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495B1 -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495B1
KR100532495B1 KR10-2004-0003802A KR20040003802A KR100532495B1 KR 100532495 B1 KR100532495 B1 KR 100532495B1 KR 20040003802 A KR20040003802 A KR 20040003802A KR 100532495 B1 KR100532495 B1 KR 10053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load beam
disk
actuator
suspens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013A (ko
Inventor
최병규
김정선
신동렬
밸러리체르니약
밸러리크라에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495B1/ko
Priority to US11/039,634 priority patent/US7453669B2/en
Priority to EP05000918A priority patent/EP1555654B1/en
Priority to CNB2005100038724A priority patent/CN100428333C/zh
Priority to JP2005011981A priority patent/JP4283234B2/ja
Publication of KR2005007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2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out of 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서스펜션 조립체는,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액츄에이터의 스윙 아암 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과,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는 로드 빔의 디스크 대향면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는 로드 빔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된 플렉셔와,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헤드의 파킹시 디스크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을 구비하며, 상기 엔드-탭은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엔드-탭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보다 높아지게 되고,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확대된다.

Description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Suspension assembly having reinforced end-tab and actuator for disk drive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이 보다 높아진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정보 저장 장치들 중의 하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는 읽기/쓰기 헤드(read/write head)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읽기/쓰기 헤드를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스윙 아암과,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조립체와, 스윙 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가지고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온(on)되어 디스크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을 회전시켜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기록면 위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더에 탑재된 헤드는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작동하지 않는 때, 즉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헤드가 디스크의 기록면에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헤드를 디스크의 기록면을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켜 파킹시키게 된다. 이러한 헤드 파킹 시스템은 크게 CSS(Contact Start Stop) 방식과 램프(Ramp) 로딩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CSS 방식은 디스크의 내주측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파킹존을 마련하고, 그 파킹존에 상기 헤드를 접촉시켜 파킹시키는 방식인데 반하여, 램프 로딩 방식은 디스크의 바깥쪽에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위에 상기 헤드를 파킹시키는 방식이다.
도 1a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엔드-탭이 램프의 선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1a와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40)는, 스윙 아암(32)의 일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load beam, 41)과,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45)를 지지하는 플렉셔(flexure, 44)를 가진다. 상기 플렉셔(44)의 후단부는 로드 빔(41)의 일 면, 즉 디스크(20)에 대향하는 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자유롭게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셔(44)의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플렉셔(44)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4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리미터(47)는 로드 빔(41)에 형성된 개구(46)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 빔(41)에는 플렉셔(44)쪽으로 돌출된 딤플(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딤플(43)에 의해 플렉셔(44)에는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플렉셔(44)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렉셔(44)에 부착된 슬라이더(45)의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의 파킹을 위해 디스크(20)의 바깥쪽에는 램프(50)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 빔(41)의 선단부에는 헤드의 파킹시에 램프(50)의 표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엔드-탭(42)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50)의 선단부는 디스크(20)의 엣지부와 소정 폭만큼 오버랩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엔드-탭(42)의 로딩과 언로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상기 엔드-탭(42)은 디스크(20)로부터 램프(50) 상으로 언로딩된다. 이 때, 엔드-탭(42)은 램프(50) 선단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승하게 된다. 엔드-탭(42)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슬라이더(45)가 부착된 플렉셔(44)는 슬라이더(45)와 디스크(20) 사이의 흡착력으로 인해 딤플(43)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 오프(off)로 인해 디스크(2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면서 슬라이더(45)의 부상고도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45)의 부상고가 계속 낮아지게 되면 슬라이더(45)에 탑재된 헤드가 디스크(20)에 충돌하여 헤드와 디스크(2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한 리미터(47)이다. 즉, 상기 리미터(47)는, 엔드-탭(42)이 램프(50) 선단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승할 때, 플렉셔(44)를 함께 끌어 올림으로써 슬라이더(45)의 부상고가 일정한 높이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엔드-탭(42)이 램프(50) 선단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승할 때에는, 상당한 하중이 엔드-탭(42)에 가해지게 된다. 이 때, 엔드-탭(42)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로드 빔(41)과 엔드-탭(42)의 연결 부위가 디스크(20) 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리미터(47)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헤드와 디스크(20)의 충돌로 인한 헤드와 디스크(2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셔(44)에 부착된 슬라이더(45)가 디스크(20)의 표면으로부터 빨리 분리되지 않아서 언로딩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피로현상으로 인해 엔드-탭(42)이 변형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엔드-탭의 강성(stiffness)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엔드-탭의 크기를 크게 하고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엔드-탭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액츄에이터의 구동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작고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성을 가진 엔드-탭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도 1c를 참조하면, 헤드의 파킹시에 슬라이더(45)가 디스크(20)를 벗어나기 전에 엔드-탭(42)을 램프(50) 위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램프(50)는 그 선단부가 디스크(20)의 엣지부에 소정 폭(D)만큼 오버랩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엔드-탭(42)은 로드 빔(41)의 선단부로부터 로드 빔(41)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50)와 디스크(20)의 오버랩 폭(D)이 비교적 넓게 되고, 그 만큼 