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315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315B1
KR100513315B1 KR10-2003-0026770A KR20030026770A KR100513315B1 KR 100513315 B1 KR100513315 B1 KR 100513315B1 KR 20030026770 A KR20030026770 A KR 20030026770A KR 100513315 B1 KR100513315 B1 KR 10051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holder
case
disk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791A (ko
Inventor
김태헌
최준근
김남석
김준호
이칠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315B1/ko
Priority to TW092116598A priority patent/TWI252469B/zh
Priority to US10/464,456 priority patent/US20040216154A1/en
Priority to CNB2005101184766A priority patent/CN100399450C/zh
Priority to JP2003180472A priority patent/JP2004327001A/ja
Priority to CNB2005101184751A priority patent/CN100399449C/zh
Priority to CNA031478158A priority patent/CN1542804A/zh
Publication of KR2004009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315B1/ko
Priority to US11/231,935 priority patent/US7512958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를 장착하는 척(chuck) 구조를 개선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chuck);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a holder for disc driver}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를 장착하는 척(chuck) 구조를 개선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 특히 얇은 슬림(slim)타입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r) 기기에는 CD-ROM, DVD-ROM, CD R/W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원형의 디스크를 장착하여, 이를 회전시키고 회전 중에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슬림 타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특히 노트북과 같은 슬림형 컴퓨터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슬림 타입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높이에 제한이 있게 된다. 즉 얇은 두께의 본체에 장착되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높이가 제한된다. 따라서, 통상의 데스크탑에 장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와는 달리 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홀더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에서,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는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그에 삽입되는 원형의 케이스(103)와,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스프링(102)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척(101)을 포함하게 된다. 홀더는 원형의 베이스(110)의 중앙에 위치하며, 그 하부 베이스에는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로터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홀더의 주변에는 홀더를 감싸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고무 턴테이블(130)이 장착되며, 이러한 턴테이블(130)에 디스크가 안착된다. 홀더의 하부 베이스(140)의 로터 및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130) 및 홀더가 같이 회전하게 되며, 홀더에 의해 물려있는 디스크도 턴테이블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기록 또는 재생 수단(120)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기록 또는 재생을 하게 된다.
종래의 홀더에 사용되는 척(101)은 도 2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크를 물고 있게 된다. 도 2에서, (a)는 디스크(100)가 척을 상부에 처음 접촉하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디스크(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척(101)은 서서히 뒤로 밀리게 된다. 디스크를 계속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b)에서와 같이 척(101)이 홀더 케이스(103) 내측으로 최대한 밀리게 되고, 다시 디스크(100)가 완전히 턴테이블에 안착되면 척(101)은 다시 디스크 측으로 돌출된다.
척(101)은 일정 경사도를 갖는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형성되어 그 전방측에 피크(peak)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디스크가 회전 중에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디스크를 일정한 힘으로 누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척을 사용하는 디스크 홀더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먼저, 센터 척의 운동이 수평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디스크 장착시에 필요한 장착력이 커지게 된다. 장착력이 커지게 되면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또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드라이브 전체, 또는 본체까지도 손상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와 같은 장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척의 후방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면, 이탈저지력이 또한 감소된다. 이탈저지력이 감소되면 디스크의 고속 회전 중에 작은 충격으로도 디스크가 이탈되게 되어 드라이브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장착력을 감소시키면서 이탈저지력은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홀더가 당 기술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척(101)의 피크부는 수평면상에서 반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크의 중심 관통홀의 내측면과 점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접촉은 디스크의 이탈저지력을 증대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중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DVD와 같은 경우는 이중 구조의 중간 홈에 척이 걸리게 되어 장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이탈저지력을 증대시키고, 디스크 중간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당 기술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 및 척 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척이 하방으로 원형의 궤적을 갖는 곡선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장착시의 장착력을 저감하고, 이탈저지력은 증대시키도록 하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의 척의 피크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디스크 장착시의 이탈저지력을 증대시키고, 또한 디스크의 중간 걸림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chuck);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 및 직선 운동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접촉면의 경사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수평면 상에서의 곡률반경이 상기 디스크의 관통홀의 내경과 같은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운동을 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면을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이 되며, 이때 상기 경사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이 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수평면 상에서의 곡률반경이 상기 디스크의 관통홀의 내경과 같은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 및 직선운동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면을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경사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홀더 척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홀더는 케이스(3)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척(1), 및 척을 지지하는 지지대(2)를 포함하게 된다.
