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678B1 - 육아 기구의 좌석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678B1
KR100514678B1 KR10-2004-0003685A KR20040003685A KR100514678B1 KR 100514678 B1 KR100514678 B1 KR 100514678B1 KR 20040003685 A KR20040003685 A KR 20040003685A KR 100514678 B1 KR100514678 B1 KR 10051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overlapping
boar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995A (ko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과제
등받이판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여도, 통풍 상태 및 통풍을 차단하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육아 기구의 좌석은, 좌판(31)과,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등받이판(32)과, 중첩판(40)을 구비한다. 중첩판(40)은, 좌판(31)에 대면하는 좌면부(41)와, 등받이판(32)에 대면하는 배면부(42)를 일체로 갖는다. 좌판(31) 및 등받이판(42)은,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의 개구를 갖는다. 중첩판(40)은, 그 좌면부(41) 및 배면부(42)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의 개구(44)를 갖는다. 중첩판(40)은, 제 1의 개구와 제 2의 개구(44)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제 1의 위치와, 양 개구가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는 제 2의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중첩판(40)의 좌면부(41)와 배면부(42)를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힌지부(45)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SEAT OF CHILD-CARE INSTRUMENT}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의 육아 기구의 좌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판과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등받이판을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육아 기구의 개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좌석에 앉는 아기에 대해 쾌적한 환경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기에 대해 쾌적한 환경을 주는 요소의 하나로서, 통풍성이 있다. 여름이나, 덥고 습기가 많은 날에는, 좌석에 앉는 아기에게 시원한 느낌을 주기 위해, 통풍성이 양호한 좌석이 바람직하다. 한편, 겨울이나, 춥고 바람이 심한 날에는, 틈새 바람의 침입을 막아서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좌석이 바람직하다.
본원과 동일한 출원인은, 상기한 요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육아 기구에 관한 발명을 특원2002-164436호에 개시하였다. 이 출원의 출원일은, 평성 14년(2002년) 6월 5일이고, 현시점에서는 아직도 출원공개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선원(先願)에 개시된 발명의 요점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육아 기구의 좌석을 형성하는 벽, 예를 들면 등받이벽은, 서로 겹처맞추어 배치되는 제 1의 판부재(1)와 제 2의 판부재(2)를 구비한다. 제 1의 판부재(1)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제 1의 개구(3)을 가지며, 제 2의 판부재(2)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제 2의 개구(4)를 갖는다.
제 2의 판부재(2)는, 제 1의 개구(3) 및 제 2의 개구(4)가 정렬하는 제 1의 위치(도 2에 도시한 상태)와, 제 1의 개구(3) 및 제 2의 개구(4)가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는 제 2의 위치(도 1에 도시한 상태)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육아 기구에 의하면, 제 2의 판부재(2)를 제 1의 위치(도 2의 상태)로 유지하면, 정렬한 제 1 및 제 2의 개구(3, 4)를 통하여 좌석 내로 바람이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통풍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2의 판부재(2)를 제 2의 위치(도 1의 상태)로 유지하면, 제 1 및 제 2의 개구(3, 4)가 차단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한 바람의 침입이 없어지고, 양호한 보온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육아 기구에서도, 개량하여야 할 여지가 있다. 이것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육아 기구의 좌석은, 관통구멍(7)을 갖는 좌판(5)과, 관통구멍(8)을 갖는 등받이판(6)을 구비한다. 등받이판(6)은,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하다.