디스크(20)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엔드-탭(42)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언로딩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램프(50)와 디스크(20)의 오버랩 폭(D)은 더욱 넓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는 미국 특허 US 6,181,529호에 개시된 길이방향으로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서스펜션 조립체의 로드 빔(58)의 선단부에는 로드 빔(5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엔드-탭(71)이 마련되어 있으며, 플렉셔(75)에는 슬라이더(7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탭(71)에는 엔드-탭(71)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 채널들(84, 9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채널들(84, 93)에 의해 엔드-탭(71)은 그 강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있어서는 엔드-탭(71)의 강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헤드 파킹시 엔드-탭(71)과 디스크(20)의 충돌 가능성이 감소하고, 엔드-탭(71)의 언로딩이 보다 빨리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헤드의 파킹시에는, 엔드-탭(71)은 램프에 의한 수직 방향의 하중 뿐만 아니라, 엔드-탭(71)이 램프의 선단부에 접촉될 때 수평 방향의 하중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엔드-탭(71)은 그 형상에 비추어 볼 때 수직 방향의 강성은 비교적 높지만, 수평 방향의 강성은 충분히 높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탭(71)은 로드 빔(58)의 선단부로부터 로드 빔(58)의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상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이 비교적 넓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엔드-탭(71)은 도 1a에 도시된 엔드-탭에 비해 수직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지만, 수평 방향의 강성과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가지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평11-306704호에는 로드 빔의 선단부 측면으로부터 로드 빔의 중심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엔드-탭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엔드-탭에 의하면,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엔드-탭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특히 비틀림 변형에 대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점차 높은 데이터 기록 밀도가 요구됨에 따라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면을 넓히기 위해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을 보다 좁혀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엔드-탭의 로딩과 언로딩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엔드-탭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특히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보다 높아지고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보다 넓힐 수 있는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윙 아암 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디스크 대향면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된 플렉셔; 및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파킹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을 구비하며,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엔드-탭은 그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램프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아암과,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을 위한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조립체와, 상기 스윙 아암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를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조립체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윙 아암 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디스크 대향면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된 플렉셔; 및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파킹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을 구비하며,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엔드-탭의 수직 방향의 강성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강성도 종래에 비해 높아지게 되며,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을 줄일 수 있어서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확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가 채용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베이스 부재(110) 상에 설치된 스핀들 모터(112)와, 상기 스핀들 모터(112)에 고정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크(120)와,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을 위한 읽기/쓰기 헤드(미도시)를 디스크(120)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는, 베이스 부재(110)에 설치된 피봇 베어링(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 아암(132)과, 스윙 아암(13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46)를 디스크(120)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조립체(140)와, 스윙 아암(132)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가진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13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VCM 코일(137)과, VCM 코일(137)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마그네트(13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보이스 코일 모터는, 서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며, VCM 코일(137)에 입력되는 전류와 마그네트(138)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르는 방향으로 스윙 아암(132)을 회전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온(on)되어 디스크(12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132)을 반시계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45)를 디스크(120)의 기록면 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145)는 회전하는 디스크(120)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디스크(12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145)에 탑재된 헤드는 디스크(120)의 기록면에 대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면,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헤드가 디스크(120)의 기록면에 부딪치지 않도록 스윙 아암(132)을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를 디스크(120)의 기록면을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켜 파킹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디스크(120)의 바깥쪽에는 램프(150)가 설치되고, 서스펜션 조립체(140)에는 상기 램프(150)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end-tab, 142)이 마련된다. 상기 엔드-탭(142)은 디스크(120)로부터 램프(150)로 이동하여 램프(15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읽기/쓰기 헤드가 램프(150)에 파킹된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액츄에이터(130)가 임의로 회전하여 상기 헤드가 램프(150)를 벗어나 디스크(120)의 기록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헤드가 디스크(120)의 기록면에 접촉되어 헤드와 디스크(120)의 기록면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되어 헤드가 램프(150)에 파킹된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130)를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일정 위치에 로킹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액츄에이터 래치(160)가 마련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140)는,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마련되어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45)를 디스크(120)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서스펜션 조립체(140)는, 로드 빔(load beam, 141)과, 플렉셔(flexure, 144)와, 상기 로드 빔(141)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파킹시 디스크(120)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150)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142)을 구비한다.