[홀더의 구조]
케이스(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케이스가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디스크의 중앙에 형성되는 소정 직경의 관통홀과 일치하도록 한다. 케이스(3)는 수지재로 형성되며,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로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척(1)은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스(3)와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장착된다. 척(1)은 그 후면이 케이스(3) 내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척(1)의 후면과 케이스의 내부면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척(1)이 탄성적인 운동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척(1)은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방향으로 전방면에 피크(PEAK)가 형성된다. 피크(13) 상하로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며, 디스크는 상기와 같은 피크 구조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척(1)의 하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은 지지대(2)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대(2)는 상기 척(1)이 수평운동이 아닌 하방 또는 상방으로의 곡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2)는 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되며, 척(1)과 접촉하는 접촉면(14)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형성된다.
척(1)은 그 하부면(12)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부면, 즉 피크(13)의 하측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곡률반경부위가 지지대(2)의 접촉면(14)과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되어, 척(1)의 이동 궤적이 곡선을 그리게 된다.
[동작]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에 디스크를 장착할 때의 척의 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에 디스크(100) 장착을 시작할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디스크(100)는 먼저 척(1)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척의 상부면(11)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게 되며, 이러한 경사각도에 의해 디스크는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척(1)의 피크는 디스크가 누르는 힘에 의해 그 하부면에 형성되는 곡면과 같은 궤적을 그리며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가 계속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그 측면이 척의 피크를 지나게 되면, 척(1)의 피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도 5(c))
[척의 구조]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는 척(1) 및 지지대(2)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척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5에서와 같은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척(1)의 하부면이 곡률반경을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하부에 상기 척(1)과 접촉하는 지지대(2)의 접촉면이 또한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기울어져 있어야 한다. 척(1) 하부면의 곡면(12)과 지지대의 접촉면(14)의 경사면은 척이 하부의 곡면(13)을 따라 곡선운동을 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곡선운동은 디스크에 가해지는 장착력을 저감시키며, 또한 장착된 후의 이탈을 막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4의 지지대의 접촉면(14)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척의 곡선운동을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2)의 경사면(14)은 원호형이 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호는 호의 끝에서 다른 끝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 수평면에서부터 하방으로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14)을 형성하는 원호의 곡률반경은 상기 척(1)의 하부 곡면(12)의 곡률반경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의 곡률반경이 척 하부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되면, 척과 지지대의 접촉은 2점 지지 구조가 되며, 이는 디스크를 통해 하부로 가해지는 장착력을 견디기에는 매우 불안정한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원호면과 척 하부면이 면접촉 또는 적어도 선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곡률반경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도 6에서 척의 피크(13)의 상부면(11)의 경사각도, 즉 수평면에서 상부면까지의 경사각도를 A라고 한다. 또한 척의 피크(13)의 하부면이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를 B라고 한다. 도 7의 지지대(2)에서 지지대와 척(1)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14)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C라고 한다. 상기 각도들은 홀더 척에 가해지는 장착력, 또는 디스크가 척에서 벗어나기까지 견딜 수 있는 이탈저지력(또는 탈착력)에 관련된 중요한 인자가 된다.
상기 세가지의 각도를 변경하면서 행한 실험을 통해, 종래의 구조에서의 장착력 및 이탈저지력과 비교하였다.
항목 측정항목 장착력 이탈저지력
A(°) B(°) C(°) gf gf
1 5 30 0 1400 330
10 30 10 1000 370
12 30 20 800 350
12 30 25 700 400
15 30 20 900 370
15 30 25 900 370
2 5 35 0 1300 400
10 35 10 1050 430
12 35 20 950 450
12 35 25 850 400
15 35 20 700 330
15 35 25 800 360
3 5 40 0 1250 450
10 40 10 900 450
12 40 20 1000 450
12 40 25 900 350
15 40 20 850 320
15 40 25 820 360
상기와 같은 실험에서, 종래의 홀더구조를 통해 얻어지는 디스크의 장착력과 이탈저지력은 상기 각 항목에서 C값이 0도 일때가 된다. 즉, 장착력은 1400~1250 gf 가 되고, 이탈저지력은 330~450 gf의 범위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구조를 사용하면, 상기 기존 장착력보다 작은 장착력으로도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탈저지력보다 큰 이탈저지력을 가하게 된다.