통풍성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중첩판(10)은, 좌판(5)에 대면하는 좌면부(11)와, 등받이판(6)에 대면하는 배면부(12)를 일체로 갖는 1장의 평판이다. 중첩판(10)의 좌면부(11)는, 좌판(5)의 관통구멍(7)에 정렬할 수 있는 관통구멍(13)을 가지며, 배면부(12)는, 등받이판(6)의 관통구멍(8)에 정렬할 수 있는 관통구멍(14)을 갖는다. 중첩판(10)의 배면부(12)는, 등받이판(6)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추종하기 위해, 좌면부(11)의 후단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문제는, 좌면부(11)와 배면부(12)를 일체로 마련한 중첩판(10)의 경우, 양자의 경계가 되는 굴곡점의 존재 때문에, 중첩판(10)이 순조롭게 상하이동하지 않는 것이다. 굴곡점을 예를 들면 벨로우 구조로 하여 날카로운 모서리부의 형성을 피하도록 하면, 코너부가 너무 유연하게 되어 배면부(12)의 움직임을 좌면부(11)에 전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굴곡점을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형상을 갖는 딱딱한 부분으로 형성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와 같이 하였다고 하여도, 이하에 기술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등받이판(6)의 관통구멍(8)과 중첩판(10)의 배면부(12)의 관통구멍(14)이 정렬하고, 좌판(5)의 관통구멍(7)과 중첩판(10)의 좌면부(11)의 관통구멍(13)이 정렬하고 있다. 이 관통구멍의 정렬 상태를 유지한 채로, 등받이판(6)의 뒤로 기울인 각도를 변경하였다고 한다. 도 4에서, 등받이판(6)을 상대적으로 기립시킨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각 부재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그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굴곡점 및 단부를 눈에 띄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판(5)은 전방점(16)을 가지며, 등받이판(6)은 후방점(17)을 갖는다. 등받이판(6)은, 연결점(15)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경사 동작을 행한다. 중첩판(10)의 좌면부(11)는 전방점(19)를 가지며, 배면부(12)는 후방점(20)을 갖는다. 배면부(12)는 연결점(18)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경사 동작을 행한다. 도 4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편의상, 등받이판(6)의 후방점(17)과 배면부(12)의 후방점(20)의 높이를 거의 같게 나타내고, 좌판(5)의 전방점(16)과 좌면부(11)의 전방점(19)이 거의 같은 전방 위치에 있는 것처럼 나타내고 있다.
등받이판(6)을 후방으로 경사시키면, 등받이판(6)의 후방점(17) 및 배면부(12)의 후방점(20)은, 함께, 연결점(15)를 곡률 중심으로 하며 또한 등받이판(6)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21)에 따라서 이동한다.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배면부(12)와 좌면부(11)와의 연결점(18)은, 좌면부(20)의 후방점(20)을 곡률 중심으로 하며 또한 좌면부(12)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22)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점(18)은, 등받이판(6)의 경사 동작의 전후에서 길이(L)만큼 어긋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좌면부(11)의 전방점(19)도, 위치가 어긋난 연결점(18)을 굴곡 중심으로 하는 원호(23)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등받이판(6)의 경사 동작의 전후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 어긋남 때문에, 다음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관통구멍의 정렬 상태에서 등받이판(6)을 후방으로 경사시키면, 등받이판(6)의 관통구멍(8)과 배면부(12)의 관통구멍(14)은 경사 후에도 정렬 상태를 유지하지만, 좌판(5)의 관통구멍(7)과 좌면부(11)의 관통구멍(13)은 경사 후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통풍성이 저해되어 버린다. 그 역으로, 좌판(5)의 관통구멍(7)과 좌면부(11)의 관통구멍(13)이 차단된 위치 관계의 상태에서 등받이판(6)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면, 뜻에 반하여 관통구멍(7, 13)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좌면부와 배면부를 일체로 마련한 중첩판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함과 함께, 등받이판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여도, 통풍 상태 및 통풍을 차단한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의 좌석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좌판과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등받이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좌석에 있어서, 또한, 좌판에 대면하는 좌면부와, 등받이판에 대면하는 배면부를 일체로 갖는 중첩판을 구비한다. 좌판 및 등받이판은,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의 개구를 갖는다. 중첩판은, 그 좌면부 및 배면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의 개구를 가지며, 또한 제 1 및 제 2의 개구가 정렬하는 제 1의 위치와, 제 1 및 제 2의 개구가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는 제 2의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중첩판의 좌면부와 배면부를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힌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좌석에 의하면, 복수의 힌지부의 존재에 의해 코너 영역의 형상이 완만한 원호를 그림과 함께, 배면부의 움직임이 좌면부에 효율적으로 전해지게 되기 때문에, 좌면부와 배면부를 일체로 마련한 중첩판을 스무스하게 움직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등받이판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중첩판의 배면부의 하방단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만, 이 위치 어긋남은 코너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힌지부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좌판과 중첩판의 좌면부 사이의 위치 관계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좌부 및 등받이부에 있어서의 통풍 상태 및 통풍을 차단하는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복수개의 힌지부는, 각각, 중첩판의 두께를 줄인 박육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박육부는, 중첩판의 이면에 노치를 넣음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된다.
