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189A -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189A
KR20150109189A KR1020140032313A KR20140032313A KR20150109189A KR 20150109189 A KR20150109189 A KR 20150109189A KR 1020140032313 A KR1020140032313 A KR 1020140032313A KR 20140032313 A KR20140032313 A KR 20140032313A KR 20150109189 A KR20150109189 A KR 2015010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rms
correcting
leg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221B1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진 filed Critical 최성진
Priority to KR102014003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밀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수단(2)과, 상기 본체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가압부재(4)를 형성한 교정수단(3)과;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상기 교정수단(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으로 구성함으로써 "O"자형 다리와 같이 비정상적인 신체 특정 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소하고, 크기가 작아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혼자서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반복적인 사용이 용이함으로써 우수한 교정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리 교정장치{(LEG REMEDY DEVICE}
본 발명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릎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휘어 바른 자세를 취하였을 때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의 다리를 바른 일자 형태의 다리로 교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다리 교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휜 다리(Bow-legs, Knock-knees)이라 함은, 오다리("O"자형 다리) 또는 안짱다리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무릎 사이가 벌어져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휜 다리의 유형으로는,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복사뼈를 붙여 양쪽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의 O형 다리와,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무릎을 붙여서 양쪽복사뼈가 붙지 않는 경우의 X형 다리로 구분된다.
이러한 휜 다리는 골반, 고관절, 대퇴골이 삐뚤어짐으로써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어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고 척추가 휘게 되어 인체역학적인 삐뚤어짐이 생겨 많은 내과적인 질환과 척추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무릎관절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많은 경우에서 O형 다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O형 다리는 무릎이 안쪽으로 꺾여있어 무릎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의 간격이 차이가 나서 무릎이 체중을 균등하게 받을 수 없어 간격이 좁아진 곳은 마찰이 심해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휜 다리는 미용상의 관점에서 외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각선미의 상실이나, 이상한 걸음걸이 등으로 인한 자신감이 결여될 수 있고 특히 아름다운 각선미를 원하는 여성들의 경우 휜 다리는 통증은 없다 하더라도 엄청난 콤플렉스와 스트레스로 작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휜 다리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유전이나 인종적인 차이와도 관계가 있고 질병에 의해서도 다리가 휠 수 있으며, 후천적인 원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후천적인 원인은 어렸을 때에 기저귀를 잘못 채웠거나 많이 업혀서 자란 사람,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여성들의 경우 출산 후 산후조리를 잘못한 경우, 나쁜 생활습관이 있는 경우가 있다.
생활습관으로 인한 경우에는 동양인에서는 좌식 생활이 보편화 되어 고관절이 내회전 변형되고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 몸의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를 고쳐주기만 한다면 휜 다리도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를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휜 다리를 가진 환자들은 휜 다리를 바르게 교정해주는 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09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859호
상기와 같은 "O"자형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다리 교정장치의 경우에는 "O"자형 다리를 가진 환자의 양 무릎이나 양 허벅지를 압박수단을 가진 교정장치를 이용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압박하거나, 탄력성을 가진 벨트 등을 이용하여 양다리나 양 무릎을 한꺼번에 결속하여 양 무릎을 강제로 밀착시킨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휜 다리가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는 위와 같은 교정 치료 행위를 반복하여 비정상적으로 휘어진 양다리가 서서히 바른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얻는 것인데,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는 환자가 다리 교정장치를 사용할 때, 침대에 누운 자세를 취하거나,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자에 정자세로 앉은 상태에서 다리 교정장치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다리 교정장치의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이 필요한 다리 교정장치의 특성상 가정에서 다리 교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는 조립하여 착용하거나, 해체하고 벗는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생활 중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곤란하여 실질적인 교정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보스부(101)를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출입구(102)를 형성한 본체(1)와;