먼저, B의 각도가 30도인 경우, 종래의 경우는 장착력이 1400gf이고, 이탈저지력이 330gf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척의 지지대의 접촉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즉 C가 10도와 25도 사이에서, B가 30도이고, A값이 10~15도 사이에 있을 때 각각의 장착력이 종래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이탈저지력도 종래의 값보다 큰 값이 된다.
마찬가지로, B의 각도가 35도일 경우, 종래의 장착력은 1300gf이고, 이탈저지력은 400gf가 된다. 이경우 역시 종래보다 작은 장착력을 갖게 되고, 이탈저지력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B의 각도가 40도 인 경우도 같다.
상기 표에서와 같이, 지지대의 접촉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면, 종래에 비하여 장착력이 작아지며, 또한 디스크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력은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결과에서, 각도 C에 따라서 각도 A 및 B를 적절히 조절하면, 종래의 이탈저지력에 비해 큰 이탈저지력을 갖도록 형상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에서, C각도가 20°, A각도가 약 12°, B각도가 약 35°인 경우, 장착력은 950gf, 이탈저지력은 450gf가 되는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1)을 지지하는 지지대(2)의 구조는 수평면으로부터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을 갖도록 되어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지지대(2)는 경사면(16)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수평면(18)을 갖는 접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대의 접촉면 구조를 통해, 척(1)은 디스크의 하방 운동에 의해 먼저 곡선운동을 시작하게 되고, 곡선운동을 통해 척(1)의 피크(1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피크가 하방으로 향해진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수평면(18)에 의해 수평으로 후방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앞서본 하방 또는 상방으로의 곡선운동에 수평운동을 추가한 구조로써, 이러한 구조를 취하게 되면, 척(1)의 이동 거리가 좀더 길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척이 케이스에서 보다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디스크의 이탈저지력을 증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에 관한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지지대(2)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17)과 그 원호면에 후방측으로 연결된 수평면(19)으로 형성된다. 도 9의 지지대에서도 마찬가지로 원호면을 따라서 척이 곡선운동을 하게 되고, 그 다음으로 척이 수평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척의 이동거리의 증대 및 이탈저지력의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상기 도 8에서의 경사면을 원호면으로 형성하여 마찰면적이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마찰면적의 확대로 인하여 척 또는 지지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17)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호는 호의 끝에서 다른 끝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 수평면에서부터 하방으로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14)을 형성하는 원호의 곡률반경은 상기 척(1)의 하부 곡면(12)의 곡률반경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의 곡률반경이 척 하부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되면, 척과 지지대의 접촉은 2점 지지 구조가 되며, 이는 디스크를 통해 하부로 가해지는 장착력을 견디기에는 매우 불안정한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원호면과 척 하부면이 면접촉 또는 적어도 선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곡률반경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가이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의 척의 탄성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10에서 상기 척(1)의 후방측에는 가이드(5)가 형성된다. 가이드(5)는 케이스(3)의 내부와 접촉하여 척의 상하곡선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도 4에서 척이 하방으로 운동하면, 가이드의 상부면이 케이스의 내측 상부면과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척의 하방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가이드를 척의 후방에 형성하는 것은 척의 곡선운동이 과도하게 되어 원상복구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디스크 이탈시에 척이 상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하게 되어 케이스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척(1)의 후방과 케이스 내측 사이에는 스프링(4)이 연결된다. 스프링을 척의 후방에 연결하기 위하여 척(1)의 후방측과 케이스 내측에는 스프링 가이드(4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피크의 평면형상]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의 피크의 평면도이다. 척(1)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의해 피크가 형성되며, 하측에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척의 평면적인 형상은 도 11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에서는 척(1)의 피크(13)의 수평면상에서의 형상을 디스크의 중심 관통홀의 내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하였다. 디스크 내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피크(13)를 형성하여 디스크와 접촉면적을 늘리는 것이다. 디스크와 척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가 장착되고 난 후에, 디스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척의 평면적인 형상을 디스크의 내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탈저지력을 좀더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중간걸림방지]
상기와 같은 척 피크의 곡률반경구조는 또한 디스크의 중간 걸림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즉, DVD 디스크와 같은 두장이 겹쳐진 디스크를 장착하려고 할 때, 도 12에서와 같이 디스크(200)의 내경측면에 틈(20)이 벌어져있게 되며, 이 틈에 척(1)의 피크(13)가 끼여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피크가 디스크의 내경보다 작은 곡률반경로 거의 반원형으로 라운드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척이 디스크와 거의 점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척을 케이스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이 디스크에 집중되어 작용하게 됨으로써 척의 피크가 디스크의 틈(20)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의 내경과 같은 피크면을 형성하여 피크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분산하고, 또한 피크의 수직단면 형상을 상기 디스크(200)의 틈(20)보다 큰 반경의 곡선으로 라운드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크의 중간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홀더에 