중첩판은, 예를 들면, 좌판 및 등받이판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의 방향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이다.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좌석 형성 부재(30)는, 유모차의 차체에 부착되고 좌석을 형성하는 심재(芯材)로서, 좌판(31)과, 등받이판(32)과, 등받이판(32)의 양 측연으로부터 측방에 늘어나 있는 1쌍의 측판(33)과, 등받이판(32)의 상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헤드 가드판(34)을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좌석 형성 부재(30)가 부착되는 유모차는,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것이다. 좌석 형성 부재(30)는, 유모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천으로 만든 좌석 해먹의 심재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좌석 해먹을 사이에 두지 않고 차체에 직접 부착된 것이라도 좋다.
도 5는, 좌석 형성 부재(30)의 배면측을 수평으로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석 형성 부재(30)가 유모차에 부착되어 의자 형상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때에는, 등받이판(32)은 좌판(31)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있다. 또한, 유모차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때에는, 1쌍의 측판(33)은 등받이판(32)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고, 헤드 가드판(34)은 등받이판(32)의 상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형성 부재(30)의 배면에는, 중첩판(4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중첩판(40)은, 좌판(31)에 대면하는 좌면부(41)와, 등받이판(32)에 대면하는 배면부(42)와, 1쌍의 측판(33)에 대면하는 측면부(43)를 일체로 갖는다.
중첩판(40)의 각 부분, 즉, 좌면부(41), 배면부(42), 측면부(43)에는, 각각, 좌석의 통풍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중첩판(40)에 의해 숨겨저서 보이지 않지만, 좌석 형성 부재(30)의 좌판(31), 등받이판(32) 및 측판(33)에도, 중첩판(40)의 관통구멍(44)과 정렬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중첩판(40)은, 중첩판의 관통구멍(44)과 좌석 형성 부재(30)의 관통구멍이 정렬하는 제 1의 위치와, 그들의 관통구멍이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는 제 2의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중첩판(40)은, 소정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중첩판(4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첩판(40)의 배면부(42)는, 그 거의 중앙에 중앙 개구(49)를 갖고 있다. 좌석 형성 부재(30)의 등받이판(32)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한 중앙 개구(49)를 통과하는 고정 나사(36)를 이용하여 플레이트(35)가 부착되어 있다. 중첩판(40)의 배면부(42)는, 플레이트(35)와 등받이판(32)과의 사이에 끼여지는 부분을 갖고 있고, 이 부분에 고정 나사(47)을 통하여 손잡이(46)가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46)는, 플레이트(35)상에 위치하고, 플레이트(35)에는 고정 나사(47)을 삽통시키는 긴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첩판(40)의 배면부(42)의 여기저기에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긴 구멍(48)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등받이판(32)에는, 긴 구멍(48)을 삽통하는 축을 갖는 버튼(38)이 고정되어 있다. 중첩판의 배면부(42)는, 버튼(38)과 등받이판(32)에 끼여지기 때문에, 항상 등받이판(32)과의 밀접 상태가 유지된다. 중첩판(40)의 배면부(42)는, 고정 나사(47)가 긴 구멍(37) 속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또한, 버튼(38)의 축이 긴 구멍(48) 속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중첩판(40)의 좌면부(41) 및 측면부(43), 및 좌판(31) 및 측판(33)에도, 긴 구멍(48) 및 버튼(38)을 마련한다.
중첩판(40)을 상하 방향 슬라이드시키고자 하는 때에는, 손잡이(46)를 손으로 잡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손잡이(46)와 중첩판(40)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46)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중첩판(40)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손잡이(46)의 위치를 로크하면, 중첩판(40)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손잡이(46)에 대한 로크 기구로서는, 여러 가지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좌석에 대해 통풍성을 원하는 때, 또는, 통풍의 차단을 원하는 때, 손잡이(46)를 조작하여 중첩판(40)을 움직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첩판(40)의 좌면부(41)와 배면부(42)를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힌지부(45)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중첩판(40)의 재질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이고, 각 힌지부(45)는, 중첩판(40)의 두께를 줄인 박육부에 의해 형성된다.