상기 로드 빔(141)은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스윙 아암(132)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로드 빔(141)은 통상적으로 얇은 두께, 예컨대 대략 0.05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스테인레스 강판과 같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빔(141)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로드 빔(141)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는 위쪽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셔(144)는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45)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 빔(141)의 저면, 즉 디스크(120)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된다. 상기 플렉셔(144)의 후단부는 로드 빔(141)의 디스크 대향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그 선단부는 로드 빔(141)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플렉셔(144)는 상기 로드 빔(141)과 마찬가지로 얇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조된다. 다만, 상기 플렉셔(14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렉셔(144)에 부착된 슬라이더(145)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로드 빔(14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 예컨대 대략 0.02mm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플렉셔(144)의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플렉셔(144)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14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리미터(147)는 로드 빔(141)에 형성된 개구(146)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 빔(141)에는 플렉셔(144)쪽으로 돌출된 딤플(143)이 형성되며, 이 딤플(143)에 의해 상기 플렉셔(144)에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플렉셔(144)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렉셔(144)에 부착된 슬라이더(145)의 롤링 및 피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엔드-탭(142)은, 상기 로드 빔(141)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로드 빔(141)의 길이방향 중심축(XL)을 벗어나 디스크(12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즉 램프(150)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드-탭(142)은 로드 빔(141)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디스크(120)의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엔드-탭(142)은 그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램프(150)의 경사면(151)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엔드-탭(142)은 수직 방향의 강성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강성도 종래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헤드의 파킹시 엔드-탭(142)의 변형으로 인한 슬라이더(45)와 디스크(120)의 충돌이 억제되므로, 슬라이더(45)에 탑재된 헤드와 디스크(1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엔드-탭(142)의 장기간의 반복적인 변형에 기인한 엔드-탭(142)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엔드-탭(142)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면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엔드-탭(142)이 램프(150)의 경사면(151)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그 강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헤드 파킹시에 엔드-탭(142)의 볼록면(142a)이 램프(150)의 경사면(151)에 접촉하게 되므로, 엔드-탭(142)과 램프(150) 상의 접촉 면적이 평판 형상의 엔드-탭에 비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엔드-탭(142)의 로딩과 언로딩시에 엔드-탭(142)과 램프(15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엔드-탭(142)은 램프(150) 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그 강성이 높아져서 로딩과 언로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램프(150)와 디스크(120)의 오버랩 폭(D)을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120)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에 있어서는 엔드-탭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엔드-탭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240)는 슬라이더(245)를 지지하는 로드 빔(2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 빔(245)의 선단부에는 엔드-탭(242)이 마련된다. 상기 엔드-탭(242)은 로드 빔(241)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로드 빔(241)의 길이방향 중심축(XL)을 벗어나 디스크(12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즉 램프(150)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드-탭(242)은 로드 빔(241)의 선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 중심축(XE)이 로드 빔(241)의 길이방향 중심축(XL)과 소정 각도(θ)를 이루면서 로드 빔(241)의 선단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탭(24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램프(150)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상기 엔드-탭(24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는 장점과 함께 램프(150)와 디스크(120)의 오버랩 폭(D)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엔드-탭(242)은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활모양으로 휘어진 엔드-탭에 비해 그 제조가 보다 쉬운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을 종래의 엔드-탭의 강성과 비교해 보기로 한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탭이 사용되었고, 종래의 엔드-탭으로는 도 2a에 도시된 엔드-탭이 사용되었다.
도 8a와 도 8b에는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직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그 각각의 변형량(deflection)과 응력(stress)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 표 1에는 그 각각의 결과가 수치로서 비교되어 있다.
