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832B1 -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832B1
KR100495832B1 KR10-2002-0077160A KR20020077160A KR100495832B1 KR 100495832 B1 KR100495832 B1 KR 100495832B1 KR 20020077160 A KR20020077160 A KR 20020077160A KR 100495832 B1 KR100495832 B1 KR 10049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horizontal moving
lever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979A (ko
Inventor
유길상
Original Assignee
유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상 filed Critical 유길상
Priority to KR10-2002-007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8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가 몸의 중심에서 틀어지면서 옆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교정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신축작동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는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를 교정하기 위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대직경을 이루며 선단부 외주면에 나사부와 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턱이 일체로 형성된 조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후단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수평이동레버와;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후방측에서 관통공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키가 돌설되어 있는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의 타측 머리부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체결되어 조립되며, 내측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머리부에 돌설되어 있는 고정키와 맞물려 연계작동될 수 있도록 키홈이 형성된 전후작동레버와;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조립부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구성되며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수평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작동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작동되며 선단부에 작동부재가 고정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부재의 전방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SPINAL CURVATURE CORRECTOR'S FIXTURE}
본 발명은 척추가 몸의 중심에서 틀어지면서 옆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교정수단으로 사용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조작·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전,후방향으로 신축작동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란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을 말하며, 특히 척추가 일직선을 이루는 정상적인 사람에 반하여, 허리가 역"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척추측만증은 크게 기능성 척추측만증과 구조성 척추측만증으로 대별되는데,
우선, 기능성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척추 자체에는 문제가 없이 다른 외부의 원인으로 발생하여, 일종의 이차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을 말하며, 흔히 의자에 앉는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나 책가방을 한 쪽으로만 들고 다녀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기능성(비구조성) 측만증의 경우에는 그 원인을 제거하면 측만증은 사라지게 되고 악회되는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세를 바로잡는 등 원인을 바로잡으면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척추측만증과는 달리 척추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척추측만증을 구조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대부분(80 -85%)의 척추측만증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상기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기능성 척추 측만증과는 달리 휘어짐이 악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척추의 휘어짐이 심해져 심폐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심하면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해야될 질병중에 하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청소년기(10세에서 골격 성장이 멈출 때까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전체 청소년의 1.5-3% 정도의 빈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여러가지 교정보조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일반적인 교정보조기구는 목과 골반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링 및 골반지지대가 구비되고, 이들을 강체의 브레이스로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선상에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에 대략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만곡된 몸통 부위를 중심쪽으로 압박하는 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척추의 길이방향으로도 견인하여 신장될 수 있게 척추를 당겨주는 머리고정 벨트를 착용하기도 한다.
또한, 척추의 종방향 견인 후에 석고로 캐스팅하여 고정시키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횡 작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개량된 석고 고정틀(Cast frame)이나 죔쇠 석고(Turnbuckle cast), 정위 석고(Localizer cast)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척추 교정보조기구들은 대부분 환자들이 몸에 직접 착용하도록 된 것들이서어, 측만증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너무나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교정보조기구를 착용시에는 상체부분의 전체가 상기 보조기구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환자들이 허리를 앞뒤로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활동에 많은 제약을 주게 되고, 상기 보조기구의 정교한 교정이 어려워 착용에 따른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기구들은 변형된 척추를 교정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유지시켜주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척추측만증에 대한 만족스러운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없었고, 더욱이 무더운 여름철에는 상기 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보조기구 착용에 따른 부담감으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될 우려가 있었고, 특히 환자들의 몸이 땀에 흠뻑 젖게 되어 대체적으로 민감한 피부를 갖고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환자들이 편하게 누운상태에서 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조작이 매우 간편하여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후작동 및 신축이 자재로운 가압부재에 의해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 교정 및 치료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어 대직경을 이루며 선단부 외주면에 나사부와 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턱이 일체로 형성된 조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후단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수평이동레버와;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후방측에서 