중첩판(40)의 배면부(42)는 전방을 향하여 세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박육부는, 중첩판(40)의 이면(裏面)에 노치를 넣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중첩판(40)의 코너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배면부(42)의 뒤로 기울인 각도가 작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배면부(42)의 뒤로 기울인 각도가 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판(32)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면, 중첩판(40)의 배면부(42)의 하방단에는 위치 어긋남이 생긴다. 이 위치 어긋남은, 코너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힌지부(45)에 흡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이행하면, 각 힌지부(45)의 노치의 폭이 작아짐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 흡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힌지부(45)를 복수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힌지부(45)의 존재에 의해, 중첩판(40)의 코너 영역은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형상으로 된다. 배면부(42)의 상하의 움직임은, 복수개의 힌지부(45)를 통하여, 확실하게 좌면부(41)에 전해진다. 또한, 복수개의 힌지부(45)에 의한 위치 어긋남 흡수 효과에 의해, 등받이판(32)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여도, 중첩판(40)의 좌면부(41)와 좌판(31)과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좌부 및 등받이부에서의 통풍 상태 및 통풍을 차단하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중첩판(40)의 배면부(42)와 1쌍의 측면부(43)를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도, 상술한 힌지부(45)와 같은 힌지부를 복수개 마련하여도 좋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하며 또한 도시한 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나타냈던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는, 그 몇가지를 예시적으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1)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형성 부재(30)가, 좌판(31) 및 등받이판(32) 외에, 1쌍의 측판(33) 및 헤드 가드판(34)를 구비하고 있지만, 측판(33) 및 헤드 가드판(34)을 갖지 않는 좌석 형성 부재라도 좋다.
(2)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중첩판(40)은, 좌면부(41) 및 배면부(42) 외에, 1쌍의 측면부(43)를 구비하고 있지만, 측면부(43)를 갖지 않는 중첩판이라도 좋다.
(3) 중첩판(40)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하로 한하지 않고, 좌우 방향(폭방향)이라도 좋다. 또는, 슬라이드 이외의 변위 기구를 채용하여도 좋다.
(4)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통풍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구가 관통구멍의 형태이였지만, 그 밖의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부재의 양 측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늘어나는 노치라도 좋다.
(5)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육아 기구로서는, 유모차에 한하지 않고, 차일드 시트나 베이비 래크 등도 들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육아 기구에 의하면, 좌면부와 배면부를 일체로 마련한 중첩판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함과 함께, 등받이판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여도, 통풍 상태 및 통풍을 차단한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특원2002-164436호에 개시된 발명의 요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한쪽의 판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좌석 형성 부재에 중첩판을 따르게 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등받이판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한 때에, 중첩판의 좌면부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중첩판의 코너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중첩판의 배면부를 기립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배면부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부호의 설명♣
30 : 좌석 형성 부재 31 : 좌판
32 : 등받이판 33 : 측판
34 : 헤드 가드판 35 : 플레이트
36 : 고정 나사 37 : 긴 구멍
38 : 버튼 40 : 중첩판
41 : 좌면부 42 : 배면부
43 : 측면부 44 : 관통구멍
45 : 힌지부 46 : 손잡이
47 : 고정 나사 48 : 긴 구멍
49 : 중앙 개구

Claims (4)

  1. 좌판과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등받이판을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대면하는 좌면부와, 상기 등받이판에 대면하는 배면부를 일체로 갖는 중첩판을 구비하고,
    상기 좌판 및 상기 등받이판은,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중첩판은, 그 좌면부 및 배면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의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의 개구가 정렬하는 제 1의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개구가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는 제 2의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첩판의 좌면부와 배면부를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힌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힌지부는, 각각, 중첩판의 두께를 줄인 박육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상기 중첩판의 이면에 노치를 넣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판은, 상기 좌판 및 상기 등받이판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KR10-2004-0003685A 2003-01-30 2004-01-19 육아 기구의 좌석 KR100514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2543 2003-01-30
JP2003022543A JP4140766B2 (ja) 2003-01-30 2003-01-30 育児器具の座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995A KR20040069995A (ko) 2004-08-06