디스크를 장착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홀더에서 디스크를 이탈할 때의 과정은 상기 장착과정과 반대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에 경사면 또는 경사면과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척이 하방으로 원형의 궤적을 갖는 곡선운동 및 곡선운동과 직선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장착시의 장착력을 저감하고, 이탈저지력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의 척의 피크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디스크 장착시의 이탈저지력을 증대시키고, 또한 디스크의 중간 걸림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에 디스크 장착시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홀더 척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에 디스크를 장착할 때의 척의 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척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에 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에 관한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의 척의 탄성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의 피크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홀더의 척이 디스크와 중간걸림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척 2: 지지대
3: 케이스 4: 스프링
5: 가이드 11: 상부면
12: 하부면 13: 피크
14: 경사면

Claims (24)

  1.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chuck);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7.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 및 직선 운동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를 갖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3.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수평면 상에서의 곡률반경이 상기 디스크의 관통홀의 내경과 같은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운동을 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면을 갖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4. 삭제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19.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디스크의 장착 및 탈착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케이스;
    후방이 상기 케이스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고, 전방에 수평면 상에서의 곡률반경이 상기 디스크의 관통홀의 내경과 같은 피크(peak)를 갖고, 피크 하부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 및
    상기 척의 전방 하부 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척이 곡선 운동 및 직선운동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면을 갖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5°~ 25°의 경사각도 C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20. 삭제
  21. 삭제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접촉면은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에 연결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하부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원호면의 곡률반경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척의 상하 곡선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KR10-2003-0026770A 2003-04-28 2003-04-28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KR100513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770A KR100513315B1 (ko) 2003-04-28 2003-04-28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TW092116598A TWI252469B (en) 2003-04-28 2003-06-18 Holder for disk drives
US10/464,456 US20040216154A1 (en) 2003-04-28 2003-06-19 Holder for disk drives
CNB2005101184766A CN100399450C (zh) 2003-04-28 2003-06-25 用于盘驱动器的保持器
JP2003180472A JP2004327001A (ja) 2003-04-28 2003-06-25 ディスクドライブホルダー
CNB2005101184751A CN100399449C (zh) 2003-04-28 2003-06-25 用于盘驱动器的保持器
CNA031478158A CN1542804A (zh) 2003-04-28 2003-06-25 用于盘驱动器的保持器
US11/231,935 US7512958B2 (en) 2003-04-28 2005-09-22 Holder for disk dr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770A KR100513315B1 (ko) 2003-04-28 2003-04-28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791A KR20040095791A (ko) 2004-11-16
KR100513315B1 true KR100513315B1 (ko) 2005-09-09

Family

ID=3677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770A KR100513315B1 (ko) 2003-04-28 2003-04-28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40216154A1 (ko)
JP (1) JP2004327001A (ko)
KR (1) KR100513315B1 (ko)
CN (3) CN100399449C (ko)
TW (1) TWI2524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03B1 (ko) 2010-07-01 2012-11-05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3629B (en) * 2003-05-27 2006-04-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Disc carrier for a compact disc drive
JP2005251303A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US7480927B2 (en) * 2004-03-04 2009-01-20 Panasonic Corporation Chucking apparatus
JP4481916B2 (ja) * 2004-10-20 2010-06-16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
JP2006196139A (ja) * 2004-12-15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733246B1 (ko) * 2006-06-27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조립체
JP4872505B2 (ja) * 2006-07-20 2012-02-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618214B2 (ja) * 2006-08-21 2011-01-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047265A (ja) * 2006-08-21 2008-02-28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7802272B2 (en) * 2006-09-04 2010-09-21 Nidec Corporation Chucking device, and motor and disc drive device having loaded thereon a chucking device