관통공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키가 돌설되어 있는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의 타측 머리부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체결되어 조립되며, 내측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머리부에 돌설되어 있는 고정키와 맞물려 연계작동될 수 있도록 키홈이 형성된 전후작동레버와;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조립부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구성되며 상기 수평이동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수평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작동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작동되며 선단부에 작동부재가 고정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부재의 전방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정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1)는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를 교정하기 위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대직경을 이루며 선단부 외주면에 숫나사부(12a)와 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턱(12b)이 일체로 형성된 조립부(12)가 형성되고 타측 후단부 중앙에 관통공(14)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수평이동레버(10)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후방측에서 관통공(14)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키(24a)가 돌설되어 있는 머리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장볼트(20)와, 상기 장볼트(20)의 타측 머리부(24)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너트(34)로 체결되어 조립되며 내측 중앙에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머리부(24)에 돌설되어 있는 고정키(24a)와 맞물려 연계작동될 수 있도록 키홈(32a)이 형성된 전후작동레버(30)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조립부(12)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구성되며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교정기(100)의 지지대(110)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재(50)와, 상기 전후작동레버(30)의 회전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작동되며 선단부에 연결구(44)가 나합되어 고정설치된 전후작동부재(40)와, 상기 연결구(44)의 전방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며 선단부에 가압부재(47)가 고정·설치된 작동봉(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작동부재(40)는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일측 개구부(13)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소직경을 이루며 하부측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42)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 중앙에 나사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에는 일측의 양방향으로 고정스토퍼(45)가 스프링(45a)에 의해 탄발·설치된 연결구(46)가 나합되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46)의 내측 중앙에는 안내돌기(46a)가 끼워져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드공(46b)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공(46b)을 통해 상기 작동봉(4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봉(48)의 외주면에는 양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간격조절용홈(4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46a)와 대응되는 안내홈(48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봉(48)은 상기 연결구(46)의 내측 슬라이드공(46b)에서 상기 고정스토퍼(45)의 탄발작동에 의해 전후작동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봉(48)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압부재(47)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척추가 위치된 인체의 상체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 변형된 척추부위를 교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수평이동부재(50)는 중앙에 조립공(52a),(53a)이 관통·형성되고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나사공(52c),(53c)을 갖는 고정편(52b),(5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조립부재(52),(53)들과, 상기 조립부재(52),(53)들 사이에 장착되어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4)와, 이들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5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립부재(52),(53)의 상부측 고정편(52b),(53b)에는 상기 나사공(52c),(53c)을 통해 일측으로부터 고정부재(58)의 나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수평이동부재(50)들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부(12)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부(12)에서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일측 조립부재(52)의 내측 상부면에는 가이드돌기(5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되게 조립되는 타측 조립부재(53)의 상부측 고정편(53b)은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부(5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장착되는 피니언기어(54)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요홈(54a)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12)의 저면에 돌설된 회전키(12c)와 맞물려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연계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구(55)는 상기 조립부(1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12a)에 나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55a)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55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고정구(55)의 하부측 전방에서부터 상기 타측 조립부재(53)의 하부측에 볼트(57)로 고정되는 가이드부재(56)는 그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6a)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전후작동부재(40)의 하부측에 형성된 가이드공(40a)에 끼워져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회전방지 및 전,후작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정구(1)에 대한 조립순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후방측에 형성된 관통공(14)을 통해 상기 장볼트(20)의 일측 나선부(22)가 삽입되도록 하여 끼운 다음, 상기 장볼트(20)의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머리부(24)에 상기 전후작동레버(30)의 결합공(32)이 끼워지도록 하여 회전가능하게 너트(34)로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작동레버(30)는 상기 결합공(32)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키홈(32a)이 상기 장볼트(20)의 머리부(24)에 돌설되어 있는 고정키(24a)와 맞물려 조립됨으로써, 상기 전후작동레버(3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장볼트(20)가 연계·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직경을 이루는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일측 개구부(13)를 통해 상기 전후작동부재(40)를 삽입하여서 조립하여 