KR100514678B1 true KR100514678B1 (ko) 2005-09-14

Family

ID=3265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85A KR100514678B1 (ko) 2003-01-30 2004-01-19 육아 기구의 좌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77815B2 (ko)
EP (1) EP1442675B1 (ko)
JP (1) JP4140766B2 (ko)
KR (1) KR100514678B1 (ko)
CN (1) CN1519159A (ko)
TW (1) TWI233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26449A (en) * 2004-01-06 2005-08-16 Aprica Kassai Kk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component
US7262121B2 (en) * 2004-07-29 2007-08-28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s of redistributing bondpad locations
JP4373357B2 (ja) 2005-04-01 2009-11-25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
JP5693916B2 (ja) * 2010-10-29 2015-04-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9655454B2 (en) * 2013-08-16 2017-05-23 Aaron DeJule System usable in articles to facilitate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thereof
JP6703699B2 (ja) * 2016-04-26 2020-06-03 有限会社A&K レインカバー支持具
DE102019003527A1 (de) * 2019-05-17 2020-11-19 MOON GmbH Belüftete Liege- oder Sitz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3A (en) * 1850-03-19 Of pro
US1922228A (en) * 1930-05-28 1933-08-15 Harry C Crandall Ventilated seat cushion
US3209380A (en) * 1964-12-31 1965-10-05 Watsky Benjamin Rigid mattress structure
US3381999A (en) * 1966-08-04 1968-05-07 Frank W. Steere Jr. Cushion and skin covering therefor
DE2217759A1 (de) * 1972-04-13 1973-10-25 Calottan Ag Luftfoerderndes polstermaterial
US3895841A (en) * 1974-09-03 1975-07-22 Herbert A Lebert Vacuum actuated vehicle safety device
JPS5670868U (ko) * 1979-11-06 1981-06-11
DK224081A (da) * 1980-05-22 1981-11-23 Inst Nat Sante Rech Med Pude eller madras til modvirkning af dannelse af liggesaa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saadan pude eller madras
DE3536206A1 (de) * 1985-10-10 1987-04-16 Autoflug Gmbh Kindersitz fuer kraftfahrzeuge
DE3604534A1 (de) * 1986-02-13 1987-08-20 Hartmut Lohmeyer Sitzmoebel mit einem sitz und einer in sich elastisch nachgebenden rueckenlehne
US4892356A (en) * 1988-07-27 1990-01-09 Chromcraft Furniture Corp. Chair shell
US5226188A (en) * 1992-06-26 1993-07-13 Liou Yaw Tyng Ventilated foam cushion
DE29700919U1 (de) * 1997-01-21 1997-03-20 Rahm Orthopaedie Und Rehatechn Sitzschale für einen Rollstuhl
US6283347B1 (en) 1998-03-18 2001-09-04 Warren E. Roh Fully enclosable backpack baby carrier
US6027137A (en) 1998-08-10 2000-02-22 Rura; Joan Baby carriage with cooling mechanisms
JP2000326778A (ja) * 1999-05-20 2000-11-28 Car Mate Mfg Co Ltd 乳幼児用シート
US6106057A (en) 1999-09-22 2000-08-22 Lee; Shih-Ping Ventilation baby seat
JP2001097226A (ja) 1999-10-01 2001-04-10 Aprica Kassai Inc 乳母車
JP4489927B2 (ja) 2000-10-11 2010-06-2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母車用の幌
JP2002220050A (ja) 2001-01-24 2002-08-06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用一軸台車
JP4097466B2 (ja) 2001-09-06 2008-06-11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US6979018B2 (en) 2002-11-26 2005-12-27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Childcare instrument with adjustable venti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995A (ko) 2004-08-06
JP2004229910A (ja) 2004-08-19
EP1442675A1 (en) 2004-08-04
TW200413205A (en) 2004-08-01
JP4140766B2 (ja) 2008-08-27
TWI233412B (en) 2005-06-01
US20040195887A1 (en) 2004-10-07
US6877815B2 (en) 2005-04-12
CN1519159A (zh) 2004-08-11
EP1442675B1 (en)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6329B2 (ja) 子供用座席装置
JP5667807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S5833148B2 (ja) 乳母車の座席
KR100514678B1 (ko) 육아 기구의 좌석
KR102400850B1 (ko)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JPH0722881U (ja) ベビーカーの日除け用幌の高さ調節構造
TWI243123B (en) Seat hammock of child-care instrument
AU632447B2 (en) Height-controllable chair
JP3981023B2 (ja)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4373357B2 (ja) 育児器具の座席
US20040084941A1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097466B2 (ja) 育児器具
JP4605980B2 (ja) 肘掛け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5171652A5 (ko)
JP2015171652A (ja) 椅子及びその座部
JP3416328B2 (ja) 子供用座席装置
JP2000197536A (ja) ロビ―チェアにおけるフットレスト装置
JP358887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S6340063Y2 (ko)
TWM444320U (zh) 手推車之椅背調整結構
JP2024006346A (ja) 什器
JP2003024178A (ja) 折り畳み椅子
JP2004050958A (ja) ベビーカー
JP2010099108A (ja) 椅子用ヘッドレスト
JP201517165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