상기 보스부(101)에 회전 가능케 축 결합되는 압력조절수단(2)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암(301, 301')의 일단부가 상기 출입구(102)에 투입되도록 본체(1)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암(301, 301')의 타단부에는 가압부재(4)를 형성한 교정수단(3)과;
상기 본체(1)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상기 교정수단(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간소화된 구조와 작은 크기로 인해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고, 손쉬운 사용 방식으로 인해 착용이 간편하며, 반복 사용이 용이하여 휜 다리에 대한 교정 치료 효과가 우수하게 한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하고, 크기가 작아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 장소나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발목, 종아리, 무릎, 허벅지 또는 골반 등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 어느 부위든지 혼자서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반복적인 사용이 용이하며, 교정장치의 가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교정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체 평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정수단(3) 정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정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보스부(101)를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출입구(102)를 형성한 본체(1)와; 상기 보스부(101)에 회전 가능케 축 결합되는 압력조절수단(2)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암(301, 301')의 일단부가 상기 출입구(102)에 투입되도록 본체(1)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암(301, 301')의 타단부에는 가압부재(4)를 형성한 교정수단(3)과; 상기 본체(1)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상기 교정수단(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납작한 블럭형으로 형성하되, 인체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정면에서 볼 때 양단부가 하향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본체(1)의 내부 바닥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안내홈(103)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정수단(3)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103)에 각각 끼워지는 돌부(301a)를 형성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2)은 상기 본체(1)의 보스부(101)에 설치되는 회전축(201)과, 상기 회전축(201) 하단부에 설치되는 피니언(202)과, 상기 회전축(201) 상단부에 설치되는 조절핸들(203)로 구성되어 조절핸들(203)의 회전 각도만큼 피니언(202)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정수단(3)의 암(301, 301')은 내구성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제로 형성하거나 내부에 금속제 프레임을 인서트 성형한 비철금속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암(301, 301')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되 인체와의 밀착력을 고려하여 직각보다 10~20°정도 큰 각도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암(301, 301')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1)의 출입구(102)에 투입되어 본체(1)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되,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된다.
즉, 본체(1)의 좌측 출입구(102)로 투입되는 암(301)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래크기어부(301b)를 형성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피니언(202) 후방에서 피니언(202)과 치합하게 하고, 본체(1)의 우측 출입구(102)로 투입되는 암(301')은 일단부 내측면에는 래크기어부(301b)를 형성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피니언(202) 전방에서 피니언(202)과 치합하여 피니언(202)의 회전에 의해 본체(1) 좌우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암(301, 301')이 본체(1) 외측으로 동시에 벌어지거나, 본체(1) 내측으로 동시에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암(301, 301')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4)는 상기 암(301, 301')의 외측에서 상기 암(301, 301')의 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301d)에 투입되는 다수의 결합돌부(401a)를 형성한 외커버(401)와; 상기 암(301, 301')의 내측에서 상기 결합돌부(401a)에 형성된 나사공(401b)에 나사 결합되는 내커버(402)와, 상기 내커버(402) 내측에서 상기 외커버(401)와 내커버(402)에 동시에 나사 결합되는 쿠션(403)으로 구성되어 분해 조립 및 부분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외커버(401)와 상기 내커버(402)는 제조의 용이성이나 취급과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플라스틱)계통의 재질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쿠션(403)은 교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가압하여 압박할 때, 가압력을 신체에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밀착되는 신체 부위에 멍 발생과 같은 피부 자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외피 