주되,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42)을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후방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장볼트(20)의 나선부(22)에 나합되도록 조립하여 줌으로써, 상기 전후작동레버(30)의 회전작동으로 연계작동되는 장볼트(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후작동부재(40)가 나선부(2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장볼트(20)의 나선부(22) 끝단에는 와셔(25)가 볼트(2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전진작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후작동부재(40)는 그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공(40a)이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내측에서 하부측을 향하도록 하여 조립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부(12)에 상기 수평이동부재(50)들을 순차적으로 끼워서 조립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조립부(12)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일측 조립부재(52)의 조립공(52a)이 끼워지도록 하여 일면이 상기 조립부(12)의 단턱(12b)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타측으로부터 피니언기어(54)와 타측 조립부재(53)가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구(55)의 암나사부(55a)가 상기 조립부(1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12a)에 나합되도록 하여 상기 조립부재(52),(53)들을 밀착·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54)는 그 하부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54a)이 상기 조립부(12)의 저면에 돌설되어 있는 회전키(12c)와 맞물리게되면서 상기 수평이동레버(10)가 회전작동되는 것에 의해 연계·작동되어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조립부재(52),(53)들은 상부측 고정편(52b),(53b)에 나합되어 있는 고정부재(58)의 나합정도에 따라서, 교정기(100)의 수평가이드(112)상에서 밀착·고정되거나 좌,우 수평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타측 조립부재(53)의 하부측에는 상기 고정구(55)의 전방으로부터 가이드부재(56)가 볼트(57)로 체결·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56)의 끝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6a)가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등공(40a)에 끼워져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회전작동을 방지하고 전,후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부재(56)에는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선단부에 나합되어 있는 고정구(55)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일측의 스토퍼(55b)가 걸릴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에 의한 좌,우 수평이동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부재(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선단부에 연결구(46)를 나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구(46)의 내측 슬라이드공(46b)을 통해 가압부재(47)가 고정된 작동봉(48)을 삽입하여 주면 상기 교정구(1)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봉(48)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간격조절용홈(48a)들이 상기 연결구(46)의 양측으로 탄설된 고정스토퍼(45)에 의해 지지되면서, 단계적으로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작동봉(48)의 하부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48b)이 상기 연결구(46)의 하부측에서 결합되는 안내돌기(46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방향으로만 신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된 교정구(1)는 도 5에서와 같이 척추측만증 교정 및 치료를 위한 교정기(100)의 양측 지지대(110)상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교정구(1)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교정구(1)에 의한 작용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환자가 시트가 구비된 교정기(1)의 안착부(120)상에 편안하게 누운상태에서, 환자의 상태나 체형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지지대(110)상에 설치되어 있는 교정구(1)들을 후방측 수평이동레버(10)를 이용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각각 이동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교정구(1)의 수평이동은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일측의 수평이동레버(10)를 회전·작동시켜주면, 이와 맞물려 연계·작동되는 피니언기어(54)가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대(110)상에 설치되어 있는 렉기어(114)를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척추교정을 위한 각 교정구(1)들의 위치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이동부재(10)의 상부측 고정부재(58)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구(1)들을 지지대(110)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전후작동레버(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재(47)를 전진작동시켜 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에 대한 압박을 가하면서 교정 및 치료를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47)의 전지작동은 도 7a와 도 7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연결구(4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작동봉(48)을 잡아당겨서 그 선단에 고정된 가압부재(47)가 환자의 상체부위에 근접되도록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교정구(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작동레버(3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주면, 상기 전후작동부재(40)가 내측의 나선부(22)를 따라 전진작동되면서, 상기 작동봉(48)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압부재(47)가 흉부와 밀착되면서 척추부위에 대한 압박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봉(48)은 상기 연결구(46)의 양측방향으로 탄설되어 있는 고정스토퍼(45)의 돌기(45b)가 상기 작동봉(4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조절용홈(48a)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일정길이 만큼 신장되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봉(48)을 연결구(46)의 내측으로 수축시키에 위해서는 상기 양측의 고정스토퍼(45)를 가압하여 상기 간격조절용홈(48a)에 걸려있는 돌기(45b)를 해제시킨 후, 밀어주면 상기 작동봉(48)이 연결구(46)의 내측 슬라이드공(46b)을 따라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작동레버(30)에 의한 전진작동은 상기 가압부재(47)에 대한 전진작동시 미세조절이 가능하여 척추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압박을 가하면서 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에 의하면, 주로 환자들이 편하게 누운상태에서 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조작이 매우 간편하여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축이 자재로운 가압부재에 의해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교정 및 치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교정구가 장착된 교정기의 전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수평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가압부재가 전,후로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정구 10 : 수평이동레버 12 : 조립부
14 : 관통공 20 : 장볼트 22 : 나선부
24 : 머리부 30 : 전후작동레버 32 : 결합공
34 : 너트 40 : 전후작동부재 42 : 나사공
