤러(38)가 설치되어 있고, 내경에는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26)와 아답터 검출 레이저센서(28)가 수개 설치되어 있는 회전 트랙(48)이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 트랙(48)의 일측 하부에는 이에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인(40)을 통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44)가 위치되어 있는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연롤(10)을 안치시키는 스터디 레스터(34)의 일측면에는 압연롤(10)이 안치될 경우 이와 같은 상태를 자동 감지할 수 있는 롤감지 포토 센서(36)가 설치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답터(18)의 내경에는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일정위치를 항상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볼베어링(50)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물인 아답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작동 상태를 순서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작동 상태를 순서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제어 동작 상태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는 압연롤(10)을 위치시키기 전에 가공을 취할 압연롤(10)의 롤요크부(12)에 걸맞는 크기의 아답터(18)를 아답터 하우징(20)에 연결하고, 스터디 레스터(34)에 압연롤(10)을 안치한 후 시작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안치된 압연롤(10)을 최적의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동을 취하게 된다.
즉, 각 스터디 레스터(34)의 바깥측에 부착된 발광기인 롤 감지 포토 센서(36)가 롤(1)을 감지하게 되고, 연삭기의 헤드스톡(30)에 설치되어 있는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이 이동 실린더(24)에 의해 압연롤(10)의 롤요크부(12)를 관통공(54) 내에 위치한 회전 트랙(48)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전진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된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은 회전 트랙(48)을 회동시켜 이 회전 트랙(48)의 내경에 설치된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26)와 아답터 검출 레이저센서(28)가 롤요크부(12)의 외경을 회전하도록 하여 원형 상태에서 차단 되어 있던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26) 양단면 부분에서는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26) 빛이 전달되어 진다.
이때 회전하던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은 정지를 취함과 동시에 롤요크부(12)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은 회전을 정지한 그 기울기에서 롤요크부(12)의 측정을 행하게 된다.
또한, 롤요크부(12)를 측정한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은 회전을 정지한 그 기울기에서 이동 실린더(24)가 후진 동작을 취하게 되어 아답터(18)에 도착(P3)하고,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 내에 있는 아답터(18)는 헤드스톡 스핀들(32)의 회전동작에 의해 동시 회전을 취하게 되고, 이때 아답터(18)가 원통형 상태에서 끊어져 있던 아답터 검출 레이저 센서(28)가 양단면 부분에서는 아답터 검출 레이저센서(28)로 빛이 전달되면서 헤드스톡 스핀들(32)이 회전을 정지하면서 아답터(18)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롤요크부(12)와 아답터(18)의 기울기 검출의 위치는 일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롤요크부(12)와 일치된 아답터(18)는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14)이 이동 실린더(24)에 의해 후진하여 홈포지션(P1)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헤드스톡 스핀들(32)과 연결된 아답터(18)가 헤드스톡 스핀들(32)이 후진 리미트에서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실린더(24)와 압력 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전진 리미트가 터치할 때까지 전진하여 아답터(18)와 롤요크부(12)가 픽스(FIX)상태를 취하게 되며 이때 아답터(18) 내에 있는 볼 베어링(50)과 스프링(52)은 누름 작용으로 롤요크부(2)와 견고하게 밀착 고정을 취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모두 완료되면 압연롤(10)의 연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초기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에 발생된 피로층의 연삭 제거를 취하기 위해 스터디 레스터 상에 위치되는 압연롤의 요크부 형상에 맞게 견고한 픽스처리를 자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압연롤의 피로층 연삭을 취하기 위해 행하는 초기작업과정을 비교적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견고한 픽스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연삭 작업시 압연롤의 안정된 회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층의 효과적인 제거로 냉연코일 표면에 발생되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반적인 작업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물인 아답터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구성물인 아답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작동 상태를 순서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요부 작동 상태를 순서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의 제어 동작 상태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종래 압연롤용 연삭기의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연롤 12 : 롤요크부
14 : 롤요크부 측정 하우징 16 : 하우징 카바
18 : 아답터 20 : 아답터 하우징
22 : 실린더축 24 : 이동 실린더
26 :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 28 : 아답터 검출 레이저 센서
30 : 헤드스톡 32 : 헤드스톡 스핀들
34 : 스터디 레스터 36 : 롤 감지 포토 센서
38 : 지지 롤러 40 : 체인
42 : 모터 스프라켓 44 : 구동모터
46 : 회전 트랙 스프라켓 48 :회전 트랙
50 : 볼 베어링 52 : 스프링

Claims (2)