JP2008176850A (ja) * 2007-01-18 2008-07-31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5076573B2 (ja) * 2007-03-19 2012-11-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62183B2 (ja) * 2007-07-18 2012-06-27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5141146B2 (ja) * 2007-08-31 2013-02-13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8352975B2 (en) * 2007-08-31 2013-01-08 Nidec Corporation Chucking device with a cone including a sliding portion, brushless motor using the same, and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099224A (ja) * 2007-10-18 2009-05-07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469868B1 (ko) * 2007-10-22 2014-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1006931B1 (ko) * 2008-10-07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의 클램핑 장치
KR101020803B1 (ko) * 2009-06-02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의 클램핑 장치
KR101004951B1 (ko) 2010-04-15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장치
KR20120076260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척킹 장치
CN103026413B (zh) * 2011-02-15 2016-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转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962A (en) * 1994-10-12 1996-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l hub and disk clamp for a disk drive storage device
JPH08339596A (ja) * 1995-06-14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US6041033A (en) * 1996-12-18 2000-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holding device
JPH11213498A (ja) * 1998-01-28 1999-08-06 Sharp Corp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JP2000132893A (ja) * 1998-08-17 2000-05-12 Sankyo Seiki Mfg Co Ltd モ―タの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JP2000067497A (ja) 1998-08-25 2000-03-03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の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JP2000149363A (ja) 1998-11-10 2000-05-30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1101738A (ja) 1999-09-28 2001-04-13 Hitachi Ltd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2190149A (ja) * 2000-12-20 2002-07-05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KR100573252B1 (ko) * 2001-01-10 2006-04-25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클램프장치
JP2002260313A (ja) 2001-03-02 2002-09-13 Nippon Densan Corp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3812383B2 (ja) 2001-08-08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を備えるモータ
JP4263886B2 (ja) 2002-02-22 2009-05-13 株式会社ダイヘン パルスアーク溶接のアーク長制御方法
US7209320B1 (en) * 2004-01-16 2007-04-24 Excelstor Technology, Inc. Offset angle disc clamp
JP4113522B2 (ja) * 2004-08-04 2008-07-09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及びこ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を用い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593924B1 (ko) * 2004-09-01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척킹장치
JP2006252711A (ja) * 2005-03-11 2006-09-21 Nippon Densan Corp 薄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226925A (ja) * 2006-02-27 2007-09-06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733246B1 (ko) * 2006-06-27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조립체
JP5055886B2 (ja) * 2006-08-04 2012-10-24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535045B2 (ja) * 2006-08-21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03B1 (ko) 2010-07-01 2012-11-05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3276A (zh) 2006-06-07
CN100399449C (zh) 2008-07-02
TWI252469B (en) 2006-04-01
CN100399450C (zh) 2008-07-02
CN1783275A (zh) 2006-06-07
CN1542804A (zh) 2004-11-03
US20040216154A1 (en) 2004-10-28
KR20040095791A (ko) 2004-11-16
US7512958B2 (en) 2009-03-31
TW200423032A (en) 2004-11-01
JP2004327001A (ja) 2004-11-18
US20060015886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31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KR100532495B1 (ko)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US6493309B2 (en) Pickup adjusting mechanism for a disc player
US20100095312A1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US7216355B2 (en) Disk-chucking apparatus for disk drives
JP200429609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用トレー
US20030161241A1 (en) Loading device of compact disk player for automobile
US7904919B2 (en) Disk apparatus
WO2000033304A1 (fr) Mecanisme de serrage de disque pour dispositif a disque
KR100357738B1 (ko) 디스크재생장치의디스크센터링기구
US20070202712A1 (en) Feeding mechanism for pickup head
US20050177838A1 (en) Disk apparatus
US7472408B2 (en) Disk apparatus
JP3822623B2 (ja) ディスク装置
JP3739914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79199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9026431A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ターンテーブル
US20070186221A1 (en) Optical disc apparatus
JP494536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CN1855266A (zh) 碟片承载装置
JP2006079737A (ja) ディスク装置
KR100425304B1 (ko) 광디스크 체인저
JP3953985B2 (ja) ディスク装置
JPH0135324Y2 (ko)
KR200345956Y1 (ko) 탑로딩방식디스크드라이버의디스크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