46 : 연결구 47 : 가압부재 48 : 작동봉
50 : 수평이동부재 52,53: 조립부재 54 : 피니언기어
55 : 고정구 56 : 가이드부재 58 : 고정부재

Claims (4)

  1.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형태의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1)는 일측이 개구되어 대직경을 이루며 선단부 외주면에 조립부(12)가 형성되고, 타측 후단부 중앙에 관통공(14)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수평이동레버(10)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후방측에서 관통공(14)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키(24a)가 돌설되어 있는 머리부(24)가 일체로 형성된 장볼트(20)와;
    상기 장볼트(20)의 타측 머리부(24)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키홈(32a)이 형성된 결합공(32)이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너트(34)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전후작동레버(30)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조립부(12)에 순차적으로 조립·구성되어 상기 교정기(100)의 수평가이드(112)와 렉기어(14)에 맞물려 좌,우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재(50)와;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일측 개구부(13)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소직경을 이루며, 저면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40a)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 중앙에 나사공(42)이 형성된 작동봉(40)과;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선단부에 나합되며 일측의 양방향으로 고정스토퍼(45)가 스프링(45a)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내측으로 슬라이드공(46a)이 형성되는 연결구(46)와;
    상기 연결구(46)의 슬라이드공(46a)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주면에는 양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간격조절용홈(48a)이 형성된 작동봉(48)과 그 선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압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재(50)는 중앙에 조립공(52a),(53a)이 관통·형성되고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편(52b),(53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조립부재(52),(53)들과, 상기 조립부재(52),(53)들 사이에 장착되며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측 내주면에 요홈(54a)이 형성된 피니언기어(54)와, 이들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5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립부재(52),(53)의 상부측 고정편(52b),(53b)에는 나사공(52c),(53c)이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고정부재(58)가 나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55)는 내주면에 암나사부(55a)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수평이동레버(10)의 회전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55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55)의 하부측 전방에서부터 가이드부재(56)가 볼트(57)에 의해 상기 타측 조립부재(53)의 하부측에 조립되어 상기 전후작동부재(40)의 회전작동 방지 및 전,후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12)는 선단부 외주면에 숫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턱(12b)이 형성되며, 저면부에는 회전키(12c)가 돌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KR10-2002-0077160A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KR10049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60A KR100495832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60A KR100495832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88U Division KR200305904Y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979A KR20040049979A (ko) 2004-06-14
KR100495832B1 true KR100495832B1 (ko) 2005-06-28

Family

ID=3734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160A KR100495832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8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440A (en) * 1949-12-07 1952-08-26 Lee W Mcconnell Garden hose sprayer attachment
US4112935A (en) * 1976-11-03 1978-09-12 Anvar Latypovich Latypov Apparatus for surgical treatment of scoliosis
US5484393A (en) * 1993-05-14 1996-01-16 Northeast Orthotics And Prosthetics Apparatus for forming a scoliosis brace
KR200268150Y1 (ko) * 2001-12-13 2002-03-15 유승모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JP2005209337A (ja) * 2004-01-19 200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
KR102025407B1 (ko) * 2015-07-14 2019-09-25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440A (en) * 1949-12-07 1952-08-26 Lee W Mcconnell Garden hose sprayer attachment
US4112935A (en) * 1976-11-03 1978-09-12 Anvar Latypovich Latypov Apparatus for surgical treatment of scoliosis
US5484393A (en) * 1993-05-14 1996-01-16 Northeast Orthotics And Prosthetics Apparatus for forming a scoliosis brace
KR200268150Y1 (ko) * 2001-12-13 2002-03-15 유승모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JP2005209337A (ja) * 2004-01-19 200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サスペンション組立体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用アクチュエータ
KR102025407B1 (ko) * 2015-07-14 2019-09-25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979A (ko) 200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776B2 (en) Dynamically adjustable joint extension and flexion device
US6605052B1 (en) Corset
JP2005504606A (ja) 筋肉刺激器具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20010052890A (ko) 맞춤형 교정장치
KR20190068020A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KR101904016B1 (ko) 척추 또는 경추 교정장치
KR20200064635A (ko) 버튼식 다이얼 장치
KR101074235B1 (ko)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KR100495831B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20150109189A (ko) 다리 교정장치
KR20140096541A (ko) 허리지지대 구조
KR100495832B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KR200305904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KR200383745Y1 (ko) 앉은 자세에서 요추를 교정하는 벨트
US20140336553A1 (en) Active knee orthosis
CN108392376B (zh) 一种颈椎康复治疗仪
KR102458543B1 (ko) 목 각도조절 견인기
KR20200077094A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KR200305903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CN211409561U (zh) 腿型矫正器
JP3173281U (ja) 脊椎矯正背もたれ
KR200323715Y1 (ko) 개방형 척추측만증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