내부에 스펀지나 메모리폼과 같은 탄성 재질을 내장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5)은 본체(1) 내부에서 힌지핀(502)으로 결합되고, 코일스프링(503)으로 탄설되어 상기 암(301')의 일단부 외측면에 설치된 래치기어부(301c)와 탄력적으로 치합하게 한 스토퍼(501)와; 내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501)의 일단부에 핀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본체(1)에 형성된 통공(104)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부(504a)에 의해 통공(10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버튼(50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501)는 일측에 돌부를 형성하여 그 돌부와 본체(1)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부 간에 코일스프링(503)을 탄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501)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502)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토퍼(501)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버튼(104)은 본체(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리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다리를 교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휜다리 교정을 위해서 본 발명을 착용할 때에는 먼저 본체(1)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수단(5)의 버튼(504)을 눌러서 일측 암(301')의 래치기어부(301c)와 치합된 스토퍼(501)를 래치기어부(301c)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타측 암(301)을 외향으로 잡아당기면, 타측 암(301)이 외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타측 암(301)의 일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래크기어부(301b)와 치합된 피니언(202)이 회전함으로써 피니언(202)과 전후에서 각각 치합되는 래크기어부(301b)를 형성한 양측 암(301, 301')이 동시에 외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측 암(301, 301')에 각각 형성된 가압부재(4) 사이로 양 무릎이 투입될 수 있도록 양측 암(301, 301')을 충분히 벌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다리를 서로 밀착시킨 후 본체(1)의 저면을 무릎에 밀착시킨 후 압력조절수단(2)의 조절핸들(203)을 회전시키면 피니언(202)이 회전함으로써 피니언(202)의 전후방에서 각각 피니언(202)과 치합되는 래크기어부(301b)를 형성한 양측 암(301, 301')이 내향으로 모여지면서 각 암(301, 301')의 타단부에 설치된 가압부재(4)가 양 무릎의 외측에 밀착되면서 양 무릎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압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4)가 양 무릎을 내측으로 충분히 압박할 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수단(5)의 스토퍼(501)가 일측 암(301')의 래치기어부(301c)에 치합되어 일측 암(301')이 외측으로 임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니언(202)의 임의 회전이 억제되고, 그로 인해 피니언(202)와 동시에 치합되는 래크기어부(301b)를 각각 형성한 양측 암(301, 301')의 위치가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양측 암(301, 301')의 가압부재(4)에 의해 가압되는 양 무릎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휜 다리가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로 변형되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릎 교정 시에 본체(1)가 양 무릎을 눌러줌으로써 교정수단(3)을 이용해 양 무릎을 내측으로 압박하여 교정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양 무릎이 위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교정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일정시간 가압을 수행한 후에는 고정수단(5)의 버튼(504)을 눌러서 일측 암(301')의 래치기어부(301c)와 치합된 스토퍼(501)를 래치기어부(301c)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타측 암(301)을 외향으로 잡아당기면, 타측 암(301)이 외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타측 암(301)의 일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래크기어부(301b)와 치합된 피니언(202)이 회전하여 양측 암(301, 301')이 동시에 외향으로 벌어짐으로써 교정장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정수단(3)을 이용해 신체 특정 부위를 압박하여 교정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정도는 이용자가 교정 장치를 착용하는 교정 부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교정수단(3) 간의 거리를 조절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착용을 위한 별도의 준비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파에 앉은 상태나, 침대에 누운 상태에도 간편하게 착용 가능하며, 교정 장치를 착용하는 부위는 무릎 부위뿐만 아니라, 발목, 종아리, 허벅지, 골반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다리 교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본체(1) 양측에 설치되는 교정수단(3)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피가 크게 감소하여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며, 외관이 헤드폰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다리 교정 치료를 위한 장치라는 느낌을 배제함으로써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운반,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본체 101: 보스부
102: 출입구 103: 안내홈
104: 통공 2: 압력조절수단
201: 회전축 202: 피니언
203: 조절핸들 3: 교정수단
301: 암 301a: 돌부
301b: 래크기어부 301c: 래치기어부
301d: 결합공 4: 가압부재
401: 외커버 401a: 결합돌부
401b: 나사공 402: 내커버
403: 쿠션 5: 고정수단
501: 스토퍼 502: 힌지핀
503: 코일스프링 504: 버튼