  1. 내측 중앙에는 전방으로 부터 아답터(18)와 아답터 하우징(20)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고 있는 헤드스톡 스핀들(32)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주위에는 전,후진 동작을 3단계로 취할 수 있는 수개의 이동 실린더(24)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스톡(30)과;
    상기 헤드스톡(30)의 이동실린더(24)의 실린더축(22)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정중앙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54) 내경에는 외경에 상기 관통공(54) 내경과 연결을 취하는 수개의 지지롤러(38)가 설치되어 있고, 내경에는 롤요크부 검출 레이저 센서(26)와 아답터 검출 레이저 센서(28)가 수개 설치되어 있는 회전 트랙(48)이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고, 이 회전 트랙(48)의 일측 하부에는 이에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인(40)을 통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44)가 위치되어 있는 요크부 측정 하우징(14)과;
    압연롤(10)을 안치시키는 스터디 레스터(34)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압연롤(10)이 안치될 경우 이와 같은 상태를 자동감지하는 롤 감지 포토 센서(36)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18)의 내경에는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일정위치를 항상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볼베어링(50)이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KR10-2001-0082117A 2001-12-20 2001-12-20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KR10051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17A KR100514798B1 (ko) 2001-12-20 2001-12-20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17A KR100514798B1 (ko) 2001-12-20 2001-12-20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3A KR20030052203A (ko) 2003-06-26
KR100514798B1 true KR100514798B1 (ko) 2005-09-14

Family

ID=2957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17A KR100514798B1 (ko) 2001-12-20 2001-12-20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682B1 (ko) * 2001-11-30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42798A (en) * 2005-04-15 2006-12-16 Rollomatic Sa An adjustable rest device
CN103111940B (zh) * 2013-01-23 2015-07-29 天水星火机床有限责任公司 一种重型数控轧辊磨床头架主传动系统
KR101640221B1 (ko) * 2014-04-21 2016-07-29 칼텍(주) 링 압연 장치용 공작물 외경 측정 장치
CN110103089B (zh) * 2019-05-22 2020-02-04 运城锐宝制版有限公司 一种等强度压辊的生产设备
CN110948301A (zh) * 2019-11-01 2020-04-03 上海昊米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测厚和进给打磨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96A (ja) * 1994-07-15 1996-01-30 Nisshin Steel Co Ltd ロールの研削機および自動研削設備
JP2000005986A (ja) * 1998-06-22 2000-01-11 Toshiba Mach Co Ltd ロール研削盤におけるロール二面幅部検知装置
JP2001198816A (ja) * 2000-01-18 2001-07-24 Toshiba Mach Co Ltd ロール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96A (ja) * 1994-07-15 1996-01-30 Nisshin Steel Co Ltd ロールの研削機および自動研削設備
JP2000005986A (ja) * 1998-06-22 2000-01-11 Toshiba Mach Co Ltd ロール研削盤におけるロール二面幅部検知装置
JP2001198816A (ja) * 2000-01-18 2001-07-24 Toshiba Mach Co Ltd ロール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682B1 (ko) * 2001-11-30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3A (ko)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1165B2 (ja) ドリル先端刃付け装置
US200201526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finishing tapered roller bearing
KR100514798B1 (ko) 압연롤용 자동 연삭기
JP5352247B2 (ja) 研削加工装置
KR960004917B1 (ko) 회전장치
JP2003205443A (ja) 面取機
JPH0928592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2005138253A (ja) 弾性ローラーの支持装置
WO2007122961A1 (ja) レンズ加工装置及びレンズの加工方法
JPH044097B2 (ko)
JPH1040508A (ja) 磁気ヘッド摺動面加工装置及び磁気ヘッド摺動面加工方法
JP2002137153A (ja) 棒状工作物の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装置
JP3760699B2 (ja) ワーク内径のスプラインボール溝研削方法と、研削砥石のドレス方法
JP4467078B2 (ja) テープラップ装置のオシレーション機構
KR20040004899A (ko) 압연롤 표면결함 검출장치
JPH1170449A (ja) 半導体ウェーハの面取り面研磨装置
JP2000141216A (ja) クランクシャフト研削盤
JPH11277387A (ja) 工作機械のクランクシャフト駆動装置
JP3962717B2 (ja) 円筒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JP2895318B2 (ja) 研磨装置
JPH10337643A (ja) 研磨装置
JPH07214423A (ja) ギアホーニング装置
JP2005297190A (ja) ワーク内径のスプラインボール溝研削方法と、研削砥石および研削砥石のドレス方法
JP2004090097A (ja) ツールを交換する工作機械
JP2005001047A (ja) 研削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