구 분 종래 기술 본 발명 감소율
변형량(deflection) 6.287 6.088 3.2%
응력(stress) 1.76E+06 1.71E+06 2.8%
도 8a 및 도 8b와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의 활모양으로 휘어진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직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변형량은 종래의 엔드-탭의 변형량에 비해 대략 3.2% 정도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응력은 종래의 엔드-탭의 응력에 비해 대략 2.8% 정도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에는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평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그 각각의 변형량(deflection), 응력(stress) 및 변형률(strain)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 표 2에는 그 각각의 결과가 수치로서 비교되어 있다.
구 분 종래 기술 본 발명 감소율
변형량(deflection) 0.005025 0.004717 6.1%
응력(stress) 47521 43725 8.0%
변형률(strain) 6.98E-04 6.42E-04 8.0%
도 9a, 도 9b 및 도 9c와 표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의 활모양으로 휘어진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평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변형량은 종래의 엔드-탭의 변형량에 비해 대략 6.1% 정도 감소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응력은 종래의 엔드-탭의 응력에 비해 대략 8.0% 정도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의 변형률은 종래의 엔드-탭의 변형률에 비해 대략 8.0% 정도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에 마련된 엔드-탭은 종래의 엔드-탭에 비해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강성도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은 종래의 엔드-탭에 비해 수평 방향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엔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함께 높아지게 되므로, 엔드-탭의 비틀림 변형에 대한 저항력도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탭이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강성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강성도 종래에 비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헤드의 파킹시 엔드-탭의 변형으로 인한 헤드와 디스크의 충돌이 억제되므로, 헤드와 디스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엔드-탭의 장기간의 반복적인 피로에 기인한 엔드-탭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엔드-탭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형상을 가진 엔드-탭에 의하면, 램프와 디스크의 오버랩 폭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엔드-탭이 램프의 선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길이방향으로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가 채용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직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그 각각의 변형량과 응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종래의 엔드-탭과 본 발명에 따른 엔드-탭 각각에 동일한 수평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그 각각의 변형량, 응력 및 변형률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베이스 부재 112...스핀들 모터
120...디스크 130...액츄에이터
131...피봇 베어링 132...스윙 아암
137...VCM 코일 138...마그네트
140,240...서스펜션 조립체 141,241...로드 빔
142,242...엔드-탭 142a...볼록면
143...딤플 144...플렉셔
145,245...슬라이더 146...개구
147...리미터 150...램프
151...경사면 160...액츄에이터 래치

Claims (8)

  1.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윙 아암 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디스크 대향면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된 플렉셔; 및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파킹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을 구비하며,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그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램프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
  5. 디스크 드라이브의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아암과,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을 위한 읽기/쓰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조립체와, 상기 스윙 아암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를 디스크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조립체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윙 아암 단부에 결합된 로드 빔;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디스크 대향면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된 플렉셔; 및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파킹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에 배치된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엔드-탭;을 구비하며,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벗어나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드-탭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그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로드 빔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로드 빔의 선단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탭은 상기 램프 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KR10-2004-0003802A 2004-01-19 2004-01-19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KR10053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02A KR100532495B1 (ko) 2004-01-19 2004-01-19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US11/039,634 US7453669B2 (en) 2004-01-19 2005-01-18 Suspension assembly having reinforced end-tab and actuator for disk drive adopting the same
EP05000918A EP1555654B1 (en) 2004-01-19 2005-01-18 Suspension assembly having reinforced end-tab and actuator for disk drive adopting the same
CNB2005100038724A CN100428333C (zh) 2004-01-19 2005-01-19 具有加强引出板的悬置装置及采用它的盘驱动器的致动器
JP2005011981A JP4283234B2 (ja) 2004-01-19 2005-01-19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02A KR100532495B1 (ko) 2004-01-19 2004-01-19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013A KR20050076013A (ko) 2005-07-26
KR100532495B1 true KR100532495B1 (ko) 2005-11-30

Family

ID=3461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802A KR100532495B1 (ko) 2004-01-19 2004-01-19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3669B2 (ko)
EP (1) EP1555654B1 (ko)
JP (1) JP4283234B2 (ko)
KR (1) KR100532495B1 (ko)