504a: 걸림돌부

Claims (5)

  1. 상부에 보스부(101)를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출입구(102)를 형성한 본체(1)와; 상기 보스부(101)에 회전 가능케 축 결합되는 압력조절수단(2)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암(301, 301')의 일단부가 상기 출입구(102)에 투입되도록 본체(1)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암(301, 301')의 타단부에는 가압부재(4)를 형성한 교정수단(3)과; 상기 본체(1)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에 의해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상기 교정수단(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안내홈(103)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정수단(3)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103)에 각각 끼워지는 돌부(301a)를 형성하여 상기 교정수단(3)의 좌우 이동 범위가 상기 안내홈(103)의 길이 만큼으로 제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축(201) 하단부에 피니언(202)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01) 상단부에는 조절핸들(203)을 설치하며, 상기 암(301, 301')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피니언(202)과 치합하는 래크기어부(301b)를 형성하여 압력조절수단(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교정수단(3)의 좌우 간격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4)는 상기 암(301, 301')의 외측에서 상기 암(301, 301')의 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301d)에 투입되는 다수의 결합돌부(401a)를 형성한 외커버(401)와; 상기 암(301, 301')의 내측에서 상기 결합돌부(401a)에 형성된 나사공(401b)에 나사 결합되는 내커버(402)와; 상기 내커버(402) 내측에서 상기 외커버(401)와 내커버(402)에 동시에 나사 결합되는 쿠션(4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은 본체(1) 내부에서 힌지핀(502)으로 결합되고, 코일스프링(503)으로 탄설되어 상기 암(301')의 일단부 외측면에 설치된 래치기어부(301c)와 탄력적으로 치합하게 한 스토퍼(501)와; 내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501)의 일단부에 핀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본체(1)에 형성된 통공(104)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부(504a)에 의해 통공(10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버튼(50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KR1020140032313A 2014-03-19 2014-03-19 다리 교정장치 KR10155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13A KR101557221B1 (ko) 2014-03-19 2014-03-19 다리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13A KR101557221B1 (ko) 2014-03-19 2014-03-19 다리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89A true KR20150109189A (ko) 2015-10-01
KR101557221B1 KR101557221B1 (ko) 2015-10-02

Family

ID=5433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13A KR101557221B1 (ko) 2014-03-19 2014-03-19 다리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80A1 (ko) * 2017-04-14 2018-10-18 송동호 내외반슬 교정 장치
WO2018190582A1 (ko) * 2017-04-14 2018-10-18 송동호 다리 교정 장치
CN109172081A (zh) * 2018-09-21 2019-01-11 贵州师范大学 个性化腿型矫正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369B1 (ko) 2016-03-22 2017-11-02 남희철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KR102041013B1 (ko) 2017-07-28 2019-11-05 최성진 휴대용 다리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40Y1 (ko) 2003-12-11 2004-03-19 최재철 골반 교정 보조장치
KR100853623B1 (ko) 2007-02-21 2008-08-25 이승석 하체 골격 교정장치
KR200457098Y1 (ko) 2011-03-18 2011-12-05 최영수 다리 교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80A1 (ko) * 2017-04-14 2018-10-18 송동호 내외반슬 교정 장치
WO2018190582A1 (ko) * 2017-04-14 2018-10-18 송동호 다리 교정 장치
CN109172081A (zh) * 2018-09-21 2019-01-11 贵州师范大学 个性化腿型矫正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21B1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221B1 (ko) 다리 교정장치
KR20190068020A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CN103892953A (zh) 脊柱畸形三维矫正治疗器
KR101659219B1 (ko) 내향성 발톱 교정구
EP3932377B1 (en) Body joint support device with inflatable airbag and electrode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KR102041013B1 (ko) 휴대용 다리 교정장치
WO2014121282A1 (en) Brace for unloading of medial or lateral joint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KR101766200B1 (ko) 기능성 목디스크 보호대
KR102149884B1 (ko) 수면 자세 교정 기구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KR200457098Y1 (ko) 다리 교정장치
CN203802621U (zh) 脊柱畸形三维矫正治疗器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CN211409561U (zh) 腿型矫正器
CN205569635U (zh) 一种靠枕式脊椎保健与康复器械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2271536B1 (ko) 교정 기구
KR101739073B1 (ko) 두상 교정모
KR101532629B1 (ko) 가동형 가압판을 구비한 안면 윤곽 축소 및 마사지 기구
CN204863581U (zh) 脑瘫儿童坐姿维持辅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