CN (1) CN1004283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32B1 (ko) * 2002-12-06 2005-06-28 유길상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KR100495831B1 (ko) * 2002-12-06 2005-06-20 유길상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0594309B1 (ko) * 2004-12-2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스펜션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JP4455408B2 (ja) * 2005-05-31 2010-04-21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ヘッド支持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ドライブ
JP2007095240A (ja) * 2005-09-30 2007-04-1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データ記憶装置
CN100407294C (zh) * 2005-12-29 2008-07-30 深圳易拓科技有限公司 硬盘斜块
US7675712B2 (en) * 2006-07-07 2010-03-09 Seagate Technology Llc Ramp structure with inclined contact surface
US8203806B2 (en) * 2008-06-09 2012-06-1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aving a head loading/unloading ramp that includes a torsionally-compliant member
JP2020144957A (ja) 2019-03-04 2020-09-10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US10950263B1 (en) * 2019-12-16 2021-03-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Angled and elongate lift tab for magnetic storage device
JP2021114348A (ja) * 2020-01-17 2021-08-05 株式会社東芝 サスペンションアッセンブリおよびディスク装置
US10910005B1 (en) 2020-03-18 2021-02-0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Tangential and longitudinal glide ramp for magnetic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472A (en) 1990-12-19 1993-08-17 Integral Peripherals, Inc. Rigid disk drive with dynamic head loading apparatus
US5585980A (en) * 1994-06-09 1996-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friction device for an actuator arm of a disk drive
JPH1196527A (ja) 1997-09-24 1999-04-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ク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とその加工方法
US6201666B1 (en) * 1997-10-07 2001-03-13 Seagate Technology Llc Disc drive head suspension with single-point contact feature for ramp load/unload
JPH11306704A (ja) 1998-04-23 1999-11-05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3694589B2 (ja) 1998-05-27 2005-09-14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ロ−ド・アンロ−ド機構を備えた磁気ディスク装置
JPH11345474A (ja) 1998-05-29 1999-12-14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0076811A (ja) 1998-09-02 2000-03-14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US6151197A (en) * 1998-12-30 2000-11-21 Western Digital Corporation Water slide suspension assembly having a stiffened vertically offset lift tab
US6611402B1 (en) 1999-06-09 2003-08-26 Seagate Technology Llc Pitch-adjustable head suspension with end lift tab for dynamic load/unload
US6301081B1 (en) 1999-07-01 2001-10-09 Iomega Corporation Actuator and head lifting tab for a disk drive
US6268982B1 (en) * 1999-08-05 2001-07-31 Iomega Corporation Combination load ramp and unlatching mechanism for a removable disk cartridge
JP2001101813A (ja) 1999-09-27 2001-04-13 Hitachi Ltd 磁気ヘッドスライダを有するロード・アンロード方式磁気記憶装置
US6538850B1 (en) 1999-10-06 2003-03-25 Read-Rite Corporation Low profile head gimbal assembly with shock limiting and load/unload cap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747849B1 (en) * 2000-03-21 2004-06-08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High performance suspension with reduced flow-induced vibration
US20020075602A1 (en) * 2000-12-15 2002-06-20 Mangold Markus E. Head gimbal assembly flexure arm displacement limiter
US6697216B2 (en) * 2001-07-31 2004-02-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Disk drives with upstream-oriented heads
US7130157B2 (en) * 2002-08-14 2006-10-31 Seagate Technology Llc Head suspension having a displacement lim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013A (ko) 2005-07-26
EP1555654A1 (en) 2005-07-20
JP2005209337A (ja) 2005-08-04
US7453669B2 (en) 2008-11-18
CN100428333C (zh) 2008-10-22
CN1664932A (zh) 2005-09-07
US20060012919A1 (en) 2006-01-19
EP1555654B1 (en) 2011-07-06
JP4283234B2 (ja)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0202B1 (en) Suspension assembly having flexure limiter and actuator for disk drive adopting the same
JP428323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
JP4290674B2 (ja) ロード/アンロード機構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7609483B2 (en) Data storage device with load/unload tab inclined towards a disk
KR100524971B1 (ko)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정보 저장 장치용 액츄에이터의서스펜션
KR10052498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조립체
JP2006172699A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ヘッドパーキング用ラ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522846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の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ディスクドライブの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
KR20090112389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서스펜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액츄에이터
JP2006172698A (ja) データ記録用のディスク及びそれを備え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KR20110007425A (ko) 슬라이더 리미터를 구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59424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파킹 장치
KR100640613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파킹용 램프
KR100532491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램프 로딩 방식 헤드 파킹 장치
KR10059424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KR100674962B1 (ko) 헤드슬라이더 파킹용 램프,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